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립고궁박물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고궁박물원은 1993년 '조선왕조 궁중유물전시관'으로 개관하여 201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박물관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덕수궁과 창경궁에서 관리, 전시되던 궁중 유물을 전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현재 타이베이 스린구에 본관을 두고 있으며, 6만 점이 넘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중국 전통 양식의 정원인 지선원과 장대천 거주지가 있으며, 남부 분원도 운영하고 있다. 국립고궁박물원은 약 70만 점의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청동기, 도자기, 옥, 회화, 서예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그러나 소유권 분쟁, 안전 문제, 불법 유물 취득 등의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미술관 - 주밍 미술관
    주밍 미술관은 대만 조각가 주밍이 자신의 작품과 소장품을 전시하기 위해 1999년에 개관한 11 헥타르 규모의 야외 미술관으로, 그의 작품은 물론 스승과 아들의 작품, 국내외 유명 예술가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국제박물관협의회로부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 1965년 설립된 미술관 - 이스라엘 미술 정보 센터
    이스라엘 미술 정보 센터는 1975년부터 이스라엘 미술 관련 기록을 보존해 온 기관으로, 예술가 파일과 주요 아카이브를 소장하고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온라인으로 이스라엘 미술 정보를 제공한다.
  • 1965년 설립된 미술관 -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은 1961년 설립되어 12만 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한 로스앤젤레스의 미술관으로, 페터 춤토르의 설계로 2026년 개관을 목표로 새로운 건물 건설이 진행 중이며, 다양한 분야의 작품 소장 및 지역 사회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대만의 국립박물관 - 국군역사문물관
    국군역사문물관은 한국 군대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해 온 박물관으로, 1995년 설립되어 2010년 재개관했으나 2021년 폐관되었으며, 국립국가군사박물관으로 법통이 계승될 예정이고, 국민혁명군, 육해공군, 장제스 관련 유품 및 일본군 노획물 등을 전시하며, M47 전차 포신 파손, 박격포탄 폭발, 김규식 선생 친필 위조, 장푸첸 강간 살해 사건 등의 사건 사고가 있었다.
  • 대만의 국립박물관 - 921지진교육원구
    921지진교육원구는 1999년 대만 921 대지진 이후 재난 교육과 대비를 목적으로 설립된 박물관으로, 차룽푸 단층 갤러리, 지진 공학관, 방재관 등 다양한 시설을 통해 지진의 위력과 대처 요령을 교육하고 재난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한다.
국립고궁박물원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국립고궁박물원, 타이베이, [[타이완]]
국립고궁박물원, 타이베이, 타이완
공식 명칭국립고궁박물원
원어 명칭國立故宮博物院
로마자 표기Guólì Gùgōng Bówùyuàn
다른 이름타이베이 고궁
타이완 고궁
위치타이베이시 스린 구
종류국립 박물관
소장품 수698,887점 (2024년 11월 기준)
방문객 수북부 분관: 3,832,373명 (2019년)
원장샤오 쭝-황
건축가황 바오위 (북부 분관)
크리스 야오 (남부 분관)
대중교통스린 구
웹사이트국립고궁박물원 공식 웹사이트
역사
설립1925년 10월 10일 (베이징 자금성)
전신국립 북평 고궁 박물원
국립 중앙 박물원
기타 정보
관련 정보전(前) 고궁 박물관장은 베이징에서 컨설팅 직책을 맡다

2. 연혁

1925년 10월 10일 베이징에서 고궁박물원이 개관하였다.[7][8] 1928년 국민당 정부가 북벌 성공으로 고궁박물원을 접수하였다. 1933년 일본군에 의해 산해관이 함락되자, 박물원 소장품을 상하이로 옮겼다. 1934년 고궁박물원이 중화민국 행정원의 직속 기관으로 편입되었다. 1945년 일본의 패망으로 고궁박물원은 베이징으로 복귀하였다. 1948년 국공 내전이 국민당에게 불리하게 돌아가자 유물들을 타이완으로 옮겨, 타이중 등지에 일시 보관하였다. 1965년 11월 12일 타이베이에서 재개관하였다.

2. 1. 중국 대륙 시기 (1925-1949)

1925년 10월 10일 베이징에서 고궁박물원이 개관하였다.[7][8] 1928년 국민당 정부가 북벌 성공으로 고궁박물원을 접수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 직후, 국민정부는 박물관의 가장 귀중한 물품들을 일본군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도시 밖으로 대피할 준비를 명령했다. 1933년 일본군에 의해 산해관이 함락되자, 1933년 2월 6일부터 5월 15일까지 고궁박물관의 13,491개의 상자와 고대 유물 전시실, 이화원한림원의 6,066개의 상자들이 5개 그룹으로 상하이로 옮겨졌다.[9] 1934년 고궁박물원이 중화민국 행정원의 직속 기관으로 편입되었다.

1930년대 국립고궁박물원 보물의 이동


1936년, 도교 사찰 초천궁에 저장소 건설이 완료된 후 소장품은 난징으로 옮겨졌다.[10] 중일전쟁 동안 일본군이 내륙으로 더 진격함에 따라, 소장품은 세 개의 경로를 통해 안순과 러산을 포함한 여러 장소로 서쪽으로 이동되었고, 1945년 일본의 항복까지 이어졌다. 1947년, 난징의 창고로 다시 반송되었다.

