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는 19세기 독일의 발생학자이자 동물학자이다. 그는 단치히에서 태어나 괴팅겐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자연사, 의학을 공부했으며, 그단스크에서 개업 의사, 시립 병원 주임 의사 등을 역임했다. 도르파트 대학교와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서 교수를 지냈으며,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조류와 포유류의 배아에서 인두궁을 발견하고, 라트케 낭을 발견하는 등 발생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갑각류와 연체동물을 연구하는 등 해양 동물 연구에도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인간과 동물의 교육 및 발달사에 관한 논문》(1832–1833), 《원구류(Amphioxus lanceolatus)의 구조에 대한 설명》(1841), 《척추동물의 발생 과정》(1861)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독일 동물학자 - 페터 지몬 팔라스
    페터 지몬 팔라스는 18세기 독일의 박물학자, 동물학자, 식물학자, 지리학자이자 탐험가로서 러시아 제국에서 자연사 표본을 수집하고 연구했으며, 그의 업적은 운석 연구와 동식물 명명에 기여했다.
  • 19세기 독일 동물학자 - 힌리히 리히텐슈타인
    힌리히 리히텐슈타인은 남아프리카 지역을 여행하고 베를린 대학교 동물학 교수와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 관장을 역임했으며, 베를린 동물원 설립에 기여하고 다양한 동식물 종을 기재한 독일의 의사이자 동물학자이다.
  • 타르투 대학교 교수 - 알라르 카리스
    에스토니아의 생물학자이자 정치인인 알라르 카리스는 2021년부터 에스토니아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며, 에스토니아 생명과학대학교와 타르투 대학교 총장, 감사원장, 국립 박물관 관장 등을 역임했다.
  • 타르투 대학교 교수 - 프리드리히 폰 슈트루베
    프리드리히 폰 슈트루베는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천문학자이자 측지학자로서, 쌍성 연구와 측지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풀코보 천문대 초대 대장을 역임했다.
  • 서프로이센 출신 - 막스 슈티르너
    막스 슈티르너는 1806년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이며,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 개인의 절대적 자유와 이기심을 강조하며 모든 외부 권위에 대한 비판을 펼쳐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서프로이센 출신 - 이다 지크만
    이다 지크만은 베를린 장벽 건설 당시 동서 베를린 경계에 위치한 자신의 집에서 탈출하려다 사망한 간호사로,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최초의 사망자로 기록되었으며, 그녀의 죽음은 분단의 비극성을 상징한다.
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
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
이름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
원어 이름Martin Heinrich Rathke
출생1793년 10월 25일
출생지단치히
사망1860년 9월 3일
사망 장소쾨니히스베르크
분야발생학
해부학

2. 생애

폴란드 그단스크(단치히)의 조선업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괴팅겐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에서 자연사, 의학을 공부했다. 그단스크로 돌아와 개업 의사, 그단스크 시립 병원의 주임 의사, 지역 의사(Kreisphysicus)를 역임했다. 1829년부터 1835년까지 도르파트 대학교에서 생리학, 병리학 교수를 역임했다.

1835년,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의 뒤를 이어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현재 칼리닌그라드 대학교)의 해부학과 동물학 교수 자리에 올랐다. 1852년부터 1853년까지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해부학 연구소 설립 및 의학 교육 분야에서 Physikum (교양 시험) 개혁 등을 실시했다. 1855년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고, 1858년 바이에른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조류포유류의 배아에서 인두궁을 발견했으며, 라트케 낭도 발견했다. 해양 동물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갑각류와 연체 동물을 연구했다.

아들 베른하르트 라트케(Bernhard Rathke)는 화학자였다.

3. 업적

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는 발생학, 해양 동물 연구 및 저술 활동으로 업적을 남겼다.

분야내용
발생학조류포유류의 배아에서 인두궁을 발견했으며, 라트케 낭을 발견했다.
해양 동물해양 동물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갑각류연체동물을 연구했다.[1]
저술Leipzig에서 출판된 사람과 동물의 생성 및 발생 과정에 대한 고찰 (Abhandlungen zur Bildungs- und Entwicklungs-Geschichte der Menschen und der Thierede, 1832-1833)
Berlin에서 출판된 "뇌하수체의 형성에 대하여"(Ueber die Entstehung der Glandula Pituitaria, 1838)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출판된 Cyclostomasde강에 속하는 어류인 Amphioxus lanceolatusde의 구조에 대한 논평 (Bemerkungen über den Bau des Amphioxus lanceolatus, eines Fisches aus der Ordnung der Cyclostomasde, 1841)
비교발생학 분야의 명저 척추 동물의 발생사 (Entwicklungsgeschichte der Wirbeltierede). Leipzig, 1861. (라트케 사후 아들의 요청으로 알베르트 폰 쾰리커가 출판)[13]


3. 1. 발생학 연구

조류포유류의 배아에서 인두궁을 발견했으며, 라트케 낭도 발견했다. 해양 동물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갑각류연체동물을 연구했다.

