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로는 전쟁에서 적에게 생포된 사람을 의미한다. 고대 및 중세 시대에는 포로가 노예가 되거나 몸값을 지불해야 했으며, 무함마드는 포로에게 합리적인 대우를 할 것을 강조했다. 근대 국제법이 확립된 이후에는 포로의 인도적인 대우가 중요해졌으며, 제네바 협약 등에서 포로의 권리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전쟁 상황에 따라 포로 학대와 살해는 끊이지 않았으며, 특히 일본 제국과 나치 독일은 포로에 대한 잔혹 행위로 악명이 높았다.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서도 포로 학대가 발생했으며, 현재까지도 전쟁 포로의 권리 침해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신조어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7세기 신조어 - 상비군
상비군은 정규 급여를 받는 전문 군대로, 고대 아시리아에서 처음 창설되었으며, 스파르타, 진나라, 마우리아 제국, 로마 제국 등에서 운용되었고, 오스만 제국의 예니체리, 프랑스의 콩파니 돌드르낭스, 스페인의 테르시오, 영국의 뉴 모델 군 등이 대표적이지만, 높은 전문성과 즉각 대응 능력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유지비용이 든다. - 포로 - 이마무라 히토시
이마무라 히토시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육군대장으로, 태평양 전쟁 중 네덜란드령 동인도 침공 작전을 지휘하여 자바섬을 점령하는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전범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복역 후 전사자 유족을 위한 활동을 펼치는 등 상반된 평가를 받았다. - 포로 - 고바야시 마사키
일본의 영화 감독 고바야시 마사키는 전쟁과 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판하는 영화들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구로사와 아키라 등과 교류하며 일본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포로 |
---|
2. 고대 및 중세 시대의 전쟁 포로
인류 역사의 초기 단계에서 전쟁 포로는 대부분 학살되거나 노예로 전락했다.[2] 고대 로마의 검투사는 전쟁 포로 출신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은 출신 민족에 따라 삼니움인, 트라키아인, 골인 등으로 분류되었다.[3] 일리아스에는 트로이와 그리스 군인들이 적에게 자비를 구하며 재물을 바치는 모습이 묘사되지만, 이러한 제안이 항상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었다. 리카온의 경우가 그 예시이다.
일반적으로 승리자들은 적군의 전투원과 민간인을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았으나, 여성과 어린이는 살려두는 경우가 많았다. 때로는 전쟁의 목적 자체가 여성을 포획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라피티오''라고 불렸다. 사비니 여인의 강탈은 로마 건국자들이 대규모로 여성을 납치한 사건으로 전해진다. 당시 여성은 권리가 없었고, 법적으로 동산으로 취급되었다.[4]
4세기, 아미다의 아카키우스 주교는 페르시아 포로들이 열악한 환경에 처한 것을 보고, 교회의 금은 식기를 팔아 몸값을 지불하고 이들을 고국으로 돌려보냈다. 이 일로 그는 성인으로 추대되었다.[5]
전설에 따르면, 464년 Childeric가 파리를 포위했을 때, 수녀 Geneviève (후에 도시의 수호 성인)는 프랑크 왕에게 포로들의 복지를 간청하여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이후, Clovis I는 제네비브의 권유로 포로들을 석방했다.[6]
헨리 5세는 1415년 아쟁쿠르 전투 이후 많은 프랑스군 포로를 살해했다.[7] 이는 프랑스군이 영국군의 짐을 관리하던 소년들과 비전투원을 살해한 것에 대한 보복이자, 프랑스군이 재공격하여 포로들을 풀어줄 것을 우려한 조치였다.
중세 후기에는 종교적 이유로 적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종교 전쟁이 빈번했다. 기독교 유럽에서는 이단과 이교도를 근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졌다. 알비 조 십자군과 북부 십자군이 이러한 전쟁의 예시이다.[8] 1209년 베지에 점령 당시, 십자군이 가톨릭 신자와 카타르파를 구별하는 방법을 묻자, 교황 사절 Arnaud Amalric는 "모두 죽여라. 신이 자기 백성을 알 것이다"라고 답했다고 전해진다.
십자군 전쟁에서도 무슬림을 상대로 정복한 도시의 주민들이 학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귀족은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날 수 있었는데, 가족들은 포로의 신분에 맞는 막대한 재산을 지불해야 했다.
일본 봉건 시대에는 포로에게 몸값을 요구하는 관습이 없었고, 대부분 즉결 처형되었다.[9]
13세기 몽골 제국은 항복한 도시와 저항한 도시를 다르게 취급했다. 항복한 도시의 주민들은 생존했지만 몽골군을 지원해야 했고, 저항한 도시는 약탈 및 파괴되고 주민들은 살해되었다. 옥서스 강의 테르메즈에서는 "모든 사람들, 남녀 모두 평원으로 끌려 나와 평소 관례에 따라 나누어진 후 모두 살해되었다."[10]
아즈텍은 이웃 부족들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여 희생에 사용할 포로를 확보했다.[11] 1487년 테노치티틀란의 대 피라미드 재헌당을 위해 "10,000명에서 80,400명 사이의 사람들"이 희생되었다.[12][13]
622–750년 초기 무슬림 정복 기간 동안, 무슬림은 대규모 포로를 잡았다. 개종한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몸값을 지불하거나 노예가 되었다.[14][15] 십자군 전쟁에서 잡힌 기독교인들은 몸값을 지불하지 못하면 살해되거나 노예로 팔렸다.[16] 무함마드는 포로에게 종교와 관계없이 합리적인 수준의 음식과 의복을 제공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그러나 포로가 개인의 관리하에 있는 경우, 그 책임은 개인에게 있었다.[17] 무함마드는 627년 바누 쿠라이자의 경우처럼, 무슬림과의 조약을 위반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남성 포로를 대량 처형하기도 했다. 처형된 사람들의 여성과 아이들은 ''가니마'' (전리품)로 분배되었다.[18]
근대 국제법이 확립되기 전까지 포로는 포획한 국가가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었다. 포로는 세력 하에 들어간 세력에 의해 임의로 취급되어 노예가 되거나 살해당했다. 능력을 인정받은 자는 후하게 대우받아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있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상대국이나 영주에게 포로와 교환하여 몸값을 요구하는 일이 자주 행해졌다. 이릉과 같이 적국에서 명예로운 대우를 받는 경우도 있었다.
포로에 대한 학대나 살해는 적군에게 항복의 선택지를 잃게 하여 전의를 높일 위험이 있었다. 일본 가마쿠라 시대 말기, 아카사카 성의 반 막부 군사가 막부에 항복했지만 전원 살해당했고, 이로 인해 치하야 성의 군사들이 격노하여 전의가 높아졌다는 일화가 있다.
스스로 투항하는 것은 적에게 봉사하려는 의사 표시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많은 사회에서 투항은 이적 행위와 같은 범죄로 여겨졌다.
2. 1. 이슬람 세계의 전쟁 포로
샤피이 학파의 법학자 알 마와르디는 저서 『통치 규칙』에서 무슬림 군에 의해 포로가 된 이교도 병사의 처우에 대해 법학자들의 의견이 갈린다고 설명하며, 주요 법학파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164][165]학파 | 창시자 | 주요 처우 |
---|---|---|
샤피 학파 |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스 아시 샤피 | 이맘이 1) 살해, 2) 노예화, 3) 몸값 지불 또는 무슬림 포로와의 교환에 의한 석방, 4) 몸값 없는 석방 중 선택. 이슬람 개종 시 사형 면제, 나머지 3가지 중 선택. |
말리크 학파 | 말리크 이븐 아나스 | 1) 살해, 2) 노예화, 3) 무슬림 포로와의 교환 중 선택. 은사는 인정하지 않음. |
하나피 학파 | 아부 하니파 | 살해 또는 노예화만 선택 가능. 은사나 몸값 교환 불인정. |
알 마와르디는 『꾸란』 구절과 무함마드의 하디스를 인용하여 말리크와 아부 하니파의 주장을 반박한다. 그는 624년 바드르 전투에서 무함마드가 몸값을 받고 포로를 교환한 예를 들며, 개종을 거부하는 포로에 대해서는 이맘이 샤피이가 제시한 4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알 마와르디가 제시한 전쟁 포로 처우는 다음과 같다.
