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Óró sé do bheatha abhail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Óró sé do bheatha abhaile는 아일랜드 민요로, 여러 버전의 가사와 역사를 가지고 있다. 1884년 프란시스 호건이 집들이나 신부 맞이 노래로 불리는 후렴구를 소개했으며, 자코바이트들은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를 지지하는 노래로 불렀다. 20세기 초 패트릭 피어스는 부활절 봉기 기간 중 아일랜드 의용군 집회에서 이 노래를 불렀고, 아일랜드 독립전쟁 기간 동안 널리 퍼졌다. 이 노래는 더 더블린스, 크루아찬, 시네이드 오코너 등에 의해 녹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코바이트 - 스카이의 뱃노래
    스카이의 뱃노래는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왕자의 스카이 섬 탈출을 묘사한 스코틀랜드 포크송으로, 자코바이트의 정서를 담고 있으며 영화와 드라마, 특히 《아웃랜더》의 오프닝 곡으로 널리 알려졌다.
  • 자코바이트 - 마이 보니
    마이 보니는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왕자를 기리는 영어 민요로 추정되며, 1881년 악보 출판 후 대학 합창단을 중심으로 널리 불렸고, 토니 셰리던과 비틀즈의 로큰롤 버전이 유명하며 비틀즈 발굴 계기가 되었다.
  • 아일랜드의 민요 - 아일 텔 마이 마
    "아일 텔 마이 마"는 클랜시 형제, 더 더블리너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녹음 및 리메이크된 아일랜드 민요로, 여러 장르로 편곡 및 패러디되면서 다재다능함을 보여준다.
  • 아일랜드의 민요 - 홀리 그라운드
    홀리 그라운드는 19세기 아일랜드 코브 지역 홍등가에서 유래된 민요로, 이별의 아픔과 재회에 대한 희망, 항해의 고난, 고향에 대한 그리움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아일랜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노래로 여러 예술가들에 의해 재해석되고 문화 축제 등에서 불린다.
Óró sé do bheatha abhaile
기본 정보
아일랜드의 하프
아일랜드의 하프
곡명 (아일랜드어)Óró, sé do bheatha abhaile
곡명 (로마자 표기)Óró, sé do bheatha 'bhaile
번역오, 당신은 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장르전통 아일랜드 음악
형식발라드
언어아일랜드어

2. 역사

이 노래의 기원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변형을 통해 그 역사를 추적할 수 있다. 대부분의 민요처럼 이 노래 역시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 알기 어렵다.

2. 1. 초기 형태

1884년 브레노모어의 프란시스 호건은 "70년은 족히 된" 이 노래가 집들이나 신부 맞이 노래로 불리고 있다고 하면서 아래의 후렴부를 소개하였다. 새신랑이 신부를 신혼집에 들이며 부르던 노래라는 것이다.[8]

1915년 모너핸주 파니 출신의 엔리 오미게사도 이와 비슷한 기록을 남겼지만, "그러나 노랫가락은 내가 사는 시대엔 이미 잊혔다"라고 하면서 집들이 전통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후렴구도 행복하게 잘살자는 "thá tu maith le rátha"에서 "당신이 온 지 석 달이 되었네"라는 뜻의 "Tá tú amuiġ le ráiṫċe"로 바꾸어 적고 있다.[9]

2. 2. 자코바이트 시대

노래 가사 중 Séarlas Ógga(어린 찰스)라는 구절 때문에 자코바이트들은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를 지지하는 노래로 불렀다.[9][10]

오늘날 알려진 노랫가락은 1855년 조지 페트리의 《아일랜드 음악 완선집》에 "고대 클랜의 행진곡"이라고 설명된 노래 가운데 후렴구가 이 노래와 같은 것을 참조하여 재현된 것이다.[11]

2. 3. 아일랜드 독립운동 시기

패트릭 피어스부활절 봉기 기간 중 아일랜드 의용군 집회에서 이 노래를 자주 불렀고, 이후 아일랜드 독립전쟁 동안 빠른 행진곡으로 불리며 대중에게 널리 퍼졌다.[12] 피어스는 자코바이트 버전의 가사를 수정하여, 외국 왕자 대신 아일랜드 영웅 그레이스 오말리를 등장시키고, 외국 군대가 아닌 게일족 전사들을 강조했다.

