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몬(Melicoccus bijugatus)은 남아메리카 북부가 원산지인 나무로, 열매는 식용으로 사용된다. 멜리코쿠스 속에 속하며, 겹잎과 녹색 핵과 열매가 특징이다. 열매는 달콤 쌉쌀한 맛이 나며, 과육은 젤리 같은 식감을 가진다. 신선한 과일로 섭취하거나 통조림, 음료 제조에 사용되며, 씨앗은 구워서 먹거나 음료로 만들기도 한다. 목재는 건설, 가구 제작에 사용되며, 조경수로도 심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0년 기재된 식물 - 노린재나무속
노린재나무속은 노린재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작은 나무를 포함하는 속으로, 한국 자생종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일부는 관상용, 목재, 약재로 활용된다. - 무환자나무아과 - 과라나
과라나는 브라질 아마존 지역의 무환자나무과 식물로, 씨앗에 카페인과 크산틴 알칼로이드가 풍부하여 각성 및 강장 효과가 있어 음료 원료로 사용되며, 아마존 원주민들은 전통적으로 의약 목적으로 사용했다. - 무환자나무아과 - 리치 (식물)
리치는 중국 남부가 원산지인 열대 및 아열대 과일로, 높은 당도와 독특한 향으로 귀하게 여겨졌으며, 현재는 여러 지역에서 재배되고 다양한 형태로 섭취되지만, 덜 익은 열매에는 저혈당증을 유발하는 성분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 콜롬비아의 식물상 - 리마콩
리마콩은 아메리카 대륙 원산의 콩과 식물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 재배화되었으며, 크기와 색깔에 따라 리마콩과 버터빈으로 나뉘고,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높은 영양가를 지니지만 생으로 섭취 시 독성이 있어 익혀 먹어야 한다. - 콜롬비아의 식물상 - 아세롤라
아세롤라는 말피기아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붉은색 체리와 유사한 과실을 식용하며 카리브해, 남아메리카 북부,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브라질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마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분류 정보 |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 시스템 | IUCN3.1 |
상태 참조 | IUCN SSC 전지구 나무 전문가 그룹. 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BGCI) 협업, 2020 |
속 | 멜리코쿠스속 |
종 | 마몬 |
학명 | Melicoccus bijugatus Jacq. |
이명 | Melicocca bijuga L. Melicocca carpopodea Juss. |
일반 정보 | |
스페인어 이름 | mamón |
라틴어 이름 | Melicoccus bijugatus |
참고 문헌 | The Encyclopedia of Fruit and Nuts Exotic Fruits and Nuts of the New World |
2. 분류
Melicoccus영어 속은 1756년 아일랜드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패트릭 브라운이 처음 기술했다. 이 설명은 푸에르토리코에서 재배된 ''M. bijugatus'' 나무를 기반으로 했다. 1760년, 니콜라우스 요제프 폰 자킨은 브라운의 속에서 첫 번째 종을 기술했으며, 그 이름을 ''M. bijugatus''로 명명했다. 1762년 칼 폰 린네는 ''Melicocca bijuga''라는 이름의 철자 변형을 사용했다. 그 후 두 세기 동안 린네의 철자 변형이 거의 모든 간행물에 사용되었다. 1994년에 Melicoccus영어 대신 ''Melicocca''를 보존하자는 제안이 있었지만, 이 제안은 거부되었고, 이름의 원래 버전이 복원되었다.[2]
마몬은 남아메리카 북부가 원산지이며,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그리고 구세계 열대 지역의 해안 및 건조림에서 귀화되었다.[2] 콜럼버스 이전 시대에 카리브해로 유입된 것으로 여겨지며 인도에서도 발견된다.[6] 또한 아시아, 아프리카의 열대 지방에까지 퍼져있다.[11]
마몬은 높이 25m까지 자라는 나무로, 겹잎은 어긋나며 4개의 타원형 소엽으로 구성된다. 잎은 길이 5cm에서 12.5cm, 폭 2.5cm에서 5cm이다. 보통 암수딴그루(자웅이주)이지만, 간혹 자가수분하는 나무도 있다. 꽃은 4개의 꽃잎과 8개의 수술을 가진다.
1888년 독일의 분류학자 루트비히 라들코퍼는 Melicoccus영어를 다른 8개의 속과 함께 Melicocceae 족에 배치했다. 페드로 아세베도-로드리게스는 족의 신열대 구성원에 대한 그의 모노그래프(''Talisia''와 Melicoccus영어')에서 ''Talisia''와 Melicoccus영어가 단일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다른 (구세계) 속들은 아마도 같은 계통에 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제안했다.[2]
종명 ''bijugatus''는 2쌍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쌍엽을 의미한다.[2]
3. 분포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케네파''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폰세 지방에서 많이 재배된다. 폰세에서는 매년 퀘네파 전국 축제가 열린다.[7] 케네파는 따뜻한 여름에 익는다.[8][9]
4. 특징
4. 1. 열매
열매는 둥근 핵과로, 지름이 약 2cm에서 4cm이며 얇고 부서지기 쉬운 녹색 껍질을 가지고 있다. 열매의 대부분은 식용 가능한 오렌지색의 즙이 많고 젤라틴 같은 과육으로 둘러싸인 하나(또는 드물게 두 개)의 흰색 씨앗으로 구성된다. 푸에르토리코와 플로리다에서는 과육 대 씨앗의 비율이 더 유리한 품종을 생산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익으면 과일은 달콤 쌉쌀하거나 라임과 같은 맛을 낸다. 씨앗은 미끄러우므로 어린아이들에게 질식 위험이 있다.