1948년 국공 내전이 국민당에게 불리하게 돌아가자 유물들을 타이완으로 옮겼다.

2. 2. 타이완 이전 및 재개관 (1949-현재)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중국 국공 내전이 재개되었고, 장제스는 중화민국에 이양된 타이완으로 예술품을 후송하기로 결정했다. 1948년 중국 인민해방군중화민국 국군 간의 전투가 악화되자, 국립 베이징 고궁 박물원을 비롯한 5개 기관은 가장 귀중한 유물들을 타이완으로 보내기로 결정했다.[11] 1948년 12월부터 1949년 2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난징에서 타이완 기륭 항구로 소장품을 운반했다. 유물들이 타이완에 도착했을 무렵, 공산군은 이미 베이징의 국립 고궁 박물원 소장품을 장악했기 때문에 모든 소장품을 타이완으로 보낼 수는 없었다. 금지된 도시에서 타이완으로 옮겨진 2,972개의 유물 상자는 원래 남쪽으로 운반된 상자의 22%에 불과했지만, 그 유물들은 소장품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들 중 일부였다.[11]

1948년부터 1949년 사이 난징에서 기륭으로의 세 차례 운송[11]
기관운송 상자 수총계
1차2차3차
국립 베이징 고궁 박물원3201,6809722,972
국립 중앙 박물관212486154852
국립 중앙 도서관60462122644
중앙연구원 역사·철학연구소120856976
외교부6060
국립 베이징 도서관1818
총계7723,5021,2485,522



국립 베이징 고궁 박물원, 국립 중앙 박물관 준비처, 국립 중앙 도서관, 국립 베이징 도서관의 소장품은 타이완 해협을 건너 양매의 철도 창고에 보관되었다가 나중에 타이중 근처의 사탕수수 제당으로 옮겨졌다.[11] 1949년, 행정원은 국립 베이징 고궁 박물원, 국립 중앙 박물관 준비처, 국립 중앙 도서관의 공동 관리 사무소를 설립하여 소장품 관리를 감독했다.[7] 보안상의 이유로, 공동 관리 사무소는 우펑에 위치한 북구라는 산골 마을을 새로운 소장품 보관 장소로 선택했다.[11] 이듬해, 사탕수수 제당에 보관된 소장품은 북구의 새로운 장소로 옮겨졌다.[12]

국립 중앙 도서관이 1955년에 재개관하면서 국립 베이징 도서관의 소장품은 동시에 국립 중앙 도서관에 통합되었다.[11] 국립 베이징 고궁 박물원과 국립 중앙 박물관 준비처의 공동 관리 사무소는 10년 동안 북구에 남아 있었다. 1957년 3월에 개관한 전시관은 4개의 갤러리로 나뉘어 200점 이상의 유물을 전시할 수 있었다.

1960년 가을, 사무소는 미국 국제개발처로부터 의 보조금을 받았다.[13] 중화민국 정부도 타이베이 교외에 박물관을 건립하기 위한 특별 기금으로 3,000만 NTD 이상을 지원했다. 1965년 8월 타이베이 시 외솽시에 박물관 건설이 완료되었다.[8] 새로운 박물관 부지는 쑨원을 기리기 위해 "중산 박물관"으로 명명되었으며, 1965년 11월 12일 쑨원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그 이후로 타이베이의 박물관은 국립 베이징 고궁 박물원과 국립 중앙 박물관 준비처의 소장품을 관리, 보존 및 전시해 왔다.

국공 내전이 격화되면서 중화민국 정부의 상황이 불리해지자, 1948년 가을부터 중화민국 정부는 국립 베이징 고궁 박물원에서 1급 소장품을 엄선하여 타이완으로 반출하였다.[70] 1949년 1월에는 제2진으로 3,502상자의 유물을, 같은 달 제3진으로 1,251상자의 유물을 타이완으로 반출하였다.[70]

따라서 국립 베이징 고궁 박물원의 소장품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과 중화민국 타이베이 시의 두 곳에 나뉘어 전시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소장품 일부는 국공 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의 혼란으로 인해 베이징으로 돌아올 수 없어 현재도 난징 박물관의 관할 하에 난징 시에 보관되어 있다.

대만으로 옮겨진 중국의 국보는 처음에는 타이중 시 우펑구의 유물 창고에 보관되었다. 1957년 3월에는 베이거우의 전시실에서 일반 공개를 시작했다. 그 후 중화민국 정부는 베이거우 지역이 외진 곳에 위치하여 국내외 관람객을 모으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1965년 8월 타이베이 시 외솽시에 타이베이 신관을 준공하고 같은 해 11월 12일에 일반 공개하였다.[70]

3. 주요 시설

지선원


지덕원


국립고궁박물원 경내에는 중국 전통 양식의 정원인 지선원(至善園)이 있다. 지선원은 송나라명나라 시대 정원 양식을 따랐으며, 면적은 1.88ha이다.[23] 풍수, 중국 건축, 수리 시설, 조경 디자인, 중국 민속 등 다양한 분야의 원칙을 통합하여 설계되었으며, 내부에 여러 연못, 수로, 목조 정자가 있다. 1985년에 완공되어 개장하였고, 인근에는 쌍계공원 및 중국식 정원(雙溪公園 및 中國式庭園)이라는 또 다른 중국식 정원이 있다.

