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아사우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아사우라는 최대 9m까지 자랐고, "오리 주둥이" 모양의 입과 수백 개의 이빨을 가진 대형 초식 공룡이다. 짧고 단단한 볏이 특징이며, 이족 보행과 사족 보행을 모두 할 수 있었다. 1979년 잭 호너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좋은 어머니"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무리 생활을 했으며, 둥지 군집에서 새끼를 키웠고, 부모의 보살핌을 받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투 메디신 지층에서 발견되며, 브라킬로포사우루스족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얀두사우루스
    얀두사우루스는 중국 쓰촨성 쯔궁에서 발견된 신조반목류 공룡의 한 속으로, 얀두사우루스 홍헤엔시스라는 모식종으로 명명되었으며, 한때 힙실로포돈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신조반목류 내에서 위치가 불확실하고, 또 다른 종인 얀두사우루스 멀티덴스는 헥신루사우루스속으로 재분류되었다.
  • 19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세그노사우루스
    세그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몽골에서 발견된 6~7m의 몸길이와 1.3~4.17톤의 몸무게를 가진 테리지노사우루스류 공룡으로, 독특한 턱과 치아 구조, 골반 형태로 인해 분류학적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초식 또는 잡식성으로 추정되는 특수한 진화를 거친 수각류로 분류된다.
  • 하드로사우루스과 - 에드몬토사우루스
    에드몬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하드로사우루스과의 대형 초식 공룡으로, 9~12m의 몸길이, 오리 부리 형태의 입, 그리고 피부 자국이 보존된 미라 화석으로 알려져 있으며, *E. regalis*와 *E. annectens* 두 종이 인정되고, 티라노사우루스와 공존했던 생태 환경과 식생, 성장 과정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하드로사우루스과 - 사우롤로푸스
    사우롤로푸스는 하드로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초식 공룡의 한 속으로, 머리 뒤쪽으로 솟아오른 볏이 특징이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 발견되었고, 다양한 식물을 섭취하며 집단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 미국의 화석 - 트리케라톱스
    트리케라톱스는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거대한 두개골과 뿔이 특징이며 백악기 말기에 번성했고, 현재는 두 종으로 분류된다.
  • 미국의 화석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마이아사우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브뤼셀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마이아사우라 골격 모형
학명Maiasaura
명명자호너 & 마켈라, 1979년
타입 종Maiasaura peeblesorum
타입 종 명명자Horner & Makela, 1979년
속명 어원'좋은 엄마 도마뱀'
몸길이약 9m
시대백악기 후기 (산토니아절 - 캄파니아절), 약 8,630만 년 전 ~ 7,060만 년 전
분류
상목공룡상목
조반목
미분류각각류
아목조각아목
상과하드로사우루스상과
하드로사우루스과
아과하드로사우루스아과
마이아사우라속
하위 분류M. peeblesorum (모식종)
발견 장소
캐나다앨버타주 남부 올드먼층

2. 형태

몸 전체 크기는 8~9m이다. 무수히 많은 치아를 가지고 있어서 초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개골 모형,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


사람과의 크기 비교


''마이아사우라'' ''피블레소룸''은 몸길이가 최대 9m에 달했고, 체질량은 약 4MT에 달하는 대형 공룡이었다.[3] 크고 "오리 주둥이" 모양의 입 구조와 수백 개의 이빨 열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하드로사우루스과의 특징이다.[4] 하드로사우루스과는 매우 유사한 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이아사우라 피블레소룸''의 구별되는 특징은 눈 사이에 위치한 짧고 단단한 볏과 같은 구조였다. 이 볏은 번식기 동안 수컷들 사이의 머리 부딪치기 경쟁에 사용되었을 수 있다.

''마이아사우라''는 초식 동물이었다. 그들은 두 다리 (이족 보행) 또는 네 다리 (사족 보행)로 걸을 수 있었다. 회복된 뼈의 스트레스 패턴 연구에 따르면 4세 미만의 어린 개체는 주로 이족 보행을 했고, 더 커지면서 주로 사족 보행 스타일로 전환했다.[5] ''마이아사우라''는 다른 대부분의 하드로사우루스처럼 눈에 띄는 무기는 거의 없었지만, 발길질, 발로 밟기, 또는 근육질 꼬리로 방어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들은 위험에 직면했을 때 주로 도망가는 데 의존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무리의 거대한 규모를 이용하여 표적이 될 가능성을 줄였을 것이다.

