맨위로가기

리우돌프 (작센 공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우돌프는 805년 또는 806년경 작센 족 출신으로, 동부 작센의 공작으로 불렸으며, 동프랑크 왕국에서 활동했다. 그는 프랑크 왕국의 귀족 오다와 결혼하여 프랑크 왕국 내에서 지위를 얻었으며, 로마를 순례하고 수도원을 건설했다. 그는 동프랑크 왕국 군사 사령관으로 노르만족과 슬라브족을 격퇴했으며, 864년 또는 866년에 사망하여 브룬스하우엔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그의 아들 브룬과 손자 하인리히 1세는 작센 공작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독일 사람 - 카롤루스 대제
    카롤루스 대제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초 프랑크 왕국을 통치하며 서유럽 대부분을 통합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800년에 서로마 황제로 대관된 인물이다.
  • 9세기 독일 사람 - 구엘프 1세
    구엘프 1세는 8세기 후반 카롤링거 왕조 시대 프랑크 귀족 가문 출신으로, 딸 구디트가 경건왕 루이와 결혼하면서 왕조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하일비히 폰 바이에른과의 혼인으로 작센 지역으로 영향력을 넓혀 후손들이 부르군트 왕가를 이루는 등 유럽 역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오토 왕조 - 오토 3세
    오토 3세는 980년 출생하여 1002년 사망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어린 나이에 독일 왕으로 즉위하여 섭정을 받으며 성장, 친정 후에는 로마 제국 부흥을 꿈꿨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오토 왕조 - 하인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2세는 973년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2세와 부르군디의 기젤라 사이에서 태어나 1002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신성 로마 제국의 왕이자 1014년부터 황제를 지낸 오토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로, 왕권 강화, 폴란드와의 전쟁, 이탈리아 원정, 교회와의 관계 속에서 신권적인 제국 통치를 추구하다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작센 왕조가 단절되었고 1147년 시성되었다.
  • 작센 공작 - 로타르 3세
    로타르 3세는 작센 공작, 독일 왕,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호엔슈타우펜 가문과의 권력 투쟁과 이탈리아 원정을 겪고 시칠리아 왕국을 견제하기 위한 원정 중 사망했다.
  • 작센 공작 - 오토 1세
    오토 1세는 작센 왕조 출신으로 동프랑크 왕국의 왕이었으며, 강력한 왕권 구축, 마자르족 격퇴, 제국 교회 체제 확립 등의 업적을 통해 신성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어 중세 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리우돌프 (작센 공작)
기본 정보
이름리우돌프
다른 이름류돌프
독일어 이름Liudolf
작위작센 백작
재위 기간844년 - 866년
출생806년경
사망866년 3월 12일
매장지브룬스하우젠 수도원
가문리우돌핑거 가문
배우자오다 폰 빌룽
자녀목록 참조
작센 공작 리우돌프
작센 공작 리우돌프

2. 생애

리우돌프는 805년 또는 806년경 작센 족 출신 부족장 브룬(Brun) 또는 브룬하르트(Brunhart)와 베릴라의 기셀라(Gisla von Verla)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의 일가의 고향은 베스트팔렌 근처로 추정된다. 그의 가계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다소 모호한데, 9세기 초 카롤루스 대제에게 저항했던 작센 부족 공작 비두킨트와는 어떤 관계인지, 혈연관계는 알려지지 않았다. 카를 마르텔의 아들 카를로만의 후손 혹은 베른하르트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가톨릭 여성 수도자 작센의 여수도사 이다(Ida)와는 어떤 관계인지도 알려지지 않았다.

845년 (혹은 846년) 리우돌프와 부인 오다는 로마 교황 세르지오 2세에게 가서 여자 수도원 건설을 허가해 줄 것을 요청하여 허가받았다. 852년 브룬스하우젠에 여자 수도원이 건설되었고[4], 리우돌프의 딸 '''하투모트'''가 초대 원장에 취임했다. 881년 수도원은 간데르스하임 수도원으로 이전되었다.

850년경부터 동부 작센 지방에 거주하던 동 작센 족을 지휘하였으며, 프랑크 왕국과 독일의 사가들은 그를 동부 작센의 공작(dux Orientalis Saxonum)이라 칭했다. 동프랑크 왕국의 군사 사령관이자 공작(dux)으로 독일인 루트비히를 따라 노르만 바이킹의 침략, 슬라브계 민족 폴라비안의 침략과 대 모라비아인들과 교전, 격퇴하였다. 동부 프랑크를 침략한 슬라브 족을 여러 번 격퇴하기도 했다.

독일인 루트비히의 통치기간 중 동프랑크 왕국의 유력 귀족으로 올라섰고, 독일인 루트비히는 제국의 정권을 잡는데 치중하는 동안, 리우돌프는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작센의 귀족들 사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작센 귀족들 사이에서 주도권을 획득하였다.

