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렛 (잡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가렛은 1963년 슈에이샤에서 창간된 일본의 소녀 만화 잡지이다. 주간 마가렛으로 시작하여, 자매지 별책 마가렛, 디럭스 마가렛, 더 마가렛 등을 발행했으며, 현재는 격주간으로 발행된다. 주요 독자층은 중고등학생 및 젊은 여성으로, 발행 부수는 2008년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 마가렛 코믹스 임프린트를 통해 단행본을 출판하며, 베르사이유의 장미, 꽃보다 남자 등 다수의 작품이 애니메이션과 실사 드라마, 영화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3년 창간 - Oz (잡지)
Oz는 리처드 네빌이 호주 시드니에서 창간한 풍자 잡지이며, 영국으로 건너가 사이키델릭 디자인과 좌파 성향의 기사로 주목받았고, 외설 혐의 재판을 겪었으나 표현의 자유 논쟁을 불러일으킨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 1963년 창간 - 와이후
와이후는 1963년 효고현 다카라즈카시에서 창간된 잡지이며, 편집부 이전을 거쳐 출판물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일본 사회의 가부장적 질서와 여성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마가렛 (잡지) - 메이의 집사
미야기 리코의 만화 '메이의 집사'는 우동집 딸 메이가 대부호 상속녀가 되어 세인트 루치아 여학원에 입학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드라마, 소설, 무대, 소셜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마가렛 (잡지) -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는 아사이 료의 소설로, 키리시마의 동아리 활동 중단을 둘러싼 고등학생들의 일상과 심리 변화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다루며, 영화화 및 스핀오프 드라마 등으로 제작되었다. - 반월간 잡지 - 주간 소년 점프
《주간 소년 점프》는 슈에이샤에서 1968년 창간된 일본의 주간 소년 만화 잡지로, "우정, 노력, 승리"를 핵심 가치로 삼아 독자 설문 조사 기반 편집, 다양한 미디어 믹스, 신인 발굴을 통해 일본 만화계를 선도하며 《원피스》,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등 인기 작품을 서비스하고 있다. - 반월간 잡지 - 영 간간
영 간간은 2004년 창간된 일본의 격주간 만화 잡지로, 자매지 출신 작가들의 판타지, 코미디 작품과 그라비아 아이돌 화보를 싣는 특징이 있으며, 연재작 중 상당수가 영상화되었다.
마가렛 (잡지) | |
---|---|
기본 정보 | |
잡지 이름 | 마가렛 |
영어 잡지 이름 | Margaret |
종류 | 소녀 만화 |
대상 독자 | 소녀 |
발행 빈도 | 주간 (1963년~1988년) 격주간 (1988년부터) |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
창간일 | 1963년 |
회사 | 슈에이샤 |
발행인 | 이마이 다카아키 |
편집인 | 데시가와라 다카시 |
레이블 | 마가렛 코믹스 |
자매지 | 별책 마가렛 더 마가렛 |
웹사이트 | 마가렛 공식 웹사이트 |
발행 부수 | 11,000부 (2023년 12월) |
관련 정보 | |
![]() |
2. 역사
''마가렛''은 슈에이샤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현역 간행물이다.[8] 1998년까지 ''주간 마가렛''(週刊マーガレット)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마가렛''으로 이름이 바뀌고 월 2회 발행으로 변경되어 매달 5일과 20일에 발행되었다.[4] ''마가렛''에 연재된 만화가 ''단행본''으로 수집될 때, 이들은 마가렛 코믹스 임프린트로 출판된다. 자매지 ''별책 마가렛''의 연재작도 마가렛 코믹스 임프린트로 출판된다. ''마가렛''의 또 다른 자매지인 ''The Margaret''는 2023년 폐간될 때까지 분기별로 발행되었다.[9][10]
2007년에는 12월 발매호를 처음으로 합병호로 발행했다. 이후 2008년 1월 발매호, 2009년 2월 발매호, 2012년 1월 발매호도 합병호로 발행했다. 2013년 4월 20일 발매된 10호로 창간 50주년을 맞이했지만, 해당 잡지가 조기에 매진된 것으로 인해 5월 2일부터 6월 4일까지 인터넷에서 무료 배포를 실시했다.[26]
연도 | 주요 내용 |
---|---|
1982년 | 『별책 마가렛』과 공동 편집으로 소녀 만화 잡지 더 마가렛 창간. |
1988년 | 주간에서 월 2회 발행(5일·20일 발매)으로 리뉴얼. 잡지명 표기를 『Margaret』로 변경. |
1990년 | 『Margaret』에서 『마가렛』으로 재변경. |
2016년 | 『마가렛』(1호)에서 『마가렛』으로 변경.[27] |
2. 1. 창간 초기 (1963년 ~ 1970년대)
''마가렛''은 1963년 5월에 주간 만화 잡지로 처음 창간되었다.[6][7] 같은 해에 휴간된 소녀 북을 전신으로 하여 작품을 이어받아 '''주간 마가렛'''으로 창간되었다.[25] 만화 외에도 소설, 패션, 사진, 요리 등이 게재되었다.1960년대에는 우라노 치카코의 《어택 No.1》이 1968년부터 연재되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화되기도 하였다. 1970년대에는 이케다 리요코의 《베르사유의 장미》, 야마모토 스즈미카의 《에이스를 노려라!》 등의 작품이 연재되었다.