3. 2. 해양 동물 연구

라트케 낭을 발견하고, 조류포유류의 배아에서 인두궁을 발견했다. 해양 동물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갑각류와 연체 동물을 연구했다.[1]

3. 3. 저술 활동


  • Abhandlungen zur Bildungs- und Entwicklungs-Geschichte der Menschen und der Thierede. Leipzig, F. C. W. Vogel, 1832-1833. (''사람과 동물의 생성 및 발생 과정에 대한 고찰'')
  • "뇌하수체의 형성에 대하여(Ueber die Entstehung der Glandula Pituitaria)". 《Archiv für Anatomie, Physiologie und wissenschaftliche Medicin》, Berlin, 1838: 482–485.
  • Bemerkungen über den Bau des Amphioxus lanceolatus, eines Fisches aus der Ordnung der Cyclostomasde. Königsberg, 1841. (''Cyclostomasde강에 속하는 어류인 Amphioxus lanceolatusde의 구조에 대한 논평'')
  • Entwicklungsgeschichte der Wirbeltierede. Leipzig, 1861. (비교발생학 분야의 명저로 라트케 사후에 아들의 요청으로 알베르트 폰 쾰리커가 출판하였다.)[13]
  • ''인간과 동물의 교육 및 발달사에 관한 논문''. 2권. 라이프치히, F. C. W. 보겔, 1832–1833.
  • "뇌하수체의 기원에 관하여". ''해부학, 생리학 및 과학 의학 기록'', 베를린, 1838: 482–485.
  • ''원구류(Amphioxus lanceolatusde)의 구조에 대한 설명, Cyclostomasde의 한 종류의 물고기''. 쾨니히스베르크, 1841.
  • ''척추 동물의 발생사''. 라이프치히 1861. (라트케의 아들의 요청으로 알베르트 폰 쾰리커가 사후에 출판한 비교 발생학 분야의 매우 호평받는 저서.)
  • 두 개의 산, 셀레늄과 황을 함께 함유하는 산에 관하여 (논문, 1865)
  • 셀레늄의 역사에 대한 기여 (하빌리타치온 논문, 1869)

4. 저술


  • 《사람과 동물의 생성 및 발생 과정에 대한 고찰(Abhandlungen zur Bildungs- und Entwicklungs-Geschichte der Menschen und der Thiere)》 (라이프치히 F. C. W. Vogel, 1832-1833)
  • 〈뇌하수체의 형성에 대하여(Ueber die Entstehung der Glandula Pituitaria)〉 (《Archiv für Anatomie, Physiologie und wissenschaftliche Medicin》, 베를린, 1838: 482–485)
  • 《''Cyclostomas''강에 속하는 어류인 ''Amphioxus lanceolatus''의 구조에 대한 논평(Bemerkungen über den Bau des Amphioxus lanceolatus, eines Fisches aus der Ordnung der Cyclostomas)》 (쾨니히스베르크, 1841)
  • 《척추동물의 발생 과정(Entwicklungsgeschichte der Wirbeltiere)》 (Leipzig, 1861, 비교발생학 분야의 명저로 라트케 사후에 아들의 요청으로 알베르트 폰 쾰리커가 출판)[13]
  • 《인간과 동물의 교육 및 발달사에 관한 논문》 (2권, 라이프치히, F. C. W. 보겔, 1832–1833)
  • 〈뇌하수체의 기원에 관하여〉 (《해부학, 생리학 및 과학 의학 기록》, 베를린, 1838: 482–485)
  • 《원구류(Amphioxus lanceolatus)의 구조에 대한 설명, Cyclostomas의 한 종류의 물고기》 (쾨니히스베르크, 1841)
  • 《척추 동물의 발생사》 (라이프치히 1861, 라트케의 아들의 요청으로 알베르트 폰 쾰리커가 사후에 출판한 비교 발생학 분야의 매우 호평받는 저서)
  • 〈두 개의 산, 셀레늄과 황을 함께 함유하는 산에 관하여〉 (논문, 1865)
  • 〈셀레늄의 역사에 대한 기여〉 (하빌리타치온 논문, 1869)

참조

[1] 웹사이트 Martin Heinrich Rathke http://www.whonamedi[...]
[2] 웹사이트 Rathke, Martin Heinrich http://www.deutsche-[...]
[3] 웹사이트 ADB:Rathke, Heinrich http://de.wikisource[...]
[4] 웹사이트 Medical Dictionary http://medical-dicti[...] Martin Heinrich 1793-1860
[5] 웹사이트 Rathke's pouch http://www.whonamedi[...]
[6] 웹사이트 Bibliography of Rathke http://www.whonamedi[...]
[7] 웹사이트 Martin Heinrich Rathke http://www.whonamedi[...]
[8] 웹사이트 Rathke, Martin Heinrich http://www.deutsche-[...]
[9] 웹사이트 ADB:Rathke, Heinrich http://de.wikisource[...]
[10] 웹사이트 Medical Dictionary http://medical-dicti[...] Martin Heinrich 1793-1860
[11] 웹사이트 Rathke's pouch http://www.whonamedi[...]
[12] 웹사이트 Martin Heinrich Rathke http://www.whonamedi[...]
[13] 웹사이트 Bibliography of Rathke http://www.whoname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