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트 (인터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트(Leet)는 1980년대 게시판 시스템에서 유래된 인터넷 은어로, 단어의 철자를 숫자나 기호로 대체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다. 원래는 해커, 크래커 등 기술적인 사용자들 사이에서 사용되었으나, 이후 주류 문화로 확산되었다. 릿은 검열을 피하거나, 특정 집단만의 언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숫자 '1337'은 인터넷 밈으로 널리 사용된다. 알고리즘 검열을 회피하기 위한 '알고스피크'와 유사한 개념으로, 철자법을 변형하여 의미를 전달한다. 한국에서는 온라인 게임, 일부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며, 야민정음과 같은 한글 변형 방식이 더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독화 - 갸루 문자
    갸루 문자는 2002년경 일본 여중고생 사이에서 유행한 문자 표현 방식으로, 여러 문자를 변형하여 메시지 위장이나 감정 표현에 사용되며, 기성세대에게는 반항적인 언어로 여겨지기도 했다.
  • 난독화 - 야민정음
    야민정음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행하는 언어유희로, 시각적으로 유사한 글자로 단어를 변형하여 표현하며, 젊은 층의 속어처럼 사용되기도 하지만 한글 파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 1990년대 인터넷 문화 - ㅋㅋ
    'ㅋㅋ'는 온라인에서 웃음소리를 표현하는 초성체 의성어로, 'ㅋ'의 개수로 웃음의 뉘앙스를 나타내며 청소년 통신 언어 사용 빈도 1위를 차지하는 등 널리 사용되고, 다양한 콘텐츠에 활용되기도 한다.
  • 1990년대 인터넷 문화 - 구글링
    구글링은 구글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웹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를 뜻하며,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 검색 연산자와 고급 검색 기능 활용이 중요하다.
  • 너드 문화 - 빌 게이츠
    빌 게이츠는 폴 앨런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를 공동 설립하여 MS-DOS와 윈도우를 개발하고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는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을 통해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는 미국의 사업가이자 자선가이다.
  • 너드 문화 - 스티브 워즈니악
    스티븐 개리 워즈니악은 애플 컴퓨터의 공동 창업자이자 애플 I과 애플 II의 주요 설계자로, 개인용 컴퓨터 시대 개막에 기여했으며 블루 박스 제작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컴퓨터 엔지니어이자 발명가이다.
리트 (인터넷)
일반 정보
명칭리트 (leet)
다른 이름leetspeak (리트스피크)
eleet (엘리트)
e
종류인터넷 속어 및 대체 철자
상세 정보
특징문자 대체: 숫자나 기호로 문자를 대체함 (예: "A"를 "4"로, "E"를 "3"으로)
단어 변형: 단어의 철자를 의도적으로 바꾸거나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사용함
문법 파괴: 일반적인 문법 규칙을 따르지 않고 비표준적인 문장 구조를 사용함
대소문자 혼용: 단어 내에서 대문자와 소문자를 임의로 섞어 사용함
사용 목적난독화: 특정 단어나 문장을 읽기 어렵게 만들어 필터링을 우회하거나 내용을 숨기는 목적
과시: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특정 기술이나 지식을 과시하는 수단
유머: 재미나 장난을 위해 사용
정체성 표현: 특정 집단이나 문화에 속해 있음을 나타내는 방법
기원1980년대 해커 문화
영향온라인 게임, 인터넷 커뮤니티, 채팅 등 다양한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됨
예시"H4xx0r" (해커)
"l33t" (엘리트)
"n00b" (뉴비)
변형1337 (leet): 가장 기본적인 형태
l33t speak (리트 스피크): 더 복잡하고 다양한 대체 방법을 사용
읽는 방법문자 대체를 고려하여 원래 단어를 유추
문맥을 파악하여 의미를 해석
주의사항과도한 사용은 의사소통을 어렵게 할 수 있음
특정 커뮤니티에서는 사용을 금지할 수 있음
관련 용어인터넷 용어
온라인 속어

