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람풀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람풀속(Ammophila)은 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속으로, 해안 모래 언덕에서 주로 발견된다. 주요 종으로는 유럽 갯보리(A. arenaria)와 아메리카 갯보리(A. breviligulata)가 있으며, 이들은 모래를 결합하여 사구 형성에 기여한다. 마람풀은 해안 방어 시설 안정화에 유용하며, 과거에는 지붕 이엉, 연료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과도한 채취로 인해 사구가 붕괴되기도 했다. 마람풀은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잎을 말리고 큐티클을 형성하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9년 기재된 식물 -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과는 꿀풀목에 속하는 쌍떡잎식물 과로, 올리브, 물푸레나무, 개나리, 라일락, 재스민 등 다양한 속과 600~900종을 포함하며 목본 식물이 대부분이고 잎은 마주나는 형태를 가지며, 경제적 중요성과 관상용 가치를 지니지만 분류학적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1809년 기재된 식물 - 원지과
원지과는 좌우대칭형 꽃, 5장의 꽃받침과 꽃잎, 8개 내외의 수술을 가지며, 종자에 부속체가 있어 개미가 종자를 운반하는 콩목에 속하는 식물 과이다. - 겨이삭아족 - 산새풀속
산새풀속은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분포하며 갯조풀, 낭림새풀, 백산새풀, 산새풀, 실새풀, 야지피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한국에도 여러 자생종이 있는 식물 속이다. - 겨이삭아족 - 실새풀
실새풀은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숲속과 풀밭에서 자라며 8~9월에 원추꽃차례에 달리는 꽃이 피고 잎과 잎집에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마람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Ammophila (plant) |
명명자 | Host |
분포 | |
![]() |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군 | 속씨식물군 외떡잎식물군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포아풀아과 |
족 | 포아풀족 |
아족 | 겨이삭아족 |
속 | 마람풀속 |
하위 종 | |
종 | Ammophila arenaria (L.) Link (마람풀) Ammophila breviligulata Fernald A. champlainensis Seymour |
2. 하위 종
확실한 종은 마람풀(''A. arenaria'')과 A. breviligulata 두 종으로 보인다. 다른 두 종이 제안되었으며, 아래에서 논의한다.
- '''마람풀''' (''A. arenaria'') - 유럽 갯보리 또는 유럽 비치그래스. 유럽 (북쪽의 아이슬란드)과 북서 아프리카 해안이 원산지이다. 꽃차례는 최대 25cm 길이이며 넓다.
- ''A. arenaria'' subsp. ''australis'' (Mabille) M.Laínz
- ''A. baltica'' - 퍼플 마람. ''A. baltica''는 현재 ''A. arenaria''와 ''Calamagrostis epigejos'' 사이의 잡종으로 확인되었다. 이 잡종은 북유럽 일부 지역, 주로 발트해에서 잉글랜드 동부까지 나타나며, ''× Ammocalamagrostis baltica'' 또는 ''× Calammophila baltica''로 알려져 있다.
- '''A. breviligulata''' - 아메리카 갯보리 또는 아메리카 비치그래스.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 오대호 연안을 포함하여 원산지이다. 꽃차례는 최대 30cm 길이이며, ''A. arenaria''보다 좁다.
- ''A. champlainensis'' 또는 ''A. breviligulata'' subsp. ''champlainensis'' - 챔플레인 비치그래스. 온타리오호와 챔플레인호 연안이 원산지이다. 꽃차례는 최대 22cm 길이이며, ''A. breviligulata''와 매우 유사하여 여러 권위자들은 더 이상 별개의 종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3. 생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3. 1. 한국의 갯보리 생태
유럽에서 마람풀( Ammophila arenarialat )은 해안가에 분포하며, 특히 모래 언덕에서 우세하게 자라는 종이다.[1] 이 식물은 튼튼하고 섬유질이 많은 땅속줄기 체계를 통해 바람에 날려온 모래를 붙잡아 모래 언덕을 안정시키고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영국에서는 마람풀이 영국 국립 식생 분류 상 두 가지 주요 해안 식물 군락 유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 모래 이동이 활발한 초기 모래 언덕(SD6 군락)에서는 마람풀이 우점종으로 나타난다.[1] 그러나 모래 언덕이 점차 안정화되어 날아오는 모래의 양이 줄어드는 반고정 모래 언덕(SD7 군락)에서는 마람풀의 생육이 약해지고, 다른 종들, 특히 붉은개수염( Festuca rubralat )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1]
4. 이용
마람풀은 모래 위에서 자라며 모래를 붙잡는 능력이 뛰어나, 해안 사구나 인공적인 해안 방어 시설을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용성은 18세기 말부터 알려지기 시작했다.[12][13]
덴마크 유틀란트의 북해 연안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마람풀을 연료, 지붕 덮개, 가축 사료(서리가 내린 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했다. 하지만 지나친 이용은 모래 이동을 심화시켜 경작지 손실과 같은 문제를 일으켰다. 이에 덴마크 정부는 1779년과 1792년에 사구 안정화를 위한 법률을 제정하고, 국가가 지원하는 '사구 재배자' 제도를 도입하여 '사구 관리인'의 감독 아래 마람풀을 관리하도록 했다. 마람풀은 주로 습하고 바람이 잔잔한 날에 뿌리와 줄기를 잘라 맨 모래에 심는 방식으로 번식시킨다.
