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수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마수디는 10세기 아랍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로, 생애와 여행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바그다드에서 태어났으며,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동료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915년부터 사망 직전까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페르시아, 아라비아, 시리아, 이집트, 인도, 동아프리카 등지를 여행하며 다양한 지식인들과 교류했다. 그는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특히 『황금 목장과 보석 광산』은 그의 대표작으로, 이슬람 세계 외의 다양한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담고 있다. 그의 저술은 당시 이슬람 세계 외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후대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이라크 사람 -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은 10세기 초 압바스 왕조의 사절단 서기관으로서 볼가 불가르로 파견되어 이슬람 율법을 전파하고 다양한 민족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바이킹 장례식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포함한 그의 기록은 당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이다. - 이라크의 역사가 - 이븐 할리칸
이븐 할리칸은 에르빌 출신의 법학자, 신학자, 문법학자로, 여러 도시에서 학업을 이어가며 이집트와 다마스쿠스에서 판사직을 역임했고, 역사적, 문학적 가치를 지닌 《저명한 인물들의 사망과 관련된 보고서와 시대의 소식》을 저술했다.
마수디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이슬람 황금 시대 (중기 아바스 시대) |
이름 | 알 마수디 |
로마자 표기 | Abū al-Ḥasan ʿAlī ibn al-Ḥusayn ibn ʿAlī al-Masʿūdī |
아랍어 표기 | أبو الحسن علي بن الحسين بن علي المسعودي |
출생 | 282–283 AH (896 AD), 바그다드, 아바스 칼리파국 |
사망 | 주마다 알타니, 345 AH (956년 9월), 카이로, 이집트 |
주요 관심사 | 역사, 지리학, 법학 |
주요 저서 | ("황금 초원과 보석 광산") At-Tanbih wa al-'Ashraf ("훈계와 개정") |
영향 | 알샤피이 |
2. 생애와 여행
알 마수디는 적어도 915년부터 생의 거의 마지막까지 대부분의 시간을 여행으로 보냈다.[7] 그는 페르시아의 대부분 지역, 아르메니아, 조지아 및 카스피해 주변 지역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시리아, 이집트까지 여행했다. 인더스 계곡과 인도 서부 해안을 포함한 다른 지역도 여행했으며, 동아프리카를 여러 번 항해했다.[7] 스리랑카와 중국에도 갔을 가능성이 있으며, 페르시아 만 해안에서 아부 자이드 알 시라피를 만나 중국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8] 시리아에서는 비잔틴 제독이자 이슬람으로 개종한 레오 오브 트리폴리를 만나 비잔틴에 대한 정보를 얻었으며, 이집트에서는 안달루시아의 주교가 쓴 클로비스 1세부터 루이 4세까지의 프랑크 왕 목록 사본을 발견했다.
마수디가 이슬람 세계 안팎을 광범위하게 여행할 수 있었던 방법과 자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많은 여행자처럼 그가 무역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8]
마수디는 ''황금의 초원'' 마지막 부분에서 "우리가 여기서 수집한 정보는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오랜 연구와 고통스러운 여행의 결과이며, 이슬람 지역 너머에 있는 다양한 국가들의 결과이다."라고 썼다. 그는 "이 작품의 저자는 모든 종류와 색깔의 진주를 발견하고 그것들을 목걸이로 모아 소유자가 매우 조심스럽게 지키는 장식으로 만드는 사람에 비유한다. 나의 목표는 많은 민족들의 땅과 역사를 추적하는 것이었고, 다른 목표는 없었다."라고 덧붙였다.[9]
