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에지마 히소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에지마 히소카는 일본의 근대 우편 제도를 창시한 인물이다. 에치고국에서 태어나 란학, 의학, 영어를 공부했으며, 막부 말기에 한자 폐지를 건의하고 에도 천도를 주장하는 등 개혁적인 활동을 했다. 메이지 시대에는 민부성에 임명되어 영국 우체국을 시찰하고 돌아와 일본에 우편 제도를 도입했으며, 우표의 일본어 명칭인 '킷테'를 만들었다. 또한, 철도, 신문,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그는 일본 우편 제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그의 초상은 일본의 1엔 우표에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편사 - 페니 블랙
    1840년 영국에서 발행된 세계 최초의 우표인 페니 블랙은 로랜드 힐 경의 우편 요금 개혁으로 탄생하여 빅토리아 여왕의 초상을 담고 선불 우표 제도를 도입, 우편 이용을 향상시켰으나 위조 문제로 1년 만에 교체되었음에도 영국 문화의 상징으로 남아 대중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 우편사 - 베른 조약
  • 와세다 대학 총장 - 오쿠마 시게노부
    오쿠마 시게노부는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자 교육자로, 두 차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재정 개혁, 철도 건설, 헌법 제정, 와세다 대학 설립 등에 기여했으나, 제국주의적 정책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 와세다 대학 총장 - 가마타 가오루
    가마타 가오루는 부동산 물권 변동, 금융 담보법 등을 연구하고 와세다 대학 총장을 역임한 일본의 법학자이다.
  • 일본의 체신관료 - 마쓰마에 시게요시
    마쓰마에 시게요시는 무부하 케이블 발명으로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학자이자, 사회당 우파 중의원 의원, 망성학숙 설립을 통한 민중 교육, 도카이 대학 설립 및 발전, 소련과의 문화 교류를 추진한 교육자이자 정치인이다.
  • 일본의 체신관료 - 하야시 다다스
    하야시 다다스는 1850년부터 1913년까지 활동한 일본 제국의 외교관이자 정치가로, 영국 유학 후 메이지 유신 이후 정부에 참여하여 외무차관, 청나라 특명 전권공사, 주러시아 공사, 주영 공사 등을 역임하고 제1차 영일 동맹 체결에 기여했으며, 외무대신과 체신대신을 거쳐 백작 작위를 받았다.
마에지마 히소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남작
이름마에지마 히소카
한자 표기前島 密
히라가나 표기まえじま ひそか
출생일1835년 1월 24일
출생지에치고 국(현 니가타 현 구비키 군) 시모이케베
사망일1919년 4월 27일
사망지가나가와 현 미우라 군 니시우라 아시나 (현 요코스카 시 아시나 2초메)
국적일본
다른 이름우에노 후사고로
업적일본 최초의 우편 제도 창설
직업정부 관료, 기업가
정치 경력
소속 정당미상
직책귀족원 남작 의원
당선 횟수1회
취임일1904년 7월 10일
퇴임일1910년 3월 10일
기타 정보
존경 받는 인물우편 제도의 아버지
마에지마 히소카
남작 마에지마 히소카

2. 생애

1869년(메이지 2년) 마에지마는 엔슈 나카이즈미 부교가 되어, 에도에서 이주해 오는 무록의 시족을 수용하기 위해 거주지 정비와 수산 설비 건설 등의 직무를 맡았다. 이 시기에 마에지마는 자신을 "마에지마 히소카"라고 부르게 되었다.[7][8]

같은 해 12월 20일(구력 11월 18일), 오쿠마 시게노부가 주도하여 메이지 정부의 민부성 내에 메이지 정부에 필요한 제도 개혁 초안을 작성하는 「개정 걸」이 설치되었다. 오쿠마는 시부사와 에이이치를 걸장으로 초빙하였고, 1870년 1월 29일(메이지 2년 12월 28일) 마에지마 히소카도 그 일원으로 출사하게 되었다.[7][8]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능력을 인정받아 메이지 정부의 민부성에서 일하게 된 마에지마 히소카는 이토 히로부미, 오쿠마 시게노부와 같은 주요 인사들의 주목을 받았다.[1] 1870년 영국으로 건너가 영국 우체국(General Post Office) 운영 방식을 연구하고 돌아온 그는 1871년 일본에 유사한 우편 제도를 도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

1871년 4월 도쿄오사카를 잇는 서비스를 시작으로 일본 우편 시스템은 빠르게 확장되었다. 마에지마는 '킷테(切手)'라는 우표 용어를 직접 만들었으며, 1874년 우편 저축 은행(postal savings bank)과 1875년 우편환 제도를 도입하여 우편 시스템의 자립성을 확보하고 근대 경제 시스템을 일본 전역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1]

1874년에는 새뮤얼 M. 브라이언을 고용하여 미국과의 우편 조약 체결을 추진하고, 1877년에는 일본의 만국우편연합 가입을 성사시켰다.[1] 1878년 원로원 의원, 1879년 내무성 차관을 역임하는 등 정치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1] 1881년 은퇴 당시 일본 우편 시스템은 5,099개의 우체국을 갖춘 거대한 조직으로 성장해 있었다.[1]

우편 시스템 구축 외에도 마에지마는 1872년 유빈호치신문(Yubin Hochi Shimbun)을 창간하여 언론 분야에도 진출했다.[1] 이 신문은 1894년 호치신문(Hochi Shimbun)으로 제호를 변경했고 1942년에는 요미우리 신문과 합병되었다.[1] 또한 오쿠마 시게노부가 설립한 도쿄 전문학교(이후 와세다 대학) 설립을 지원하고 1886년부터 1890년까지 교장을 역임했다.[1]

마에지마는 철도 사업에도 진출하여 1886년 간사이 철도 회사를 설립하고, 1894년에는 니가타현 니가타시나오에쓰역을 잇는 호쿠에쓰 철도를 설립했다.[1] 오쿠마 시게노부와 함께 입헌 개진당 창당을 지원하고, 1888년부터 1891년까지 통신 차관을 역임하며 일본의 국영 전화 서비스 설립에 기여했다.[1] 1902년에는 화족 단샤쿠(남작) 작위를 받았고, 1904년부터 1910년까지 귀족원 의원을 역임했다.[1]

2. 1. 초기 생애 (출생 ~ 막신 시절)

마에지마 히소카는 1835년 에치고국 시모이케베 촌(현재의 니가타현 조에쓰시)에서 태어나 1866년 마에지마 가문에 입양되었다.[1] 에도에서 랑학, 의학, 영어를 공부하며 서구화 옹호론자로 성장했다. 1866년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한자 폐지를 제안[1]하고, 1868년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교토에서 에도로 수도를 옮길 것을 제안하는 등 근대 일본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에치고국 시모이케베촌(현재의 니가타현 조에쓰시) 농가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에도로 유학, 의학과 랑학을 공부했다. 페리 함대의 우라가 항해를 계기로 국방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856년(안세이 3년) 해군학을 배우기 시작했다. 1857년(안세이 4년) 일본 최초의 양식 군함 관광환의 군함 교수소 학생이 되었고, 1858년(안세이 5년) 하코다테에서 타케다 히사부로에게 배우려 했으나 실패하고 독학으로 측량술을 익혔다. 1860년(만엔 원년) 포사드닉호 사건 교섭에 참여했다.