2. 역사

릿은 1980년대 게시판 시스템(BBS)에서 유래되었다.[1][2] BBS에서 "엘리트" 지위를 갖는 것은 사용자에게 파일 폴더, 게임 및 특별 채팅방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했다. 컬트 오브 데드 카우(Cult of the Dead Cow) 해커 집단이 당시 텍스트 파일에서 이 용어를 처음 만들어낸 것으로 여겨진다.[3] 한 가지 이론은 BBS 또는 인터넷 릴레이 챗(IRC) 시스템 운영자가 소프트웨어 크래킹 및 해커(컴퓨터 보안)와 같은 금지된 주제에 대한 논의를 막기 위해 만든 단어 필터를 무력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는 것이다.[1] 창의적인 오타와 ASCII 아트에서 파생된 단어는 컴퓨터 사용자 문화에 대해 지식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이기도 했다.

릿은 한때 해커(컴퓨터 보안), 크래커, 스크립트 키디를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후 주류로 진입했다.[1] 이모티콘과 같은 ASCII 아트를 릿으로 간주하는지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이 존재한다. 더 모호한 형태의 릿은 난독화된 의사 소통이라는 원래의 목적을 위해 계속 사용된다. 또한 스크립트 언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릿의 변형은 수년 동안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1337


릿 기호, 특히 숫자 1337은 일부 문화로 확산된 인터넷 밈이다. "1337"이라는 숫자를 보여주는 표지판은 사진의 인기 있는 모티프이며 인터넷에서 널리 공유된다.[5] 릿은 장난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경찰이나 저작권 관련 기관 또는 초보자(뉴비) 등의 검색을 회피할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오히려 그것이 기원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

2. 1. 알고스피크 (Algospeak)

알고스피크는 알고리즘온라인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서 리트와 비슷하다. "알고스피크"는 "알고리즘"의 "알고"와 "말하다(speak)"를 합쳐 만든 단어이다. 이는 불공정하다고 여겨지는 자동화된 온라인 관리 기술을 피하기 위한 완곡어법이다.[6][7][8][9][10] 예를 들어 "살해하다(kill)" 또는 "자살(suicide)" 대신 "unalive"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지체된(retarded)" 대신 "다시 시작된(restarted)" 또는 "간주된(regarded)"을 사용하고, "섹스(sex)" 대신 "seggs"를 사용하는 것도 다른 예시이다. 이러한 표현들은 원래 단어와 동일한 의미, 발음, 형태를 가지면서도, 인간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알고스피크는 리트의 현대적인 대안으로 자주 사용된다. 이 방식은 2023년과 2024년에 이스라엘과 가자 사이의 갈등이 심해지면서 메타 및 틱톡과 같은 플랫폼에서 더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다.[11][12]

한국의 경우, 알고스피크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정치, 사회적으로 민감한 주제에 대한 검열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3. 표기법 (Orthography)

릿의 특징 중 하나는 다른 글자나 글자가 아닌 문자를 사용하여 단어의 글자를 나타내는 독특한 철자법을 사용한다는 것이다.[13][14] 릿을 사용하는 주요 전략은 표현하려는 글자와 유사한 동형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기호의 선택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독자가 이해할 수 있으면 릿에서 유효하다. 게이머들이 이미 사용된 닉네임을 다른 게이머가 사용하거나 버렸을 경우, 글자를 모양이 비슷한 숫자로 대체하여 닉네임을 사용하기도 한다.

릿은 시스템의 은어 특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초보자나 외부인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즉, "평균적인" 독자가 이해할 수 없는 모든 것이 유효하며, 메시지를 이해할 자격이 있다면 스스로 이해하려 노력해야 한다. 약한 릿은 빈도 분석을 방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릿 철자 대체는 패스워드를 만들 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1]

랩탑에 있는 스티커는 거꾸로 된 "1337"을 "LEET"로 보여준다.