동시대 역사가들과 달리 마수디는 실제로 각지를 방문하여 정보를 수집했다는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마수디의 행적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
915년경 ~ 917년 | 이란 (니샤푸르, 이스타흐르 등), 신드, 서 데칸 |
917년 | 이라크로 돌아옴 |
919년경 | 예멘, 오만 (이때 페르시아 만의 실라프 출신 상인 아부 자이드 알 시라피로부터 중국에 대한 정보를 얻음) |
920년경 | 바스라에 머물며 Abu Khalifa al-Jumahi에게서 배움 |
921년 | 시리아, 동로마와 이슬람의 경계 부근에서 정보 수집, 이슬람으로 개종한 동로마 관료 트리폴리의 레오와 만남 |
926년 | 팔레스타인 (예루살렘, 나사렛)에서 유대인 토라 학자 Abu Kathir Yahya ibn Zakariya에게서 배움 |
927년경 | 팔미라, 라카, 하란 (아브라함 탄생지로, 마문 치하의 번역 사업에 종사한 그리스 과학의 번역자 공급지 중 하나이며, 알렉산드리아의 의학자가 우마이야 왕조의 우마르 2세에 의해 이주된 땅이라고 함) |
930년대 | 카스피해 연안 (코카서스, 하자르, 슬라브, 불가르에 관한 정보 수집) |
그 후 | 이집트와 시리아에 거주 |
2. 1. 출생과 가문
마수디는 본인이 바그다드에서 태어났으며, 예언자 무함마드의 동료(사하바)였던 압둘라 이븐 마수드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이전 행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마수디는 여행을 다니며 많은 지식인, 학자들과 교류했다고 하나, 그 자신에 관한 것은 그의 저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1]2. 2. 지적 환경
마수디는 책을 쉽게 구하고 접할 수 있었던 시대에 살았다. 바그다드와 같은 주요 도시에는 대규모 공공 도서관이 있었고, 마수디의 친구인 아스-술리와 같은 많은 개인들은 종종 수천 권의 장서를 소장한 개인 도서관을 가지고 있었다. 탈라스 전투 이후 아바스 왕조 초기에 중국 포로에 의해 제지술이 이슬람 세계로 전해졌으며 대부분의 대규모 마을과 도시에 제지 공장이 있었다. 이러한 저렴한 필기 재료의 이용은 활발한 지적 생활에 기여했다.[11]마수디는 종종 다른 저서를 언급하며, 독자들이 이를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그리스 철학, 페르시아 문학, 인도 수학의 풍부한 문화 유산을 지닌 이슬람 세계의 높은 문해력과 활력은 당시 유럽과 대조를 이루었다. 마수디 시대의 이슬람 아바스 사회는 지식을 추구하고, 예리한 분석적 태도를 보였으며, 학문적인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고도로 문명화된 분위기였다.[12]
마수디는 알-자자즈, 이븐 두라이드, 니프타와이 및 이븐 안바리와 같은 저명한 지식인들의 제자 또는 젊은 동료였다. 그는 알레포에서 만났을 가능성이 있는 카샤짐을 포함한 유명한 시인들과도 친분이 있었다. 그는 알-킨디와 알-라지, 아리스토텔레스의 알-파라비 사상, 플라톤의 저작을 포함한 철학에 정통했다. 마수디가 알-라지와 알-파라비를 만났을 가능성은 있지만, 그가 높이 평가했던 알-파라비의 제자 야흐야 이븐 아디와의 만남만이 기록되어 있다.
그는 갈레노스의 의학,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마리누스의 지리학, 이슬람 지리학자 및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익숙했다.
마수디는 이성과 계시를 비판하는 유명한 발언을 남기기도 했다.
그는 영향력 있는 법학자들과의 만남을 언급하고, 다른 사람들의 연구를 인용하며, 법학 교육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알-수브키에 따르면, 마수디는 샤피 학파의 선두적인 학자인 이븐 수라이지의 제자였다. 알-수브키는 이븐 수라이지의 강의에 대한 마수디의 노트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마수디는 또한 이집트에 머무는 동안 샤피 학파 사람들을 만났다. 그는 바그다드와 알레포에서 이븐 자비르 및 니프타와이와 같은 자히리파를 만났다. 현대 학문은 마수디가 후자 학파의 추종자였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13]
마수디는 무타질라파의 지도자들을 알고 있었고 이전의 무타질라파 문헌에도 정통했다. 그의 추론, 문구, 그리고 무타질라파에 대한 높은 존경심은 그가 그들 중 한 명임을 시사한다.