리우돌프는 866년에 사망하여 브룬스하우젠에 묻혔다. 사후 아들 브룬이 작센 공작위를 계승했지만, 브룬은 노르만족과의 싸움에서 전사했고, 브룬의 동생 오토 1세 (귀현공)가 공작위를 계승했다.[3] 오토의 아들이 동프랑크 왕 하인리히 1세이다.

2. 1. 초기 생애

리우돌프는 805년 또는 806년경 작센 족 출신 부족장 브룬(Brun) 또는 브룬하르트(Brunhart)와 베릴라의 기셀라(Gisla von Verla)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의 일가의 고향은 베스트팔렌 근처로 추정된다. 아버지 브룬의 행적은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다. 리우돌프의 부인은 경건왕 루트비히 1세의 외손녀이자 프리울리의 에버하르트의 딸 기셀라와, 빌룽 가문 출신 빌룽(Billung)과 아에다(Aeda)의 딸 오다이다. 그의 부인 오다는 913년 혹은 917년 5월 17일에 사망했는데, 103세까지 생존했다고 한다.

그의 가계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다소 모호한데, 그의 딸로 후일 브루스하우엔 수녀원의 수녀였던 아기우스(Agius) 수녀의 일대기에 의하면 그의 가문은 지역의 고귀한 혈통에서 유래했다고 한다.[8] 10세기 중반의 한 독일 문헌에도 그의 가문이 어느 이름을 알 수 없는 고귀한 혈통에서 유래했다고 언급되어 있다.[9] 한편 9세기 초 카롤루스 대제에게 저항했던 선대의 작센 부족출신 공작 비두킨트와는 정확히 어떤 관계인지, 혈연관계는 알려지지 않았다. 일설에는 그의 가계가 카롤루스 대제가 작센을 정복한 뒤, 그라프로 봉직한 가문이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작센의 여수도사 이다(Ida)와는 어떤 관계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다는 카를 마르텔의 아들 카를로만의 후손 혹은 베른하르트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가톨릭 여성 수도자였다. 한 문헌에 의하면 리우돌프와 그의 아들 광휘공 오토가 자신의 영지 내에 있는 이다의 무덤을 돌보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다. 독일의 역사가 알베르트 K. 홈베르크(Albert K. Hömberg)는 그가 이타와 에크베르트의 손자로 추정된다고 보기도 했다. 이다의 아들 콥보(Cobbo)는 리우돌프와 마찬가지로 독일인 루트비히의 측근에서 활동한 인물이었다. 콥보는 에일라(Eila)라는 여성과의 사이에서 리우돌프라는 이름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가 이 리우돌프라는 설도 있다.

그의 생애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려진 것은 없다.[10]

2. 2. 혼인과 작센 공작

리우돌프는 프랑크 족장 빌룽과 아다의 딸인 '''오다'''와 836년경[1]에 결혼했다. 이 프랑크 귀족과의 결혼으로 리우돌프 가문은 프랑크 왕국 내에서 확고한 지위를 차지했다. 오다는 913년 5월 17일 사망했는데[2], 103세까지 생존했다고 한다. 리우돌프는 딸 리우트가르트를 동프랑크 왕 루트비히 3세와 결혼시켜 동부 변방의 방위를 담당하게 했다.[3]

845년 (혹은 846년) 리우돌프와 오다는 로마 교황 세르지오 2세에게 가서 여자 수도원 건설을 허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세르지오 2세는 이를 허가했고, 852년 브룬스하우젠에 여자 수도원이 건설되어[4], 리우돌프의 딸 '''하투모트'''가 초대 원장에 취임했다. 그 후 881년 수도원은 이전되어 간데르스하임 수도원이 되었다.

850년경부터 동부 작센 지방에 거주하던 동 작센 족을 지휘하였으며, 프랑크 왕국과 독일의 사가들은 그를 동부 작센의 공작(dux Orientalis Saxonum)이라 칭했다. 그는 오스트팔렌(Ostfalen)에서 슬라브족과의 국경지대 일대에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그는 하르츠 서쪽의 산기슭과 라이네 강 일대까지 영토를 확장하였다.

그는 동프랑크 왕국의 군사 사령관이자 공작(dux)으로도 활동했고, 독일인 루트비히를 따라 동프랑크 왕국 동부에 출몰하는 노르만 바이킹의 침략, 슬라브계 민족 폴라비안의 침략과 대 모라비아인들과 교전, 격퇴하였다. 그밖에도 동부 프랑크를 침략한 슬라브 족을 여러 번 격퇴하였다.

독일인 루트비히의 통치기간 중 동프랑크 왕국의 유력 귀족으로 올라섰다. 독일인 루트비히는 제국의 정권을 잡는데 치중하는 동안, 리우돌프는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작센의 귀족들 사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작센 귀족들 사이에서 주도권을 획득하였다.