릿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B1ff''
  • ''n00b''는 "noob"의 약자로, 전형적인 신참을 뜻한다.
  • '''l33t''' 프로그래밍 언어.
  • ''"E5C4P3"'': Journey의 Escape 앨범 스타일 커버.
  • ''k3w1''은 "kewl"( "cool"에서 파생됨)로 해독된다.
  • 웹 코믹 ''Megatokyo'' 및 ''Homestuck''는 릿의 변형을 사용하는 캐릭터가 등장한다.[16][17]
  • Deadmau5 닉네임의 숫자 "5".
  • 거꾸로 된 "1337" ( "1" 아래에 막대가 있음)은 "LEET"로도 읽힌다.
  • "DEF 4L7" 번호판은 Watch Dogs 비디오 게임 (시리즈의 첫 번째 게임)의 해커 Defalt가 사용한다.
  • VA-11 HALL-A는 수정된 "Valhalla"로 읽힌다.
  • 1 (4/\/"7 |_|/\/[)3|2574/\/[) '/0|_||2 \/\/|2171/\/9.17’5 (0/\/|=|_|51/\/9|영어는 릿 스타일로 쓰여진 I can’t understand your writing. It’s confusing.|영어와 같다.
  • 때로는 단어를 숫자만 사용하여 리트로 입력할 수 있다.

예시설명
360"EGO"라는 단어를 나타낸다.
1687 또는 1987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와 같은 IGBT를 암시.
2007 2008qoot qoob ( "cute cube"에서 파생됨)으로 해독.
2077(Cyberpunk 2077을 암시) "ZOTT" 유제품 브랜드를 조롱.
11363015LIEGEOIS를 의미. Liège
12314734813"RELATEABLE"이라는 단어.
137 17 83 137 17 60"let it be, let it go"라는 구문을 숨김.
4150"ALSO"를 나타냄.
33571 - 18124Eesti - Ibiza로 풀림.


  • 3자 또는 6자가 유효한 웹 색상 16진수 색상 코드로 리트화될 수 있다.

예시설명
614D05GLaDOS를 참조하는 어두운 금색.
572E55 (또는 572355)"STRESS"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어두운 보라색.
1C373A"ICE TEA"에서 파생된 어두운 시안("icy") 색상.
C47C47고양이와 관련된 복숭아-오렌지 색상.
C01025"COLORS"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핑크-레드 색상.
D35327"DESERT" 단어에서 생성된 어두운 오렌지 색상.
80771E"BOTTLE" 단어에서 생성된 어두운 황록색.


  • 이름을 리트로 철자하여 출력물이 무언가를 참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

| 여성 이름 "Marisa"는 , AR-15 플랫폼을 참조.

|}

예시설명
{{lang|en|/\/\AR15/\|}
, |], ?

| 3, &, £, €, [- , |=-

| |=, ƒ, |#, ph, /=, v, 7

| 6, &, (_+, 9, C-, gee, (?, [, {, <-,(., ₲,(,

| #, /-/,\-\, [-], ]-[ ,)-(, (-), :-:, |~|, |-| ,]~[, }{, !-!, 1-1, \-/, I+I, }-{, |+|, }-{

| 1, |, ][, !, eye, 3y3

| _|, _/, ¿, , _], (/, _7

| X, |<, |{, }{, |X, 1<, >|, |c, ]<, ){

| 1, 7, 2, £, |_, |

| |v|, [V], {V}, /V\, em, AA, |\/|, /\/\, (u), (V), (\/), /|\, ^^, /|/|, //\, |\|, ]\/[, 44

| ^/, |\|, /\/, [], <\>, {\}, /V, 1V, И, ^, ท

| 0, (), oh, [], p, <>, Ø, Q

| |*, |o, |º, |^(o), |>, |", 9, []D, |°, |7, q

| (_,), ()_, 2, 0_, <|, &, 9, ¶, ⁋, ℗

| I2, |`, |~, |?, /2, |^, lz, |9, 2, 12, ®, [z, Я, .-, |2, |-

| 5, $, z, §, ehs, es, 2

| 7, +, -|-, '][', †, "|"

| (_), |_|, v, L|, µ, บ

| \/, |/, \|

| \/\/, vv, \N, '//, \\', \^/, dubya, (n), \V/, \X/, \|/, \_|_/, \_:_/, Ш, uu, 2u, \\//\\//, พ, , ω

| ><, }{, ecks, ×, ?, }{,)(, ][

| j, `/, \|/, ¥, \//

| 2, 7_, -/_, %, >_, s, ~/_ ,-\_, -|_

|}

4. 형태론 (Morphology)