타이완 자이현 타이바오시에는 국립고궁박물원 남부 분원이 있다. 70ha 면적의 부지에 호수와 아시아 양식의 정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2000년에 건립이 계획되어[25] 2015년 12월 28일에 개관하였다.

3. 1. 북부 원구 (타이베이)

1949년 중국 국공 내전에서 공산당이 승리하고 국민당이 타이완으로 후퇴하면서, 장제스는 귀중한 유물들을 타이완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11] 항리우는 1948년 12월부터 1949년 2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유물을 난징에서 지룽 항구로 운반했다.[11] 당시 공산군이 이미 북경의 국립 고궁 박물원 소장품을 장악했기 때문에 모든 소장품을 옮길 수는 없었지만, 옮겨진 2,972점의 유물은 소장품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것들이었다.

1948년부터 1949년 사이 난징에서 지룽으로의 세 차례 운송[11]
기관1차2차3차총계
국립 북경 고궁 박물원3201,6809722,972
국립 중앙 박물관212486154852
국립 중앙 도서관60462122644
중앙연구원 역사·철학연구소120856976
외교부6060
국립 북경 도서관1818
총계7723,5021,2485,522



타이완 해협을 건넌 유물들은 처음에는 양메이의 철도 창고에, 나중에는 타이중 근처의 사탕수수 제당에 보관되었다.[11] 1949년 행정원은 소장품 관리를 위해 공동 관리 사무소를 설립하고, 우펑의 북구(北溝)를 새로운 보관 장소로 선택했다.[7][11] 1950년 사탕수수 제당에 보관된 소장품이 북구로 옮겨졌다.[12]

1955년 국립 중앙 도서관이 재개관하면서 국립 북경 도서관의 소장품이 통합되었다.[11] 공동 관리 사무소는 1956년 봄 아시아 재단의 지원을 받아 소규모 전시관을 건립했고, 1957년 3월에 개관하여 200점 이상의 유물을 전시했다.

1960년 가을, 사무소는 미국 국제개발처와 중화민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타이베이 외환시(外雙溪)에 박물관을 건립하기 시작했다.[13] 1965년 8월에 완공된 새로운 박물관은 쑨원을 기리기 위해 "중산 박물관(中山博物院)"으로 명명되었으며, 쑨원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국립고궁박물원 북부 분관의 중앙홀


국립고궁박물원의 타이베이 본관은 황보유가 설계했으며, 1964년 3월부터 1965년 8월까지 건설되었다.[14][15] 1967년, 1970년, 1984년, 1996년에 걸쳐 전시 공간 부족으로 증축 공사가 이루어졌다.[16] 2002년에는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를 통해 박물관을 더욱 넓고 현대적으로 만들었으며, 2007년 2월에 공식적으로 재개관하였다.[14][17][18][19]

회화와 서예의 상설 전시는 3개월마다 한 번씩 교체되며,[20] 한 번에 약 3,000점의 소장품이 전시된다.[21]

국립고궁박물원 부지 안에는 면적 1.88ha의 중국 전통 양식 정원인 지선원(至善園)이 있다.[23] 1985년에 완공 및 개장한 지선원은 수많은 연못, 수로 및 목조 정자를 갖추고 있다. 근처에는 또 다른 중국식 정원인 쌍계공원 및 중국식 정원(雙溪公園 및 中國式庭園)이 있다.

국립고궁박물원은 타이베이 스린구에 있는 장다첸의 거주지도 관리하고 있다. 1976년에 착공하여 1978년에 완공된 장대천 거주지는 약 1,911m2 면적의 중국식 정원을 갖춘 2층 건물이다.[24] 1983년 장대천 사후 국립고궁박물원에 기증되어 박물관 겸 기념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타이베이시의 국립고궁박물원은 타이완 타이베이시 북부 스린구에 있으며, 주변은 고급 주택가이다. 이 박물원에는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옮겨올 당시 국립북경고궁박물원에서 엄선한 미술품 6만 점이 주로 전시되어 있다.[71]

이 박물원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일어난 문화대혁명으로부터 귀중한 역사적 유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동시에 중화민국 정부가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상징하고, 타이완에서 중화민족주의를 강조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이용되었다.

200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 고궁박물원과 최초의 공동 전시회인 "옹정제 - 청·세종 문물 대전"을 개최했다.[72] 2016년 9월에는 펑밍주가 베이징 고궁박물원 고문에 취임하여 중화민국에서 논란이 되었다.[73][74]

2001년부터 대규모 개축 공사가 진행되어 2006년 12월 말에 완료되었고, 2007년 2월 8일부터 전관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2020년 8월 31일, 타이베이시 정부 문화국에 의해 문화자산(역사건축물)으로 지정되었다.[75]

3. 2. 남부 원구 (자이)

남부 분원


타이완 자이현 타이바오시 고속철 자이역과 자이현청 옆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원 남부원구(故宮南院)는 아시아 예술 문화를 주제로 2015년 12월 28일 개관하였다.