1862년(분큐 2년)부터 나가사키에서 유학하며 채닝 윌리엄스와 기이도 풀베키에게 영학을 배웠다. 1864년(겐지 원년) 빈학생을 위한 사숙 배사를 열었으나[10][11][12][13][14] 재정난으로 문을 닫았다.[17] 1865년(게이오 원년) 사메지마 나오노부의 초청으로 가고시마에서 오쿠보 도시미치와 만났으나 해군 사관 제안을 거절하고, 1866년 마에지마 가의 양자가 되어 막신이 되었다.

막신이 된 후 막부 개성소에서 번역 업무를 담당하며 한자 폐지를 주장했다. 1867년(게이오 3년) 개성소 수학 교수가 되었고, 효고항 개항을 앞두고 외교 업무를 담당했다. 1868년(게이오 4년)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에도로 돌아와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공순에 힘썼으며,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에도 천도를 건의했다. 1869년(메이지 2년) 순부번(시즈오카번)에서 일하다가 1870년 메이지 정부에 출사하였다.

2. 1. 1. 출생과 성장

마에지마 히소카는 1835년 에치고국 시모이케베 촌(현재의 니가타현 조에쓰시)에서 우에노 후사고로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7][8] 아버지는 호농 우에노 스케에몬, 어머니는 다카다 번사 이토 겐노죠의 여동생 테이코였다. 생후 8개월 만에 아버지가 사망하고, 4살 때 어머니를 따라 다카다로 이주했다. 7살 무렵 이토이가와번 번의였던 삼촌 아사자와 붕추의 권유로 어머니와 함께 이토이가와시의 아사자와 가문으로 거처를 옮겨 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7][8]

10살 때 어머니 곁을 떠나 시모이케베에 있는 형에게 의지하며 한학 서당에 다녔다. 1847년(고카 4년), 12살 때 란학 기반 의학을 배우기 위해 에도로 갔다. 처음에는 이치노세키 번에 봉직하는 유학자 미야자와 도루의 서당생이 되었고, 이후 막부 관의 소에다 겐사이, 나가오 젠안에게서 의학 수행을 했다.[7][8]

1853년(가에이 6년), 페리 함대의 우라가 항해 당시 밀러드 필모어 대통령 친서 수수 의식에서 우라가 부교 이토 히로미치의 수행원으로 동행하며 국방의 중요성을 인식, 의학에서 국방으로 지망을 전환했다. 이후 세쓰라카 사다스스 가문에 살면서 그의 장서를 열람하고, 형 이와세 다다나리에게 영어의 중요성을 배웠다.[7][8]

1856년(안세이 3년)에는 해군학을 배우기 위해 에하라 케이스케 가문으로 이사하여 병학을 배웠다. 1857년(안세이 4년)에는 군함 교수소에서 관광환의 기관학을 배우고, 수습생으로 시운전에 승선했다. 1858년(안세이 5년) 하코다테로 가서 하코다테 부교소 쿠리모토 스쿤을 의지하며 조역 야마무라 소자부로[9] 아들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1859년(안세이 6년)에는 타케다 히사부로의 서당에 입문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독학으로 측량법 등을 익혔다.[7][8]

1860년(만엔 원년) 에도로 돌아와 러시아 군함의 대마도 점령 사건(포사드닉호 사건) 교섭에 참여한 외국 부교 노노야마 가네히로, 무카야마 에이고로를 수행했다.[7][8] 1862년(분큐 2년)부터 나가사키에서 카 레이지 아래 유학하며 채닝 윌리엄스, 기이도 풀베키에게 영학을 배웠다. 1864년(겐지 원년) 카 레이지의 협력으로 빈학생을 위한 사숙 '배사'를 수복사에 열고,[10][11][12][13][14] 우리오 토라를 학장으로 삼아 운영했으나 재정 문제로 문을 닫았다.[15][12][16][17]

1865년(게이오 원년), 사쓰마 번사 사메지마 세이조의 초청으로 가고시마에 가서 개성학교 영어 교수로 부임, 오쿠보 도시미치와 교류했다. 1년 후 에도로 돌아와 1866년(게이오 2년) 마에지마 가문에 양자로 들어가 가독을 잇고 마에지마 라이스케로 개명했다.[7][8]

2. 1. 2. 막신 시절

마에지마 히소카는 에치고국(현재의 조에쓰시, 니가타현) 시모이케베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1866년에 마에지마 가문에 입양되었다.[1] 에도로 가서 랑학, 의학, 영어를 공부했다. 막말 시대에는 급진적인 개혁가이자 서구화 옹호자로 알려졌다.[1] 1866년에는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한자 폐지를 제안했고,[1] 메이지 유신 직후인 1868년에는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수도를 교토에서 에도로 옮길 것을 제안했다.

; 출생에서 막신이 되기까지[7][8]

에치고국쿠비키군시모이케베촌(현재의 니가타현조에쓰시)의 농가에서 태어났다. 10살 때 어머니를 떠나 한학 서당에 다녔고, 12살 때 란학 기반 의학을 배우기 위해 에도로 갔다. 의학 수행을 하던 중 페리 함대의 우라가 항해를 접하고 해방과 국방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의학에서 해방, 국방으로 지망을 전환했다. 1856년(안세이 3년)에는 해군학을 배우기 위해 막부 고센데가라(御船手頭)를 지낸 에하라 케이스케의 저택으로 이사하여 병학을 배웠다. 1857년(안세이 4년)에는 일본 최초의 양식 군함 관광환의 군함 교수소(후의 군함 조련소) 학생이 되었고, 관광환 시운전에 수습생으로 승선했다. 1858년(안세이 5년)에는 하코다테에서 타케다 히사부로에게 배우기 위해 하코다테로 갔으며, 1859년(안세이 6년)에 입문이 허락되었지만, 타케다는 바빠 가르칠 시간이 없었고, 항해서로 측량법과 측기 용법 등을 독학으로 배웠다. 1860년(만엔 원년)에는 에도로 돌아와 포사드닉호 사건 교섭에 수행했다.