다음은 창간 초기의 연혁이다.
연도 | 주요 내용 |
---|---|
1963년 | 종합 소녀 주간지 주간 마가렛 창간. |
1964년 | 별책으로 소녀 만화 잡지 별책 마가렛 창간. |
1967년 | 소녀 만화 잡지 디럭스 마가렛 창간. 코믹스 레이블 마가렛 코믹스 간행 시작. 언니 잡지로서 종합 잡지 주간 세븐틴 창간. |
1976년 | 소녀 만화 잡지 프티 마가렛 창간. |
1978년 | 『마가렛』의 자매지 『프티 마가렛』과 『리본』의 자매지 『리본 DX』를 폐간하고, 양지를 모체로 소녀 만화 잡지 부케 창간. |
2. 2. 발전기 (1980년대 ~ 1990년대)
1982년 《더 마가렛》이 창간되었다.[9] 1988년에는 월 2회 발행(매월 5일, 20일 발매)으로 변경되었고, 잡지명 표기도 『Margaret』로 변경되었다.[4] 1990년에는 잡지명 표기를 『마가렛』으로 다시 변경하였다.[27]이 시기에는 《유우칸 클럽》, 《빛의 전설》, 《꽃보다 남자》 등 인기 작품이 연재되었다.
2. 3. 현재 (2000년대 ~ 현재)
2009년 발행 부수는 154,584부였으나,[11] 2010년에는 95,044부로 감소했다.[12] 슈에이샤는 2022년 2월 기준 평균 발행 부수가 16,000부, 2023년 12월 기준 11,000부라고 보고했다. 2016년부터 온라인으로도 출판되고 있다.[13]2016년 잡지명 표기를 『'''마가렛'''』(1호)에서 『'''마가렛'''』으로 변경했다.[27]
3. 주요 연재 작품
마가렛은 1963년 창간 이후 현재까지 수많은 만화 작품들을 연재해왔다. 대표적인 과거 연재작으로는 베르사이유의 장미, 올훼스의 창, 꽃보다 남자, 절애 등이 있다.
3. 1. 현재 연재작
※ 2024년 12월 20일 (2025년 2호) 기준. 작품명 가나다순.
3. 2. 과거 연재작
마가렛은 1963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연재해왔다. 그 중 대표적인 작품은 다음과 같다.이 외에도 수많은 작품들이 마가렛을 통해 연재되었으며, 2023년 기준으로 현재 연재 중이거나 휴재 중인 작품은 다음과 같다.