3. 발견

알에서 깨어나는 ''마이아사우라''의 잭 호너가 재구성한 모형


1979년 로리 트렉슬러는 ''마이아사우라''의 두개골인 표본 PU 22405(현재 프린스턴 대학교 척추 고생물학 컬렉션이 예일 피바디 자연사 박물관으로 이전되어 YPM PU 22405로 소장)를 발견했다. 공룡 고생물학자 잭 호너와 로버트 마켈라는 이 표본을 새로운 종의 모식 표본으로 기술하며 모식종의 이름을 ''마이아사우라 피블소룸''(Maiasaura peeblesorum)으로 명명했다.[8] 속명은 그리스 여신 마이아를 가리키며, "좋은 어머니"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를 강조하기 위해 '사우루스'의 여성형인 '사우라'를 사용했다. 종명은 발견이 이루어진 토지를 소유한 존 피블과 제임스 피블 가족들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다.[8] 1978년 마리온 브란트볼드는 부화 직후의 새끼라고 하기에는 너무 큰 알 껍질과 아기 공룡의 유해가 있는 둥지를 발견했는데, 여기서 ''마이아사우라''라는 속명이 유래했다. 이러한 발견은 다른 발견으로 이어졌고, 이 지역은 몬태나주 서부 초토 근처 투 메디슨 지층의 암석에서 "에그 마운틴"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것은 거대한 공룡이 새끼를 키우고 먹이를 주는 최초의 증거였다.

모든 연령대의 200개 이상의 ''마이아사우라'' 표본이 발견되었다. ''마이아사우라'' 발견 발표는 투 메디슨 지층에 대한 과학적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켰고, 그 결과 더욱 많은 종류의 공룡들이 발견되었다. 초토 ''마이아사우라'' 유해는 투 메디슨 강 유해보다 더 높은 지층에서 발견된다.

4. 분류

어린 개체의 골격 주형


성체와 어린 개체의 생체 복원


''마이아사우라 피블소룸''은 브라킬로포사우루스족에 속한다.

''마이아사우라 피블소룸''은 브라킬로포사우루스족에 속하며, 이 족에는 프로브라킬로포사우루스 베르게이[9], 브라킬로포사우루스 카나덴시스[10], 아크리스타부스 가그스라소노이[11], 브라킬로포사우루스 굿위니[12], 오르나토프스[13]가 포함된다.

2013년 알베르트 프리에토-마르케스 등이 발표한 하드로사우루스과 분지도[14]에 따르면, 사우롤로피나에 하위 분류군인 브라킬로포사우루스족에는 ''아크리스타부스 가그스타소니'', ''브라킬로포사우루스 카나덴시스'', '''마이아사우라 피블소룸'''''이 포함된다.

4. 1. 하드로사우루스과 내 계통



''마이아사우라 피블소룸''은 브라킬로포사우루스족에 속하며, 이 족에는 다음과 같은 공룡들이 포함된다.

  • ''프로브라킬로포사우루스 베르게이''[9]
  • ''브라킬로포사우루스 카나덴시스''[10]
  • ''아크리스타부스 가그스라소노이''[11]
  • ''브라킬로포사우루스 굿위니''[12]
  • ''오르나토프스''[13]


2013년 알베르트 프리에토-마르케스 등이 발표한 하드로사우루스과 분지도에 따르면,[14] 사우롤로피나에 하위 분류군인 브라킬로포사우루스족에는 ''아크리스타부스 가그스타소니'', ''브라킬로포사우루스 카나덴시스'', '''마이아사우라 피블소룸'''''이 포함된다.

5. 생태

마이아사우라는 몸길이가 최대 9m에 달하고, 체질량은 약 4MT에 달하는 대형 공룡이었다.[3] 크고 "오리 주둥이" 모양의 입 구조와 수백 개의 이빨 열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하드로사우루스과의 특징이다.[4] 눈 사이에 위치한 짧고 단단한 볏과 같은 구조는 마이아사우라를 구별하는 특징인데, 이 볏은 번식기 동안 수컷들 사이의 머리 부딪치기 경쟁에 사용되었을 수 있다.