국립고궁박물원 남부 분원은 타이완 자이현 타이바오에 위치하며, 70ha의 부지에 호수와 아시아 스타일의 정원을 포함하고 있다. 남부 분원 건립 계획은 2000년에 시작되었으며,[25] 2005년 건축가 앙투안 프레독의 설계로 공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심각한 공사 지연과 건설업체와 박물관 간의 분쟁으로 2008년 설계 회사가 철수하였다.[26] 2010년 8월, 주궁신(Chou Kung-shin) 박물관장은 새로운 건축가 야오 징텐(Kris Yao)이 프로젝트를 맡아 2015년에 공사를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27][28]

총 79억신 대만 달러(2.68억달러)의 예산이 투입되었으며, 70ha 부지에 총 9000m2 규모의 박물관 건물은[25] 대만 기반 업체인 Artech Inc.가 설계하였고, 내진 및 방수 기능을 갖추고 있다.[29] 2015년 12월 28일 개관 후 누수 문제로 2016년 4월 폐쇄되었다가, 수리 후 2016년 8월 23일 재개관하였다.[28]

4. 소장품

국립고궁박물원은 수천 년에 걸친 다양한 장르의 중국 예술품을 소장하고 있다.[33] 1948년 박물관이 소장품을 대만으로 옮긴 이후, 1951년~1954년, 1989년~1991년, 2008년~2012년에 걸쳐 전체 목록 조사가 이루어졌다.[31]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박물관에는 서예, 도자기, 청동기, 그림, 옥 등 다수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으며, 원래 자금성에서 남쪽으로 운반된 상자 13,491개 중 22%(2,972개)가 박물관에 있다.[8] 그 외에도 다른 기관으로부터의 이관, 기증, 박물관의 구입 등을 통해 소장품이 추가되었다. 이 유물들 중 상당수는 장제스가 1949년 국민당 정부가 중국 본토에서 탈출하기 전에 가져온 것이다.[32] 박물관은 역사적 또는 예술적 가치가 높은 약 70만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이렇게 방대한 소장품 중 전시되는 것은 1%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온도 조절이 되는 금고에 보관되어 있다.[17]

2024년 11월 기준 소장품 현황은 다음과 같다.[30]

소장품 (2024년 11월 기준)
분류수량
청동기6,245
도자기25,602
13,478
칠기773
유약2,520
조각품666
문방사우2,379
화폐6,953
기타
(종교용품, 의복 및 장신구, 담배병 등)
12,495
회화6,762
서예3,745
서예 모범집495
자수308
부채1,882
탁본900
희귀서적216,507
청나라 고문서395,551
직물1,626
총계698,887


주요 소장품


  • 청동기: 왕실에서 제작한 종주종(鐘周鐘)[34], 현존하는 가장 긴 중국 청동기 명문이 새겨진 모공정 등이 있다.
  • 불교 조각: 초기 인도 양식에서 중국 불교 양식으로의 변화를 보여주는 북위 시대의 태화 석가모니상(Taihe Shakyamuni)이 있다.[35][36]
  • 도자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여요 (Ru ware)를 보유(21점)하고 있으며,[37] 정요 (Ding porcelain), 준요 (Jun ware), 관요 (Guan ware), 개요 (Ge ware) 등 송나라 5대 명요의 주요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38][39] 경덕진의 명나라청나라 시대 관요에서 제작된 도자기들도 우수한 품질을 자랑한다.[40]
  • 옥 조각: 비취로 조각된 배추 모양의 비취 감람석 배추는 잎사귀에 메뚜기가 위장되어 있으며, 실제 배추의 색상 변화를 재현한 작품이다.[41][42] 자스퍼로 만들어진 고기 모양 돌은 간장에 조린 돼지고기 모양을 생생하게 재현했다.[41][43]
  • 기타 조각: 대나무, 나무, 상아, 코뿔소 뿔, 과일 씨앗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 조각품들이 있으며, 올리브 씨앗 배는 올리브 씨앗으로 만든 아주 작은 배로, 정교한 조각 기술을 보여준다.[44][45]
  • 회화: 당나라부터 현대까지 1,000년이 넘는 중국화 역사를 보여주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청나라 궁정 화가 5명이 그린 청궁본 청명상하도,[47] 원나라 황공망의 복춘산거도(무용본),[48] 마원의 춘산행각도 등이 대표적이다.
  • 서예: 진과 당나라 시대의 다양한 양식을 보여주는 주요 서예가, 학자, 고관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 희귀 서적: 송나라부터 청나라까지 20만 권이 넘는 희귀 서적을 소장하고 있으며, 영락대전, 사고전서 등이 있다.[49][50][51][52]
  • 역사 문서: 만주족 문헌인 구만주당을 비롯하여 청나라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궁중 문헌들을 소장하고 있다.[53]


연꽃 모양의 녹청색 유약 따뜻한 그릇, 여요(汝窯)


녹청색 유약 수선화 분지, 여요(汝窯)


류관도(劉貫道)의 쿠빌라이 칸 초상


차비 황후 초상

5. 전시

국립고궁박물원은 소장품이 매우 방대하여 상설 전시와 특별 전시를 통해 다양한 유물을 선보이고 있다.

상설 전시는 주로 타이베이 본관에서 열리며, 회화와 서예 작품은 3개월마다 교체된다.[20] 당나라부터 현대까지 1,000년이 넘는 중국화 역사를 아우르는 다양한 장르의 회화와 진나라와 당나라 시대의 서예 작품들이 전시된다. 한 번에 약 3,000점의 작품이 전시되는데,[21] 이는 전체 소장품의 일부에 불과하다.