1862년(분큐 2년) 무렵부터 나가사키에서 유학 생활을 시작하여 채닝 윌리엄스(릿쿄대학 창설자)와 기이도 풀베키에게 영학을 배웠다. 1864년(겐지 원년)에는 빈학생을 위해 우리오 토라와 사숙 「배사」를 수복사 코후쿠안에 열었다.[10][11][12][13][14] 우리오 진, 하야시 켄조(후의 안보 키요야스), 타카하시 켄키치(후의 요시카와 겐쇼), 타치바나 쿄헤이(후의 고베 우체국장), 사메지마 세이조 등과 함께 면학에 힘썼다.[15][12][16] 그러나 「배사」의 운영은 재정적으로 어려웠고, 지원을 위해 기슈번 증기선의 감독관을 지내는 동안 금전 문제가 생겨 서당은 문을 닫았다.[17]

1865년(게이오 원년), 사메지마 세이조의 요청으로 가고시마에 부임하여 오쿠보 도시미치와 만났지만, 해군 사관 제안을 거절했다. 1년 정도 체류 후 에도로 돌아왔다.

에도로 돌아온 후, 1866년(게이오 2년) 3월 마에지마가에 양자로 들어가 가독을 계승했다. 같은 해 11월 10일 막부로부터 공식적으로 상속이 인정되어 막신이 되어 마에지마 라이스케(라이스)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 메이지 정부에 출사할 때까지[7][8]

막신이 된 초기에는 무역에 종사했고, 막부 개성소에서 번역 업무를 담당했다. 「한자폐지之의」를 건의한 것은 이 무렵이다. 1867년(게이오 3년) 5월에는 개성소의 수학 교수가 되었다.

효고항 개항이 가까워지자 효고부교시바타 고츄에게 간청하여 외교 업무에 종사하게 되었다. 1868년(게이오 4년) 정월 원일에 효고부교 지배 조역으로 승진했지만, 도바・후시미 전투로 막부군이 패배하고 효고부교가 소멸하면서 에도로 돌아왔다.

카츠 가이슈 등과 함께 도쿠가와 요시노부 공순에 힘썼다.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에도 천도」를 건의한 것도 이 시기이다.

1869년(메이지 2년)에는 순부번(시즈오카번)에서 엔슈 나카이즈미 부교가 되어 무록 시족을 수용하기 위한 직무를 맡았다. 이 시기에 마에지마는 자신을 「마에지마 츠토무」라고 부르게 되었다.

1870년 1월 29일(메이지 2년 12월 28일), 오쿠마 시게노부가 주도한 민부성 내 「개정 걸」의 일원으로 메이지 정부에 출사하게 되었다.

2. 2. 메이지 시대의 활동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능력을 인정받아 메이지 정부의 민부성에서 일하게 된 마에지마 히소카는 이토 히로부미, 오쿠마 시게노부와 같은 주요 인사들의 주목을 받았다.[1] 1870년 영국으로 건너가 영국 우체국(General Post Office) 운영 방식을 연구하고 돌아온 그는 1871년 일본에 유사한 우편 제도를 도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

1871년 4월 도쿄오사카를 잇는 서비스를 시작으로 일본 우편 시스템은 빠르게 확장되었다. 마에지마는 '킷테(切手)'라는 우표 용어를 직접 만들었으며, 1874년 우편 저축 은행(postal savings bank)과 1875년 우편환 제도를 도입하여 우편 시스템의 자립성을 확보하고 근대 경제 시스템을 일본 전역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1]

1874년에는 새뮤얼 M. 브라이언을 고용하여 미국과의 우편 조약 체결을 추진하고, 1877년에는 일본의 만국우편연합 가입을 성사시켰다.[1] 1878년 원로원 의원, 1879년 내무성 차관을 역임하는 등 정치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1] 1881년 은퇴 당시 일본 우편 시스템은 5,099개의 우체국을 갖춘 거대한 조직으로 성장해 있었다.[1]

우편 시스템 구축 외에도 마에지마는 1872년 유빈호치신문(Yubin Hochi Shimbun)을 창간하여 언론 분야에도 진출했다.[1] 이 신문은 1894년 호치신문(Hochi Shimbun)으로 제호를 변경했고 1942년에는 요미우리 신문과 합병되었다.[1] 또한 오쿠마 시게노부가 설립한 도쿄 전문학교(이후 와세다 대학) 설립을 지원하고 1886년부터 1890년까지 교장을 역임했다.[1]

마에지마는 철도 사업에도 진출하여 1886년 간사이 철도 회사를 설립하고, 1894년에는 니가타현 니가타시나오에쓰역을 잇는 호쿠에쓰 철도를 설립했다.[1] 오쿠마 시게노부와 함께 헌정개신당 창당을 지원하고, 1888년부터 1891년까지 통신 차관을 역임하며 일본의 국영 전화 서비스 설립에 기여했다.[1] 1902년에는 화족 단샤쿠(남작) 작위를 받았고, 1904년부터 1910년까지 귀족원 의원을 역임했다.[1]

2. 2. 1. 메이지 정부 출사

오쿠보 도시미치는 건방진 신참 마에지마를 눈여겨보고 새로운 메이지 정부의 민부성(Ministry for Popular Affairs)에 그를 임명했으며, 그의 거침없는 태도는 이토 히로부미오쿠마 시게노부의 주목을 끌었다.[1] 그는 1870년영국(Great Britain)으로 파견되어 영국 우체국(General Post Office)의 운영을 연구했고, 1871년 일본으로 돌아온 후 일본에 유사한 시스템을 구축하자는 그의 제안은 곧 승인되었다.

일본 우체국(post office)은 1871년 4월 도쿄오사카를 연결하는 일일 서비스로 운영을 시작했으며, 그 사이에 65개의 우체국이 있었다. 마에지마는 직접 우표(postage stamp)를 뜻하는 일본어 '킷테(切手)'를 만들었다. 시스템의 자립성을 확보하고 근대 경제 시스템을 일본 시골까지 확장하기 위해, 마에지마는 1874년에 우편 저축 은행(postal savings bank) 시스템도 만들었다. 이 시스템은 1875년우편환(money order)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1874년, 마에지마는 외국 고문(o-yatoi gaikokujin)인 새뮤얼 M. 브라이언(Samuel M. Bryan)을 고용하여 미국(United States)과의 우편 조약을 협상하고, 1877년 일본의 만국우편연합(Universal Postal Union) 가입을 지원하게 했다.

1878년, 마에지마는 원로원(Genrōin)에 임명되었고, 1879년에는 내무성(Home Ministry) 차관(Vice Minister for Home Affairs)에 임명되었다. 마에지마가 1881년에 은퇴할 무렵, 일본 우편 시스템은 5,099개의 우체국으로 확장되었고 계속 성장하고 있었다.