리우돌프는 866년에 사망하여 브룬스하우젠에 묻혔다. 리우돌프 사후, 아들 브룬이 작센 공작위를 계승했지만, 브룬은 노르만족과의 싸움에서 전사했고, 브룬의 동생 오토 1세 (귀현공)가 공작위를 계승했다.[3] 오토의 아들이 동프랑크 왕 하인리히 1세이다.

2. 3. 동프랑크 왕국에서의 활동

독일인 루트비히를 따라 동프랑크 왕국의 군사 사령관이자 공작(dux)으로 활동하면서 동프랑크 왕국 동부에 출몰하는 노르만 바이킹의 침략, 슬라브계 민족 폴라비안의 침략과 대 모라비아인들과 교전, 격퇴하였다. 그밖에도 동부 프랑크를 침략한 슬라브 족을 여러 번 격퇴하였다.[10]

독일인 루트비히의 통치기간 중 동프랑크 왕국의 유력 귀족으로 올라섰으며, 독일인 루트비히는 제국의 정권을 잡는데 치중하는 동안, 리우돌프는 자신의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지위 외에도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작센의 귀족들 사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여, 나중에는 작센 귀족들 사이에서 주도권을 획득하였다. 독일인 루트비히의 아들 청년왕 루트비히와 자신의 딸 리우트가르드의 결혼으로 작센 부족 귀족 내에 그의 영향력은 더욱 확실해졌다.[3] 그는 간혹 작센의 부족공작들 중의 한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2. 4. 종교 활동과 사망

845년 혹은 846년의 어느 시점에 리우돌프와 그의 아내 오다는 이탈리아로마로 성지 순례 여행을 다녀왔으며, 이때 교황 세르지오 2세의 승인을 얻어 자신의 영지에 성당을 짓기 시작, 852년경 교황 성 아나스타시우스와 성자들에게 헌정된 성당을 건립하였다.[4] 리우돌프는 자신의 영지인 간더스하임 내 브룬스하우엔에 수도원을 설립하고 힐데스하임의 주교 알트프리드에게 봉헌하였다. 877년 리우돌프의 딸 중 한 명인 하트문모다(Hathumoda)는 브룬스하우엔 수녀원의 수녀원장직을 역임하기도 했다. 브룬스하우엔 수도원은 919년 그의 손자 하인리히 1세가 제국의 공식 수도원으로 격상시켰다.

리우돌프는 864년 혹은 866년 3월 12일에 사망하여 자신이 소유한 브룬스하우엔 수도원에 안장되었다.[11]

3. 가계

구분내용
아버지브룬 또는 브룬하르트(Brunhart)
어머니베릴라의 기셀라(Gisla von Verla)
부인프리울리의 기셀라, 빌룽의 오다
아들브룬 (작센 공작), 오토 1세
리우트가르트, 하트모타(Hathumoda), 게르베르가(Gerberga), 크리스티나(Christina)
사위소 루트비히 (사위이자 이복 처외사촌)



오다와의 사이에 적어도 7명의 자녀를 두었다.[5]

이름출생-사망비고
브룬830/840년 - 880년작센 공작 (866년 - 880년)
리우트가르트840년경 - 885년루트비히 3세와 결혼[6]
하투모트840년경 - 874년초대 브룬스하우젠 여자 수도원장 (852년 - 874년)
오다845년경 - 874년슈타데 백작 로타르 1세와 결혼
오토 1세851년경 - 912년작센 공작 (880년 - 912년), 하인리히 1세의 아버지
게르베르가? - 896/897년브룬스하우젠 여자 수도원장 (874년 - 896/897년)
크리스티나? - 919/920년간데르스하임 여자 수도원장 (896/897년 - 919/920년)[6]


4. 기타

오토 왕가는 그의 이름을 따서 리우돌핑 왕가라고도 부른다. 리우돌프의 할머니쪽 증조부, 외외증조부가 카를 마르텔의 아들 카를로만이라는 설도 있다.

참조

[1] 서적 Otto der Grosse und das Erste Reich der Deutschen Obelisk-Verlag 1937
[2] 서적 Queenship and sanctity: The lives of Mathilda and The epitaph of Adelheid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04
[3] 서적
[4] 서적 The Carolingians: A Family who Forged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3
[5] 서적 Family, Friends and Followers: Political and Social Bonds in Medieval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6] 서적 The Rise of the Medieval World, 500-1300: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ress 2002
[7] 서적 La naissance du Saint-Empire éditions Albin Michel Albin Michel, Paris 1967
[8] 간행물 Annales, chronica et historiae aevi Carolini et Saxonici Hahn, Hannover 1841
[9] 서적 Rex, Dux und Gens. Untersuchungen zur Entstehung des sächsischen Herzogtums im 9. und 10. Jahrhundert Matthiesen, Husum 1996
[10] 서적 Die Verwandten der Ottonen und ihre Bedeutung in der Politik. Studien zur Familienpolitik und zur Genealogie des sächsischen Kaiserhauses Böhlau, Köln/Wien 1989
[11] 문서 이 수도원은 881년 간더스하임으로 옮겨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