특별 전시는 상설 전시에서 다루지 못하는 다양한 주제의 유물을 선보인다.

대한민국에서는 1973년과 2005년에 국립고궁박물원의 특별 전시가 개최된 바 있다.[7]

해외 전시는 중화민국의 특수한 정치적 지위 때문에 유물 압류 가능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진행된다. 1935년 런던 전시를 시작으로, 미국,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일본, 호주 등에서 전시가 열렸다.[54][55][56]

다음은 과거 해외 전시회 중 대한민국에서 열린 전시 목록이다.[7]

연도개최지전시회
1973년서울특별시중국 전시회
2005년대한민국세계문화엑스포 한국


5. 1. 상설 전시

황보유(黃葆瑜)가 설계하고 1964년 3월부터 1965년 8월까지 건설된 타이베이 본관은 60만 점이 넘는 유물을 전시하기에 공간이 부족하여 1967년, 1970년, 1984년, 1996년에 증축되었다.[14][15][16] 2002년에는 2100만달러를 투입하여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를 실시하여 박물관을 더욱 넓고 현대적으로 만들었으며,[14][17] 2007년 2월에 공식적으로 재개관하였다.[18][19]

회화와 서예 상설 전시는 3개월마다 한 번씩 순환되며,[20] 약 3,000점의 소장품이 한 번에 전시된다.[21] 2014년에는 당인(唐寅)의 회화와 서예 작품, 현대 예술가들이 재해석한 청나라 건륭제(乾隆帝)를 묘사한 작품 등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람객이 방문한 전시회 3곳을 주최했다.[22]

국립고궁박물원의 그림은 당나라(618~907)부터 현대까지의 작품으로,[46] 1,000년이 넘는 중국화의 역사를 보여주며 산수화, 화조화, 인물화, 경계화 등 다양한 장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는 청나라 궁정 화가 5명(진묵(陳穆), 손호(孫祜), 금곤(金昆), 대홍(戴洪), 정지도(程志道))이 그린 ''청궁본 청명상하도''이다.[47] 원나라황공망이 그린 ''복춘산거도''(무용본)은 가장 희귀하고 극적인 작품 중 하나이다.[48] ''춘산행각도'' 또한 중요한 작품이다. 박물관은 역사 속 주요 서예가, 학자, 고관들의 서예 작품을 방대하게 소장하고 있으며, 진(266~420)과 당나라(618~907) 시대의 다양한 양식을 보여준다.

황공망(黃公望)의 푸춘산거도(富春山居圖), 1347–50년

5. 2. 특별 전시

황보유(黃葆瑜)가 설계한 국립고궁박물원의 타이베이 본관은 1964년 3월부터 1965년 8월까지 건설되었다.[14][15] 60만 점이 넘는 방대한 유물을 전시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1967년, 1970년, 1984년, 1996년에 걸쳐 증축되었다.[16] 2002년에는 2100만달러를 투입하여 박물관을 더욱 넓고 현대적인 모습으로 개보수하였으며,[14][17] 2007년 2월에 공식적으로 재개관하였다.[18][19]

회화와 서예 작품은 3개월마다 교체 전시되며,[20] 한 번에 약 3,000점의 소장품이 전시된다.[21] 짧은 전시 기간에도 불구하고, 전시는 매우 인기가 높다. 2014년에는 당인(唐寅)의 회화 및 서예 작품과 현대 예술가들이 재해석한 청나라 건륭제(乾隆帝)를 묘사한 작품 등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람객이 방문한 전시회 3곳을 개최하기도 했다.[22]

5. 3. 해외 전시

대만의 정치적 지위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유물이 중국에 압류되어 소유권을 주장당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박물관은 중국 본토에서 전시회를 개최하지 않는다. 1965년 타이베이에 설립된 이후 국립고궁박물원은 유물의 사법적 압류를 방지하는 법률을 통과시킨 국가에서만 여섯 차례의 대규모 해외 전시회를 개최했다. 1996년 미국, 1998년 프랑스, 2003년 독일, 2008년 오스트리아, 2014년 일본, 2019년 호주가 그 예시이다.[54][55][56]

지난 해외 전시회는 다음과 같다.[7]

연도개최지전시회
1935년런던 왕립예술원중국 예술 런던 국제 전시회
1940년모스크바, 레닌그라드중국 예술 전시회
1961년워싱턴 D.C. 국립미술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보스턴 미술관, 시카고 현대미술관, 드 영 미술관고대 중국 예술 전시회
1973년대한민국 서울특별시중국 전시회
1991년워싱턴 D.C. 국립미술관1492년을 기념하여: 탐험 시대의 예술
1996년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워싱턴 D.C. 국립미술관황제 중국의 영광
1998년파리 그랑팔레기억의 제국
1999년중앙아메리카국립고궁박물관 전시회
2000년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도교와 중국 예술
2003년베를린, , 연방미술관 순회 전시회천자의 보물
2005년대한민국세계문화엑스포 한국
2005년독일 뮌헨 인류학박물관몽골 제국 – 징기스칸과 그의 시대
2006년프랑스 기메 박물관청나라 황실의 황금기 (1662-1795)
2007년일본상하이 – 현대 미술
2008년비엔나 미술사박물관황실 보물
2014년도쿄 국립박물관, 규슈 국립박물관국립고궁박물원 타이베이 소장 명품[57]
2019년뉴사우스웨일스주립미술관중국 예술 속의 천지