웨일스 앵글시의 뉴버러 마을 여성들은 한때 마람풀을 이용하여 매트, 건초 더미 덮개, 백악질 페인트를 칠하는 브러시 등을 만들기도 했다.
또한, 마람풀은 바다와 인접한 영국 제도의 여러 지역에서 지붕 이엉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17세기에는 지붕 이엉을 만들기 위해 마람풀을 과도하게 채취하면서 사구가 불안정해졌고, 이로 인해 많은 마을과 농지가 모래에 묻히는 피해가 발생했다. 결국 1695년, 스코틀랜드 의회는 법률을 통해 마람풀 채취를 금지했다.[14]
: ''바닷가에 있는 많은 토지, 초원 및 목초지가 인접한 모래 언덕에서 날아온 모래에 의해 이 왕국의 많은 지역에서 파괴되고 덮여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왕 폐하께서는 앞으로 모래 언덕에서 벤트, 빗자루 또는 주니퍼를 뽑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고 금합니다.''
4. 1. 한국의 갯보리 이용 및 보전
(해당 섹션 제목 '한국의 갯보리 이용 및 보전'에 부합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유럽 지역에서의 마람풀 이용 사례와 규제에 대한 내용입니다.)5. 적응
다른 건생식물과 마찬가지로, 마람풀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도록 주변 환경에 잘 적응했다. 증산작용을 통해 수분이 자연스럽게 손실되는 것은 매우 건조한 환경에서는 불리하며, 마람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특별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 물이 빠르게 빠져나가는 모래 환경과 증산작용 속도를 높이는 매우 바람이 많이 부는 환경에 대처해야 한다.
마람풀은 잎이 말려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잎 안쪽에 습한 공기를 가두어 수분 손실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 기공은 잎이 말리면서 생긴 굴곡 안쪽의 작은 구멍에 위치하여, 쉽게 열려 수분을 잃을 가능성을 줄인다. 접힌 잎 안쪽에는 털이 나 있어 공기의 흐름을 늦추거나 멈추게 하는데, 이는 다른 많은 건생식물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이다(하지만 일반적으로 식물 바깥쪽에 털이 있는 것과 달리, 마람풀은 잎 안쪽에도 털이 있다). 공기 흐름이 느려지면 수증기 손실량도 다시 감소한다. 또한, 잎 표면을 덮고 있는 왁스 성분의 큐티클 역시 수분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pecies in GRIN for genus
http://www.ars-grin.[...]
www.ars-grin.gov
2008-04-24
[2]
웹사이트
2008-09-19
[3]
서적
New Atlas of the British and Irish Flora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Comprehensive Report Species - Ammophila arenaria
http://www.natureser[...]
NatureServe
2008-09-28
[5]
웹사이트
"''Ammophila arenaria'' on the northwest coast of North America"
http://www.ou.edu/ca[...]
1998-02-12
[6]
간행물
Non-target effects of invasive species management: beachgrass, birds, and bulldozers in coastal dunes
https://esajournals.[...]
2010-11-24
[7]
웹사이트
Beach Grass Removal Project
https://www.parks.ca[...]
2024-11-07
[8]
웹사이트
Calamagrostis epigejos x Ammophila arenaria = X Calammophila baltica (Flüggé ex Schrad.) Brand
https://data.nbn.org[...]
National Biodiversity Network (UK)
[9]
웹사이트
2008-09-06
[10]
간행물
Taxonomic Recognition of Ammophila champlainensis and Morphological Variation in Northeastern North American Ammophila (Poaceae)
http://www.bioone.or[...]
2008-09-21
[11]
웹사이트
Champlain Beachgrass Guide
http://www.acris.nyn[...]
New York Natural Heritage Program
2008-09-27
[12]
문서
Efterretning om Sandvexterne og deres Anvendelse til at dæmpe Sandflugten paa Vesterkanten af Jylland
https://archive.org/[...]
1788
[13]
문서
Om Klitformationen og Klittens Behandling og Bestyrelse
https://books.google[...]
P.G. Philipsens Forlag
1861
[14]
서적
The Vegetation of Scotland
Oliver & Boyd
[15]
문서
The genera of grasses of the United States
1920
[16]
문서
Icones et Descriptiones Graminum Austriacorum
1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