마수디는 이슬람이 나중에 퍼져나간 땅을 점유했던 고대 문명의 역사를 포함했다. 그는 고대 아시리아인, 바빌로니아인, 이집트인, 페르시아인 등을 언급한다. 그는 또한 아시리아인(전설적인 여왕 세미라미스)과 아르메니아인(아름다운 아라) 사이의 전쟁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라르투 왕국을 (간접적으로나마) 언급한 유일한 아랍 역사가이다.[14]
마수디는 고대 바빌론이 페르시아에 미친 영향을 알고 있었다. 그는 이븐 알-무카파와 같은 학자들이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아랍어로 번역한 풍부한 자료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는 여행을 통해 페르시아 학자들과 조로아스터교 사제들과 개인적으로 상담했다. 따라서 그는 사실적이고 신화적인 많은 자료에 접근할 수 있었다. 다른 아랍 역사가들처럼 그는 아케메네스 왕조에 대해 불분명했지만, 쿠루시 (키루스 대왕)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다. 그는 보다 최근의 왕조에 대해서는 훨씬 더 명확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아르다시르 사이의 시간에 대한 그의 추정은 알-타바리의 그것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의 광범위한 관심사에는 그리스인과 로마인도 포함되었다. 다시 다른 아랍 역사가들처럼,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배출한 고대 마케도니아 왕조 이전의 그리스에 대해 불분명했다. 그는 이전에 왕들이 있었지만, 그들의 이름과 통치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는 또한 아테네 민주주의 제도와 같은 그리스 정치 생활의 추가적인 측면에 익숙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카이사르 이전의 로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그는 로마의 건국 신화인 로물루스와 레무스에 대해 언급한 가장 초기의 현존하는 아랍 작가이다.
마수디의 견해로는 그리스인들의 가장 큰 공헌은 철학이었다. 그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이후의 그리스 철학의 발전에 대해 알고 있었다.
그는 또한 아라비아 반도의 이전 사건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아라비아가 길고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했다.
2. 3. 광범위한 여행
알 마수디의 여행은 그의 삶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적어도 915년부터 생의 거의 마지막까지 이어졌다.[7] 그의 여행은 페르시아의 대부분 지역, 아르메니아, 조지아 및 카스피해의 다른 지역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시리아 및 이집트까지 이어졌다. 그는 또한 인더스 계곡과 인도의 서부 해안을 포함한 다른 지역을 여행했으며, 동아프리카를 여러 번 항해했다.[7]스리랑카와 중국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는 페르시아 만 해안에서 아부 자이드 알 시라피를 만나 그로부터 중국에 대한 정보를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8] 그는 시리아에서 비잔틴 제독이자 이슬람으로 개종한 레오 오브 트리폴리를 만나 비잔틴에 대한 정보를 얻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곳과 이집트에서 그의 마지막 해를 보냈다. 이집트에서 그는 안달루시아의 주교가 쓴 클로비스 1세부터 루이 4세까지의 프랑크 왕 목록 사본을 발견했다.
이슬람 세계 내외에서 광범위한 여행을 위한 그의 수단과 자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많은 여행자들처럼 그가 무역에 관여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8]
알 마수디는 ''황금의 초원''의 마지막 부분에서 "우리가 여기서 수집한 정보는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오랜 연구와 고통스러운 여행의 결과이며, 이슬람 지역 너머에 있는 다양한 국가들의 결과이다."라고 썼다. 그는 "이 작품의 저자는 모든 종류와 색깔의 진주를 발견하고 그것들을 목걸이로 모아 소유자가 매우 조심스럽게 지키는 장식으로 만드는 사람에 비유한다. 나의 목표는 많은 민족들의 땅과 역사를 추적하는 것이었고, 다른 목표는 없었다."라고 덧붙였다.[9]
실제로 각지에 방문하여 정보를 수집한 점이 동시대 역사가들과 크게 다른 그의 독자적인 특징이다.