2. 2. 2. 우편 제도의 아버지

마에지마 히소카는 일본 근대 우편 제도의 아버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1엔 보통 우표와 여러 기념우표에 그의 초상이 사용되고 있다.[41]

1엔 우표는 1947년 처음 발행된 이후 디자인에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일본우편(日本郵便)은 앞으로도 마에지마의 초상 디자인을 변경하지 않겠다고 밝혔다.[41] 2021년에는 일본우편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포스쿠마(ぽすくま)를 디자인한 1엔 우표가 한정 발행되기도 했지만, 마에지마의 초상이 들어간 1엔 우표는 계속 판매된다.[42]

마에지마 히소카의 초상이 들어간 우표는 다음과 같다.

액면가발행일비고
15전쇼와 21년(1946년) 11월 20일
1엔쇼와 22년(1947년) 8월 10일
쇼와 26년(1951년) 4월 14일디자인 변경
쇼와 27년(1952년) 8월 11일 단위 생략
쇼와 43년(1968년) 1월 10일인쇄 색상 변경, "NIPPON" 문자 추가
헤이세이 27년(2015년) 2월 2일금액과 "NIPPON" 위치 변경, 서체 변경[44]
1전 및 3전쇼와 2년(1927년) 6월 20일만국우편연합 가입 50주년
30전쇼와 21년(1946년) 12월 12일우편 창시 75주년
10엔쇼와 36년(1961년) 4월 20일우편 90주년
60엔쇼와 60년(1985년) 6월 5일마에지마 히소카 탄생 150주년
80엔헤이세이 6년(1994년) 8월 10일우표의 발자취 시리즈 제1집 용우표(竜切手)
80엔헤이세이 19년(2007년) 10월 1일민영화 회사 발족 기념(우정사) 시트 내
500엔레이와 3년(2021년) 8월 25일「우편 창업 150주년 우표첩(특별판)」[45][46]



1엔 보통 우표
(쇼와 27년 발매)

2. 2. 3.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동

마에지마 히소카는 우편 제도 정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872년 유빈호치신문(Yubin Hochi Shimbun)을 창간했다.[1] 이 신문은 1894년 호치신문(Hochi Shimbun)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42년 요미우리신문과 합병되었다.[1]

1882년 오쿠마 시게노부가 설립한 도쿄셈몬가쿠코(Tokyo Semmon Gakkō) 설립을 지원했으며, 1886년부터 1890년까지 교장을 역임했다.[1] 이 학교는 1902년 와세다대학교로 개명되었다.[1]

1886년 오사카에 간사이철도회사를 설립하고,[1] 1894년에는 니가타현 니가타시나오에쓰역을 잇는 호쿠에쓰 철도를 설립하는 등 철도 사업에도 참여했다.[1]

오쿠마 시게노부와 함께 헌정개신당 정당 설립을 돕고,[1] 1888년부터 1891년까지 통신부 차관을 역임하며 일본의 국영 전화 서비스 설립에 기여하는 등 정치 분야에서도 활동했다.[1]

1902년 화족 단샤쿠(남작) 작위를 받았으며,[1] 1904년부터 1910년까지 귀족원 의원으로 활동했다.[1]

2. 2. 4. 정치 활동

오쿠보 도시미치는 건방진 신참 마에지마를 눈여겨보고 새로운 메이지 정부의 민부성(Ministry for Popular Affairs)에 그를 임명했으며, 그의 거침없는 태도는 이토 히로부미오쿠마 시게노부의 주목을 끌었다.[1] 그는 1870년 영국으로 파견되어 영국 우체국(General Post Office)의 운영을 연구했고, 1871년 일본으로 돌아온 후 일본에 유사한 시스템을 구축하자는 그의 제안은 곧 승인되었다.

일본 우체국(post office)은 1871년 4월 도쿄오사카를 연결하는 일일 서비스로 운영을 시작했으며, 그 사이에 65개의 우체국이 있었다. 마에지마는 우표를 뜻하는 일본어 '킷테(切手)'를 직접 만들었다. 시스템의 자립성을 확보하고 근대 경제 시스템을 일본 시골까지 확장하기 위해, 1874년에 우편 저축 은행(postal savings bank) 시스템도 만들었다. 이 시스템은 1875년우편환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1874년, 마에지마는 외국 고문(o-yatoi gaikokujin)인 새뮤얼 M. 브라이언을 고용하여 미국과의 우편 조약을 협상하고, 1877년 일본의 만국우편연합 가입을 지원하게 했다.

1878년, 마에지마는 원로원에 임명되었고, 1879년에는 내무성 차관에 임명되었다. 1881년에 마에지마가 은퇴할 무렵, 일본 우편 시스템은 5,099개의 우체국으로 확장되었고 계속 성장하고 있었다.

2. 3. 말년

1869년(메이지 2년) 마에지마는 엔슈 나카이즈미 부교가 되어, 에도에서 이주해 오는 무록의 시족을 수용하기 위해 거주지 정비와 수산 설비 건설 등의 직무를 맡았다. 유사한 부교직에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있었다. 이 시기에 마에지마는 자신을 "마에지마 히소카"라고 부르게 되었다.[7][8]

같은 해 12월 20일(구력 11월 18일), 오쿠마 시게노부가 주도하여 메이지 정부의 민부성 내에 메이지 정부에 필요한 제도 개혁 초안을 작성하는 「개정 걸」이 설치되었다. 오쿠마는 시부사와 에이이치를 걸장으로 초빙하였고, 1870년 1월 29일(메이지 2년 12월 28일) 마에지마 히소카도 그 일원으로 출사하게 되었다.[7][8]

3. 주요 업적

마에지마 히소카는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한자 폐지 건의: 1866년 어려운 한자 대신 쉬운 문자를 사용해 국민들에게 학문을 널리 보급하자는 취지로 「한자어폐지지의(漢字御廃止之議)」를 도쿠가와 케이키(徳川慶喜)에게 제출했다.[1] 이는 국어 국자 문제에 대해 언문일치를 제안한 역사적인 문서이다.[20]
  • 에도 천도 건의: 1868년 메이지 유신 직후 오사카 천도론에 맞서 교토에서 에도로 수도를 옮겨야 한다고 주장하여 도쿄 탄생에 기여했다.[1]
  • 철도 부설 기안: 1870년 오쿠마 시게노부에게 철도 건설비와 영업 수지 예산 작성을 명받아, 「철도 억측(鉄道臆測)」이라 불리는 정밀한 계획안을 만들었다.[1] 1872년 시나가와-요코하마 간 철도 임시 개업 및 신바시-요코하마 간 정식 개업에 기여했다.
  • 우편 제도의 창설 및 발전: 1871년 도쿄-오사카 간 관영 우편 사업을 시작하여 '우편의 아버지'로 불린다.[24] '우편', '우표' 등의 용어를 직접 만들었으며,[24] 1874년 미국과의 우편 조약 협상 및 1877년 만국우편연합(Universal Postal Union) 가입을 지원했다. 1874년 우편 저축 은행 시스템을 만들고, 1875년 우편환을 포함하도록 확장했다.[1]

