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 보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 보니"는 다양한 버전으로 불린 미국의 민요이다. 이 노래는 1746년 컬로든 전투에서 패배한 보니 왕자 찰리를 기리기 위해 불렸을 가능성이 있으며, 1881년 찰스 E. 프랫이 "Bring Back My Bonnie to Me"라는 제목으로 악보를 출판하면서 대중적으로 알려졌다. 1961년, 토니 셰리던과 비틀즈가 록앤롤 스타일로 편곡하여 녹음한 버전이 있으며, 이 곡은 비틀즈가 브라이언 엡스타인과 계약을 맺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곡은 듀안 에디, 레이 찰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리메이크되었으며, 여러 패러디와 변형으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코바이트 - 스카이의 뱃노래
스카이의 뱃노래는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왕자의 스카이 섬 탈출을 묘사한 스코틀랜드 포크송으로, 자코바이트의 정서를 담고 있으며 영화와 드라마, 특히 《아웃랜더》의 오프닝 곡으로 널리 알려졌다. - 자코바이트 - Óró sé do bheatha abhaile
Óró sé do bheatha abhaile는 "오로, 집으로 돌아온 당신을 환영합니다"라는 뜻의 아일랜드 민요로, 신부를 맞이하는 노래에서 시작되어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지지, 그리고 아일랜드 독립운동 고취에 기여하며 현대 아일랜드 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스코틀랜드의 민요 - 스카이의 뱃노래
스카이의 뱃노래는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왕자의 스카이 섬 탈출을 묘사한 스코틀랜드 포크송으로, 자코바이트의 정서를 담고 있으며 영화와 드라마, 특히 《아웃랜더》의 오프닝 곡으로 널리 알려졌다. - 스코틀랜드의 민요 - The Parting Glass
The Parting Glass는 17세기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 유래된 작별 노래로, 떠나가는 손님에게 술 한 잔을 권하는 풍습에서 비롯되었으며 다양한 음악가와 매체에서 재해석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 1961년 싱글 - Can't Help Falling in Love
엘비스 프레슬리가 1961년 영화 《블루 하와이》를 위해 처음 부른 "Can't Help Falling in Love"는 장 폴 마르티니의 가곡 "사랑의 기쁨은"을 바탕으로 작곡되었으며, 발표 후 프레슬리의 대표곡이자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리메이크되어 사랑받고 있고, 특히 UB40의 1993년 리메이크 버전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1961년 싱글 - Blue Moon (1934년 노래)
Blue Moon은 1934년 리처드 로저스와 로렌츠 하트가 작곡하여 여러 영화 삽입을 위해 가사가 수정되었고, 테드 피오 리토의 음반 발표 후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리메이크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1961년 마셀스의 두왑 버전은 빌보드 차트 1위를 기록하고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 사용되었다.
마이 보니 | |
---|---|
노래 정보 | |
장르 | 스코틀랜드 민요 |
본 윌리엄스 기념 도서관 | 나의 보니는 바다 위에 있다 |
2. 역사
이 노래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원래는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보니 왕자 찰리')를 가리키는 것이었을 수 있다.[2] 1746년 컬로든 전투에서 왕자가 패배하고 추방된 후, 그의 자코바이트 지지자들은 그를 기리기 위해 이 노래 또는 이와 유사한 노래를 불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니"라는 용어는 남성과 여성 모두를 지칭할 수 있어 사랑 노래로 위장할 수 있었다.