마수디의 행적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
915년경 ~ 917년 | 이란 (니샤푸르, 이스타흐르 등), 신드, 서 데칸 |
917년 | 이라크로 돌아옴 |
919년경 | 예멘, 오만 (이때 페르시아 만의 실라프 출신 상인 아부 자이드 알 시라피로부터 중국에 대한 정보를 얻음) |
920년경 | 바스라에 머물며 Abu Khalifa al-Jumahi에게서 배움 |
921년 | 시리아, 동로마와 이슬람의 경계 부근에서 정보 수집, 이슬람으로 개종한 동로마 관료 트리폴리의 레오와 만남 |
926년 | 팔레스타인 (예루살렘, 나사렛)에서 유대인 토라 학자 Abu Kathir Yahya ibn Zakariya에게서 배움 |
927년경 | 팔미라, 라카, 하란 (아브라함 탄생지로, 마문 치하의 번역 사업에 종사한 그리스 과학의 번역자 공급지 중 하나이며, 알렉산드리아의 의학자가 우마이야 왕조의 우마르 2세에 의해 이주된 땅이라고 함) |
930년대 | 카스피해 연안 (코카서스, 하자르, 슬라브, 불가르에 관한 정보 수집) |
그 후 | 이집트와 시리아에 거주 |
마수디는 20권 이상의 저서를 남겼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 유실되었다. 현존하는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3. 주요 저서
3. 1. 시대의 정보 (Akhbār al-Zamān)
마수디의 가장 큰 저작은 30권에 달하는 『시대의 정보(Akhbār al-Zamān)』로, 백과사전적인 세계사이자 정치사뿐만 아니라 인류의 지식과 행동의 기원을 기록하고 있다. 사본 중 하나는 빈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20]
3. 2. 중간의 서 (Kitāb al-Awsaṭ)
마수디는 『시대의 정보(Akhbār al-Zamān)』의 보충으로 여겨지는 연대기인 『중간의 서(Kitāb al-Awsaṭ)』를 저술했으며, 이 책의 사본은 옥스퍼드에 보관되어 있다.[20]
3. 3. 황금 목장과 보석 광산 (Murūj al-Dhahab wa Maʿādin al-Jawāhir)
마수디의 대표작인 '''황금 목장과 보석 광산'''(مروج الذهب ومعادن الجواهر|Murūj al-Dhahab wa Maʿādin al-Jawāhirar)은 947년에 완성되어 956년에 수정된 600페이지 분량의 저작이다.[20] 14세기의 아랍 역사 철학자 이븐 할둔은 이 책으로 인해 마수디를 "역사가의 이맘"이라고 표현했다.
마수디는 『시대의 정보(Akhbār al-Zamān)』와 『중간의 서(Kitāb al-Awsaṭ)』를 합쳐서 이 책을 저술했다. 이 책은 이슬람 이전과 이후로 나뉘어 마수디 시대까지 연대기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수디는 바그다드 출신으로, 무함마드의 동료(사하바)였던 인물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여행을 통해 많은 지식인, 학자들과 교류했으나, 그에 관한 정보는 주로 그의 저술에 의존한다.
마수디의 저서를 영어로 번역한 책의 서문에는, 마수디가 페르시아만 연안에서 만난 아부 자이드 알 시라피에게 중국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시리아에서 동로마 제국의 제독 출신 이슬람 개종자인 트리폴리의 레오를 만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그는 사망 전 몇 년간 시리아와 이집트에서 생활하며, 이집트에서 안달루시아 사제가 기록한 클로비스부터 루이 4세까지 프랑크 왕국 왕 목록을 입수했다.
에 따르면, 956년에 개정된 『황금 목장』 판본은 현존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마수디는 『충고와 감독의 서』에서 『황금 목장』 개정판이 총 365장이라고 밝혔다.
3. 3. 1. 내용 구성
마수디는 20권 이상의 저서를 남겼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은 유실되었다. 그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마수디는 이슬람 외에도 힌두교,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중국의 지배자, 황소의 난, 중국인의 습관 등을 기록하고, 클로비스 이후 프랑크 지배자 목록을 보유하고, 파리가 프랑크인의 수도임을 아는 등 이슬람권 밖의 지식도 풍부했다.
서구에서는 『황금 목장과 보석 광산』이 1861년부터 1877년까지 프랑스에서 9권으로 처음 완역되었다. 1966년부터 1974년 사이 베이루트에서 더 정확한 아랍어판(5권: 아바스 시대)이 출판되었고, 프랑스어판도 개정되었다. 1989년에는 베이루트판을 바탕으로 아바스 시대를 다룬 영어판(전체의 3/4 번역)이 출판되었다.
3. 3. 2. 특징
마수디는 20권 이상의 저서를 남겼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은 유실되었다. 그의 가장 큰 저작은 30권 분량의 『시대의 정보(Akhbār al-Zamān)』로, 백과사전적인 세계사이다. 이 책은 정치사뿐만 아니라 인류의 지식과 행동의 기원을 담고 있으며, 사본 중 하나는 빈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마수디는 『시대의 정보(Akhbār al-Zamān)』의 보충 성격으로 연대기인 『중간의 서(Kitāb al-Awsaṭ)』를 저술했는데, 이 책의 사본은 옥스퍼드에 있다.