  • 신문 사업 육성: 1871년 신문 잡지의 저렴한 배송의 길을 열고,[25] 1872년 유빈호치신문(Yubin Hochi Shimbun)을 창간했다. 1873년에는 신문 원고를 무료로 보낼 수 있도록 했다. 유빈호치신문은 이후 호치신문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42년에는 요미우리신문과 합병되었다.
  • 육운 원회사 설립: 1872년 일본통운 주식회사의 전신이 되는 육운 원회사를 설립했다.[21]
  • 해운 정책 건의: 1872년 하코다테에서 회송업에 종사하며 실무를 경험하고, 1875년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획기적인 해운 정책을 건의했다.[24] 이는 오늘날의 일본우편 주식회사의 전신이 되었다.[24]
  • 교육 및 사회 사업: 1882년 오쿠마 시게노부가 설립한 도쿄셈몬가쿠코(와세다대학교 전신) 설립을 지원했으며, 1886년부터 1890년까지 교장을 역임했다.[5] 1876년 시각 장애인 교육을 위한 락선회(楽善会)에 입회, 훈맹원(현재 쓰쿠바 대학 부속 시각 특별 지원학교 전신) 설립에 힘썼다.[20] 1880년 일본 해원 액제회를 발족, 해원 양성, 무료 직업 소개, 진료 사업 등을 실시했다.[20]
  • 전화 사업 추진: 1888년 우편성 대신(逓信大臣)이었던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의 의뢰로 우편성 차관에 취임하여 전화 사업을 관영으로 추진하기로 의견을 통일했다.[5] 1890년 도쿄, 요코하마 시내 및 그 상호 간에서 처음으로 전화 교환 업무가 시작되었다.


마에지마 히소카의 초상이 들어간 우표는 다음과 같다.

발행일액면가비고
쇼와 21년(1946년) 11월 20일15전
쇼와 22년(1947년) 8월 10일1엔
쇼와 26년(1951년) 4월 14일1엔디자인 변경
쇼와 27년(1952년) 8월 11일1엔 단위 생략
쇼와 43년(1968년) 1월 10일1엔인쇄 색상 변경, "NIPPON" 문자 추가
헤이세이 22년(2010년) 12월 1일1엔금액과 "NIPPON" 서체 변경[43]
헤이세이 27년(2015년) 2월 2일1엔금액과 "NIPPON" 위치 변경, 서체 변경[44]
쇼와 2년(1927년) 6월 20일1전 및 3전만국우편연합 가입 50주년
쇼와 21년(1946년) 12월 12일30전우편 창시 75주년, 마에지마 히소카 초상
쇼와 36년(1961년) 4월 20일10엔우편 90주년
쇼와 60년(1985년) 6월 5일60엔마에지마 히소카 탄생 150주년, 우편역제료(駅逓寮)와 마에지마 히소카
헤이세이 6년(1994년) 8월 10일80엔우표의 발자취 시리즈 제1집 용우표(竜切手) 용우표와 마에지마 히소카, 4종 (용우표는 48문, 100문, 200문, 500문의 4종류)
헤이세이 19년(2007년) 10월 1일80엔민영화 회사 발족 기념(우정사) 시트 내의 한 종류
레이와 3년(2021년) 8월 25일500엔‘우편 창업 150주년 우표첩(특별판)’ (빨강·녹색·파랑·보라·분홍·노랑 각 1매, 세계 최초의 화지 스티커 우표 용지)[45][46]


3. 1. 한자 폐지 건의

1866년(경응 2년), 마에지마 히소카(前島密)는 한자 폐지를 주장하는 「한자어폐지지의(漢字御廃止之議)」를 쇼군 도쿠가와 케이키(徳川慶喜)에게 제출했다.[1] 이는 어려운 한자 대신 쉬운 문자를 사용해 국민들에게 학문을 널리 보급하자는 취지로, 국어 국자 문제에 대해 언문일치를 제안한 역사적인 문서이다.[20] 마에지마는 에도에서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 조카에게 그림책과 삼자경을 가르치면서 한자 교육의 어려움을 느껴 한자 폐지를 생각하게 되었다.[20] 또한 1862년(분큐 2년) 나가사키에서 채닝 윌리엄스에게 영어를 배우면서 우편 제도와 함께 한자 폐지론에 대한 영향을 받았다.[20]

이후에도 마에지마는 국어 조사 위원으로 활동하며 이 문제에 참여했다. 그는 우편 제도에서 「우표(切手)」「엽서(葉書)」「편지(手紙)」「소포(小包)」「환전(為替)」「등기(書留)」 등 쉬운 일본어(大和言葉)를 도입했다.[21]

3. 2. 에도 천도 건의

1868년(경응 4년), 메이지 유신 직후 오쿠보 도시미치오사카 천도론을 주장하자, 마에지마 히소카는 수도를 교토에서 에도로 옮겨야 한다고 진언했다.[1] 이 의견은 오쿠보를 감동시켜 실제로 에도 천도가 이루어졌다. 같은 해 7월, 에도는 도쿄로 이름이 바뀌었고, 9월에는 천황이 도쿄로 이동하여 에도 성은 황거가 되었다.

3. 3. 철도 부설 기안

1870년(메이지 3년), 마에지마 히토시는 상사인 오쿠마 시게노부에게서 철도 건설비와 영업 수지 예산 작성을 명받았다. 당시 일본에는 참고할 만한 자료가 전혀 없었지만, 고심 끝에 정밀한 계획안을 만들어냈다. 훗날 이 계획안을 본 외국인들은 그 정확성에 감탄했다고 한다. 마에지마는 이 계획안을 「철도 억측(鉄道臆測)」이라 불렀다. 1872년(메이지 5년) 5월, 시나가와-요코하마 간에 철도가 임시 개업했고, 같은 해 9월에는 신바시-요코하마 간 정식 개업이 이루어졌다.

3. 4. 우편 제도의 창설 및 발전

1862년(분큐 2년) 나가사키에서 채닝 윌리엄스에게 영학을 배우는 과정에서 우편 제도에 대해서도 배우게 되어, 후에 일본의 근대적 우편 제도의 기초 확립으로 이어지게 된다.[22][23] 윌리엄스는 마에지마에게 “통신의 국가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마치 혈액이 인체에서 차지하는 것과 같다. (중략) 통신은 곧 혈액이고, 혈관은 역급(驛遞)이다.”라고 설명하고, 우표가 붙어 있는 편지를 보여주면서 우표가 지닌 역할을 가르쳤다.[22][23]

1870년, 마에지마는 영국으로 파견되어 영국 우체국(General Post Office)의 운영을 연구했다.[1] 1871년 일본으로 돌아온 후 일본에 유사한 시스템을 구축하자는 그의 제안은 곧 승인되었다.[1]

1871년(메이지 4년) 3월 1일(신력 4월 20일), 마에지마의 발의에 따라 도쿄-오사카 간에서 관영의 우편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 때문에 ‘우편의 아버지’로 칭송받고 있다. ‘우편’이나 ‘우표’ 등의 용어는 그 자신이 선택한 단어이다.[24] 일본 우체국은 1871년 4월 도쿄와 오사카를 연결하는 일일 서비스로 운영을 시작했으며, 그 사이에 65개의 우체국이 있었다. 마에지마는 직접 우표(postage stamp)를 뜻하는 일본어 '킷테(切手)'를 만들었다.[1]

1874년, 마에지마는 외국 고문인 새뮤얼 M. 브라이언을 고용하여 미국과의 우편 조약을 협상하고, 1877년 일본의 만국우편연합(Universal Postal Union) 가입을 지원하게 했다.