리트(인터넷)로 표현된 텍스트는 종종 독특하고 반복적인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 '-xor' 접미사

: 이 접미사는 동사 어간에서 동작 주체 명사를 파생시킨다는 점에서 영어의 '-er'와 '-or' 접미사(예: 'hacker', 'lesser')와 유사하다.[2] '-xor'와 '-zor'( 및 )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hax(x)or'('H4x0r' in leet) , ''pwnzor'' 에서 볼 수 있다. 이 명사화는 일반 영어 동사의 모든 접미사로 굴절될 수 있다. 'o'는 종종 숫자 0으로 대체된다.

; '-age' 접미사

: 모든 동사의 기본 형태에 '-age'를 붙여 동사 어간에서 명사를 파생할 수 있다. 'pwnage', 'skillage', 'speakage' 등이 그 예이다. 'leetage'는 'leet'임을 적극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18] 이러한 명사는 "소유하다"보다는 "이다"의 형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는 pwnage를 가지고 있다"보다는 "그것은 pwnage였다") 어느 쪽이든 "그는 pwns한다"를 더 강조하여 표현하는 방식이지만, 전자는 그 사람이 단순히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그 특성을 '구현'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 '-ness' 접미사

: 모든 형용사에 '-ness'를 붙여 형용사 어간에서 명사를 파생한다. 영어 형태와 동일하지만, 리트에서 훨씬 더 자주 사용된다. 'lulzness', 'leetness' 등의 명사가 이 접미사로 파생된다.

; '-ed'로 끝나는 단어

: 리트 사용자는 '-ed'로 과거 분사 형태를 만들 때, 이전 세기의 에서처럼 '-e'를 아포스트로피로 바꿀 수 있다(예: "pwned" -> "pwn'd"). 아포스트로피가 제거되기도 한다(예: "pwned" -> "pwnd"). '-t'로 단어 끝을 대체할 수도 있다(예: ''pwned'' -> ''pwnt'').[19]

; '-&' 접미사 사용

: '-and', '-anned', '-ant' 등으로 끝나는 단어는 앰퍼샌드('&')로 표기할 수 있다(예: "This is the s&box", "I'm sorry, you've been b&", "&hill/&farm"). 'banned'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B&" 대신 "B7"을 쓰기도 하는데, 표준 미국 키보드에서 앰퍼샌드가 "7" 키와 함께 있기 때문이다. "IBB7"(in before banned)는 게시자가 이전 게시자가 게시하는 사이트, 채널, 게시판에서 곧 금지될 것이라고 믿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5. 문법 (Grammar)

릿 문법은 표준 영어보다 더 자유로운 규칙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명사와 동사의 품사 변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Austin rocks"는 "0MFG D00D /\Ü571N 15 T3H l_l83Я 1337 Я0XX0ЯZ"와 같이 표현될 수 있는데, 이는 "오스틴이 최고다!"라는 의미로, 강조와 즐거움을 더하기 위해 단어와 오타가 추가된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해커 속어와 유사하게 비유를 통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haxored"가 "해킹하다"의 과거형이라면, "winzored"는 "이기다"의 과거형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다.[20]

또한, "All your base are belong to us"와 같이 의도적인 오타나 문법 오류를 사용하기도 한다. 온라인 환경은 국제적이기 때문에, 비원어민의 문법 및 철자 오류가 흔하게 나타나는 것도 릿의 특징 중 하나이다.[20]

6. 어휘 (Vocabulary)