조건 | 처우 |
---|---|
힘이 강하고 해악을 끼칠 가능성이 크거나, 개종 가능성이 없는 자, 살해가 적을 약화시킬 수 있는 자 | 살해 (단, 그 이상의 벌은 금지) |
건장하고 일할 능력이 있으며, 배신 우려가 없는 자 | 무슬림을 돕도록 노예화 |
개종 가능성이 있거나, 부족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자, 사면이 개종을 유도할 수 있는 인물 등 | 사면 후 석방 |
재산이 있고 무슬림에게 필요한 물품을 가진 포로 | 몸값 징수 후 석방. 무슬림 포로가 잡혀 있는 경우, 몸값 없이 교환하여 구출. |
이맘은 최대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지만, "해악이 크고 악의가 강해 살해가 허용된 자라도, 이맘은 사면하여 석방할 수 있다"고 알 마와르디는 덧붙였다.
여성과 어린 포로는 무함마드의 관행에 따라 사형이 면제된다. 노예가 되어도 모자가 떨어지는 일은 없다. 단, 샤피이 학파는 "경전의 백성" 이외의 이교도 여자아이와 어린이는 죽여도 좋다고 한다.[168]
여성 포로는 병사들의 "전리품"으로 분배되어 강간할 권리가 주어지기도 했다. 『정확집』에는 알리가 다른 병사의 몫이었던 여성을 가로채 강간한 내용이 있다.[169]
전쟁 포로가 된 여성 중에는 노예화되어 남성의 성적 욕구를 처리하는 "도구"(성적 노예)가 되기도 했으며, 이슬람 세계 상류층 하렘 인원의 공급원이 되었다.[170]
현대 전시 국제법은 정당한 절차 없이 포로를 사형에 처할 수 없다고 규정한다. 그러나 이슬람 전쟁법은 건강한 성인 남성 민간인 포로도 전투원 포로와 같이 취급하며, 재판 없이 사령관 재량으로 사형할 수 있다고 본다. 단, 처형이 의무는 아니다. 나카타 코는 2004년 이라크 일본인 청년 살해 사건에서 이슬람 무장 조직의 행동이 이 논리를 따른 것이며, "이슬람 법상 살해는 합법이다"라고 말했다.
3. 근대 국제법 확립 이후의 전쟁 포로
17세기 베스트팔렌 조약은 30년 전쟁을 종식시키면서 포로들이 몸값 없이 석방되고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정했다.[22] 또한, 포로가 특권을 얻기 위해 검을 넘겨주고 신사로서의 약속을 하는 가석방 권리가 발전했다. 탈출하지 않겠다고 맹세하면 더 나은 숙소와 자유를 얻을 수 있었고, 적대 행위를 중단하겠다고 맹세하면 본국으로 송환되거나 교환될 수 있었지만, 이전의 포획자들을 상대로 군사적 역할을 할 수는 없었다.
19세기에는 수감자 처우 및 관리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증가했다. 1874년 브뤼셀 회의를 시작으로 여러 국제 회의가 열렸고, 각국은 수감자에 대한 비인간적인 처우와 불필요한 피해를 주는 무기 사용을 방지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새로운 조약이 채택되었고 국제법으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여기에는 전쟁 포로를 인도적이고 외교적으로 대우해야 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었다.
1907년 헤이그 협약 부속서 2장 "육상전에서의 전쟁 법규 및 관례"는 포로의 대우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이러한 조항들은 1929년 제네바 포로 협약에서 더욱 확대되었으며, 1949년 제3 제네바 협약에서 대폭 개정되었다. ICRC(적십자)는 국제 인도법과 관련하여, 특히 전쟁 시 포로 및 억류자의 서신 및 카드 발송 및 수신 권리에 관하여 가족 재결합(Restoring Family Links)을 지원하고 유지하는 데 특별한 역할을 한다(제네바 협약(GC) III, 제71조 및 GC IV, 제107조).
제3 제네바 협약 제4조는 체포된 군인, 일부 게릴라전 전투원, 특정 민간인을 보호한다. 이는 포로가 체포된 순간부터 석방 또는 본국 송환될 때까지 적용된다. 1949년 제네바 협약에 따라 포로는 보호 대상자의 지위를 획득하며, 이는 제3 협약 조항에 따라 부여된 권리를 구금국이 박탈하는 것은 전쟁 범죄임을 의미한다.[31] 제3 제네바 협약 제17조는 포로가 자신의 이름, 생년월일, 계급, 군번(해당하는 경우)만을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제네바 협약 제3조에 따르면 전쟁 포로(POW)는 다음을 준수해야 한다.
전장에서 부상당하거나 병든 포로는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도움을 받게 된다.[33]
어떤 국가가 전쟁 포로의 권리를 침해한 경우, 그 책임자는 상응하는 처벌을 받게 된다. 뉘른베르크 재판과 도쿄 재판에서 독일과 일본의 군 지휘관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침략 전쟁의 준비 및 개시, 살인, 가혹한 대우 및 개인의 강제 이주, 그리고 대량 학살 혐의로 기소되었다.[34] 대부분은 그들의 범죄로 인해 사형되거나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미국 군대 행동 강령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의 행정 명령 10631에 의해 1955년에 공포되어 포로로 잡힌 미국 군인들을 위한 도덕 강령 역할을 한다. 이 강령은 한국 전쟁 중 미군이 포로로 잡혔을 때, 지휘 및 조직의 붕괴에 대한 대응으로 만들어졌다. 군인이 포로로 잡히면, 행동 강령은 지휘 계통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지휘 자격이 있는 최고 계급의 군인이 지휘하며, 소속 군은 무관), 지도부를 지원하도록 요구한다. 또한 행동 강령은 군인에게 적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원을 밝히는 것, 즉 "이름, 계급, 군번" 외에는), 특별한 호의나 가석방을 받거나, 다른 방법으로 적 포로에게 도움과 위안을 제공하는 것을 거부하도록 요구한다.
베트남 전쟁 이후, 적 포로에 대한 미국의 공식 군사 용어는 EPW (Enemy Prisoner of War, 적 포로)이다. 이 명칭 변경은 적과 미국 포로를 구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35] 2000년에 미군은 억류된 미국 군인에 대한 "Prisoner of War(포로)" 지정을 "Missing-Captured(실종-피랍)"로 변경했다. 2008년 1월 지침에 따르면, 그 이유는 "Prisoner of War(포로)"가 그러한 사람들에 대한 국제 법적 지위로 인정되고 있으므로, 개별 국가가 따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 변경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비교적 알려지지 않았으며, "Prisoner of War(포로)"는 국방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국방부에는 "포로/실종자 사무소"가 있으며, 포로 훈장을 수여한다.[36][37]
3. 1. 미국 독립 전쟁과 남북 전쟁
미국 독립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1793–1815), 그리고 그 뒤를 이은 1812년 전쟁 동안, 교전국들은 전쟁 중에도 포로 교환을 위한 카르텔 시스템을 마련했다. 카르텔은 일반적으로 동등한 계급의 군인을 교환하기 위해 각 군대에 의해 정해졌다. 이는 포로 수를 줄이는 동시에 본국 내 숙련된 인력 부족을 완화하기 위함이었다.
미국 남북 전쟁 초기에는 가석방 제도가 운영되었다. 포로들은 공식적으로 교환될 때까지 전투에 참여하지 않기로 동의했다. 그동안 그들은 자신의 군대가 운영하는 수용소에 억류되었고, 급여를 받았지만 군사적 임무는 수행할 수 없었다.[26] 그러나 1863년, 남부 동맹이 흑인 포로 교환을 거부하면서 교환 제도는 붕괴되었고,[27] 이후 양측에서 포로 수용소 건설이 시작되었다.