마에지마는 시스템의 자립성을 확보하고 근대 경제 시스템을 일본 시골까지 확장하기 위해, 1874년에 우편 저축 은행(postal savings bank) 시스템도 만들었다. 이 시스템은 1875년에 우편환(money order)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1]

1878년, 마에지마는 원로원(Genrōin)에 임명되었고, 1879년에는 내무성(Home Ministry) 차관(Vice Minister for Home Affairs)에 임명되었다. 마에지마가 1881년에 은퇴할 무렵, 일본 우편 시스템은 5,099개의 우체국으로 확장되었고 계속 성장하고 있었다.[1]

일본 근대 우편 제도의 아버지로서, 현재의 1엔 보통 우표에 마에지마 히소카의 초상이 그려져 있으며, 몇몇 기념우표에도 그의 초상이 그려져 있다.

다른 일본 우표들이 자주 디자인을 변경하는 가운데, 마에지마 히소카의 초상이 그려진 1엔 우표만은 쇼와 22년(1947년) 초발행 이후, 글씨 등에 약간의 조정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한 번도 기본 디자인이 변경되지 않았다. 일본우편(日本郵便)도 1엔 우표의 마에지마 히소카 초상만큼은 앞으로도 변경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41]

레이와 3년(2021년) 4월 14일에 일본우편(日本郵便)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포스쿠마(ぽすくま)’를 디자인한 1엔 우표가 1억 장 한정으로 발행되었지만, 현재의 마에지마 1엔 우표도 계속 판매된다.[42]

마에지마 히소카의 초상이 들어간 우표는 다음과 같다.

발행일액면가비고
쇼와 21년(1946년) 11월 20일15전
쇼와 22년(1947년) 8월 10일1엔
쇼와 26년(1951년) 4월 14일1엔디자인 변경
쇼와 27년(1952년) 8월 11일1엔 단위 생략
쇼와 43년(1968년) 1월 10일1엔인쇄 색상 변경, "NIPPON" 문자 추가
헤이세이 22년(2010년) 12월 1일1엔금액과 "NIPPON" 서체 변경[43]
헤이세이 27년(2015년) 2월 2일1엔금액과 "NIPPON" 위치 변경, 서체 변경[44]
쇼와 2년(1927년) 6월 20일1전 및 3전만국우편연합 가입 50주년
쇼와 21년(1946년) 12월 12일30전우편 창시 75주년, 마에지마 히소카 초상
쇼와 36년(1961년) 4월 20일10엔우편 90주년
쇼와 60년(1985년) 6월 5일60엔마에지마 히소카 탄생 150주년, 우편역제료(駅逓寮)와 마에지마 히소카
헤이세이 6년(1994년) 8월 10일80엔우표의 발자취 시리즈 제1집 용우표(竜切手) 용우표와 마에지마 히소카, 4종 (용우표는 48문, 100문, 200문, 500문의 4종류)
헤이세이 19년(2007년) 10월 1일80엔민영화 회사 발족 기념(우정사) 시트 내의 한 종류
레이와 3년(2021년) 8월 25일500엔‘우편 창업 150주년 우표첩(특별판)’ (빨강·녹색·파랑·보라·분홍·노랑 각 1매, 세계 최초의 화지 스티커 우표 용지)[45][46]


3. 5. 신문 사업 육성

마에지마 히소카는 유럽과 미국 사회를 보고 들으면서 세상의 일을 널리 전하는 신문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고, 1871년(메이지 4년) 12월 신문 잡지의 저렴한 배송의 길을 열었다.[25] 그 이듬해 6월에는 스스로 출판자를 권유하여 오타 키네몬(太田金右衛門)에게 우편 보지 신문(郵便報知新聞)(후의 호치 신문)을 창간하게 했다.[25][26] 1873년(메이지 6년)에는 기사 수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신문 원고를 무료로 보낼 수 있도록 했다.

1872년 마에지마 히소카는 자신의 신문인 유빈호치신문(Yubin Hochi Shimbun)을 창간했다. 유빈호치신문은 1894년 호치신문(Hochi Shimbun)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42년에는 요미우리신문과 합병되었다.

3. 6. 육운 원회사 설립

1872년(메이지 5년) 6월, 마에지마 히소카는 에도 시대부터 육운 업무와 함께 서신 배달을 해 오던 정비급문야(定飛脚問屋)를 설득하여 일본통운 주식회사의 전신이 되는 육운 원회사를 설립했다.[21] 이 회사는 전국의 숙역에 탄생한 육운 회사를 통합하고, 우편 수송을 중심으로 화물 전문의 근대적인 운수 회사로서 발전했다.

3. 7. 해운 정책 건의

1872년(메이지 5년) 마에지마 히소카는 해운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하코다테에서 회송업자의 수제에 가담하여 실무를 경험했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 제국 우편 증기선 회사가 탄생하는 바탕이 되었다.[24] 1875년(메이지 8년) 오쿠보 도시미치는 마에지마의 건의에 따라 획기적인 해운 정책을 세우고, 이와사키 야타로의 우편 기선 미쓰비시 회사(당시 「미쓰비시 상회」)를 보조하여 그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오늘날의 일본우편 주식회사의 전신이며, 근대 해운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24]

3. 8. 교육 및 사회 사업

마에지마 히소카는 우편 시스템 정비와 더불어 교육 및 사회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872년 유빈호치신문을 창간했는데, 이 신문은 1894년 호치신문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42년 요미우리신문과 합병되었다.[25][26] 1882년 오쿠마 시게노부가 설립한 도쿄셈몬가쿠코(와세다대학교 전신) 설립을 지원했으며, 1886년부터 1890년까지 교장을 역임했다.[5] 와세다 대학 정문 옆 「와세다 대학 교지(早稲田大学教旨)」 비석 글씨는 마에지마 히소카의 자필이 원본이다.[27]