마이아사우라는 초식 동물로, 두 다리(이족 보행) 또는 네 다리(사족 보행)로 걸을 수 있었다. 4세 미만의 어린 개체는 주로 이족 보행을 했고, 더 커지면서 주로 사족 보행으로 전환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5] 다른 대부분의 하드로사우루스처럼 눈에 띄는 무기는 거의 없었지만, 발길질, 발로 밟기, 또는 근육질 꼬리로 방어할 수 있었을 것이다. 위험에 직면했을 때 주로 도망가는 데 의존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무리의 거대한 규모를 이용하여 포식자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줄였을 것이다. 투 메디신 층에서 발견된 대량의 뼈 층은 무리가 매우 커서 10,000마리에 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6]

마이아사우라는 약 8630만 년에서 706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투 메디신 층의 중간 부분의 특징적인 화석이다.[2] 트로오돈과의 ''스테노니코사우루스''와 ''트로오돈'', 기저 조각류인 ''오로드로메우스'',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의 ''밤비랩터'', 티라노사우루스인 ''다스플레토사우루스''와 함께 살았다.[2]

반 건조한 투 메디신 층 화석층에서 발견된 것처럼 개울가를 따라 걷는 ''마이아사우라'' 무리의 삽화. 이 지역은 화산재층과 침엽수, 고사리, 속새 식생이 특징이었습니다.

5. 1. 육아

마이아사우라의 보금자리는 지면에 파진 직경 1m, 깊이 50cm 정도의 충돌구 구멍으로, 안에는 20~25개 정도의 알이 있었다. 어미 마이아사우라는 체중이 무거웠기 때문에 포란은 하지 않고, 풀이 발효될 때의 열로 따뜻하게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둥지 안에 있던 알 껍질은 모두 밟혀 가루로 부서져 있는 것으로 볼 때, 부화 후 어린 마이아사우라는 몸 크기가 1m 정도로 성장할 때까지 구멍 안에서 살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이유들로 판단해 볼 때, 오늘날의 포유류조류와 같은 육아를 했을 것으로 여러 학자들이 추정하고 있다.[23]

알이 있는 둥지의 재구성


마이아사우라는 무리 생활을 했으며, 둥지 군집에서 새끼를 키웠다. 둥지 군집의 둥지는 현대의 바닷새 둥지처럼 매우 가깝게 밀집되어 있었으며, 둥지 사이의 간격은 성체의 길이보다 짧았다. 둥지는 흙으로 만들어졌으며, 30개에서 40개의 알이 원형 또는 나선형 패턴으로 놓여 있었다. 알은 타조 알 정도 크기였으며, 타원형이고 한쪽 끝이 약간 더 뾰족했다.[15]

알은 부모가 둥지에 넣은 썩어가는 식물에서 발생하는 열로 부화되었으며, 부모가 직접 포란하는 방식이 아니었다. 부화 후, 어린 마이아사우라의 화석은 다리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걸을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화석은 이들의 이빨이 부분적으로 마모된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성체가 둥지로 먹이를 가져다 주었음을 의미한다.

부화한 새끼는 첫 해에 약 40.64cm 에서 약 147.32cm 길이로 자랐다. 이 시점 또는 아마도 1년 후, 이 동물은 둥지를 떠났다. 이 높은 성장률은 증거일 수 있으며, 온혈 동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부화한 새끼는 성체와 다른 얼굴 비율을 가지고 있었는데, 눈이 더 크고 주둥이가 더 짧았다. 이러한 특징은 귀여움과 관련이 있으며, 생애 초기에 생존을 위해 부모에게 의존하는 동물에게서 흔히 부모의 보살핌을 유발한다.

홀리 우드워드, 잭 호너 등이 주도한 연구는 마이아사우라의 생활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으며, 이는 알려진 모든 공룡의 생활사를 비교할 수 있는 가장 상세한 연구 결과로 이어졌다. 50마리의 마이아사우라 경골 표본을 분석한 결과, 마이아사우라는 생애 첫 해에 약 89.9%의 사망률을 보였다. 동물이 두 번째 해에 살아남으면 사망률은 12.7%로 감소했다. 그 후 6년 동안 동물이 성장하고 성숙해졌다. 성적 성숙은 3년 차에 발생했으며, 골격적 성숙은 8세에 도달했다. 8년차 이후의 마이아사우라의 사망률은 다시 약 44.4%로 증가했다. 그 후의 연구에서는 마이아사우라가 어린 시절에는 주로 이족 보행을 하다가 나이가 들면서 사족 보행으로 전환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또한 마이아사우라는 식단에 썩은 나무를 포함시켰으며, 서식 환경에는 가뭄이 발생하기 쉬운 긴 건기가 있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16][17]