3. 가사

이 노래는 오래된 민요로 여러 변형이 있다. 패트릭 피어스가 다듬은 가사는 다음과 같다.

[2]

3. 1. 원 가사 (1884년 버전)



Anois ar theacht an tsamhraidh|아니스 아르 햐흐트 언 타므리ga[1]

3. 2. 자코바이트 버전

'''후렴:'''


Óró, sé do bheatha abhaile|오로, 집으로 돌아온 것을 환영하네ga

Óró, sé do bheatha abhaile|오로, 집으로 돌아온 것을 환영하네ga

Óró, sé do bheatha abhaile|오로, 집으로 돌아온 것을 환영하네ga

Anois ar theacht an tsamhraidh|이제 여름이 오네.ga

'Sé do bheatha, a bhean ba léanmhar|어린 찰스여, 제임스 왕의 아들이여ga[3][4]

Do b' é ár gcreach tú bheith i ngéibheann|아일랜드에서 추방된 것은 큰 슬픔이라네ga

Do dhúiche bhreá i seilbh méirleach|신발 끈도, 양말이나 셔츠도 없이ga

Is tú díolta leis na Gallaibh|외국인들에게 쫓겨났네ga

'''후렴'''

Tá Gráinne Mhaol ag teacht thar sáile|내가 보지 못하는 것이 슬프네ga

Óglaigh armtha léi mar gharda|단 일주일이라도 그 후에 살아있다면ga

Gaeil iad féin is ní Gaill ná Spáinnigh|어린 찰스와 천 명의 전사들이ga

Is cuirfidh siad ruaig ar Ghallaibh|외국인들을 쫓아내리라ga

'''후렴'''

A bhuí le Rí na bhFeart go bhfeiceam|어린 찰스는 바다를 건너오네ga

Mura mbeam beo ina dhiaidh ach seachtain|프랑스인과 스페인인이 그와 함께하리ga

Gráinne Mhaol agus míle gaiscíoch|그를 경호하는 무장 의용군이 있으니ga

Ag fógairt fáin ar Ghallaibh|그들은 이단자들을 춤추게 하리라!ga

'''후렴'''[2]

3. 3. 패트릭 피어스 버전

아일랜드 민족주의 시인 패트릭 피어스가 다듬은 가사로, 그라너 니 말러(그레이스 오말리)와 게일족 전사들이 등장한다.

[2]

4. 녹음

더 더블린스는 1987년 앨범 ''25 Years Celebration''에, 크루아찬은 1995년 앨범 ''Tuatha na Gael''에, 시네이드 오코너는 2002년 앨범 ''Sean-Nós Nua''와 2003년 앨범 ''She Who Dwells in the Secret Place of the Most High Shall Abide Under the Shadow of the Almighty''에 이 노래를 녹음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eolas: The Fiddler's Companion http://www.ceolas.or[...]
[2] 문서
[3] 문서 Bonnie Prince Charlie
[4] 문서 James Francis Edward Stuart
[5] 문서
[6] 뉴스 Óró Sé do Bheatha ‘Bhaile – Irish rallying call https://www.irishmus[...] IRISH MUSIC DAILY
[7] 웹사이트 https://songsinirish[...]
[8] 서적 Old Irish Folk Music and Songs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Hodges, Figgis & Co.)
[9] 서적 Céad de Ċeoltaiḃ Ulaḋ M. H. Mac Giolla agus a Ṁac
[10] 웹인용 Oro! Se Do Bheatha Bhaile http://chrsouchon.fr[...] 2010-07-24
[11] 서적 The Complete Collection of Irish Music http://imslp.org/wik[...] Boosey & Co
[12] 간행물 The Dord Feinne http://www.ucc.ie/ce[...] University College, C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