1866년 도쿠가와 케이키에게 「한자어폐지지의」라는 건의서를 제출, 국민들에게 학문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어려운 한자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0] 이후 국어 조사 위원으로 참여, 우편 제도에도 「우표(切手)」「엽서(葉書)」「편지(手紙)」 등 일본어(大和言葉)를 도입했다.[21]

1876년 시각 장애인 교육을 위한 락선회(楽善会)에 입회, 스기우라 유즈루 등과 훈맹원(현재 쓰쿠바 대학 부속 시각 특별 지원학교 전신) 설립에 힘썼다.[20] 1880년 해원 소질 향상과 보호 구제 등을 위한 일본 해원 액제회를 발족, 해원 양성, 무료 직업 소개, 진료 사업 등을 실시했다.[20]

1882년 오쿠마 시게노부 발의로 탄생한 도쿄 전문학교(와세다 대학 전신) 창립에 참여, 1887년 교장에 취임하여 재정 문제 해결에 힘썼다.[5]

3. 9. 전화 사업 추진

1883년(메이지 16년)부터 전화 사업을 관영으로 할 것인지 민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1888년(메이지 21년) 우편성 대신(逓信大臣)이었던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의 의뢰로 마에지마 히소카는 우편성 차관에 취임하여 전화 사업을 관영으로 추진하기로 의견을 통일했다.[5] 그 결과, 1890년(메이지 23년) 12월, 도쿄, 요코하마 시내 및 그 상호 간에서 처음으로 전화 교환 업무가 시작되었다.

4. 기념

일본 근대 우편 제도의 아버지로서, 현재의 1엔 보통 우표에 마에지마 히소카의 초상이 그려져 있으며, 몇몇 기념우표에도 그의 초상이 그려져 있다.

다른 일본 우표들이 자주 디자인을 변경하는 가운데, 마에지마 히소카의 초상이 그려진 1엔 우표만은 쇼와 22년(1947년) 초발행 이후, 글씨 등에 약간의 조정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한 번도 기본 디자인이 변경되지 않았다. 일본우편(日本郵便)도 1엔 우표의 마에지마 히소카 초상만큼은 앞으로도 변경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41]

레이와 3년(2021년) 4월 14일에 일본우편(日本郵便)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포스쿠마(ぽすくま)」를 디자인한 1엔 우표가 1억 장 한정으로 발행되었지만, 현재의 마에지마 1엔 우표도 계속 판매된다.[42]

5. 연보


  • 1835년(덴포 6년) - 에치고국쿠비키군시모이케베촌(현재의 니가타현조에쓰시 오아자 시모이케베)에서 부유한 농가 우에노 스케에몬의 차남으로 태어남. 이름은 후사고로.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자 외가 숙부인 이토이가와 번 의사 아이자와 붕추에게 양육됨.
  • 1847년(코카 4년) - 에도로 가서 의학을 공부하고, 란학, 영어를 배움.
  • 1858년(안세이 5년) - 항해술을 배우기 위해 하코다테로 감. 이름을 마키 타이조로 개명.
  • 1859년(안세이 6년) - 타케다 히사부로의 제술 조소에 들어감.
  • 1861년(분큐 원년) - 러시아 군함 쓰시마 점령 사건 처리를 위해 쓰시마로 간 외국 봉행 조두가 된 무카야마 에이고로를 수행함.[28]
  • 1862년(분큐 2년) - 나가사키에서 미국 성공회 선교사 채닝 윌리엄스(릿쿄대학 창설자), 기드 풀베크에게서 영학을 배움.[28]
  • 1863년(분큐 3년) - 견화 사절의 통역이 된 카 레이지의 종자로서 해외 여행의 기회를 얻어 에도로 향함. 그러나 탔던 후쿠오카 번의 콜롬비아호가 고장 나서 이케다 치쿠고노카미 등 견화 사절 일행이 출발한 후에야 에도에 도착하여, 해외 여행은 실패로 끝남.[28]
  • 1864년(겐지 원년) - 카 레이지가 나가사키에 연 사숙의 주장이 됨. 가난한 학생들을 위해 우류 토라와 사숙 「배사」를 수복사 고후쿠암에 염.
  • 1865년(게이오 원년) - 배사의 학생이었던 사메지마 나오노부의 초청으로 사쓰마 번의 양학교·개성소(막부 직할의 개성소와 다름)의 란학 강사가 됨.
  • 1866년(게이오 2년) - 막신 마에지마 가문의 양자가 되어, 가독을 계승하고 마에지마 라이호로 이름을 바꿈. 한자 폐지의 의를 장군·도쿠가와 케이키에게 제출. 막신 시미즈 요이치로의 딸 나고(나카코)와 결혼.
  • 1867년(게이오 3년) - 막부 직할 개성소의 수학 교수에 취임. 고베 개항에 따라 효고 봉행의 수출 역으로 고베에 가서 항구의 사무를 담당.
  • 1868년(게이오 4년, 메이지 원년) - 효고 봉행 지배 역이 되어 번역관을 겸임. 에도로 돌아와, 간정 역각 보도 메츠케 역이 되어, 히라오카 이치에 소속되어 관군 영접 역으로 오다와라까지 출장하지만 실패하고, 에도 민생의 안녕에 힘씀. 오사카까지 가서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에도 천도를 건의함. 대정봉환 후, 스루가 번(시즈오카현) 유수 첨역, 동본역이 되고, 곧 동번 공용인이 됨.
  • 1869년(메이지 2년) - 스루가 번 하마마쓰 첨봉행이 되고 동번 엔슈 나카이즈미 봉행이 됨. 후에 시즈오카 번 개업 방 물산 걸이 됨. 이 무렵 밀명으로 개명. 이 해 말 메이지 정부에 불려, 민부성 구등 출시가 되어 개정 걸에 출시함.
  • 1870년(메이지 3년) - 3월 조세권 정, 5월에는 역체권 정 겸임이 되어, 태정관에 우편 제도 창설을 건의. 조세권 정에 임명되었을 때는 풀베크로부터 영미의 조세법 서적을 빌리고, 또 그 설을 듣는 등 공부함.[14] 우편 제도 시찰 및 철도 건설 차관 계약 체결을 위해 영국으로 건너감.
  • 1871년(메이지 4년) - 8월 귀국, 역체두에 임명되어 우편 제도 창설에 힘써, 일본의 근대적 우편 제도의 기초를 확립.
  • 1872년(메이지 5년) - 육해 원회사(현, 일본통운 주식회사), 우편 보지 신문(현 스포츠 보지)의 설립 및 간행에 관여.
  • 1873년(메이지 6년) - 매일 히라가나 신문을 창간[29]
  • 1877년(메이지 10년) - 역체국장에 임명. 제1회 내국 권업 박람회 심사관장.
  • 1878년(메이지 11년) - 원로원 의관을 겸임.
  • 1879년(메이지 12년) - 내무성 역체 총감에 임명됨.
  • 1881년(메이지 14년) - 메이지 14년의 정변으로 사직하고, 오쿠마 시게노부 등과 함께 입헌 개진당을 창립.
  • 1887년(메이지 20년) - 9월 도쿄 전문학교(현 와세다대학) 교장에 취임, 또 간사이 철도 회사 사장.
  • 1888년(메이지 21년) - 11월 청탁으로 체신 차관에 취임, 1891년 3월까지 재직. 관영 전화 교환 제도를 실시.
  • 1894년(메이지 27년) - 호쿠에쓰 철도 주식회사의 사장에 취임, 나오에쓰·니가타 간의 철도 건설을 시작.
  • 1902년(메이지 35년) - 남작 작위 수여.
  • 1904년(메이지 37년) - 7월 10일 귀족원 남작 의원으로 선임됨.[30][31]
  • 1910년(메이지 43년) - 3월 10일 귀족원 남작 의원 사임[32]
  • 1919년(다이쇼 8년) - 가나가와현 미우라군 니시우라촌 오아자 아시나(현재의 요코스카시아시나)의 별장 료료산장에서 사망.