6. 논란 및 비판

중국 국민당은 중국 공산당 통치하에서, 특히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많은 문화재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대만이 더 나은 중국임을 보여주기 위해 국립고궁박물원을 새롭게 설계했다고 작가 이언 존슨(이언 존슨)은 평가했다.[62] 중화인민공화국은 현재 중국의 문화적 과거를 보호하는 것을 사명으로 재정의함에 따라, 베이징은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의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은 이를 거부하고 있으며, 유물이 간접적으로 중국 본토로 반환될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다른 국가에 대여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62]

최근 양안 관계가 개선되면서, 베이징 고궁 박물원은 2009년부터 국립고궁박물원에 전시용 유물을 대여하기로 합의했다.[63] 고궁 박물원 관장 정신묘(鄭欣淼)는 본토와 대만 박물관에 있는 유물들은 "대만 해협을 사이에 둔 양쪽 사람들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중국의 문화 유산"이라고 말했다.[64]

마훙쿠이 국민당 장군은 탕(唐)나라와 송(宋)나라 시대의 중국 유물 다수를 발굴하였는데, 그중 일부는 송나라 진종 황제가 소유했던 것들이었다. 마훙쿠이는 이 발견 사실을 공표하지 않았다. 유물에는 탕나라 시대의 백색 대리석 비석, 금못, 금속으로 만든 띠 등이 있었다. 1971년, 마훙쿠이가 사망한 후 그의 부인이 미국에서 대만으로 가서 이 유물들을 장제스에게 전달했고, 장제스는 이를 국립고궁박물원에 넘겼다.[65]

2022년 10월,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유물 3점이 손상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 유물들의 가치는 770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물관 측은 그 해 2월과 4월에 차잔 두 개가 깨진 채 발견되었고, 5월에는 접시가 떨어졌다고 밝혔다. 우미차(吳密察) 관장은 부적절한 보관 방식으로 인해 차잔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을 의심하며, 박물관 측은 보관 방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66]

2022년 8월, 대만 주변 중국군 훈련으로 인해 박물관 유물의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주공신(周功鑫) 전 관장은 인근 산악 터널에 유물을 보관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이 유물들은 원래 대만으로 반입되었을 당시 1950년대 타이중의 터널에 보관되었다가, 박물관이 건립된 타이베이로 옮겨졌다.[67]

6. 1. 소유권 분쟁

1931년 만주사변 직후, 국민정부일본군이 국립고궁박물원의 귀중한 유물들을 약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유물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9] 1933년 2월 6일부터 5월 15일까지 고궁박물원의 유물 13,491상자와 기타 기관의 유물 6,066상자가 상하이로 옮겨졌다.[9] 1936년에는 난징에 보관 시설이 완공되어 유물들이 다시 옮겨졌다.[10]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일본군이 내륙으로 진격하면서 유물들은 다시 여러 지역으로 분산되어 보관되었다가 1945년 일본 항복 후 난징으로 돌아왔다.[10]

국공내전이 재개되자, 장제스는 1945년 중화민국에 반환된 타이완으로 유물들을 옮기기로 결정했다.[11] 1948년부터 1949년까지 항리우의 지휘 아래 유물들은 세 차례에 걸쳐 타이완 지룽으로 옮겨졌다.[11] 당시 공산군이 이미 베이징의 고궁박물원을 장악한 상태였기 때문에 모든 유물을 옮길 수는 없었다.[11] 자금성에서 타이완으로 옮겨진 2,972상자의 유물은 원래 남쪽으로 운반된 상자의 22%에 불과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귀중한 것들이었다.[11]

1948년부터 1949년 사이 난징에서 지룽으로의 세 차례 운송[11]
기관운송 상자 수총계
1차2차3차
국립 북경 고궁 박물원3201,6809722,972
국립 중앙 박물관212486154852
국립 중앙 도서관60462122644
중앙연구원 역사·철학연구소120856976
외교부6060
국립 북경 도서관1818
총계7723,5021,2485,522



타이완으로 옮겨진 유물들은 처음에는 양메이의 창고에 보관되었다가 타이중 근처의 사탕수수 제당으로 옮겨졌다.[11] 1949년 행정원은 유물 관리를 위해 공동 관리 사무소를 설립하고 우펑의 산골 마을에 보관소를 마련했다.[11] 1956년에는 아시아 재단의 지원을 받아 작은 전시관을 건립하고 1957년 3월부터 일부 유물을 전시하기 시작했다.[13]

1960년대 미국 국제개발처중화민국 정부의 지원으로 타이베이 외곽에 새로운 박물관 건물이 완공되었다.[13][8] 이 박물관은 쑨원을 기리기 위해 "중산 박물관"으로 명명되었고 1965년 쑨원 탄생 100주년에 맞춰 개관했다.[8]

중국 국민당은 중국 공산당 치하에서 많은 문화재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대만이 더 나은 중국임을 보여주기 위해 국립고궁박물원을 새롭게 설계했다고 이언 존슨은 평가했다.[62] 베이징은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의 반환을 요구하고 있지만, 박물관은 이를 거부하고 있으며 유물이 간접적으로 중국 본토로 반환될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다른 국가에 대여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62]