많은 단어가 현대 인터넷 슬랭의 일부가 되었다. 예를 들어 pwned가 있다.[1] 새로운 어휘는 "테흐"(teh)와 같은 오타나 의도적인 오타, 특히 단어 끝에 "z"를 추가하는 방식(예: skillz)에서 유래했다.[1][21] w00t과 같은 감탄사도 존재한다.[2] w00t은 때때로 "We owned the other team"의 백크로님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사용자 이름 중복을 피하기 위해 단어를 변형하기도 한다.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가 늘면서 사용 가능한 이름이 줄어들자, "CatLover" 대신 "C@7L0vr"와 같이 변형된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leet''라는 단어 자체는 인터넷 및 비디오 게임의 화면 이름 및 게이머 태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당 용어를 사용하면 높은 수준의 기술을 알릴 수 있지만, 근거 없는 오만으로 간주될 수 있다.[22]

릿은 장난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경찰이나 저작권 관련 기관, 초보자(뉴비) 등의 검색을 회피할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Warez"라는 단어를 리트로 표기하면, "W@rez"나 "W4r3z"와 같이 일부 알파벳을 모양이 비슷한 아라비아 숫자나 기호 등으로 바꾸는 것이다.

표기법은 "for"나 "to"를 각각 비슷한 발음의 "4"나 "2"로 대체하거나, "you"를 "u"로 바꾸거나, 복수형 "s"를 "z"로 바꾸거나, "cks" 또는 "ks"로 끝나는 단어를 "x"로 대체하거나, 고의로 철자를 틀리게 표기하거나, 대문자와 소문자를 혼용하는 등 다양하다.

CCCamp 티셔츠는 비밀번호 취약점을 강조하기 위해 리트를 사용합니다.


6. 1. 용어 및 일반적인 오타 (Terminology and common misspellings)

릿은 1980년대 게시판 시스템(BBS)에서 유래되었다.[1][2] 컬트 오브 데드 카우 해커 집단이 텍스트 파일에서 이 용어를 처음 만들어낸 것으로 여겨진다.[3] 릿은 한때 해커(컴퓨터 보안), 크래커, 스크립트 키디를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후 주류로 진입했다.[1] 수년 동안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leet''라는 단어 자체는 인터넷 및 비디오 게임의 화면 이름 및 게이머 태그에서 찾을 수 있다.

릿에서 파생된 새로운 어휘는 "teh"와 같은 흔한 오타, 의도적인 오타[21], 특히 단어 끝에 "z"가 붙는 것("skillz")에서 비롯되었다.[1]

다음은 요약에 언급된 용어와 일반적인 오타에 대한 설명이다.

  • 불법 복제(warez): 크랙되어 재배포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22]
  • 프리킹(phreaking): 전화 시스템 및 기타 비 인터넷 장비 해킹을 의미한다.[1]
  • 테흐(teh): "the"의 오타이며, ''t3h''로 표기되기도 한다.[1][23]
  • j00: "you"를 대체한다.[2]
  • über: "넘어" 또는 "위에"를 의미하는 접두사이며, ''u'' 위에 움라우트 없이 쓰이는 경우가 많다.[24]

6. 1. 1. Haxor and suxxor (suxorz)

''Haxor''와 그 파생어는 "해커"를 리트로 표현한 것이며[25], ''-xor'' 접미사가 사용된 가장 흔한 예시 중 하나이다. ''Suxxor''(발음: 썩-조)는 불법 복제 문화에서 유래된 경멸적인 용어이며, 현재 멀티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및 인스턴트 메시징과 같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사용된다. ''haxor''와 마찬가지로, ''-xor'' 접미사를 사용하는 초기 리트 단어 중 하나이다. ''Suxxor''는 "sucks"( "to suck" 구절)를 변형한 것이며, 그 의미는 영어 속어와 같다. ''Suxxor''는 문맥상 잘못 사용될 경우 ''Succer/Succker''로 오해받을 수 있다. 부정적인 정의는 본질적으로 ''roxxor''의 반대말이며, 둘 다 동사 또는 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 문자 ''ck''는 다른 단어에서도 종종 그리스 문자 Χ(키)로 대체된다.