6. 가족 관계


  • 처: 나호(仲子, 막신 시미즈 요이치로의 딸)
  • 자녀

구분이름비고
장남마에지마 미타루(와타루)실업가, 남작[47]
장녀후지고다 사나에 부인[47]
차녀키쿠마쓰시마 쇼시로(지질학자) 부인[47]
삼녀무쓰코이치세 쿄우지로 부인[47]
사녀유리요시자와 요시노리 부인[47]


  • 손자: 마에지마 칸이치로(귀족원 남작 의원, 미타루의 장남)[47]
  • 증손: 미야케 유지(코미디언, 배우, 탤런트, 사회자, 조카 또는 질녀의 손자)

참조

[1] 백과사전 Maejima Hisoka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11-02
[2] 웹사이트 前島密‐日本郵政 https://www.japanpos[...] 2021-07-08
[3] 웹사이트 郵便の父・前島密が築いた 誰もが平等に使える制度 https://www.projectd[...] 2017-06-05
[4] 서적 『〔参考〕夜会招客人名書 明治二十二年三月十一日』 https://eiichi.shibu[...]
[5] 웹사이트 東京専門学校第2代校長 前島密 ― 【外部から来た校長・学長】第1回 https://www.waseda.j[...] 2016-04-28
[6] 논문 システム共同運用記念シンポジウム「早慶図書館の挑戦」併設展示に寄せて https://hdl.handle.n[...] 早稲田大学図書館
[7] 간행물 幕臣前島密がみた文明開化の礎 https://www.postalmu[...] 郵政博物館 研究紀要 2019-03-00
[8] 간행물 『日本文明の一大恩人』前島密の思想的背景と文明開化 https://www.postalmu[...] 郵政博物館 研究紀要 2020-03-00
[9] 문서 실친은 순천향대학교의 기초를 만든 佐藤泰然. 실동생에 松本良順, 林董가 있다.
[10] 웹사이트 「培社」とは https://www.asahi-ne[...]
[11] 간행물 特集 没後100年 前島密の偉業を追って6 前島密と教育(語学に関する視点から) http://www.postmaste[...] 全国郵便局長協会連合会 2020-10-00
[12] 웹사이트 日本を変えた出会い―英学者・何礼之(が のりゆき)と門弟・前島密、星亨、陸奥宗光― https://www.ishiryok[...] 2012-06-01
[13] 웹사이트 福岡藩留学生とフルベッキ https://www.asahi-ne[...]
[14] 논문 長崎におけるフルベッキの人脈 http://id.nii.ac.jp/[...] 桃山学院大学総合研究所
[15] 문서 남작 안보 청강 자서전에 따르면, 학생은 그 외에 5명 정도 있었다고 한다.
[16] 웹사이트 長崎フルベッキ研究会レポート https://www.asahi-ne[...]
[17] 웹사이트 前島密年譜 https://www.japanpos[...]
[18] 서적 鴻爪痕 前島密伝
[19] 문서 田安徳川家家老. 平岡円四郎의 친척.
[20] 웹사이트 ウィリアムズ主教の生涯と同師をめぐる人々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郵便用語は「やまとことば」ばかり!日本郵便の父・前島密がこだわった理由とは | 和樂web 美の国ニッポンをもっと知る! https://intojapanwar[...]
[22] 서적 鴻爪痕 https://dl.ndl.go.jp[...] 市島謙吉 デジタル化出版者:国立国会図書館
[23] 웹사이트 全特 平成29年4月号(2017年4月1日発行)全国郵便局長協会連合会 http://www.postmaste[...]
[24] 웹사이트 切手の豆知識 第1回「切手の語源」 https://kitte-museum[...] 切手の博物館 2005-05-28
[25] 웹사이트 前島密 https://www.city.joe[...] 上越市立歴史博物館 2021-12-01
[26] 웹사이트 日本郵便の父 前島密 https://www.postalmu[...] 郵政博物館
[27] 논문 システム共同運用記念シンポジウム「早慶図書館の挑戦」併設展示に寄せて https://hdl.handle.n[...] 早稲田大学図書館
[28] 웹사이트 前島密一代記 https://www.postalmu[...]
[29] 웹사이트 [第1話]"郵便制度の父"前島密のもう一つの顔 https://www.pref-lib[...] 新潟県立文書館
[30]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 大蔵省印刷局
[31] 서적 貴族院要覧(丙) 1946-12-00
[32] 서적 貴族院要覧(丙) 1946-12-00
[33] 문서 太政官日誌
[34] 문서 官報 1888-12-10
[35] 문서 官報 1902-07-31
[36] 간행물 官報 第319号「叙任及辞令」 1913-08-21
[37] 간행물 官報 第1928号「叙任及辞令」 1889-11-30
[38] 간행물 官報 第5687号「叙任及辞令」 1902-06-20
[39] 서적 早稲田大学校賓名鑑
[40] 웹사이트 前島密翁について https://www.jorakuji[...] 浄楽寺 2021-06-20
[41] 웹사이트 切手デザイン一新 1円の前島密だけは「変えられない」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4-11-13
[42] 뉴스 「ぽすくま」1円切手を限定発行 70年ぶり新デザイン 前島密肖像の現行絵柄は継続 https://mainichi.jp/[...] 2021-01-28
[43] 보도자료 普通切手の一部券種で使用している書体の変更 https://www.post.jap[...] 郵便事業株式会社 2010-11-29
[44] 보도자료 新デザインの普通切手の発行 https://www.post.jap[...] 日本郵便株式会社 2014-11-12
[45] 웹사이트 郵便創業150年切手帳 https://www.post.jap[...] 郵便局
[46] 보도자료 「郵便創業 150 年切手帳」の発売 https://www.post.jap[...] 日本郵便株式会社 2021-07-05
[47]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