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스지드 느가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스지드 느가르는 1965년에 개관한 말레이시아의 국립 모스크이다. 말라야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국가 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다. 18각형 지붕과 72m 높이의 미나레트가 특징이며, 전통 이슬람 예술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1988년 술탄 살라후딘 압둘 아지즈 모스크가 완공되기 전까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모스크였으며, 인근에는 말레이시아 무슬림 지도자들의 묘지인 마캄 팔라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알라룸푸르의 모스크 - 자멕 모스크
    자멕 모스크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 역사적인 이슬람 사원으로, 1909년 개장 이후 국립 모스크 완공 전까지 주요 모스크 역할을 했으며, 클랑 강과 곰박 강 합류 지점에 무어 양식, 인도-사라센 양식, 또는 무굴 양식으로 건축되었다.
  • 1965년 완공된 건축물 - 국립고궁박물원
    국립고궁박물원은 1993년 개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박물관으로, 궁중 유물을 전시하며 6만 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지만 소유권 분쟁 등의 논란도 존재한다.
  • 1965년 완공된 건축물 - 토론토 시청사
    토론토 시청사는 1965년 완공된 핀란드 건축가 빌요 레벨의 설계로 지어진 독특한 외관의 시 정부 청사로, 건설 과정에서 차이나타운 철거 논란이 있었지만 현재는 네이선 필립스 광장과 함께 시민들의 공공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근대 건축 - 바우하우스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가 독일 바이마르에 설립한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중심으로 예술 분야를 통합하고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는 디자인 양식을 추구한 예술 학교로, 나치 정권의 탄압으로 폐교되었으나 그 이념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 근대 건축 - 아돌포 수아레스 마드리드 바라하스 공항
    아돌포 수아레스 마드리드-바라하스 공항은 1931년 개항한 스페인 마드리드의 국제공항으로, 확장과 현대화를 거쳐 현재는 5개의 여객터미널과 4개의 활주로를 갖춘 유럽의 주요 허브 공항이며, 2014년 아돌포 수아레스의 이름을 따 명칭이 변경되었다.
마스지드 느가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말레이시아 국립 모스크
종교수니 이슬람
위치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건축
건축가Howard Ashley, 및 Dato Baharuddin Abu Kassim
완공1965년
규모
수용 인원15,000명
기타 정보

2. 역사

마스지드 느가라는 1961년 정부가 매입한 베닝 로드 브레드런 복음관 부지에 건설되었다. 교회는 이전을 위해 잘란 임비(Jalan Imbi)에 토지를 제공받았으며, 현재는 잘란 임비 채플(Jalan Imbi Chapel)로 알려져 있다.[1] 말레이시아 공공 사업부의 3인 팀(영국 건축가 하워드 애슐리, 말레이시아인 Ikmal Hisham Albakri|이크말 히샴 알바크리ms와 바하루딘 카심)이 원래 구조를 설계했으며, 1963년에 시작된 모스크 건설 담당 엔지니어는 앤토니 모리스였다. 1965년 8월 27일 금요일, 제3대 양 디-퍼르투안 아궁인 페를리스의 고 투안쿠 사이드 푸트라에 의해 개관되었다.

1987년에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거쳐 한때 분홍색이었던 콘크리트 지붕은 현재 녹색과 파란색 타일로 덮였다. 2015년 8월 27일, 마스지드 느가라는 금자경축 (50주년)을 기념했다.

이 모스크는 1988년 샤알람술탄 살라후딘 압둘 아지즈 모스크가 완공되기 전까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모스크였다.[2]

2. 1. 건립 배경

말라야는 1957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신정부에 발맞춰 경제, 사회, 건축 분야에서 주요 개발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프로그램들은 새로운 진보적인 문화를 보여주고 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1957년 7월 30일 연방 행정 위원회 회의에서 국가 독립의 상징으로 국립 모스크를 건설하자는 아이디어가 제기되었다. 1958년 3월 5일, 말라야 연방 11개 주의 수상이 참석한 회의에서, 독립을 이끌어 낸 툰쿠 압둘 라만 총리의 노고를 기리기 위해 모스크의 이름을 마스지드 툰쿠 압둘 라만 푸트라 알 하지로 명명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그러나 툰쿠는 이 영예를 거절했다. 그는 유혈 사태 없이 평화롭게 독립을 쟁취한 것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마스지드 느가라(Masjid Negara)로 명명했다.[1]

2. 2. 건설 과정

말라야가 1957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신정부는 경제, 사회, 건축 분야에서 주요 개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다. 이는 새로운 진보적인 문화를 보여주고 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함이었다. 1957년 7월 30일 연방 행정 위원회 회의에서 국가 독립의 상징으로 국립 모스크를 건설하자는 아이디어가 제기되었다. 1958년 3월 5일, 말라야 연방 11개 주의 수상이 참석한 회의에서 모스크의 이름을 툰쿠 압둘 라만 푸트라 알 하지로 명명하자는 제안이 나왔으나, 툰쿠는 이를 거절하고 평화롭게 독립을 쟁취한 것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마스지드 느가라(Masjid Negara)로 명명했다.[1]