하지만, 둥지 안에서 새끼 용의 화석과 함께 부패성 송장벌레 화석이 발견된 예도 있어, 육아설에 회의적인 연구자도 있다. 또한 이빨의 마모에 관해서는 부화 전의 태아 단계에서도 관찰되었으며, 이것 역시 수유의 증거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되고 있다.[24]

5. 2. 식성

마이아사우라는 무수히 많은 치아를 가지고 있어 초식동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7년 연구에 따르면, 마이아사우라는 섬유질 식물, 나무, 썩은 나무, 나무 껍질, , 나뭇가지, 양치류, 피자식물을 먹었으며, 아마도 사초과 식물도 먹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마이아사우라가 나뭇잎과 을 모두 먹는 초식동물이었음을 시사한다.[18][19]

5. 3. 성적 이형성

''마이아사우라''는 무리 생활을 했으며, 둥지 군집에서 새끼를 키웠다. 둥지는 흙으로 만들어졌고, 30~40개의 알이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놓여 있었다. 알은 타조 알 정도 크기로 타원형이며 한쪽 끝이 약간 더 뾰족했다.[15] 둥지 사이 간격은 약 7m로, 성체 길이보다 짧아 매우 가깝게 밀집되어 있었다.

Saitta 외 연구진은 크기 통계라는 수학적 분석을 통해 ''마이아사우라''의 한 성별이 다른 성별보다 약 45% 더 컸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더 큰 성별이 수컷인지 암컷인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20][21]

6. 고생물학

마이아사우라는 무리 생활을 했으며, 둥지 군집에서 새끼를 키웠다. 둥지는 흙으로 만들어졌고, 30~40개의 알이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놓여 있었다. 알은 타조 알 정도 크기였다.[15] 알은 부모가 둥지에 넣은 썩어가는 식물에서 발생하는 열로 부화했으며, 부모가 직접 포란하지는 않았다. 부화 후 어린 마이아사우라는 다리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걸을 수 없었고, 이빨이 부분적으로 마모되어 있어 성체가 둥지로 먹이를 가져다주었음을 알 수 있다.

부화한 새끼는 첫 해에 41cm에서 150cm 길이로 자랐으며, 이 시기 또는 1년 후에 둥지를 떠났다. 높은 성장률은 증거일 수 있으며, 온혈 동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부화한 새끼는 성체와 다른 얼굴 비율(더 큰 눈, 더 짧은 주둥이)을 가졌는데, 이는 귀여움과 관련되어 부모의 보살핌을 유발하는 특징이다.

홀리 우드워드(Holly Woodward) 등의 연구에 따르면, 마이아사우라는 첫 해에 약 89.9%의 사망률을 보였다. 두 번째 해에 생존하면 사망률은 12.7%로 감소했다. 성적 성숙은 3년 차에, 골격적 성숙은 8세에 도달했다. 8년차 이후 사망률은 약 44.4%로 다시 증가했다. 마이아사우라는 어린 시절에는 주로 이족 보행을 하다가 나이가 들면서 사족 보행으로 전환했다. 또한 썩은 나무를 먹었으며, 서식 환경에는 가뭄이 발생하기 쉬운 긴 건기가 있었다.[16][17]

마이아사우라는 약 8630만 년에서 7060만 년 전의 투 메디신 층의 중간 부분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화석이다.[2] 트로오돈과의 ''스테노니코사우루스''와 ''트로오돈'', 기저 조각류인 ''오로드로메우스'',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의 ''밤비랩터'', 티라노사우루스인 ''다스플레토사우루스''와 함께 살았다.[2] 또 다른 하드로사우루스과 종인 ''하파크로사우루스''와 얼마 동안 공존했으며, ''그리포사우루스 라티덴스''도 같은 범위에서 발견되었다. 마이아사우라의 출현 이후 조반류 분류군에 주요 다양화가 있었다.