6. 1. 2. n00b

뉴비에서 파생된 용어로, 경험이 없는 사용자를 지칭한다.[21][24][34] 리트 집단의 "엘리트"(또는 "정상적인") 구성원과 "n00b"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6. 1. 3. Owned and pwned

''Owned''와 ''pwned'' (일반적으로 "poned"[26] [pʰo͡ʊnd]로 발음)는 비디오 게임이나 논쟁에서 한 플레이어를 압도하거나 (단순한 승리가 아닌) 웹사이트나 컴퓨터를 해킹하는 데 성공했을 때를 의미한다.[27][28][29][1][24][30] 이는 소유권을 얻기 위해 전유하거나 정복한다는 의미의 동사 ''own''에서 파생된 속어이다. 리트의 일반적인 특징처럼, 이 용어들은 명사 및 형용사 형태로도 사용되며,[24] ''ownage''와 ''pwnage''는 ''pwning'' 상황이나 대상의 우월함을 나타낼 수 있다 (예: "그는 매우 훌륭한 선수다. 그는 pwnage다.").

''pwned''라는 용어의 예시, ''웃긴 고양이들'' 만화


이 용어는 "O"와 "P" 키의 키보드 근접성 때문에 "own"을 오타로 쓴 데서 우연히 생겨났다. 이는 주로 인터넷 기반의 비디오 게임 문화에서 상대를 완전히 패배시킨 상대를 조롱할 때 사용되며, 경쟁자를 지배하거나 굴욕감을 준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예: "너 방금 pwned 당했어!").[32] 2015년 스크래블은 pwn을 공식 스크래블 단어 목록에 추가했다.[33]

6. 1. 4. Pr0n

''Pr0n''은 ''포르노그래피''의 속어이다.[1] O를 숫자 0으로 대체하는 등 ''porn''을 의도적으로 부정확하게 철자/발음한 것이다.[34] 이는 때때로 언어 및 콘텐츠 필터를 우회하기 위해 합법적인 통신(이메일 토론 그룹, Usenet, 채팅방, 인터넷 웹 페이지 등)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필터는 메시지를 불쾌하거나 스팸으로 거부할 수 있다. 이 단어는 또한 검색 엔진이 상업 사이트를 포르노그래피와 연관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원치 않는 트래픽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Pr0n''은 또한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독자에게 의미를 더욱 모호하게 만들기 위해 거꾸로(n0rp) 철자되기도 한다.

7. 릿 부호표 (Table of leet-speak substitutes for normal letters)

, {V}, (v), (V), |\|, ]\/[, nn, 11 || ^/, |\|, /\/, [\] , <\>, {\}, /V, ^, ท, И || 0, (), oh, [], p, <>, Ø || |*, |o, |º, |^(o), |>, |", 9, []D, |°, |7 || (_,), ()_, 0_, <|, &, 9, ¶, ⁋, ℗ || I2, |`, |~, |?, /2, |^, lz, |9, 2, 12, ®, [z, Я, .-, |2, |- || 5, $, z, §, ehs, es, 2 || 7, +, -|-, '][', †, «|», ~|~ || (_), |_|, v, L|, µ, บ || \/, |/, \| || \/\/, vv, \N, '//, \\', \^/, dubya, (n), \V/, \X/, \|/, \_|_/, \_:_/, Ш, uu, 2u, \\//\\//, พ, , ω || ><, }{, ecks, ×, ?, )(, ][, }{ || j, `/, Ч, 7, \|/, ¥ || 2, 7_, -/_, %, >_, s, ~/_, -\_, -|_

|}

8. 한국에서의 릿

한국에서는 릿이 영어권만큼 널리 퍼져 있지는 않지만,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이름이나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35] 이는 주로 영어로 문서를 작성할 기회가 적은 한국의 특성상, 릿보다는 야민정음과 같이 한글을 변형하는 방식이 더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9. 사용 예시