- 히로치 히로의 '너와 장밋빛 나날' (2023년 12호[43] - 2023년 19호, '''휴재 중'''[44])
- 히나키 미와의 'Piyocolate' (2012년 8호 - '''휴재 중'''[45])
- 사쿠라다 아오이의 '미래형 연애 남자 46' (2015년 21호 - '''휴재 중'''[46])
3. 2. 1. 1960년대 ~ 1970년대
사루토비 엣찬일본어은 1964년부터 1969년까지 연재되었다.[47] 어택 넘버 1일본어은 1968년부터 1971년까지 연재되었다.[47] 베르사유의 장미일본어는 1972년부터 1973년까지 연재되었다.[47] 에이스를 노려라!일본어는 1973년부터 1980년까지 연재되었다.[47] 오르페우스의 창일본어은 1975년부터 1981년까지 연재되었다.[47]연도 | 작품명 | 작가 | 비고 |
---|---|---|---|
1964년 ~ 1969년 | 사루토비 엣찬일본어 | ||
1966년 | 레몬과 벚꽃 | ||
1966년 ~ 1967년 | 안개 속의 소녀 | ||
1968년 | 사과의 죄 | ||
1968년 ~ 1971년 | 어택 넘버 1일본어 | 우라노 치가코 | |
1970년 ~ 1971년 | 탄생! | ||
1971년 | 모나리자의 방 | ||
1971년 | 두 딸 | ||
1972년 ~ 1973년 | 베르사유의 장미일본어 | 이케다 리요코 | |
1973년 | 미모자 저택에서 잡아줘 | ||
1973년 ~ 1974년 | 오 마이 로드! | ||
1973년 ~ 1980년 | 에이스를 노려라!일본어 | 야마모토 스즈미카 | 1973년 2·3 합병호 - 1975년 5호, 1978년 4·5 합병호 - 1980년 8호 |
1974년 | 오빠에게...일본어 | 이케다 리요코 | 1974년 12호 - 39호 |
1974년 | 쇼코의 에튀드 | ||
1975년 ~ 1981년 | 오르페우스의 창일본어 | 이케다 리요코 | 제1부: 1975년 4·5 합병호 - 1976년 32호 |
1976년 | 왕자님이 좋아! | ||
1976년 ~ 1981년 | 스완일본어 | ||
1977년 ~ 1978년 | R은 로켓을 위해|U는 우주선의 U일본어 | ||
1978년 | 클로딘일본어 | ||
1977년 ~ 1978년 | 엘리트 광상곡일본어 | 유미즈키 히카루 | 1977년 31호 - 1978년 45호 |
1979년 | 도와줘 달려! | ||
1979년 ~ 1980년 | 붉은 손톱 자국일본어 | 키쿠카와 치카코 | 1979년 37호 - 1980년 6호 |
3. 2. 2. 1980년대
- 유우칸 클럽 (1982–2002)[47]
- 빛의 전설 (1985–1988)
- 1월에는 크리스마스 (이와타테 마리코): 1983년 2·3 합병호, 4·5 합병호
- 절애 1989 (1989–1991)
- 맛있는 남자를 만드는 법 (이치죠 유카리): 1988년 7호 - 1989년 13호
3. 2. 3. 1990년대
- 花より男子일본어 (1992년 ~ 2008년)
- 브론즈: 제츠아이 1989 (1992년 ~ 1996년)
- 에도는 잠들지 않아! (혼다 케이코): 1991년 3호 ~ 1992년 12호
3. 2. 4. 2000년대 ~ 2010년대
- 파르페 틱! (2000년 ~ 2007년)
- 러브 몬스터 (2002년 ~ 2006년)
- 달의 요람 (2002년 ~ 2007년)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2003년 ~ 2010년)
- 욕정 클라이맥스 (2004년 ~ 2006년)
- 은반 컬레이도스코프 (2005년 ~ 2006년)
- 믹스 베지터블 (2005년 ~ 2007년)
- 스위치 걸!! (2006년 ~ 2014년)
- 장미를 밟고 (2007년 ~ 2012년)
- 악마와 러브송 (2007년 2호 ~ 2011년 9호)
- 마계에서 사랑을 담아 (2008년 ~ 2014년)
- 거짓말쟁이 릴리 (2009년 23호 ~ 2014년 11호)
- 마이루노비치 (2010년 ~ 2014년)
- 낮에 뜨는 별 (2011년 ~ 2014년)
- 후단주쿠 이야기 (2011년)
- 나비처럼 (2012년 ~ 2015년)
- 고양이와 나의 금요일 (2013년 ~ 2015년)
- 숏 케이크 케이크 (2015년 ~ 2019년)
- 츠바키쵸 론리 플래닛 (2015년 ~ 2019년)
- 악마에게 시크 × 해크 (2016년 ~ 2017년)
- 아가씨는 신부님. (2007년 16호 ~ 2013년 7호)
- otona♥pink (2007년 13호 ~ 24호)
4. 관련 잡지
マ—ガレット일본어의 자매지로는 별책 마가렛, 디럭스 마가렛, 더 마가렛이 있다. 별책 마가렛과 디럭스 마가렛에 연재된 만화는 ''마가렛''과 동일한 마가렛 코믹스 임프린트로 출판된다. 더 마가렛은 2023년까지 분기별로 발행되었다.[9][10]
4. 1. 자매지
- 별책 마가렛 - 1964년에 창간된 소녀 만화 잡지이다.[27]
- 디럭스 마가렛 - 1967년에 창간된 소녀 만화 잡지이다.[27]
- 더 마가렛 - 1982년에 《별책 마가렛》과 공동 편집으로 창간된 소녀 만화 잡지이다.[27]
4. 2. 기타 관련 잡지
5. 영상화 작품
마가렛은 다양한 작품을 연재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 등으로 영상화되었다.