앨버타의 올드만 층에서 마이아사우라는 각룡류인 ''알베르타케라톱스'', ''안키케라톱스'', ''케스모사우루스'', ''코로노사우루스'', ''웬디케라톱스'',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인 ''드로마이오사우루스'', ''사우로르니톨레스테스'', ''헤스페로니쿠스'', 티라노사우루스과인 ''다스플레토사우루스'', 오로드로미나 테스켈로사우루스과인 ''알베르타드로메우스'', 후두류인 ''포라미나세팔레''와 ''한수에시아'', 타조공룡인 ''스트루티오미무스'', 다른 하드로사우루스과인 ''브라킬로포사우루스'', ''코리토사우루스'', ''파라사우롤로푸스'', 곡룡류인 ''스코로사우루스''와 함께 살았다.[1]

7. 사진



마이아사우라 둥지의 복원 모형

참조

[1] 논문 First occurrence of Maiasaura (Dinosauria, Hadrosauridae) from the Upper Cretaceous Oldman Formation of southern Alberta, Canada https://cdnsciencepu[...] 2021-03-01
[2] 서적 Bones and rocks of the Upper Cretaceous Two Medicine-Judith River clastic wedge complex, Montana 2001
[3] 논문 Testing Size–frequency Distributions As a Method of Ontogenetic Aging: A Life-history Assessment of Hadrosaurid Dinosaurs from the Dinosaur Park Formation of Alberta, Canada, with Implications for Hadrosaurid Paleoecology
[4] 논문 Phylogeny and palaeobiogeography of hadrosaurian dinosaurs http://dx.doi.org/10[...] 1979-02
[5] 논문 First Reported Cases of Biomechanically Adaptive Bone Modeling in Non-Avian Dinosaurs
[6] 논문 Hadrosaurid and lambeosaurid bone beds from the Upper Cretaceous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taphonomic and biologic implications http://dx.doi.org/10[...] 1993-05-01
[7] 논문 Ontogeny and variation in the skull roof and braincase of Maiasaura peeblesorum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U.S.A. 2021
[8] 논문 Nest of juveniles provides evidence of family structure among dinosaurs
[9] 논문 A New Brachylophosaurin Hadrosaur (Dinosauria: Ornithischia) with an Intermediate Nasal Crest from the Campanian Judith River Formation of Northcentral Montana 2015-11-11
[10] 논문 "New information on the cranium of''Brachylophosaurus canadensis''(Dinosauria, Hadrosauridae), with a revision of its phylogenetic position" http://dx.doi.org/10[...] 2005-03-11
[11] 논문 New unadorned hadrosaurine hadrosaurid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Campanian of North America http://dx.doi.org/10[...] 2011-07
[12] 논문 A new hadrosaur (Reptilia, Ornithischia) from the Upper Cretaceous Judith River Formation of Montana http://dx.doi.org/10[...] 1988-09-23
[13] 논문 A new brachylophosaurin (Dinosauria: Hadrosauridae) from the Upper Cretaceous Menefee Formation of New Mexico 2021-04-02
[14] 논문 A new species of saurolophine hadrosaurid dinosaur from the Late Cretaceous of the Pacific coast of North America
[15] 논문 Eggs and eggshell fragments from the Upper Cretaceous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http://dx.doi.org/10[...] 1990-12-20
[16] 웹사이트 Largest dinosaur population growth study ever shows how Maiasaura lived and died: Decades of research on Montana's state fossil -- the 'good mother lizard' Maiasaura peeblesorum -- has resulted in the most detailed life history of any dinosaur known https://www.scienced[...]
[17] 논문 Maiasaura, a model organism for extinct vertebrate population biology: A large sample statistical assessment of growth dynamics and survivorship
[18] 논문 The Paleobiological Implications of Herbivorous Dinosaur Coprolites from the Upper Cretaceous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Why Eat Wood? https://bioone.org/j[...] 2020-08-29
[19] 웹사이트 "The Best of all Mothers" Maiasaura peeblesorum http://bioweb.uwlax.[...] University of Wisconsin-La Crosse 2021-03-22
[20] 웹사이트 Using math to examine the sex differences in dinosaurs https://www.scienced[...]
[21] 웹사이트 Statistical analysis reveals differences between dinosaur sexes https://www.upi.com/[...]
[22] 논문 The Kirtlandian land-vertebrate "age"–faunal composition, temporal position and biostratigraphic correlation in the nonmarine Upper Cretaceous of western North America
[23] 서적 図解雑学:恐竜の謎
[24] 서적 最新恐竜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