1881년, 찰스 E. 프랫은 H. J. 풀러와 J. T. 우드라는 가명으로 "Bring Back My Bonnie to Me"의 악보를 출판했다.[3][4][5] 시어도어 래프는 1964년 저서 ''American Song Treasury: 100 Favorites''에서 1870년대에 사람들이 악보 가게에서 이 노래를 요청했고, 프랫은 가명을 사용하여 이 노래의 버전을 출판하도록 설득당했다고 썼다. 이 노래는 특히 대학 합창단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4]
"My Bonnie"의 선행곡으로 여겨지는 "My Barney Lies over the Ocean"이라는 노래도 있는데, 약간 다른 멜로디를 가지고 있다. 1975년 앨범 "For Pence and Spicy Ale"의 라이너 노트에서 영국 전통 음악 그룹 더 워터슨스가 이 곡을 녹음했는데, 음악학자 A. L. 로이드는 "My Barney"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1860년대부터 아일랜드 코미디언들이 선호하는 무대 노래. 1880년대에 미국 대학 캠퍼스에서 화음을 중시하는 그룹들이 이 곡을 더 잘 알려진—그리고 훨씬 더 터무니없는—'My Bonny Lies over the Ocean'으로 개작했다."[6]
2. 1. 기원과 초기 역사
노래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원래 대상은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보니 왕자 찰리')였을 수 있다.[2] 1746년 컬로든 전투에서 왕자가 패배하고 추방된 후, 그의 자코바이트 지지자들은 그를 기리기 위해 이 노래 또는 이와 유사한 노래를 불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니"라는 용어는 남성과 여성 모두를 지칭할 수 있어 사랑 노래로 위장할 수 있었다.1881년, 찰스 E. 프랫은 H. J. 풀러와 J. T. 우드라는 가명으로 "Bring Back My Bonnie to Me"의 악보를 출판했다.[3][4][5] 시어도어 래프는 1964년 저서 ''American Song Treasury: 100 Favorites''에서 1870년대에 사람들이 악보 가게에서 이 노래를 요청했고, 프랫은 가명을 사용하여 이 노래의 버전을 출판하도록 설득당했다고 썼다. 이 노래는 특히 대학 합창단에서 큰 인기를 얻었지만, 모든 그룹에서도 인기를 누렸다.[4]
"My Bonnie"의 선행곡으로 여겨지는 "My Barney Lies over the Ocean"이라는 제목의 또 다른 노래가 있으며, 약간 다른 멜로디를 가지고 있다. 1975년 앨범 "For Pence and Spicy Ale"의 라이너 노트에서 영국 전통 음악 그룹 더 워터슨스가 이 곡을 녹음했는데, 음악학자 A. L. 로이드는 "My Barney"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1860년대부터 아일랜드 코미디언들이 선호하는 무대 노래. 1880년대에 미국 대학 캠퍼스에서 화음을 중시하는 그룹들이 이 곡을 더 잘 알려진—그리고 훨씬 더 터무니없는—'My Bonny Lies over the Ocean'으로 개작했다. 워터슨스는 밥 데이븐포트로부터 이 곡을 얻었는데, 그는 프랭크 퀸의 78 레코드에서 이 곡을 배웠다."[6] 작가는 미상이나, 이 노래는 보니 프린스 찰리, 즉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에 관한 노래라고 여겨진다.[76][77][78]
2. 2. 19세기 악보 출판과 인기
1881년, 찰스 E. 프랫은 H. J. 풀러와 J. T. 우드라는 가명으로 "Bring Back My Bonnie to Me"의 악보를 출판했다.[3][4][5] 시어도어 래프는 1964년 저서 ''American Song Treasury: 100 Favorites''에서 1870년대에 사람들이 악보 가게에서 이 노래를 요청했고, 프랫이 가명을 사용하여 이 노래의 버전을 출판하게 되었다고 기록했다. 이 노래는 특히 대학 합창단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여러 그룹에서도 널리 불렸다.[4]"My Bonnie"의 선행곡으로 여겨지는 "My Barney Lies over the Ocean"이라는 제목의 또 다른 노래도 있으며, 약간 다른 멜로디를 가지고 있다.