남북 전쟁 동안 약 409,000명의 포로 중 약 56,000명이 감옥에서 사망했으며, 이는 분쟁 사망자의 거의 10%에 해당한다.[28] 조지아주 앤더슨빌 근처 섬터 야영지에 수감된 45,000명의 북군 포로 중 13,000명(28%)이 사망했다.[29]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더글러스 야영지에서는 추운 겨울 한 달 동안 남부 동맹 포로의 10%가 사망했고, 뉴욕주 엘미라 감옥은 사망률이 25%(2,963명)로 앤더슨빌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30]
4.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약 800만 명의 병사가 항복하여 포로 수용소에 갇혔다. 각국은 헤이그 협약을 준수하여 포로를 인도적으로 대우하려 노력했다.[39] 일반적으로 포로는 전투에서 사망하는 것보다 생존율이 높았다. 대규모 부대가 한꺼번에 항복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탄넨베르크 전투에서는 92,000명의 러시아군이 항복하기도 했다.[40]
독일 제국은 250만 명, 러시아 제국은 290만 명, 대영 제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은 약 72만 명의 포로를 수용했다. 미국은 48,000명을 수용했다. 포로에게 가장 위험한 순간은 항복하는 순간이었는데, 무력한 병사들이 살해되거나 오인 사격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포로 수용소에 도착하면 국제 적십자의 노력과 중립국의 조사 덕분에 상황이 개선되었다.[39]
하지만 독일에서는 포로에 대한 가혹 행위가 보고되기도 했다. 특히 러시아에서는 기아가 만연하여 200만 명 이상의 포로 중 4분의 1이 사망했다.[41] 러시아군에 포로로 잡힌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쟁 포로 중 প্রায় 375,000명이 시베리아에서 천연두와 발진티푸스로 사망했다.[42] 오스만 제국도 전쟁 포로를 제대로 대우하지 않았는데, 쿠트 포위전에서 항복한 영국군 포로 중 많은 수가 사망했다.[46]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에서는 217명의 호주 군인과 다수의 영국, 뉴질랜드, 인도 군인이 오스만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이들 중 상당수는 강제 행군과 열악한 수용소 환경으로 인해 질병과 영양실조로 사망했다.[47][48]
1918년 전쟁이 끝나자 연합군 포로들은 본국으로 송환되었지만, 중앙 동맹국 포로들은 강제 노동에 동원되는 등 즉시 풀려나지 못했다. 이들은 적십자사의 노력으로 1920년까지 프랑스 등지에서 강제 노동을 한 후에야 석방될 수 있었다.[51]
5. 제2차 세계 대전
역사학자 나이얼 퍼거슨은 키스 로의 수치를 인용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의 포로 전체 사망률을 다음과 같이 표로 정리했다.[52][53]
범주 | 사망한 포로 비율 | |
---|---|---|
피억류자 | 억류자 | |
중국인 | 일본인 | 60.0% [54] |
소련인 | 독일인 | 57.5% |
독일인 | 유고슬라비아인 | 41.2% |
독일인 | 소련인 | 35.8% |
미국인 | 일본인 | 33.0% |
독일인 | 동유럽인 | 32.9% |
영국인 | 일본인 | 24.8% |
프랑스인 | 독일인 | 4.1% |
영국인 | 독일인 | 3.5% |
독일인 | 프랑스인 | 2.6% |
미국인 | 독일인 | 1.2% |
독일인 | 미국인 | 0.2% |
독일인 | 영국인 | <0.1% |
근대 국제법에서는 포로에게 해를 가하는 행위는 전쟁 범죄로 여겨진다. 1899년 헤이그 육전 조약은 "포로는 인도적으로 대우해야 한다"(제4조)고 규정했다.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은 포로 처우에 인도적인 관점을 보였다. 그러나 헤이그 육전 조약에서 인정된 노동(임금 노동)은 러일 전쟁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87]
이후 포로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포로 보호는 조기 항복을 촉진하지만, 식량, 의약품 제공 등의 부담이 따른다. 보급 중단이나 부족 시 여유가 없어 포로 학대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의 포로 학대는 연합국에 의해 전쟁 범죄로 재판받았다. 하지만 연합국 측 포로 학대는 대부분 책임을 묻지 않았다(독일인에 대한 보복 등). 소련은 폴란드군 장교 대량 학살을 추축국 측 포로 살해로 전가하기도 했다(카틴 학살 사건). 서부 전선에서는 말메디 학살 사건 등이 알려져 있다.
포로는 제네바 협약 규정 이상의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없어, 정보 획득을 위한 고문 등 학대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 이라크 전쟁에서 미군의 포로 학대 사건(아부 그라이브 교도소 포로 학대)이 있었다.
문화 차이로 인해 장병의 의도와 달리 포로가 학대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포로 수용소에서 우엉을 먹인 것을 "나무 뿌리를 먹였다"며 포로 학대로 처벌받은 사례가 대표적이다. NHK대하드라마 『불타는 강』에도 소개된 이 이야기는 포로 관리의 위험 요인을 보여준다. 사사카와 료이치는 뜸 치료를 학대로 오해받아 해명에 노력했고, 영국군은 독일군 포로에게 건강식으로 마마이트를 지급했지만 학대로 오해받았다는 일화도 있다.
5. 1. 일본 제국의 전쟁 포로 대우
극동 전쟁 포로
일본 제국은 1929년 전쟁 포로에 관한 제네바 협약에 서명했지만 비준하지 않았고,[55] 헤이그 협약 조항을 포함한 국제 협약에 따라 전쟁 포로를 대우하지 않았다.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은 항복을 불명예로 여겼다. 히로히토 천황이 1937년 8월 5일에 비준한 지침에 따르면 헤이그 협약의 제약은 중국인 전쟁 포로에 대해 명시적으로 삭제되었다.[56]
중국,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 인도, 네덜란드, 뉴질랜드, 필리핀 및 일본 점령 아시아 출신의 전쟁 포로들은 일본 제국 군대에 의해 살해, 고문, 구타, 초법적 처벌, 잔혹한 대우, 노예화, 의학 실험, 기아 배급, 열악한 의료 처치 및 식인 풍습에 시달렸다.[57][58] 강제 노동의 가장 악명 높은 사용은 버마-태국 죽음의 철도 건설이었다. 1943년 3월 20일 이후 제국 해군은 해상에서 생포한 전쟁 포로를 살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59] 카시빌레 휴전 이후 동아시아의 이탈리아 군인과 민간인은 일본군에 의해 전쟁 포로로 잡혀 다른 전쟁 포로와 동일한 대우를 받았다.[60]

도쿄 재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은 35만 명의 전쟁 포로를 잡았으며, 그 중 131,134명이 영국, 네덜란드, 호주, 미국, 캐나다 및 뉴질랜드 출신이었다. 이들 중 35,756명이 구금 중 사망했으며, 서방 전쟁 포로의 사망률은 27.1%로 독일과 이탈리아의 서방 전쟁 포로 사망률의 7배였다.[61] 중국인의 사망률은 훨씬 더 높았다. 일본의 항복 이후 영국 출신 포로 37,583명, 네덜란드 출신 28,500명, 미국 출신 14,473명이 석방되었지만 중국인의 수는 56명에 불과했다.[1][62] 필리핀인을 포함하여 태평양 전선에서 생포된 미 육군 전쟁 포로 27,465명의 사망률은 40.4%였다.[63] 도쿄의 전쟁성은 전쟁이 끝날 무렵 현지 지휘관이 도쿄의 공식 명령 없이 남은 전쟁 포로를 살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명령을 내렸다.[64]
일본군에 의한 서방 연합군 전쟁 포로 수 및 사망률[65][61] | |||
---|---|---|---|
국가 | 전쟁 포로 수 | 사망자 수 | 사망률 |
호주 | 21,726 | 7,412 | 34.1 |
캐나다 | 1,691 | 273 | 16.1 |
뉴질랜드 | 121 | 31 | 25.6 |
네덜란드 | 37,000 | 8,500 | 22.9 |
영국 | 50,016 | 12,433 | 24.8 |
미국 | 21,580 | 7,107 | 32.9 |
합계 | 132,134 | 35,756 | 27.1 |
국제 적십자사는 전쟁 포로에게 직접 접근할 수 없었다. 유럽계 포로의 탈출은 아시아 인구 속에 숨어들기가 어려워 거의 불가능했다.[66]
연합군 전쟁 포로 수용소와 선박 수송은 연합군의 공격으로 우발적인 표적이 되었다. 일본의 "지옥선"—혹독한 환경에서 전쟁 포로를 수송하는 표시 없는 수송선—이 미국 해군 잠수함의 공격을 받았을 때 발생한 사망자 수가 특히 높았다. 개번 도스는 "태평양 전쟁에서 사망한 모든 전쟁 포로 중 3분의 1이 아군에 의해 바다에서 살해되었다"고 계산했다.[67] 도스는 일본이 수송한 50,000명의 전쟁 포로 중 10,800명이 해상에서 사망했다고 밝혔고,[68] 도널드 L. 밀러는 "약 21,000명의 연합군 전쟁 포로가 바다에서 사망했으며, 그 중 약 19,000명이 아군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말했다.[69]
전쟁 포로 수용소에서의 생활은 잭 브리저 챌커, 필립 메닌스키, 애슐리 조지 올드, 로널드 시얼과 같은 예술가들에 의해 기록되었다. 인간의 머리카락은 붓으로, 식물 즙과 혈액은 물감으로, 화장지는 "캔버스"로 사용되었다. 그들의 작품 중 일부는 일본 전범 재판의 증거로 사용되었다.