작품 | 방송 연도 | 애니메이션 제작 | 비고 |
---|---|---|---|
어택 No.1 | 1969년 - 1971년 | 도쿄 무비 | 총집편 극장판 있음 |
사루토비 엣짱 | 1971년 - 1972년 | 토에이、NET | 제1화 극장판 있음 |
에이스를 노려라! | 1973년 - 1974년(제1작) | 도쿄 무비 | 제1화 영화판 있음 |
1978년 - 1979년(제2작) | 리메이크 작품. 타이틀에 "신"이 붙음 | ||
베르사유의 장미 | 1979년 - 1980년 | 도쿄 무비 | |
페르시아가 좋아! | 1984년 - 1985년 | 스튜디오 피에로 | 타이틀은 "마법의 요정 페르샤" |
쇼와 바보 풀 종이 아카누케 제일! | 1985년 - 1986년 | 타츠노코 프로덕션 | |
빛의 전설 | 1986년 | 타츠노코 프로덕션 | |
오빠에게… | 1991년 - 1992년 | 테즈카 프로덕션 | |
꽃보다 남자 | 1996년 - 1997년 | 토에이 애니메이션 | |
작품 | 공개 연도 | 애니메이션 제작 | 비고 |
---|---|---|---|
에이스를 노려라! | 1979년 | 도쿄 무비 | 총집편, 텔레비전 시리즈의 극장판, 리메이크가 아님 |
베르사유의 장미 | 1990년[94](제1작) | 도쿄 무비 | 텔레비전 시리즈를 재편집한 작품으로 발표되었지만 리메이크판과의 구분을 위해 기재 타이틀에 "생명 있는 한 사랑해"가 붙음 |
2025년(제2작) | MAPPA | 리메이크판 | |
꽃보다 남자 | 1997년 | 토에이 애니메이션 | |
작품 | 발매 연도 | 애니메이션 제작 | 비고 |
---|---|---|---|
에이스를 노려라! | 1988년(제1기) | 도쿄 무비 | 극장판의 속편. 타이틀에 "2"가 붙음 |
1989년(제2기) | 타이틀에 "파이널 스테이지"가 붙음 | ||
1월에는 Christmas | 1991년 | 매직 버스 | |
절애-1989- | 1992년 | 매드하우스 | |
에도는 잠들지 않아! | 1993년 | 매드하우스 | |
BRONZE ZETSUAI since 1989 | 1996년 | Production I.G | |
작품 | 발매 연도 | 애니메이션 제작 | 비고 |
---|---|---|---|
절애-1989- | 1994년 | 매드하우스 | 타이틀은 "BRONZE KOJI NANJO cathexis" |
실사화된 작품에 대한 정보는 하위 섹션인 '실사화'에서 자세히 다룬다.
5. 1. 애니메이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TV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 OVA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명시되어 있지 않아, 해당 섹션은 원본 소스에 기반하여 작성하기 어렵다.5. 1. 1. 주요 애니메이션화 작품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요약에서 제시된 《어택 No.1》, 《베르사유의 장미》, 《꽃보다 남자》에 대한 정보가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원본 소스 내에서 애니메이션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도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마찬가지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주요 애니메이션화 작품'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원본 소스에 정보가 없으므로,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5. 2. 실사화
2011년 (제2작)2012년 - 2013년 (제2기)
원더헤드
R.I.S Enterprise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