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이라 노부오키 (163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노부오키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다. 1641년 도쿠가와 이에쓰나의 측근으로 시작하여, 와카도시요리, 소샤반, 오사카 조다이, 교토 쇼시다이 등 요직을 역임했다. 전장 경험담을 정리한 『잡병이야기』 편찬에 관여했다는 설이 있으나, 실제 작가는 불명이다. 1691년에 사망했으며, 양자인 마쓰다이라 테루사다가 가독을 이어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치우라번주 - 마쓰다이라 노부요시 (1580년)
마쓰다이라 노부요시는 불우한 환경 속에서 마쓰다이라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조카가 되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고 여러 성주를 거치며 영내 정비에 힘썼으나 잦은 전봉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사망, 그의 두 아들을 통해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는 두 갈래로 나뉘었다. - 쓰치우라번주 - 구쓰키 다네쓰나 (1605년)
- 셋쓰국의 번주 - 오다 나가마스
오다 나가마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자 오다 노부나가의 동생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센노 리큐에게 다도를 배워 유라쿠류를 창시한 다인으로도 유명하며, 그의 호 유라쿠는 도쿄도 유라쿠초 지명의 유래 설이 있다. - 셋쓰국의 번주 - 나이토 기요카즈
나이토 기요카즈는 에도 시대 다이묘이자 시나노 다카토 번의 초대 번주로서, 번의 재정 안정과 법도 정비에 힘썼으며 나이토 신주쿠 개설과 관련이 있고 에도 막부 요직을 역임한 예술가이다. - 가와치국의 번주 - 나이토 기요카즈
나이토 기요카즈는 에도 시대 다이묘이자 시나노 다카토 번의 초대 번주로서, 번의 재정 안정과 법도 정비에 힘썼으며 나이토 신주쿠 개설과 관련이 있고 에도 막부 요직을 역임한 예술가이다. - 가와치국의 번주 - 혼다 다다무네
혼다 다다무네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니시시로 번주와 고베 번주를 역임하고 쇼군의 측근으로서 교호 개혁에 참여했으며, 다인으로도 활동했다.
마쓰다이라 노부오키 (1630년)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출생 | 간에이 7년 8월 11일 (1630년9월 17일) |
사망 | 겐로쿠 4년 윤8월 12일 (1691년10월 3일) |
어릴 적 이름 | 채녀 (釆女) |
초명 | 하루츠나 (治綱) 모토츠나 (基綱) |
개명 | 노부히라 (信衡) 오키히라 (興衡) 노부오키 (信興) |
시호 | 천계원전향산무은대거사 (天桂院殿香山無隠大居士) |
묘소 | 사이타마현니자시 노비토메의 헤이린지 |
관위 | 종4위 하 시종 미노 수 이나바 수 |
막부 | 에도 막부오소바 와카도시요리 소샤반 오사카 성대 교토 쇼시다이 |
번 | 히타치국쓰치우라번 번주 → 셋쓰・가와치국 내 |
씨족 |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
아버지 |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
어머니 | 이노우에 마사쓰구의 장녀 |
형제 | 데루쓰나 요시쓰나 노부사다 노부오키 가타쓰나 |
정실 | 아오야마 유키토시의 딸 |
자녀 | 양자: 히로아키 양자: 데루사다 |
2. 생애
마쓰다이라 노부오키는 도쿠가와 이에쓰나의 측근으로 시작하여 와카도시요리, 소샤반, 오사카 조다이, 교토 쇼시다이 등 여러 요직을 거쳤다.[1] 잡병이야기 편찬에 관여했다는 설이 있으나, 실제 작가는 불명이다.[1] 1691년에 사망했다.
노부오키에게는 친아들이 없어서, 가독은 양자이자 친형 마쓰다이라 테루쓰나의 여섯째 아들인 테루사다가 이었다. 테루사다는 고즈케국 다카사키번 번주를 끝으로 막부를 마감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1641년 8월에 도쿠가와 이에쓰나의 측근으로서 중오쿠 코쇼, 코쇼구미 반토를 맡았고, 1667년 정월에는 오소가 등을 맡았다.[1] 1662년 4월 18일, 형 테루쓰나로부터 아버지 노부쓰나의 유령 무사시국 사이타마군 중 신전 5천 석을 분여받았다.[1]1679년 7월 10일, 와카도시요리에 임명되어 1만 2천 석을 영유하며 다이묘에 올랐다.[1] 1682년 2월 19일, 2만 2천 석으로 쓰치우라번의 번주가 되었다.[1] 1687년 10월 13일, 1만 석을 추가로 받아 오사카 성주 대리가 되어, 셋쓰국・가와치국 내로 이봉되었다.[1]
1690년 12월 26일, 종4위하·지주가 되었고, 교토 쇼시다이에 임명되었다.[1]
2. 2. 요직 역임
1641년 8월에 도쿠가와 이에쓰나의 측근으로서 중오쿠 코쇼, 코쇼구미 반토를 맡았고, 1667년 정월에는 오소가 등을 맡았다.[1] 1679년에 와카도시요리, 1682년에 소샤반, 1687년에 오사카 조다이, 1690년에 교토 쇼시다이 등 요직을 역임했다.[1] 잡병의 전장 경험담을 정리한 『잡병이야기』의 편찬에 관여했다는 설이 있다.[1] 그러나 실제 작가는 불명이다.[1]마쓰다이라 노부오키가 역임한 요직은 다음과 같다.
- 엔포 7년(1679년) 7월 10일, 와카도시요리에 임명되어 1만 2천 석을 영유하며 다이묘에 올랐다.
- 덴와 2년(1682년) 2월 19일, 2만 2천 석으로 쓰치우라번의 번주가 되었다.
- 조쿄 4년(1687년) 10월 13일, 1만 석이 추가되어 오사카 성대가 되었고, 셋쓰국・가와치국 내로 이봉되었다.
- 겐로쿠 3년(1690년) 12월 26일, 종4위하·지주가 되었고, 교토 쇼시다이에 전임되었다.
2. 3. 『잡병이야기』와의 관계
마쓰다이라 노부오키는 잡병의 전장 경험담을 정리한 『잡병이야기』 편찬에 관여했다는 설이 있다.[1] 그러나 실제 작가는 불명이다.2. 4. 사망 및 가독 상속
노부오키는 친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가독은 양자(친형 마쓰다이라 테루쓰나의 여섯째 아들)인 테루사다가 이었다.[1] 테루사다는 최종적으로 고즈케국 다카사키번 번주로서 막말을 맞이했다.3. 연표
연도 | 사건 |
---|---|
1662년(간분 2년) 4월 18일 | 형 테루쓰나로부터 아버지 노부쓰나의 유령 무사시국 사이타마군 중 신전 5천 석을 분여받았다. |
1679년(엔포 7년) 7월 10일 | 와카도시요리에 임명되었다. 1만 2천 석을 영유하여 다이묘에 열한다. |
1682년(덴와 2년) 2월 19일 | 2만 2천 석으로 쓰치우라번의 번주가 되었다. |
1687년(조쿄 4년) 10월 13일 | 1만 석을 가증받아 오사카 성대가 되어, 셋쓰국・가와치국 내로 이봉되었다. |
1689년(겐로쿠 2년) | 양자 아키라를 폐적했다. |
1690년(겐로쿠 3년) 12월 26일 | 종4위하·지주가 되었고, 교토 쇼시다이에 전임되었다. |
1691년(겐로쿠 4년) | 사망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