싱가포르의 창이 형무소에 수감된 여성 포로(구금자)들은 겉보기에 해롭지 않은 감옥 퀼트 자수로 고난을 기록했다.[70]
5. 2. 나치 독일의 전쟁 포로 대우
나치 독일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특정 전쟁 포로들을 매우 가혹하게 대우했다. 특히 소련군 포로와 서방 연합군의 특공대가 이러한 가혹 행위의 대상이었다.나치 독일은 소련이 제네바 협약에 서명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소련군 포로들을 협약에 따른 보호 대상에서 제외하고, 이들을 매우 열악한 환경에 방치했다. 그 결과, 수많은 소련군 포로들이 굶주림, 질병, 강제 노동, 학살 등으로 인해 사망했다.
5. 3. 소련의 전쟁 포로 대우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 군인들을 대규모로 포로로 잡았으며, 이들을 가혹하게 대우했다. 소련은 제네바 협약에 서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국제법상의 의무를 무시하고 포로들을 강제 노동에 동원했다.[95]

일부 자료에 따르면, 소련은 350만 명의 추축국 군인(일본군 제외)을 포로로 잡았고, 이 중 10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95]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만 9만 1천 명의 독일군이 포로로 잡혔지만, 이들 중 살아남은 사람은 5천 명에 불과했다.[95] 이들은 대부분 굶주림과 질병으로 인해 사망했다. 독일군 포로들은 전쟁 후에도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으며, 에리히 하르트만과 같이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일부 포로들은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인 1955년이 되어서야 석방되었다.[96]

1939년 소련의 폴란드 침공으로 수십만 명의 폴란드 군인들이 소련의 포로가 되었다. 이들 중 수천 명이 처형되었고, 2만 명이 넘는 폴란드 군인과 민간인이 카틴 학살로 사망했다.[97] 블라디슬라프 안데르스가 이끄는 8만 명의 폴란드군이 영국으로 탈출했지만, 1947년 폴란드로 귀국한 사람은 310명에 불과했다.[98] 소련군에 포로로 잡힌 23만 명의 폴란드군 중 8만 2천 명만이 생존했다.[99]
소련-일본 전쟁 이후, 56만에서 76만 명의 일본군이 소련에 포로로 잡혔다.[100] 이들은 만주, 한반도, 남사할린, 쿠릴 열도 등지에서 포획되어 소련과 몽골에서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다.[100] 이들 중 약 6만에서 34만 7천 명이 수감 중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01][102][103][104]
5. 4. 연합국의 전쟁 포로 대우
서방 연합군 군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 포로를 제네바 협약에 따라 대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07] 그러나 협약 위반 사례도 있었다. 스티븐 E. 앰브로스에 따르면, 그가 인터뷰한 약 1,000명의 미국 참전 용사 중 단 한 명만이 포로를 쏜 것을 인정했고, "후회했지만 다시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터뷰 대상자의 3분의 1은 동료 미군이 독일군 포로를 살해하는 것을 보았다고 말했다.[108]영국에서는 독일 포로, 특히 고위 장교들이 도청 장치가 설치된 호화로운 건물에 수용되었다. 장교들이 사적인 대화라고 믿었던 내용에서 상당한 양의 군사 정보가 얻어졌다. 이러한 도청의 상당 부분은 독일 난민, 많은 경우 유대인에 의해 수행되었다. 연합국의 승리에 기여한 이러한 난민들의 활동은 반세기 이상이 지난 후에 기밀 해제되었다.[109]
1944년 2월, 미국 포로의 59.7%가 고용되었다. 이 비교적 낮은 비율은 포로가 아닌 사람들의 임금과 경쟁하지 않는 임금 설정 문제, 노동 조합의 반대, 보안, 파괴 행위 및 탈출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국가적 인력 부족을 감안할 때, 시민과 고용주들은 놀고 있는 포로들에게 불만을 품었고, 수용소를 분산시키고 보안을 줄여 더 많은 포로가 일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1944년 5월 말까지 포로 고용률은 72.8%였고, 1945년 4월 말까지 91.3%로 상승했다. 포로 노동자를 가장 많이 활용한 부문은 농업이었다. 전쟁 기간 동안 포로에 대한 수요가 공급보다 많았고, 1946년에는 14,000명의 포로 송환이 지연되어 봄철 농번기에 사용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서부 지역에서 사탕무를 솎아내고 차단하는 데 사용되었다. 의회 일부에서는 1946년 6월 이후에도 포로 노동을 연장하려 했지만,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이를 거부하여 이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110]
유럽 전쟁 말기에 많은 수의 추축국 군인들이 항복하면서, 미국은 포로로 대우하지 않기 위해 무장 해제 적군(DEF)이라는 지정을 만들었다. 이 군인들 중 많은 수가 라인 계곡의 임시 수용소(''라인비젠라거'')에서 야외에 갇혀 있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이러한 포로들을 어떻게 관리했는지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111] (''Other Losses'' 참조).