이 두 저작을 합쳐서 '''황금 목장과 보석 광산''' (مروج الذهب ومعادن الجواهر|Murūj al-Dhahab wa Maʿādin al-Jawāhirar)을 저술했다. 947년에 132장으로 완성하고 956년에 365장까지 증보한 이 저작은 600페이지에 달한다. 이 책은 마수디의 명성을 높였으며, 14세기 아랍 역사 철학자 이븐 할둔은 마수디를 "역사가의 이맘"이라고 칭송했다. 이 책은 이슬람 이전과 이후 시대를 마수디 시대까지 연대기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는 또한 『충고와 감독의 서(al-Tanbīh wa al-Ishrāf)』라는 소저(『황금 목장』의 1/5)를 남겼는데, 이를 통해 마수디가 만년까지 자신의 저서를 개정했음을 알 수 있다.
마수디는 이슬람 외에도 힌두교,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중국의 지배자, 황소의 난, 중국인의 습관 등을 기록하고, 클로비스 이후 그의 시대에 이르는 프랑크 지배자 목록을 가지고 있었으며, 파리가 프랑크인의 수도라는 것을 아는 등, 이슬람권 외의 지식도 풍부했다.
서구에서는 『황금 목장과 보석 광산』이 1861년부터 1877년 사이에 프랑스에서 9권으로 처음 완역되었다. 1966년부터 1974년 사이에는 베이루트에서 더 정확한 아랍어판(5권: 아바스 시대만)이 출판되었고, 프랑스어판도 개정되었다. 1989년에는 베이루트판을 바탕으로 아바스 시대를 다룬 영어판(전체의 3/4 번역)도 출판되었다.
3. 4. 충고와 감독의 서 (al-Tanbīh wa al-Ishrāf)
كتاب التنبیه والأشرافar ('충고와 감독의 서')는 알 마수디가 죽기 직전에 저술한 책으로, 황금 목장과 보석 광산을 약 5분의 1로 요약한 것이다. 이 책에는 비잔틴 제국에 대한 새로운 내용이 담겨 있으며, 마수디가 만년까지 자신의 저서를 개정해 나간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20]
4. 이슬람 세계 외부에 대한 지식
아흐마드 슈볼(Ahmad Shboul)은 알-마수디가 당대의 비 이슬람 국가와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취급에서 동시대 사람들을 능가한다고 언급한다. 심지어 비잔틴 제국에 대해 알-마수디보다 덜 언급한 칼리파국에서 아랍어로 글을 쓴 기독교 작가들도 있었다. 그는 또한 아바스 칼리파국 너머의 많은 땅의 지리와 많은 사람들의 관습과 종교적 믿음을 묘사했다.
알 마수디는 인도에 대해서는 여행자들의 질문과 이전 작가들의 독서에 더하여 아대륙 서부에서의 개인적인 경험을 보충했다. 그는 역사적 변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주며, 현재 상황을 수 세대와 수 세기에 걸쳐 전개되는 사건들로 추적한다. 그는 주간 관계와 아대륙의 여러 국가에서 무슬림과 힌두교도의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그는 이전의 중국 통치자들을 묘사하고, 황소의 난이 당나라 말에 일으킨 반란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인도에 비해 덜 자세하지만 중국의 믿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의 동남아시아에 대한 간략한 묘사는 정확성과 명확성 면에서 두드러진다.
그는 튀르크족이 거주하는 광대한 지역을 조사하여 카간의 광범위한 권위에 대해 언급했지만, 이는 알-마수디 시대에는 더 이상 사실이 아니었다. 그는 정착형 튀르크족과 유목형 튀르크족의 구분을 포함하여 튀르크족의 엄청난 다양성을 전달했다. 그는 하자르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그들에 대한 많은 새로운 자료를 제공했다.