최근에는 양안 관계가 개선되면서 2009년부터 베이징 고궁 박물원이 국립고궁박물원에 유물을 대여하기로 합의했다.[63] 고궁 박물원 관장 정신묘는 양안의 유물들은 "대만 해협을 사이에 둔 양쪽 사람들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중국의 문화 유산"이라고 말했다.[64]

6. 2. 안전 문제

2022년 10월,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유물 3점이 손상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 유물들의 가치는 770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물관 측은 그 해 2월과 4월에 차잔 두 개가 깨진 채 발견되었고, 5월에는 접시가 떨어졌다고 밝혔다. 우미차(吳密察) 관장은 부적절한 보관 방식으로 인해 차잔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을 의심하며, 박물관 측은 보관 방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66]

2022년 8월, 대만 주변 중국군 훈련으로 인해 박물관 유물의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주공신(周功鑫) 전 관장은 인근 산악 터널에 유물을 보관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이 유물들은 원래 대만으로 반입되었을 당시 1950년대 타이중의 터널에 보관되었다가, 박물관이 건립된 타이베이로 옮겨졌다.[67]

6. 3. 불법 유물 취득

마훙쿠이 국민당 장군은 탕(唐)나라와 송(宋)나라 시대의 중국 유물 다수를 발굴하였는데, 그중 일부는 송나라 진종 황제가 소유했던 것들이었다. 마훙쿠이는 이 발견 사실을 공표하지 않았다. 유물에는 탕나라 시대의 백색 대리석 비석, 금못, 금속으로 만든 띠 등이 있었다. 1971년, 마훙쿠이가 사망한 후 그의 부인이 미국에서 대만으로 가서 이 유물들을 장제스에게 전달했고, 장제스는 이를 국립고궁박물원에 넘겼다.[65]