1945년 5월 독일의 항복 이후, 독일 포로들의 포로 신분은 여러 경우 유지되었으며, 수년간 영국과 프랑스와 같은 국가에서 공공 노동자로 사용되었다. 노르웨이와 프랑스와 같은 국가에서 지뢰밭을 청소하도록 강요당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1945년 9월까지 프랑스 당국은 사고로 매달 2,000명의 포로가 불구되거나 사망할 것으로 추정했다.[112][113]
1946년, 영국은 40만 명이 넘는 독일군 포로를 수용했는데, 이들 중 다수는 미국과 캐나다의 포로 수용소에서 이송되었다. 그들은 영국에서 인력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전쟁 배상의 형태로 노동자로 고용되었다.[114][115] 영국에서는 독일 전쟁 포로의 대우에 대한 공개적인 논쟁이 벌어졌고, 영국 내 많은 사람들이 포로의 대우를 노예 노동에 비교했다.[116] 1947년, 농무부는 노동하는 독일 포로의 송환에 반대했는데, 당시 그들은 토지 노동력의 25%를 차지했고, 1948년까지 그들이 영국에서 계속 일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116]
전쟁 중과 직후 포로를 수용소로 보내기 전에 심문하는 데 사용된 MI19의 전쟁 포로 시설인 런던 케이지는 고문 혐의를 받았다.[117]
독일의 항복 이후, 국제 적십자사는 독일 내 포로 수용소에 음식이나 포로 방문과 같은 구호품을 제공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1945년 가을 연합국에 호소한 후, 적십자사는 독일의 영국 및 프랑스 점령 지역의 수용소를 조사하고, 그곳에 수감된 포로에게 구호를 제공하는 것이 허용되었다.[118] 1946년 2월 4일, 적십자는 독일의 미국 점령 지역에 있는 포로들을 방문하고 지원할 수 있었지만, 극소량의 음식만 제공되었다. 방문하는 동안 대표들은 독일군 포로가 종종 끔찍한 환경에 갇혀 있는 것을 관찰했고, 당국의 이 사실에 주목하여 점차적으로 개선을 이루었다.[118]
포로들은 또한 연합국 간에 이송되었는데, 예를 들어 6,000명의 독일 장교가 서방 연합군 수용소에서 소련으로 이송되어 작센하우젠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당시 이곳은 NKVD 특수 수용소 중 하나였다.[119][120][121] 소련은 제네바 협약에 서명하지 않았지만, 미국은 1945년 5월 수십만 명의 독일 포로를 "우호의 제스처"로 소련에 넘겨주기로 결정했다.[122] 미군은 또한 작센과 보헤미아에서 항복하려는 독일군 병력의 항복을 거부하고 대신 소련에 넘겨주었다.[123]
미국은 74만 명의 독일 포로를 프랑스에 넘겨주었는데, 프랑스는 제네바 협약 서명국이었지만 그들을 강제 노동자로 사용했다. 신문은 포로들이 학대받고 있다고 보도했고, 뉘른베르크 재판의 미국 수석 검사인 로버트 H. 잭슨 판사는 1945년 10월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에게 연합국 자체가 "독일인들을 기소하는 바로 그 일들을 수행했거나 수행하고 있습니다. 프랑스는 전쟁 포로의 대우에 있어 제네바 협약을 너무 심하게 위반하여 우리 사령부가 그들에게 보낸 포로를 다시 데려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약탈을 기소하고 있지만, 우리 동맹국들은 그것을 실천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124][125]
헝가리인들은 서방 연합군의 포로가 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독일인과 마찬가지로 적대 행위 중단 이후 프랑스에서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다.[126] 전쟁 후, 헝가리 포로들은 소련에 넘겨져 소련으로 이송되어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다. 이러한 소련에 의한 헝가리인 강제 노역은 종종 말렌키 로봇—작업—이라고 불린다. 1944년 붉은 군대에 포로로 잡힌 헝가리 병사 안드라스 토마는 2000년 러시아 정신병원에서 발견되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포로로 본국으로 송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27]
1943년, 이탈리아는 베니토 무솔리니를 축출하고 연합국 공동 교전국이 되었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및 미국에 억류된 많은 이탈리아 전쟁 포로들의 지위를 바꾸지 못했는데, 이는 노동력 부족 때문이었다.[134]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고 독일에 선전 포고를 한 후, 미국은 처음에 이탈리아 전쟁 포로들을 독일과 싸우도록 돌려보내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결국 미국 정부는 이탈리아 포로들이 전쟁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전쟁 포로 작업 요건을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약 34,000명의 이탈리아 전쟁 포로들이 1944년과 1945년에 66개의 미국 군사 시설에서 활동하며 병참, 수리, 기술 작업과 같은 지원 역할을 수행했는데, 이들은 이탈리아 지원 부대로 활동했다.[110]
1945년 2월 11일, 얄타 회담의 결과로 미국과 영국은 소련과 송환 협정을 체결했다.[135] 이 협정의 해석은 모든 소련인 (킬홀 작전)의 의사와 관계없이 강제 송환을 초래했다. 강제 송환 작전은 1945년부터 1947년까지 이루어졌다.[136]
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전쟁 포로
한국 전쟁 동안 북한군은 포로를 심하게 학대하고 고문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북한군과 중공군의 포로 대우 참조). 북한군은 포로를 북한군에 대한 유용성에 따라 세 개의 수용소에 수용했다. 평화 수용소와 개조 수용소는 북한에 동조하거나 북한군에 유용한 기술을 가진 포로를 위한 곳이었다. 이들은 세뇌를 받고 때로는 북한군에 징집되기도 했다. 평화 수용소의 포로는 더 나은 대우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지만,[137] 일반 포로들은 보통 고문을 당하거나 매우 열악한 대우를 받았다.
1952년 11월 15일부터 27일까지 북한 벽동에서 제1952년 포로 올림픽이 열렸다. 중국은 세계적인 홍보를 얻기를 희망했고, 일부 포로들은 참가를 거부했지만 11개 국적의 약 500명의 포로가 참가했다.[138] 이들은 북한의 모든 포로 수용소에서 왔으며 축구, 야구, 소프트볼, 농구, 배구, 육상, 축구, 체조, 복싱에서 경쟁했다.[138] 포로들에게 이것은 다른 수용소의 친구들을 만날 기회이기도 했다. 포로들은 자체 사진 작가, 아나운서, 심지어 기자까지 있어서 매일의 경기가 끝나면 "올림픽 속보"라는 신문을 발행했다.[139]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말 디엔비엔푸 전투 후 포로로 잡혀 베트민에 의해 멀리 떨어진 포로 수용소로 죽음의 행진을 하던 프랑스 군인 11,721명 중 4개월 후에 3,290명만이 본국으로 송환되었다.[140]
베트남 전쟁 동안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은 많은 미국 군인들을 포로로 잡았고 그들을 학대하고 고문했다. 일부 미국 포로들은 미군 포로들에게 하노이 힐튼으로 알려진 감옥에 수감되었다. 남베트남과 미군에 의해 구금된 공산 베트남인들은 고문을 당하고 심하게 학대받았다.[141] 전쟁 후, 수백만 명의 남베트남 군인과 정부 노동자들이 "재교육" 캠프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중에 포로로 잡힌 소수의 미국 조종사들이 증거 없이 소련으로 이송되어 송환되지 않았다는 추측이 있었다.[142][143][144]
포로 대우를 결정하는 규정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권리 침해가 계속 보고되고 있다. 최근 이집트인에 의한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중 이스라엘 포로 살해, 시리아군에 의한 레바논의 10월 13일 학살 및 스리랑카에서 일어난 1990년 6월 학살을 포함하여, 최근에 많은 포로 학살 사건이 보고되었다.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에서 인도의 개입은 세 번째 인도-파키스탄 전쟁으로 이어졌고, 이는 인도의 승리와 93,000명의 파키스탄 포로를 획득하는 결과로 이어졌으며, 이들은 나중에 파키스탄 대통령 줄피카르 알리 부토와의 합의로 천천히 송환되었다.[145]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동안 양측 모두 포로를 일반적으로 잘 대우했으며, 전쟁이 끝난 후 군 사령관들은 적 포로를 기록적인 시간 안에 본국으로 돌려보냈다.[146]
1991년 걸프 전쟁 동안 미국, 영국, 이탈리아, 쿠웨이트 포로(대부분 추락한 항공기 승무원 및 특수 부대원)는 이라크 비밀 경찰에 의해 고문을 받았다. 론다 코넘 메이저(37세)는 UH-60 블랙호크가 격추되었을 때 포로로 잡힌 항공 외과 의사로, 성적 학대를 받기도 했다.[147]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세르비아 준군사 조직은 JNA 군대의 지원을 받아 부코바르와 Škarbrnja에서 포로를 살해했고, 보스니아 세르비아 군대는 스레브레니차에서 포로를 살해했다. 생존한 다수의 크로아티아 또는 보스니아인 포로들은 세르비아 수용소의 상황을 정기적인 구타, 고문 및 무작위 처형을 포함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상황과 유사하다고 묘사했다.
2001년, 중국-인도 전쟁 당시 인도에 포로로 잡힌 두 명의 포로, 양천과 스량에 관한 보고가 나왔다. 이 두 사람은 3년 동안 간첩 혐의로 투옥된 후 란치에 있는 정신 병원에 수용되어 이후 38년 동안 특별 포로 신분으로 지냈다.[148]
1980-1988년 이란-이라크 전쟁의 마지막 포로들은 2003년에 교환되었다.[149]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동안 우크라이나 포로들은 러시아군에 의한 전기 고문, 구타, 성적 학대를 받았다고 묘사했다. 분쟁의 양측은 굴욕적인 처벌로 때때로 포로에게 옷을 벗도록 강요했다.[150]
2014년, 국제 연합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전쟁 휴전 이후에도 5만 명 이상의 대한민국 국군 포로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에 억류되어 있으며, 50년이 넘도록 여전히 500명 전후가 생존해 있다고 한다.[209]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인 포로의 영상 공개 등을 실시했지만, 휴먼 라이츠 워치 등은 제네바 협약 위반(공중의 호기심으로부터의 보호 의무 위반)이라고 지적했다.[210]
7. 한국과 관련된 전쟁 포로
무력 공격 사태 및 존립 위기 사태에서의 포로 등의 취급에 관한 법률은 일본의 법률로, 한국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7. 1. 한국전쟁 포로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과 중공군은 포로들을 가혹하게 대우했다. 많은 국군 포로들이 북한에 억류되었고, 이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북한은 1952년 포로 올림픽을 개최하여 국제적인 선전을 시도했다.참조
[1]
간행물
What is a Prisoner of War For
http://www.ajol.info[...]