그의 루스인에 대한 설명은 러시아사와 우크라이나사 연구의 중요한 초기 자료이다. 그는 이븐 코르다드베, 이븐 알-파키흐, 이븐 루스타 및 이븐 파들란과 같은 이전 아랍 작가들의 글을 읽었을 수 있지만, 알-마수디는 여행 중에 얻은 개인적인 관찰과 접촉을 바탕으로 대부분의 자료를 제시했다. 그는 루스인이 단순히 몇 명의 상인 이상이라는 것을 아랍 독자들에게 알렸다. 그들은 다양하고 다양한 민족의 집단이었다. 그는 그들의 독립적인 태도, 그들 사이의 강력한 중앙 권위의 부재, 그리고 그들의 이교도를 언급했다. 그는 비잔틴과의 루스 무역과 상선 및 군함을 항해하는 루스인의 능력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었다. 그는 흑해와 카스피해가 두 개의 별도 수역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는 동부 및 서부 유럽의 다른 사람들, 심지어 멀리 떨어진 영국과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에 대한 지식도 가지고 있다. 그는 그것의 이름을 언급하지만, 그것에 대해 대략적으로 말하고 있다. 그는 파리를 프랑크의 수도로 알고 있다. 그는 클로비스 1세부터 자신의 시대까지의 프랑크 통치자 목록 사본을 얻었다. 그는 그가 마주스라고 묘사한 바이킹으로 해석되는 사람들에 대해 여러 번 언급했는데, 그들은 북쪽에서 알-안달루스로 왔다.[17]
알-마수디의 세계적인 관심은 아프리카를 포함했다. 그는 대륙 동부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예를 들어 잔지에 대한 흥미로운 세부 사항을 언급). 그는 여행하기에 가장 위험한 경로 중 하나가 잔지 땅이라고 언급하면서 "나는 많은 바다에서 항해했지만 잔지보다 더 위험한 곳은 알지 못한다"고 말했으며, 그와 함께 항해했던 몇몇 선장이 익사했다고 말했다.[18] 그는 서아프리카에 대해 덜 알고 있지만, 자가와, 카우카우, 가나와 같은 동시대 국가들의 이름을 언급했다. 그는 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관계와 이슬람과의 관계를 묘사했다. 그는 비 이슬람 아프리카인들의 문화와 믿음에 대한 자료를 제공했다.
일반적으로 그의 생존 작품은 매우 호기심이 많은 마음, 가능한 한 광범위한 전 세계적 배경을 열렬히 습득하는 보편주의자를 드러낸다.
알-마수디는 947년에 이란의 시스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19]
> "... 바람과 모래의 땅입니다. 그곳에서 바람은 제분소를 돌리고 강에서 물을 끌어올려 정원에 물을 줍니다. 세상에는, 그리고 신만이 그것을 아시는데, 바람을 더 자주 사용하는 곳은 없습니다."
4. 1. 비잔틴 제국
알-마수디는 비잔틴 제국에 대해 동시대 다른 아랍 저술가들보다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칼리파국에서 아랍어로 글을 쓴 기독교 작가들조차 비잔틴 제국에 대해 알-마수디만큼 언급하지 않았다.[16] 그는 아바스 칼리파국 너머의 많은 땅의 지리와 사람들의 관습, 종교적 믿음을 묘사했다.알-마수디는 비잔틴 문제, 내부 정치 사건, 궁정 쿠데타의 전개에 대해서도 매우 잘 알고 있었다. 그는 다양한 부족, 특히 침략하는 불가르족의 서쪽 이동이 비잔틴에 미치는 영향을 기록했다. 그는 서유럽과의 비잔틴 관계, 비잔틴-이슬람 관계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알-마수디가 비잔틴 세계사에 대한 무슬림 지식에 기여한 한 예는 이스탄불이라는 이름(콘스탄티노플 대신)의 사용이다. 그는 947년에 쓴 글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이 이 용어를 사용하기 수세기 전이었다. 그는 그리스인(10세기의 비잔틴인)이 "도시"를 ''불린''(그리스어 ''폴린'', 아랍 문자에는 p가 없음)이라고 부른다고 썼다. "그리고 그들이 그것이 위대함 때문에 제국의 수도임을 표현하고 싶을 때 이스탄 불린이라고 말한다. 그들은 그것을 콘스탄티노플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렇게 지정하는 것은 아랍인뿐이다."[16] 이는 오늘날 시카고나 런던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시내로 간다" 또는 "도시로 간다"라는 문구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4. 2. 인도와 동남아시아
알 마수디는 인도에 대해 여행자들의 일반적인 질문과 이전 작가들의 광범위한 독서에 더하여 아대륙 서부에서의 개인적인 경험을 보충했다. 그는 역사적 변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주며, 현재 상황을 수 세대와 수 세기에 걸쳐 전개되는 사건들로 추적했다. 그는 주간 관계와 아대륙의 여러 국가에서 무슬림과 힌두교도의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했다.그는 이전의 중국 통치자들을 묘사하고, 황소의 난이 당나라 말에 일으킨 반란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인도에 비해 덜 자세하지만 중국의 믿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의 동남아시아에 대한 간략한 묘사는 정확성과 명확성 면에서 두드러진다.