모스크는 1961년 정부가 매입한 베닝 로드 브레드런 복음관 부지에 건설되었다. 교회는 교체를 위해 잘란 임비(Jalan Imbi)에 토지를 제공받았으며, 현재는 잘란 임비 채플(Jalan Imbi Chapel)로 알려져 있다.[1] 모스크의 원래 구조는 말레이시아 공공 사업부의 3인 팀(영국의 건축가 하워드 애슐리, 말레이시아인 와 바하루딘 카심)이 설계했다. 1963년에 시작된 모스크 건설을 담당한 엔지니어는 앤토니 모리스였다. 1960년에 착공하여 1965년에 준공되었다.[4] 1965년 8월 27일 금요일, 모스크는 제3대 양 디-퍼르투안 아궁인 페를리스의 고 투안쿠 사이드 푸트라에 의해 개관되었다.

1987년에 모스크는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거쳐 한때 분홍색이었던 콘크리트 지붕은 현재 녹색과 파란색 타일로 덮여 있다. 오늘날, 마스지드 느가라는 쿠알라룸푸르의 스카이라인에 맞춰 세련되고 스타일리시하게 서 있다. 지하 통로는 잘란 술탄 히샴무딘을 따라 쿠알라룸푸르 기차역 근처에 위치한 국립 모스크로 연결된다. 독특한 현대적인 디자인은 전통 이슬람 예술의 서예와 장식을 현대적으로 표현한다. 모스크 근처에는 여러 말레이시아 무슬림 지도자들의 묘지인 마캄 팔라완 (영웅 묘소)이 있다. 마캄 팔라완은 7각형 별 모양의 콘크리트 지붕 구조물이다.

이 모스크는 1988년 샤알람술탄 살라후딘 압둘 아지즈 모스크가 완공되기 전까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모스크였다.[2]

2. 3. 개보수

1987년에 모스크는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거쳤으며, 한때 분홍색이었던 콘크리트 지붕은 현재 녹색과 파란색 타일로 덮여 있다. 오늘날 마스지드 느가라는 쿠알라룸푸르의 스카이라인에 맞춰 세련되고 현대적인 모습으로 서 있다. 지하 통로는 잘란 술탄 히샴무딘을 따라 쿠알라룸푸르 기차역 근처에 위치한 국립 모스크로 연결된다. 독특한 현대적인 디자인은 전통 이슬람 예술의 서예와 장식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모스크 근처에는 여러 말레이시아 무슬림 지도자들의 묘지인 마캄 팔라완 (영웅 묘소)이 있는데, 7각형 별 모양의 콘크리트 지붕 구조물이다.[1]

3. 건축 특징

마스지드 느가르는 말레이시아가 소유한 13개의 지방 행정 구역과 이슬람교의 다섯 기둥을 상징하는 18각형의 직선적인 물빛 금속 지붕이 돋보이는 백색을 기조로 한 건물이다. 연못 중심에 떠 있는 듯한 초현대적인 예배당에는 8,00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다.[4] 72m 높이의 뾰족한 백색 미나레트 (첨탑) 외에도 이슬람 서적 도서관, 회의실 등이 있다. 1960년에 착공하여 1965년에 준공된 말레이시아 국내 최대 규모의 모스크이다.

3. 1. 마캄 팔라완 (영웅 묘역)

마캄 팔라완(Makam Pahlawan)은 말레이시아 역대 지도자들의 묘역이다.[4]

4. 역대 이맘

취임 년도이맘
1965가잘리 압둘라
모흐 살레 하산 파리드
1974-1975셰이크 압둘 모흐신 빈 살레
1975-1980아흐마드 샤히르 빈 다우드
1981-1983아부 하산 빈 딘 알-하피즈
1984-1992아흐마드 샤히르 빈 다우드
1992-1993아리핀 하룬
1993-1999타이바잠데엔 빈 모드 타이브
1999-2001A. 잘릴 빈 신드링 @ 프란게랑
2001-2004완 할림 빈 완 하룬
2005-2006카마루딘 빈 자카리아
2007-2019탄 스리 다토 스리 하지 이스마일 빈 하지 무하마드
2020-현재하지 에산 빈 모흐드 호스니


5. 교통

쿠알라룸푸르 중앙역에서 도보로 이동할 수 있으며, KTM 코뮤터와 파사르 세니역에서 켈라나 자야 선과 카장 선 메트로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말레이 철도의 쿠알라룸푸르 역에서도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무료 고 KL 시티 버스(빨간색 노선)는 마스지드 느가르에 정차한다.[3]

참조

[1] 뉴스 Named after church leader https://www.thestar.[...] 2013-09-27
[2] 웹사이트 KL Heritage Trail: Masjid Negara−National Mosque https://archive.toda[...] 2024-02-07
[3] PDF http://www.spad.gov.[...] 2022-03
[4] 서적 ことりっぷ 海外版 クアラルンプール マレーシア 昭文社
[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brethrenp[...] 2015-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