2015-09-14
[2]
웹사이트
The Enslavement of War Captives by the Romans to 146 BC
http://repository.li[...]
2015-05-24
[3]
웹사이트
The Roman Gladiator
http://penelope.uchi[...]
2020-01-26
[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omen's Rights Movement
http://www.nwhp.org/[...]
1998
[5]
웹사이트
Church Fathers: Church History, Book VII (Socrates Scholasticus)
http://www.newadvent[...]
2015-10-19
[6]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Saints
Penguin Books
1993
[7]
서적
King Henry V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Europe: A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9]
웹사이트
Samurai, Warfare and the State in Early Medieval Japan
http://muse.jhu.edu/[...]
2016-03-04
[10]
웹사이트
Central Asian world cities
https://faculty.wash[...]
Faculty.washington.edu
2012-04-14
[11]
서적
The Course of Mexic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2]
간행물
El sacrificio y las guerras floridas
[13]
웹사이트
The Enigma of Aztec Sacrifice
http://www.latinamer[...]
Latinamericanstudies.org
2010-04-06
[14]
서적
God's Rule: Government and Islam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
[15]
서적
Unveiling Islam
Islamic Texts Society
1992
[16]
서적
Islam. Its History, Teaching, and Practices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7]
서적
Introduction of Ad-Dahr
1967
[18]
서적
Muhammad: his life based on the earliest sources
https://www.worldcat[...]
Inner Traditions International
1983
[19]
서적
'Prisoners in early modern warfare' in Prisoners in War
OUP Oxford
[20]
서적
Zwischen Tätern und Opfern: Gewaltbeziehungen und Gewaltgemeinschaften
Vandenhoeck & Ruprecht
[21]
서적
'In Cartellen wird der Werth eines Gefangenen bestimmet', in In der Hand des Feindes: Kriegsgefangenschaft von der Antike bis zum zweiten Weltkrieg
[22]
문서
Prisoner of war
Encyclopædia Britannica
[23]
웹사이트
Site of the Norman Cross Depot for Prisoners of War
National Heritage List for England
[24]
웹사이트
Collected Works vol 6
https://reader.digit[...]
Munich Digitization Center
1822
[25]
웹사이트
Die Aufzeichnungen des Totengräbers Ahlemann 1813
https://www.leipzig-[...]
2022-04-21
[26]
서적
Captives in Blue: The Civil War Prisons of the Confederac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7]
웹사이트
Myth: General Ulysses S. Grant stopped the prisoner exchange, and is thus responsible for all of the suffering in Civil War prisons on both sides – Andersonville National Historic Site
http://www.nps.gov/a[...]
U.S. National Park Service)
2014-07-28
[28]
잡지
National Life After Death
http://www.slate.com[...]
2012-12-10
[29]
웹사이트
Andersonville: Prisoner of War Camp-Reading 1
http://www.nps.gov/n[...]
U.S. National Park Service
2008-11-28
[30]
뉴스
US Civil War Prison Camps Claimed Thousand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News
2003-07-01
[31]
웹사이트
The Practical Guide to Humanitarian Law: Protected Persons
https://guide-humani[...]
Doctors Without Borders
[32]
웹사이트
Geneva Convention
http://www.ppu.org.u[...]
Peace Pledge Union
2014-04-06
[33]
Youtube
Story of an idea- the Film
https://www.youtub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4-04-06
[34]
백과사전
War Crime
http://www.britannic[...]
2014-04-06
[35]
뉴스
War in the Gulf: P.O.W.'s; U.S. Says Prisoners Seem War-Weary
https://query.nytime[...]
1991-02-19
[36]
간행물
Pentagon: We Don't Call Them POWs Anymore
https://nation.time.[...]
2012-05-17
[37]
웹사이트
Department of Defense Instruction January 8, 2008 Incorporating Change 1, August 14, 2009
http://www.dtic.mil/[...]
2014-07-28
[38]
문서
Years later Several ex POWS identified themselves
AMerican Legion Monthly Magazine September 1927
[39]
논문
Treatment of Prisoners of War
1919
[40]
서적
The Pity of War
1999
[41]
웹사이트
Disobedience and Conspiracy in the German Army, 1918–1945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008
[42]
뉴스
375,000 Austrians Have Died in Siberia; Remaining 125,000 War Prisoner...—Article Preview—The
https://www.nytimes.[...]
2012-04-08
[43]
서적
Prisoners, Diplomats and the Great War: A Study in the Diplomacy of Captivity
1990
[44]
서적
The Pity of War
1999
[45]
서적
Silent Battle: Canadian Prisoners of War in Germany, 1914–1919
1992
[46]
웹사이트
The Mesopotamia campaign
http://www.nationala[...]
British National Archives
[4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ustralian Military History
2008
[48]
서적
Official History of Australia in the War of 1914–18, Vol. VII The Australian Imperial Force in Sinai and Palestine
1941
[49]
웹사이트
The Postal History Society 1936–2011 – 75th anniversary display to the Royal Philatelic Society, London
http://www.postalhis[...]
[50]
웹사이트
The Queen and technology
http://www.royal.gov[...]
Royal.gov.uk
2012-04-14
[51]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Resource centre
http://www.icrc.org/[...]
2013-10-03
[52]
간행물
Prisoner Taking and Prisoner Killing in the Age of Total War: Towards a Political Economy of Military Defeat
[53]
서적
Savage Continent: Europe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54]
서적
日军侵华战俘营总论
2013
[55]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 State Parties / Signatories
http://www.icrc.org/[...]
Icrc.org
1929-07-27
[56]
문서
Nitchû Sensô ni Okeru Horyo Gyakusatsu
Kikan Sensô Sekinin Kenkyû 9
1995
[57]
뉴스
Japanese troops ate flesh of enemies and civilians
https://www.independ[...]
1992-08-12
[58]
웹사이트
An excellent reference for Japan and the treatment of US Airmen Pows is Toru Fukubayashi, "Allied Aircraft and Airmen Lost over Japanese Mainland" 20 May 2007. (PDF File 20 pages)
http://www.cooksontr[...]
[59]
서적
Slaughter at Sea: The Story of Japan's Naval War Crimes
Pen & Sword Maritime
2007
[60]
웹사이트
Forgotten tragedy of Italian war detainees
https://www3.nhk.or.[...]
NHK World
2020-06-30
[61]
서적
Hidden Horrors
Avalon Publishing
1996
[62]
문서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2001
[63]
문서
Army Battle Casualties and Nonbattle Deaths in World War II. Final Report, 7 December 1941–31 December 1946
[64]
웹사이트
Japanese Atrocities in the Philippines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PBS)
[65]
문서
Based on data in "Horyo Saishū Ronkoku Fuzoku-sho 'B'", Kykutō Kokusai Gunji Saiben No. 337, February 19, 1948.
[66]
서적
Prisoners of the Japanese : POWs of World War II in the Pacific
[67]
서적
Prisoners of the Japanese: POWs of World War II in the Pacific
Scribe Publications
[68]
문서
1994
[69]
서적
D-Days in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8
[70]
서적
Threads of life : a history of the world through the eye of a needle
Spectre (Hodder & Stoughton)
[71]
서적
The Unfree French: Life under the Occupation
[72]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 State Parties / Signatories
https://web.archive.[...]
Cicr.org
2012-04-14
[73]
웹사이트
Pride and Peril: Jewish American POWs in Europe
https://www.national[...]
2021-05-26
[74]
웹사이트
Ben Aharon Yitzhak
https://web.archive.[...]
Jafi.org.il
2012-04-14
[75]
웹사이트
Flint Whitlock. Given Up for Dead: American GIs in the Nazi Concentration Camp at Berga
https://www.h-net.or[...]
2006
[76]
뉴스
'Soldiers and Slaves' Details Saga of Jewish POWs
https://www.npr.org/[...]
2023-01-10
[77]
웹사이트
Allied Officers Deported to Buchenwald
https://web.archive.[...]