2. 3. 초기 녹음
"마이 보니"는 1901년 하이든 콰르텟의 녹음을 비롯하여 많은 초기 녹음이 이루어졌다.[7] 1916년에는 테일러 트리오가 기악 버전을,[8] 1918년에는 알마 글루크와 오르페우스 콰르텟이 보컬 버전을 녹음했다.[9] 이 곡은 다양한 음악 스타일로도 녹음되었는데, 1927년 컨트리 그룹 리크 카운티 레블러스는 "My Bonnie Lies over the Ocean"이라는 제목으로 컨트리 버전을,[10] 1938년 글렌 그레이와 카사 로마 오케스트라는 빅 밴드 버전을,[11] 1952년 엘라 피츠제럴드는 바비 오턴의 틴-에이스와 함께 칼립소 스타일 버전을 녹음하여 "Trying"의 B면에 수록했다.[12][13][14]3. 가사
My Bonnie lies over the ocean|내 보니는 대양 너머에 누워있네영어
My Bonnie lies over the sea|내 보니는 바다 너머에 누워있네영어
My Bonnie lies over the ocean|내 보니는 대양 너머에 누워있네영어
Oh bring back my Bonnie to me|오, 내 보니를 내게 데려다주오영어
: [후렴]
Bring back, bring back|데려다주오, 데려다주오영어
Bring back my Bonnie to me, to me|내 보니를 내게, 내게 데려다주오영어
Bring back, bring back|데려다주오, 데려다주오영어
Bring back my Bonnie to me|오 내 보니를 내게 데려다주오영어
Last night as I lay on my pillow|어젯밤 내가 베개에 누웠을 때영어
Last night as I lay on my bed|어젯밤 내가 침대에 누웠을 때영어
Last night as I lay on my pillow|어젯밤 내가 베개에 누웠을 때영어
I dreamed that my Bonnie was dead|내 보니가 죽었다는 꿈을 꾸었네영어
: [후렴]
Oh blow ye the winds o'er the ocean|오, 바람아 대양 위를 불어라영어
And blow ye the winds o'er the sea|오, 바람아 바다 위를 불어라영어
Oh blow ye the winds o'er the ocean|오, 바람아 대양 위를 불어라영어
And bring back my Bonnie to me|그리고 내 보니를 내게 데려다주오영어
: [후렴]
The winds have blown over the ocean|바람이 대양 위를 불었고영어
The winds have blown over the sea|바람이 바다 위를 불었고영어
The winds have blown over the ocean|바람이 대양 위를 불었고영어
And brought back my Bonnie to me|내 보니를 내게 데려다주었네영어
: [후렴][24]
3. 1. 가사 변형 및 패러디
이 노래는 구조와 곡조가 패러디에 적합하여 수많은 변형과 패러디가 만들어졌다.[25] 이 중 일부는 어린이 노래로 불릴 수 있으며,[19][20] 많은 곡들이 캠프파이어에서 보이스카우트와 같은 단체의 흔한 노래가 되었다.[21][22][23] 이러한 캠프파이어 버전에는 때때로 "b"로 시작하는 단어가 불릴 때마다 앉거나 일어서는 것과 같은 상호 작용적인 동작이 동반되기도 한다.[24];마이 보니 (변형)[24]
:어젯밤 베개에 누워,
:어젯밤 침대에 누워,
:창밖으로 발을 내밀었지,
:아침에 이웃들이 죽었네.
:돌려줘, 돌려줘, 오 내 이웃을 내게 돌려줘, 내게
:돌려줘, 돌려줘, 오 내 이웃을 내게 돌려줘
:보니는 가스통 위로 몸을 기울였네,
:그 내용물의 높이를 보려고,
:나는 그녀를 돕기 위해 성냥에 불을 붙였지,
:오 내 보니를 내게 돌려줘.
:돌려줘, 돌려줘, 오 내 보니를 내게 돌려줘, 내게
:돌려줘, 돌려줘, 오 내 보니를 내게 돌려줘.
:내 아침 식사는 바다 건너에 있고,
:내 점심 식사는 난간 너머에 있네.
:내 저녁 식사는 소동 속에 있네.