4. 3. 중국
알 마수디는 이전의 중국 통치자들을 묘사하고, 황소의 난이 당나라 말에 일으킨 반란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인도에 비해 덜 자세하지만 중국의 믿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4. 4. 중앙아시아
알-마수디는 튀르크족이 거주하는 광대한 지역을 조사하여 카간의 광범위한 권위에 대해 언급했지만, 이는 알-마수디 시대에는 더 이상 사실이 아니었다. 그는 정착형 튀르크족과 유목형 튀르크족의 구분을 포함하여 튀르크족의 엄청난 다양성을 전달했다. 그는 하자르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그들에 대한 많은 새로운 자료를 제공했다.[15]
4. 5. 유럽
알-마수디는 당대 비이슬람 국가와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취급에서 동시대 인물들을 능가한다고 평가받는다. 칼리파국에서 아랍어로 글을 쓴 기독교 작가들조차 비잔틴 제국에 대해 알-마수디보다 덜 언급했다. 알-마수디는 아바스 칼리파국 너머의 많은 땅의 지리와 사람들의 관습 및 종교적 믿음을 묘사했다.[15]알-마수디는 루스인에 대한 설명을 통해 러시아사와 우크라이나사 연구의 중요한 초기 자료를 제공했다. 그는 이븐 코르다드베, 이븐 알-파키흐, 이븐 루스타, 이븐 파들란과 같은 이전 아랍 작가들의 글을 참고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자료는 여행 중 얻은 개인적인 관찰과 접촉을 바탕으로 제시했다. 그는 루스인이 단순한 상인이 아니라 다양하고 다양한 민족의 집단임을 알렸다. 그들의 독립적인 태도, 강력한 중앙 권위의 부재, 그들의 이교를 언급했다. 비잔틴과의 루스 무역과 상선 및 군함을 항해하는 루스인의 능력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었으며, 흑해와 카스피해가 별개의 수역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15]
또한 알-마수디는 비잔틴 문제, 내부 정치 사건, 궁정 쿠데타의 전개에 대해서도 매우 잘 알고 있었다. 그는 다양한 부족, 특히 불가르족의 서쪽 이동이 비잔틴에 미치는 영향을 기록했다. 그는 서유럽과의 비잔틴 관계, 그리고 비잔틴-이슬람 관계에 관심을 기울였다.[15]
알-마수디가 비잔틴 세계사에 대한 무슬림 지식에 미친 영향의 한 예는 이스탄불이라는 이름(콘스탄티노플 대신)의 사용이다. 이는 그가 947년에 쓴 글에서 유래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이 이 용어를 사용하기 수세기 전이다. 그는 그리스인(10세기의 비잔틴인)이 "도시"를 ''불린''(그리스어 ''폴린'')이라고 부르며, "제국의 수도임을 표현하고 싶을 때 이스탄 불린이라고 말한다. 그들은 그것을 콘스탄티노플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렇게 지정하는 것은 아랍인뿐이다."라고 썼다.[16] 이는 오늘날 시카고나 런던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시내로 간다" 또는 "도시로 간다"라는 문구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그는 동부 및 서부 유럽의 다른 사람들, 심지어 멀리 떨어진 영국과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에 대한 지식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파리를 프랑크의 수도로 알고 있었고, 클로비스 1세부터 자신의 시대까지의 프랑크 통치자 목록 사본을 얻었다. 그는 북쪽에서 알-안달루스로 온 바이킹을 마주스로 묘사했다.[17]
4. 6. 아프리카
알-마수디는 세계적인 관심을 가지고 아프리카를 탐구했다. 그는 대륙 동쪽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며, 잔지에 대한 흥미로운 세부 사항을 언급했다. 그는 여행하기에 가장 위험한 경로 중 하나가 잔지 땅이라고 하면서 "나는 많은 바다에서 항해했지만 잔지보다 더 위험한 곳은 알지 못한다"고 말했으며, 그와 함께 항해했던 몇몇 선장이 익사했다고 말했다.[18] 그는 서아프리카에 대해서는 덜 알고 있었지만, 자가와, 카우카우, 가나와 같은 동시대 국가들의 이름을 언급했다. 그는 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관계와 이슬람과의 관계를 묘사했으며, 비이슬람 아프리카인들의 문화와 믿음에 대한 자료를 제공했다.5. 종교적 관점과 평가