Royal Canadian Air Force Association
[78]
문서
[79]
웹사이트
Death March from Stalag Luft 4 during WWII
https://www.b24.net/[...]
2019-10-26
[80]
웹사이트
Guests of the Third Reich
https://guestsofthet[...]
2020-10-26
[81]
웹사이트
Le porte della Memoria
http://www.anrp.it/l[...]
2006-11-12
[82]
서적
Hitler's Willing Executioners
[83]
웹사이트
Soviet Prisoners of War: Forgotten Nazi Victims of World War II
https://web.archive.[...]
Historynet.com
2012-04-14
[84]
서적
Europe at War 1939–1945: No Simple Victory
Pan Books
[85]
웹사이트
Report at the session of the Russian association of WWII historians in 1998
https://web.archive.[...]
Gpw.tellur.ru
2012-04-14
[86]
서적
The Third Reich – A New History
https://archive.org/[...]
Hill and Wang
[87]
웹사이트
Part VIII: Execution of the convention #Section I: General provisions
http://www.icrc.org/[...]
2007-11-29
[88]
서적
Stalingrad
Penguin
[89]
서적
Order within Anarchy: The Laws of War as an International Institution
[90]
웹사이트
Prizonieri de război sovietici în România (1941–1944)
https://alesandrudut[...]
2015-11-25
[91]
웹사이트
1943 – 1944. Prizonieri de război americani și englezi în România
https://alesandrudut[...]
2015-08-02
[92]
웹사이트
Prizonierii americani în "colivia de aur" de la Timișu de Jos
https://historia.ro/[...]
2024-03-29
[93]
웹사이트
Operatiunea Reunion (I)
https://www.iar80fly[...]
2022-10-28
[94]
웹사이트
No. 40 Squadron Wellington X ME990 -R F/O. Lawrence Franklin Tichborne
https://aircrewremem[...]
2018-10
[95]
웹사이트
German POWs and the Art of Survival
https://web.archive.[...]
Historynet.com
2012-04-14
[96]
웹사이트
German POWs in Allied Hands – World War II
https://web.archive.[...]
Worldwar2database.com
2012-04-14
[97]
간행물
The Katyn Controversy: Stalin's Killing Field
https://web.archive.[...]
1999-00
[98]
웹사이트
Polish deportees in the Soviet Union
https://web.archive.[...]
Wajszczuk.v.pl
2012-04-14
[99]
서적
Livre noir du Communisme: crimes, terreur, répress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00]
뉴스
시베리아 억류, 노출에 76만 명분의 자료 군사공문서관에서 카드 발견
https://web.archive.[...]
2009-09-21
[101]
뉴스
Japanese POW group says files on over 500,000 held in Moscow
http://news.bbc.co.u[...]
BBC News
1998-03-07
[102]
간행물
UN Press Release
http://www.unhchr.ch[...]
Commission on Human Rights
2000-04-13
[103]
서적
POW in the USSR 1939–1956: Documents and Materials
http://www.auditoriu[...]
Logos Publishers
2000
[104]
서적
Gulag: A History
http://www.anneapple[...]
Doubleday
2003-04
[105]
간행물
POW/MIA Issues: Volume 2, World War II and the Early Cold War
https://www.rand.org[...]
National Defense Research Institute. RAND Corporation
1994
[106]
간행물
Histoires oubliées – Interprogrammes : Des prisonniers spéciaux
Bibliothèque et Archives Canada
2008-07-20
[10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Oxford University Press
[108]
논문
"Americans, Germans, and War Crimes: Converging Narratives from "the Good War""
http://www.historyco[...]
2008-03
[109]
웹사이트
How Britain's German-born Jewish 'secret listeners' helped win World War II
https://www.timesofi[...]
[110]
웹사이트
History of Prisoner of War Utilization by the United States Army 1776–1945
https://history.army[...]
2020-08-16
[111]
잡지
Ike's Revenge?
http://www.time.com/[...]
2010-05-22
[112]
논문
The Treatment of Prisoners of War in World War II
1994-09
[113]
문서
Footnote to: K. W. Bohme, Zur Geschichte der deutschen Kriegsgefangenen des Zweiten Weltkrieges, 15 vols. (Munich, 1962–74), 1, pt. 1:x. (n. 1 above), 13:173; ICRC (n. 12 above), p. 334.
[114]
문서
Die deutschen Kriegsgefangenen in britischer Hand – ein Überblick [The German Prisoners of War in British Hands – An Overview] (in German)
2008
[115]
문서
The Trial of the Germans: An Account of the Twenty-Two Defendants Before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at Nuremberg
1997
[116]
서적
German migrants in post-war Britain: an enemy embra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12-15
[117]
뉴스
The secrets of the London Cage
https://www.theguard[...]
2009-01-17
[118]
웹사이트
ICRC in WW II: German prisoners of war in Allied hands
http://www.icrc.org/[...]
ICRC
2005-02-02
[119]
뉴스
Ex-Death Camp Tells Story of Nazi and Soviet Horrors
2001-12-17
[120]
뉴스
Ex-Death Camp Tells Story of Nazi and Soviet Horrors
https://www.nytimes.[...]
2013-12-30
[121]
뉴스
Ex-Death Camp Tells Story of Nazi and Soviet Horrors
https://query.nytime[...]
2001-12-17
[122]
문서
The American Occupation of Germany
[123]
논문
"Prisoner Taking and Prisoner Killing in the Age of Total War: Towards a Political Economy of Military Defeat"
2004
[124]
서적
Legal Modernism
Univ of Michigan Press
[125]
웹사이트
The Legacy of Nuremberg
https://www.pbs.org/[...]
PBS
[126]
웹사이트
Hungarian Prisoners-of-War In French Captivity 1945–1947
http://www.hungarian[...]
[127]
뉴스
Hungarian POW identified
http://news.bbc.co.u[...]
2016-12-11
[128]
서적
Victory in the Pacific, 1945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9]
웹사이트
Battle of Saipan
http://www.historyne[...]
[130]
뉴스
American troops 'murdered Japanese PoWs'
https://www.telegrap[...]
[131]
뉴스
Photos document brutality in Shanghai
http://edition.cnn.c[...]
CNN
2010-06-08
[132]
웹사이트
CNN
http://edition.cnn.c[...]
1996-09-23
[133]
웹사이트
CNN
http://edition.cnn.c[...]
1996-09-23
[134]
서적
Insolvibile Isabella, Wops. I prigionieri italiani in Gran Bretagna
Edizioni Scientifiche Italiane
[135]
웹사이트
Repatriation – The Dark Side of World War II
http://www.fff.org/f[...]
Fff.org
2012-04-14
[136]
웹사이트
Forced Repatriation to the Soviet Union: The Secret Betrayal
http://www.hillsdale[...]
Hillsdale.edu
2012-04-14
[137]
웹사이트
Chinese operated three types of POW camps for Americans during the Korean War
http://www.kpows.com[...]
2013-03-30
[138]
문서
Adams, (2007), p. 62.
[139]
서적
An American Dream: The Life of an African American Soldier and POW who Spent Twelve Years in Communist Chin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40]
서적
Trap Door to the Dark Side
https://books.google[...]
[141]
간행물
In South Vietnamese Jails
http://www.nybooks.c[...]
2009-11-30
[142]
뉴스
Were Korean War POWs Sent to U.S.S.R? New Evidence Surfaces: Probe: Former Marine corporal spent 33 months as a prisoner and was interrogated by Soviet agents who thought he was a pilot
https://www.latimes.[...]
1993-08-29
[143]
웹사이트
pp 26–33 Transfer of U.S. Korean War POWs To the Soviet Union
http://www.nationala[...]
2014-05-24
[144]
웹사이트
USSR
http://www.taskforce[...]
2014-05-24
[145]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India's Decision to Release 93,000 Pakistani POWs After 1971 War
https://thewire.in/h[...]
2024-05-14
[146]
웹사이트
Falkland Islands: a gentleman's war
https://www.upi.com/[...]
[147]
웹사이트
war story: Rhonda Cornum
https://www.pbs.org/[...]
PBS
2009-06-24
[148]
뉴스
Two Chinese prisoners from '62 war repatriated
http://www.washtimes[...]