:누군가 내게 양동이를 가져다주지 않겠나?
:제발 가져다줘, 제발 가져다줘, 오 제발 내게 양동이를 가져다줘, 내게
:제발 가져다줘, 제발 가져다줘, 오 제발 내게 양동이를 가져다줘.
; 오 신이시여, 돈이 얼마나 굴러들어오는지[27]
:우리 엄마는 욕조에서 맥주를 만들고,
:우리 아빠는 합성 진을 만들고,
:우리 누나는 25센트에 퍼지를 만들지,
:오 신이시여, 돈이 얼마나 굴러들어오는지.
:[후렴]
:굴러 들어오네, 굴러 들어오네, 오 신이시여, 돈이 얼마나 굴러들어오는지, 굴러 들어오네,
:굴러 들어오네, 굴러 들어오네, 오 신이시여, 돈이 얼마나 굴러들어오는지.
:우리 엄마는 욕조에서 익사했고,
:우리 아빠는 진으로 돌아가셨지,
:우리 누나는 초콜릿에 걸려 질식했네,
:오 신이시여, 내가 얼마나 곤경에 처했는지.
:[후렴 반복]
:나는 욕조에서 맥주를 만들려고 했고,
:나는 합성 진을 만들려고 했고,
:나는 생계를 위해 퍼지를 만들려고 했지,
:지금 내가 어떤 꼴인지 봐봐.
:[후렴 반복]
스카우트 운동에서 인기 있는 또 다른 변형은 "우리 아버지는 변기 청소부", "브라소로 단추를 닦아라", "달콤한 제비꽃"과 같은 제목으로 불린다.[28][29][30] Brasso라는 세척제, 세 하펜스(세 개의 하프페니)의 가격, 그리고 울워스에서 구할 수 있다는 언급은 20세기 초 영국 뮤직홀, 또는 영국 또는 ANZAC 군대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Roud folk song index 번호는 10232이다.[31]
4. 토니 셰리던과 비틀즈의 버전
1961년 토니 셰리던과 비틀즈는 이 곡을 로큰롤 스타일로 편곡하여 〈My Bonnie〉라는 제목으로 녹음했다.[32][33] 독일어 버전에서는 "Mein Herz ist bei dir nur" ("내 마음은 오직 당신과 함께")라는 부제가 붙었다.[34][35] 최초 발매 당시 비틀즈는 비트 브라더스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독일 프로듀서가 독일어 슬랭 "''pidels''" (피들스, "작은 자지"를 의미)와 비슷한 발음을 연상시키는 것을 피하고 싶어 했고, "비트 브라더스"가 독일 청중에게 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36][42]
이 싱글은 브라이언 엡스타인이 비틀즈에 주목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비록 엡스타인이 그 전에 그룹에 대해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리버풀에 있는 그의 음반 가게 NEMS에서 한 고객이 이 음반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엡스타인은 이후 더 캐번 클럽에서 비틀즈를 보았고 그들의 매니저가 되었다.[42]
〈마이 보니〉와 〈The Saints〉는 셰리던의 앨범 《마이 보니》에 모두 수록되었다. 셰리던의 첫 번째 버전의 〈스위트 조지아 브라운〉도 비틀즈와 함께 녹음되어 1962년에 EP로 발매되었다. 이 곡은 비틀 형제로 크레딧된 비틀즈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곡이었다.[47] 비틀즈가 유명해지자, 1961년과 1962년 함부르크에서 비틀즈가 녹음한 8곡이 모두 1964년 독일 앨범 《The Beatles' First!》에 수록되었고, 이후 다른 지역에서도 발매되었다. 〈마이 보니〉는 〈에인트 쉬 스위트〉 및 〈크라이 포 어 섀도〉와 함께 1995년 《앤솔로지 1》에 수록되었다.[48]