  • NOW IS THE TIME|나우 이즈 더 타임|/0/ 15 7-3 71/3영어
  • 제프리 디버의 소설 『로드사이드 크로스』에 등장한다.[1]
  • 음악 게임 곡명:
  • * COSMIC RAILROAD|코스믹 레일로드|CO5M1C R4ILR0AD영어
  • * MAKE IT BOUNCE|메이크 잇 바운스|M4K3 1T B0UNC3영어
  • * Nyarlathotep|니알라토텝|^/7(L?[_(L#<>+&l^(o)영어

참조

[1] 문서 Mitchell
[2] 문서 An Explanation of l33t Speak
[3] 웹사이트 Google Expands Bug Bounty Program http://www.ecommerce[...] 2015-02-02
[4] 웹사이트 A guide to leetspeak https://www.ionos.co[...] 2021-12-17
[5] 웹사이트 10 classic memes that owned the Internet https://www.cnn.com/[...] 2013-04-23
[6] 뉴스 Internet 'algospeak' is changing our language in real time, from 'nip nops' to 'le dollar bean' https://www.washingt[...] 2024-01-02
[7] 웹사이트 What is 'algospeak'? Inside the newest version of linguistic subterfuge https://theconversat[...] 2024-01-02
[8] 웹사이트 'Mascara,' 'Unalive,' 'Corn': What Common Social Media Algospeak Words Actually Mean https://www.forbes.c[...] 2024-01-02
[9] 웹사이트 From Camping to Cheese Pizza, 'Algospeak' is Taking over Social Media https://www.forbes.c[...] 2024-01-02
[10] 서적 Companion Proceedings of the ACM Web Conference 2022 2024-01-02
[11] 뉴스 Pro-Palestinian creators use secret spellings, code words to evade social media algorithms https://www.washingt[...] 2024-01-02
[12] 웹사이트 How pro-Palestinians are using 'Algospeak' to dodge social media scrutiny and disseminate hateful rhetoric https://www.foxnews.[...] 2024-01-02
[13] 문서 Sterling, 70
[14] 문서 Blashki & Nichol, 80
[15] 웹사이트 Username and Password Guidelines https://help.pearson[...] 2019-12-10
[16] 웹사이트 "MegaTokyo - [9] Speak L33t?" https://megatokyo.co[...] 2024-01-31
[17] 웹사이트 ===> https://www.homestuc[...] 2024-01-31
[18] 문서 Blashki & Nichol, 79
[19] 문서 LeBlanc, 33
[20] 문서 Blashki & Nichol, 81
[21] 문서 Blashki & Nichol, 83
[22] 문서 Computer Hope Dictionary
[23] 문서 LeBlanc, 34-35
[24] 문서 Van de Velde & Meuleman
[25] 문서 LeBlanc, 30; 32
[26] Youtube Merriam-Webster: What Does 'Pwn' Mean? And how do you say it? https://www.merriam-[...]
[27] 서적 Pwned – 10 Tales of Appropriation in Video Games http://publik.tuwien[...]
[28] 서적 Computer Slang http://books.ifmo.ru[...] 2008-12-09
[29] 서적 The Second Life Herald https://archive.org/[...] MIT Press 2007
[30] 문서 LeBlanc, 32-33
[31] 뉴스 The Flaw at the Heart of the Internet 2008-11
[32] 서적 Mo' Urban Dictionary: Ridonkulous Street Slang Defined Andrews McMeel Publishing 2007
[33] 뉴스 Go Forth And Pwn For Shizzle, Word List Guardians Tell Scrabble Players https://www.npr.org/[...] 2015-05-21
[34] 문서 The Acronym Finder
[35] 문서 ジャーゴンファイ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ABCDEFGHIJKLMNOPQRSTUVWXYZ
4, /\ , @, /-\, ^, aye, (L, ДI3, 8, 13,>3, ß, !3, (3, /3, )3, |-], j3, 6[, ¢, <, (, ©),>), (|, [), I>, |>, ?, T), I7, c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