5. 이용
마몬은 주로 신선한 과일로 섭취하거나 통조림으로 가공하며, 청량음료 및 알코올 음료 제조에도 사용된다. 과육을 생식하는 외에 잼, 필링과 같은 가공을 하거나 주스로 만들기도 한다.[13] 푸에르토리코에서는 럼주를 베이스로 섞어 비리(Bilíes)라고 불리는 비에케스 섬 발상의 알코올 음료를 만들고 있다.[11][17]
씨앗은 구워서 캐슈넛처럼 먹을 수 있다. 오리노코 강 유역의 원주민들은 씨앗을 카사바 대신 섭취하며, 니카라과에서는 갈아서 오르차타를 만든다.
마몬 나무의 목재는 옅은 색을 띠고 밀도가 높으며, 고운 결을 가지고 있어 건설, 목공, 고급 가구 제작에 사용되지만 내구성이 약해 실내에서만 사용한다.[2] 길가에 조경수로 심기도 한다.[2]
5. 1. 재배
열대 원산의 식물이므로 고온을 선호하며, 영하에서는 잎이 손상된다. 하지만 남아메리카에서는 해발 1000m의 고지대에도 분포하며, 영하 부근의 기온도 견디는 등 낮은 기온에도 적응력이 뛰어나고, 가뭄에도 강해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도 잘 자란다.[13]5. 2. 영양 성분
마몬 100g당 주요 영양 성분은 다음과 같다.[13]성분 | 양 | 단위 |
---|---|---|
생리적 열량 | 58.11 - 73 | 칼로리 |
수분 | 68.8 - 82.5 | g |
단백질 | 0.5 - 1 | g |
지방 | 0.08 - 0.2 | g |
탄수화물 | 13.5 - 19.2 | g |
식이 섬유 | 0.07 - 2.60 | g |
회분 | 0.34 - 0.74 | g |
칼슘 | 3.4 - 15 | mg |
인 | 9.8 - 23.9 | mg |
철분 | 0.47 - 1.19 | mg |
카로틴 | 0.02 - 0.44 | mg |
티아민 | 0.03 - 0.21 | mg |
리보플라빈 | 0.01 - 0.2 | mg |
니아신 | 0.15 - 0.9 | mg |
아스코르브산 | 0.8 - 10 | mg |
탄닌 | 1.88 | g |
트립토판 | 14 | mg |
메티오닌 | 0 | mg |
리신 | 17 | mg |
6. 대중문화
퀘네파 열매는 스페인 카리브해 지역의 대중문화에서 자주 언급되며, 푸에르토리코 래퍼 르네 페레스 (레지덴테)의 "Suave"와 같은 노래에도 등장한다.
참조
[1]
간행물
"''Melicoccus bijugatus''"
2020
[2]
문서
"Hortus third: A concise dictionary of plants cultiv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Macmillan, New York
1976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Fruit and Nuts
https://books.google[...]
2015-07-13
[4]
서적
Exotic Fruits and Nuts of the New World
https://books.google[...]
2015-07-13
[5]
논문
"Melicocceae (Sapindaceae): ''Melicoccus'' and ''Talisia''"
[6]
서적
"Melicoccus bijugatus Jacq. Quenepa. Sapindaceae. Soapberry family."
http://www.fs.fed.us[...]
USDA Forest Service, South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Institute of Tropical Forestry SO-ITF-SM; 48
[7]
뉴스
"Celebra Ponce a su mimada quenepa.'"
http://www.periodico[...]
La Perla del Sur. Ponce, Puerto Rico
2009-08-12
[8]
뉴스
"Entre mañas e infortunios para un dulce desenlace.'"
http://www.periodico[...]
La Perla del Sur. Ponce, Puerto Rico
2017-07-19
[9]
뉴스
"Rinden homenaje a la quenepa en Mercado Urbano de Ponce: La quenepa, un popular fruto de la Región Sur, será la protagonista en esta edición.'"
http://www.periodico[...]
La Perla del Sur. Ponce, Puerto Rico
2017-07-21
[10]
웹사이트
SUAVE – Calle 13
https://www.letras.c[...]
2006-08-31
[11]
논문
"Melicocceae (Sapindaceae): ''Melicoccus'' and ''Talisia''"
https://www.research[...]
[12]
서적
熱帯植物要覧
養賢堂
[13]
서적
Fruits of warm climates
https://www.hort.pur[...]
Creative Resource Systems
[14]
서적
"Melicoccus bijugatus Jacq. Quenepa. Sapindaceae. Soapberry family."
http://www.fs.fed.us[...]
USDA Forest Service, South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Institute of Tropical Forestry SO-ITF-SM; 48
[15]
뉴스
"Celebra Ponce a su mimada quenepa.'"
http://www.periodico[...]
La Perla del Sur. Ponce, Puerto Rico
2009-08-12
[16]
웹사이트
DATOS BASICOS
http://www.visitponc[...]
ポンセ
[17]
웹사이트
Friday Happy Hour: Make Your Own Bilí Quenepa-Infused Rum
http://www.uncommonc[...]
Uncommon Caribbean
2012-11-05
[18]
문서
Enumeratio Systematica Plantarum, quas in insulis Caribaeis
17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