4. 1. 녹음
1961년 6월 22일, 토니 셰리던과 비틀즈는 서독 함부르크의 프리드리히-에베르트 홀레에서 〈마이 보니〉를 녹음했다.[42] 이 곡은 비틀즈의 첫 상업 녹음이었다. 프로듀서 베르트 캠퍼트는 사운드 엔지니어 카를 힌츠의 도움을 받아 이 곡을 제작했다.[42] 〈마이 보니〉는 독일인들에게 알려진 곡이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37]토니 셰리던은 리드 보컬을 맡았고, 엘비스 프레슬리 스타일의 느린 인트로로 시작했다. 비틀즈는 백 밴드로서, 폴 매카트니는 보컬 하모니와 샤우트를, 피트 베스트는 드럼으로 빠른 부분에서 "2-앤, 4" 비트를 연주했으며, 조지 해리슨은 기타로 브릿지 부분을 연주했다.[37] 셰리던은 자신의 노래 편곡에 대해 "[느린] 인트로는 A였는데, 우리는 매우 혁신적인 일을 해서 C로 가서 로큰롤을 했다."라고 설명했다.[38]
셰리던은 〈마이 보니〉 녹음 세션을 위한 준비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4. 2. 발매 및 반응
토니 셰리던과 비틀즈는 이 곡을 로큰롤 스타일로 편곡하여 녹음했다.[32] "마이 보니"는 1961년 10월 서독에서 싱글로 처음 발매되었으며, B면에는 "성자들(성자들의 행진)"이 수록되었다. 1962년 맥카트니에 따르면 독일 히트 퍼레이드에서 5위 안에 들었다.[40][41]이 싱글은 브라이언 엡스타인이 비틀즈에 주목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비록 엡스타인이 그 전에 그룹에 대해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리버풀에 있는 그의 음반 가게 NEMS에서 한 고객이 이 음반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엡스타인은 이후 더 캐번 클럽에서 비틀즈를 보고 그들의 매니저가 되었다.[42] 엡스타인은 NEMS를 위해 이 싱글을 대량 주문했고, 이에 독일 레이블은 1962년 1월 5일 영국에서 이 싱글을 발매하도록 설득했다. 이때는 토니 쉐리던 앤 더 비틀즈로 크레딧되었다.[43] 1962년 영국 차트에는 오르지 못했지만, 비틀즈가 인기를 얻은 후인 1963년에 48위에 올랐다. 1963년 7월, 폴리도르는 비틀즈의 성공에 편승하기 위해 "마이 보니"를 영국에서 EP로 발매했다.[44] 이 싱글은 비틀마니아 동안 미국에서도 발매되었는데, 비틀즈가 리드 아티스트로 크레딧되었고, ''빌보드'' 차트에서 26위에 올랐다.[45]
존 레논은 쉐리던과 비틀즈의 녹음에 대해 "토니 쉐리던이 노래하고, 우리가 배경에서 두드리는 것뿐이다. 끔찍하다. 누구라도 할 수 있다."라며 불만을 표했다.[42] 하지만 조지 해리슨은 이들의 녹음 초기에 열광하며 "며칠 동안 계속 들었다"고 말했다. 잠시 동안 밴드는 이 곡을 공연했는데, 레논이 리드 보컬을 맡았다.[46]
1962년, 일본 그라모폰은 "토니 셰리단과 그의 비트 브라더스" 명의로 "마이 보니 트위스트" 싱글 레코드(DP-1254, 1962년 5월 신보(4월 20일 발매))를 발매했다.[80] 1964년 비틀즈 붐이 일자, 일본 그라모폰은 이에 편승하여 타이틀을 "마이 보니"로 변경하고, 비틀즈 명의로 재발매반(DP-1351, 1964년 4월 20일 발매)을 발매했다.[81] 이 재발매반은 일본 『뮤직 먼슬리』지의 "이달의 베스트 셀러즈 1964.8.31 현재"의 "팝 음악(45)"에서 최고 순위 8위를 기록했다.[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