The Washington Times
[149]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Briefly Noted; Iran-Iraq Prisoner Deal
https://query.nytime[...]
2012-04-14
[150]
웹사이트
Ukraine / Russia: Prisoners of war
https://www.ohchr.or[...]
2023-04-09
[151]
서적
Barbarossa: The Russian-Geran Conflict 1941–1945
[152]
서적
'Die Rheinwiesenlager 1945'
Militärgeschichtlichen Forschungsamtes
1995
[153]
서적
Die deutschen Kriegsgefangenen in Jugoslawien
1976
[154]
웹사이트
Kriegsgefangene: Viele kamen nicht zurück
https://www.stern.de[...]
Stern.de – Politik
2012-04-14
[155]
서적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
Greenhill Books, London
1997
[156]
서적
亚洲的奥斯威辛: 日军侵华集中营揭秘
2007
[157]
문서
1949年のジュネーヴ第3条約 第4条A(1)
[158]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国際連合憲章
https://www.mod.go.j[...]
2022-10-28
[159]
문서
捕虜の定義は、1907年のハーグ陸戦条約附属規則では第1条 - 第3条、1929年の俘虜の待遇に関する条約では第1条、1949年のジュネーヴ第3条約では第4条にある。
[160]
문서
俘虜
[161]
문서
ただし日露戦争期から「捕虜」という用語が軍史料で使われることもあり、俘虜と捕虜の比率は変化している。
[162]
웹사이트
甲5套大日記 裁判所伺 水夫末松善藏外1名処分の件
https://www.jacar.ar[...]
2022-08-31
[163]
웹사이트
石川1等軍医正 賊の捕虜になった者の殺害に関する通知の通報
https://www.jacar.ar[...]
2022-08-31
[164]
문서
マーワルディー『統治の諸規則』(2006)pp.312-
[165]
간행물
イスラム世界
社団法人日本イスラム協会
1287-03
[166]
문서
ファイ
[167]
문서
ガニーマ
[168]
문서
マーワルディー『統治の諸規則』(2006)pp.324-325
[169]
문서
ブハーリー『真正集』遠征の書、第61章2節。
[170]
문서
アハメド(2000)pp.123-125
[171]
뉴스
『東京新聞』特報2004年11月1日付
[172]
웹사이트
捕虜への尋問 文化遺産オンライン
https://bunka.nii.ac[...]
2024-11-20
[173]
문서
「陸軍大臣ヨリ 松山及丸亀二俘虜収容所設置ノ旨通知」(明治37年2月12日)『俘虜ニ関スル書類綴』大本営陸軍副官部、防衛研究所所蔵。
[174]
서적
ロシア兵捕虜が歩いたマツヤマ
https://www.worldcat[...]
愛媛新聞社
2005
[175]
문서
姫路収容所については、公式史料には現れていない施設が近年新たに見つかっている。[https://mainichi.jp/articles/20180622/ddl/k28/040/516000c]
[176]
서적
日露戦争裏面史
私家版
[177]
간행물
日露戦争になける日本兵捕虜についての一考察
https://hdl.handle.n[...]
信州大学人文学部
1988-03
[178]
간행물
日露戦争の捕虜収容所をめぐる競合規範の間隙
https://hdl.handle.n[...]
立命館大学政策科学会
2012-03
[179]
서적
地域のなかの軍隊 7巻 植民地 帝国支配の最前線
https://id.ndl.go.jp[...]
吉川弘文館
2015
[180]
간행물
日本はロシア捕虜をいかに扱ったか :捕虜収容所の生活と待遇
https://id.ndl.go.jp[...]
産経新聞社
2004-12
[181]
서적
Matsuyama Horyo Shūyōjo nikki : Roshia shōkō no mita Meiji Nihon
https://www.worldcat[...]
Chūō Kōronsha
1988
[182]
서적
Roshia-hei horyo ga aruita Matsuyama : Nichi-Ro Sensō ka no kokusai koryū
https://www.worldcat[...]
Ehime Shinbunsha
2005
[183]
문서
『マツヤマの記憶』
[184]
웹사이트
資料公開
https://researchmap.[...]
Researchmap
2022-08-04
[185]
서적
2005年度 松山ロシア兵捕虜収容所研究
松山市
[186]
서적
明治三十七八年戦役俘虜取扱顛末
https://dl.ndl.go.jp[...]
有斐閣
[187]
서적
松山収容所
中央公論社
[188]
서적
明治三十七八年戰役陸軍省軍務局砲兵課業務詳報
私製
[189]
웹사이트
日露戦争で収容「捕虜でなく人間」 ロシア兵の手紙、母国の新聞に
https://www.kobe-np.[...]
神戸新聞
2019-05-08
[190]
문서
大日本陸軍副官部『明治37年12月ヨリ明治39年5月マテノ分 俘虜ニ関スル書類綴』
[191]
웹사이트
Highlights from the Archives
https://fanningthefl[...]
2022-08-19
[192]
웹사이트
日露戦争捕虜収容所関係絵葉書帖 – Hokkaido University Library (hokudai.ac.jp)
https://www.lib.hoku[...]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193]
문서
"646 дней въ плieну у японцевъ / Г. Селецкiй, In-house reproduction:Reprinted by xerography. Ogirinally published: С.-Петербургъ : В. Березовскiй, 1910"
[194]
웹사이트
【松山編】松山に残るロシアとの絆 ー映画化により注目されるスポットを巡るー
https://www.iyoirc.j[...]
IRC|株式会社いよぎん地域経済研究センター
2022-08-23
[195]
웹사이트
二之丸史跡庭園
https://www.matsuyam[...]
恋人の聖地 {{!}} 松山城
2022-08-19
[196]
웹사이트
誓いのコイン:坊っちゃん劇場 - BOTCHAN THEATER
https://www.botchan.[...]
2022-08-19
[197]
웹사이트
徳島の写真家と元ロシア兵捕虜のひ孫 100年の時経て交流 県内収容時の写真が縁 | BUSINESS LIVE (shikoku-np.co.jp)
https://www.shikoku-[...]
[198]
웹사이트
ビーツでまちおこし! 姫路とロシア兵の縁とは…
https://www.kobe-np.[...]
おでかけトピック {{!}} 兵庫おでかけプラス {{!}} 神戸新聞NEXT
2022-08-19
[199]
간행물
「郷土の帰化植物」
[200]
웹사이트
愛媛県の姫だるまがマトリョーシカの起源?神㓛天皇がモデルとされる説も
https://dogoehime.co[...]
2022-08-19
[201]
간행물
愛媛Gianotti病顛末記
https://doi.org/10.2[...]
日本肝臓学会
[202]
문서
秦郁彦「南京事件」中公新書,p193
[203]
문서
p.153『日本軍は本当に残酷だったのか』丸谷元人 2014年
[204]
웹사이트
World War II -- prisoners of war POWs Japan
https://histclo.com/[...]
2022-04-08
[205]
뉴스
捕虜の1割が死亡 全国にあった収容所のこと、書き残す [戦後75年特集]: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0-10-07
[206]
웹사이트
近代史跡・戦跡紀行~慰霊巡拝 戦跡紀行ネット ‐日本の近代と慰霊の地を巡る‐ 平和観音と平和島(大森捕虜収容所跡)
https://senseki-kiko[...]
近代史跡・戦跡紀行~慰霊巡拝.
2023-03-24
[207]
웹사이트
直江津捕虜収容所跡地 平和記念公園・展示館
https://www.city.joe[...]
新潟県上越市
2023-03-24
[208]
웹사이트
■ 『シベリア鎮魂歌――香月泰男の世界』 こんなにも静かな痛哭の絵があったのだ (2004.9.24)
http://www.kana-smar[...]
http://www.kana-smart.sakura.ne.jp/ (指揮者 大野和士)
2023-03-24
[209]
웹사이트
北、韓国兵捕虜を「奴隷化」 子孫の代まで搾取 人権団体報告
https://www.afpbb.co[...]
AFP
2021-02-25
[210]
뉴스
日本でもモザイクなしで… ウクライナ公開のロシア兵捕虜の動画は「国際法違反」人権団体が声明
https://www.buzzfeed[...]
バズフィード
2022-03-18
[211]
조약
1949년 제네바 제3 협약 제4조 A (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