알마수디에 대한 초기 논평가들은 종교적 적대감의 영향을 지적한다. 수니파 학자 이븐 하자르는 알마수디의 책이 부정확하다고 평가했고[21], 아드-다하비는 그가 무타질라 교리를 옹호했다고 믿었다.[22] 알-수브키는 알마수디가 샤피이 학파 학자인 이븐 수라의 제자였다고 주장하며, 이븐 수라의 강의 노트를 발견했다고 언급했다. 알마수디는 이집트에서 샤피이파 사람들을 만났고, 바그다드와 알레포에서 자히리 학파 학자들을 만나 현대 학계에서는 알마수디가 자히리 학파를 따랐다는 견해가 있다.[13]
5. 1. 후대의 평가
알마수디에 대한 초기 논평가들은 종교적 적대감의 영향을 지적한다. 수니파 학자 이븐 하자르는 "알마수디의 책은 그가 시아파이자 무타질라였기 때문에 부정확하다"라고 썼다.[21] 아드-다하비는 그가 이단적인 무타질라 교리를 옹호했다고 믿었다.[22] 그러나 알-수브키에 따르면 알마수디는 샤피이 학파의 주요 학자인 이븐 수라의 제자였다. 알-수브키는 알마수디가 이븐 수라의 강의 노트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알마수디는 또한 이집트에 머무는 동안 샤피이파 사람들을 만났으며, 바그다드와 알레포에서 이븐 자비르와 니프타와이와 같은 자히리들을 만났다. 현대 학문은 알마수디가 후자의 학파의 추종자였다는 견해에 기울고 있다.[13]참조
[1]
문서
He mentions meeting a number of influential jurists and the work of others and indicates training in jurisprudence.
[2]
문서
According to Taqi al-Din al-Subki, al-Mas'udi was a student of ibn Surayj, the leading scholar of the Shafi'ite school. Al-Subki claimed he found al-Mas'udi's notes of ibn Surayj's lectures.
[3]
웹사이트
Al Masudi
http://historyofisla[...]
2014-09-26
[4]
서적
Արաբական Ամիրայությունները Բագրատունյաց Հայաստանում (The Arab Emirates in Bagratuni Armenia)
Armenian Academy of Sciences
[5]
백과사전
Al-Masʿūdī
https://www.britanni[...]
2021-06-06
[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Al-Mas'udi and His World
Ithaca Press
[8]
서적
The Meadows of Gold, The Abbasids
Kegan Paul
[9]
웹사이트
Saudi Aramco World : The Model of the Historians
http://www.saudiaram[...]
2011-08-27
[10]
서적
Al-Mas'udi and His World
[11]
서적
The Meadows of Gold, The Abbasids
[12]
서적
Al-Masʿudi and His World
[13]
서적
Muhammad b. Jarir al-Tabari's al-Bayan 'an Usul al-Ahkam and the Genre of Usul al-Fiqh in Ninth Century Baghdad
Peeters Publishers and the Department of Oriental Studies
[14]
간행물
An Echo of the Legend of 'Ara and Shamiram' Found with Arab Historian Masudi
[15]
웹사이트
Saudi Aramco World : The Islands of the Moon
http://www.saudiaram[...]
2011-08-27
[16]
서적
Companion to Historiography
Routledge Publishing
[17]
서적
Vikings in Spain
Bloomsbury
[18]
서적
Fortunes of Africa: A 5,000 Year History of Wealth, Greed and Endeavou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23-12-26
[19]
서적
Studies in ancient technology
Brill
[20]
서적
Al-Mas'udi and His World
[21]
문서
Lisan al-Mizan [258-256/4]
[22]
문서
Siyar A'alam al-Nubala [Tabaqa al-'Ishroon / al-Mas'oo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