참조

[1] 웹사이트 zh:國立故宮博物院: 108年度參觀人數統計 https://www.npm.gov.[...] National Palace Museum 2020-10-29
[2] 웹사이트 National Palace Museum exhibition opens in Tokyo https://taiwantoda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4-11-10
[3] 웹사이트 Former Palace Museum director takes consulting post in Beijing https://en.rti.org.t[...] 2016-09-09
[4] 논문 The Transformation and Future of the Historiography Institute Archives 2007
[5] 웹사이트 Culture Custodians https://taiwantoda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4-11-10
[6] 뉴스 National art collection evokes hard history http://www.chinapost[...] 2009-05-12
[7] 웹사이트 Chronology of Events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08-06-04
[8] 웹사이트 Tradition & Continuity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6-17
[9] 논문 The Transfer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Collection to Taiwan and Its Subsequent Installation
[10] 웹사이트 The National Palace Museum: Timeline of the NPM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0-12-20
[11] 서적 The Commercial Press
[12] 뉴스 Taiwan in Time: Hiding national treasures in a cave https://www.taipeiti[...] 2021-11-07
[13] 논문 A Brief History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14] 웹사이트 Renovation http://210.69.170.79[...]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1
[15] 논문 中山博物院之建築 [The Architecture of the Chung-Shan Museum]
[16] 웹사이트 http://tainfra-build[...] National Palace Museum 2010-10-11
[17] 뉴스 Taiwan's museum of treasures http://news.bbc.co.u[...] 2007-02-07
[18] 뉴스 Rare Glimpses of China's Long-Hidden Treasures https://www.nytimes.[...] 2006-12-28
[19] 뉴스 National Palace Museum is born again http://www.taipeitim[...] 2007-02-04
[20] 웹사이트 Visitor's Guide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1
[21] 뉴스 Taiwanese Palace Museum may increase floor area 7-fold http://ajw.asahi.com[...] 2011-10-23
[22] 뉴스 Visitor figures 2014: the world goes dotty over Yayoi Kusama http://www.theartnew[...] 2015-04-02
[23] 웹사이트 Zhishan Garden – Introduction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08-10-08
[24] 웹사이트 Chang Dai-chien Residence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07-10
[25] 뉴스 Taiwan's National Palace Museum opens new branch after 15-year wait http://www.straitsti[...] 2015-12-28
[26] 뉴스 U.S. architectural firm quits NPM southern branch project http://www.chinapost[...] 2008-11-28
[27] 뉴스 National Palace Museum chief upsets lawmakers http://www.taipeitim[...] 2010-11-11
[28] 뉴스 NPM South Branch main hall to reopen on Tuesday http://www.chinapost[...] 2016-08-22
[29] 웹사이트 National Palace Museum in Taiwan unveils designs of Southern Branch http://www.worldinte[...] World Interior Design Network 2011-03-28
[30] 웹사이트 List of Categories in the Collection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22-03-20
[31] 웹사이트 Inventories of the Collection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6-17
[32] 뉴스 Multiculti roots https://www.economis[...] 2016-03-12
[33] 웹사이트 Collections: Antiquities (National Palace Museum) http://taiwanacademy[...] Taiwan Academy 2012-09-25
[34] 웹사이트 The Bell and Cauldron Inscriptions–A Feast of Chinese Characters: the origin and Development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5
[35] 웹사이트 Seated Sakyamuni Buddha - Unknown https://artsandcultu[...] 2024-05-26
[36] 웹사이트 National Palace Museum Exhibits Donated Buddhist Statuary - Taiwan Panorama http://www.taiwan-pa[...] 2024-05-26
[37] 웹사이트 Sale "Ru – From a Japanese Collection" http://www.sothebys.[...] Sotheby's, Hong Kong 2012-04-04
[38] 웹사이트 Northern Song Ru Ware Recent Archaeological Finbings http://asianartnewsp[...] Asian Art Newspaper 2012-03-03
[39] 웹사이트 Grand View: Ju Ware from the Northern Sung Dynasty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5
[40] 웹사이트 The Magic of Kneaded Clay: A History of Chinese Ceramics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5
[41] 웹사이트 Jadeite Cabbage is Moving to a New Gallery!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08-06-04
[42] 웹사이트 Jadeite Cabbage with Insects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08-06-04
[43] 웹사이트 Meat-shaped Stone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08-06-04
[44] 웹사이트 Uncanny Ingenuity and Celestial Feats – The Carvings of Ming and Qing Dynasties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5
[45] 웹사이트 Carved Olive-stone Boat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08-06-04
[46] 웹사이트 Collections: Painting and Calligraphy (National Palace Museum) https://web.archive.[...] Taiwan Academy 2012-09-25
[47] 웹사이트 Along the River During the Ch'ing-ming Festival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5
[48] 웹사이트 Dwelling in the Fu-ch'un Mountains (Wu-yung Version)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5
[49] 웹사이트 Rare Books (National Palace Museum) http://culture.telda[...] Taiwan e-Learning and Digital Archives Program 2012-09-25
[50] 웹사이트 Collections: Rare Books (National Palace Museum) https://web.archive.[...] Taiwan Academy 2012-09-25
[51] 웹사이트 Vast Documents of the Yung-lo Era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5
[52] 웹사이트 Complete Library of the Four Treasuries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5
[53] 웹사이트 Archives in Old Manchu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2-09-25
[54] 뉴스 New Japan law opens way for exhibits http://www.chinapost[...] 2011-03-26
[55] 뉴스 Taiwan gives green light to museum exhibitions in Japan http://www.japantime[...] 2014-06-23
[56] 웹사이트 Heaven and earth in Chinese art: treasures from the National Palace Museum, Taipei https://www.artgalle[...]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2019-04-26
[57] 웹사이트 The Treasured Masterpieces from the National Palace Museum, Taipei https://web.archive.[...] National Palace Museum 2015-01-18
[58] 웹사이트 行政院全球資訊網 https://www.ey.gov.t[...] 2011-12-01
[59] 웹사이트 Present/Former Leaders https://www.npm.gov.[...] 2020-05-08
[60] 웹사이트 History of NPM https://www.npm.gov.[...] 2023-01-30
[61] 웹사이트 Director https://www.npm.gov.[...] 2023-02-03
[62] 웹사이트 China is waging a restitution campaign against Taiwan's Forbidden City treasures https://www.theartne[...] 2024-08-21
[63] 뉴스 China to lend treasures to Taiwan http://news.bbc.co.u[...] BBC 2012-06-16
[64] 뉴스 Top bid on disputed Yves Saint Laurent bronzes was a protest from China https://www.nytimes.[...] 2009-03-02
[65] 서적 China archaeology and art digest, Volume 3, Issue 4 https://books.google[...] Art Text (HK) Ltd.
[66] 웹사이트 Taiwan museum admits to breaking three Ming and Qing dynasty artefacts worth US$77 million https://www.channeln[...] 2022-11-01
[67] 웹사이트 Taiwan seeks safety net for Palace Museum in case of PLA attack https://www.scmp.com[...] 2022-08-09
[68] 웹사이트 One Hundred Horses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08-06-04
[69] 서적 ふたつの故宮博物院 新潮社
[70] 웹사이트 国立故宮博物院 伝承と開闢 http://www.npm.gov.t[...]
[71] 웹사이트 国立故宮博物院 旧蔵・新蔵コレクション http://www.npm.gov.t[...]
[72] 뉴스 雍正文物大展在台開展 両岸故宮交流"春華秋実" http://www.china.com[...] 2017-12-25
[73] 뉴스 顧問に台湾元院長=北京の故宮博物院が招聘 http://www.jiji.com/[...] 2016-09-10
[74] 뉴스 台北・故宮博物院前院長が北京・故宮研究院の顧問に 「機密が漏れる」と台湾・与党は批判 https://www.sankei.c[...] 2016-09-10
[75] 뉴스 故宮不是古蹟 北市登錄為歷史建築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0-09-01
[76] 웹사이트 故宮参観>交通案内>公共交通サービス https://www.npm.gov.[...] 国立故宮博物院 2018-11-12
[77] 웹인용 國立故宮博物院參觀人數統計(105年度) https://www.npm.gov.[...] National Palace Museum 2017-01-29
[78] 서적 National Palace Museum Annual Report 2015 http://www.npm.gov.t[...] National Palace Museum 2017-08-19
[79] 뉴스 Top 10 Art Museum Attendance http://theartnewspap[...] 2016-04-02
[80] 뉴스 [박미영의 '코로나 끝나면 가고 싶은 그 곳'] '타이베이' 두 배로 즐기기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22-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