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두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얀두사우루스는 중국 쓰촨성에서 발견된 초식 공룡으로, 1979년 허신루 교수가 명명했다. 얀두사우루스는 쯔궁의 고대 명칭에서 유래되었으며, 훙허 강 유역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얀두사우루스는 이족 보행을 했으며, 독특한 형태의 이빨과 큰 눈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얀두사우루스는 한때 힙실로포돈과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신조반목류 내에서 위치가 불확실하거나 기저 진조각류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마이아사우라
마이아사우라는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한 8~9m 길이의 하드로사우루스과 초식 공룡으로, 눈 사이의 짧고 단단한 볏과 무리 생활 및 둥지 군집을 통해 새끼를 키운 흔적이 발견된 "좋은 어머니"라는 의미의 속명이 특징이다. - 19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세그노사우루스
세그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몽골에서 발견된 6~7m의 몸길이와 1.3~4.17톤의 몸무게를 가진 테리지노사우루스류 공룡으로, 독특한 턱과 치아 구조, 골반 형태로 인해 분류학적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초식 또는 잡식성으로 추정되는 특수한 진화를 거친 수각류로 분류된다. - 쥐라기 중기 아시아의 공룡 - 오메이사우루스
오메이사우루스는 중국 쓰촨성에서 발견된 용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쯔궁 지역에서 많은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마멘키사우루스과에 속한다. - 쥐라기 중기 아시아의 공룡 - 모놀로포사우루스
모놀로포사우루스는 쥐라기 중기 우차이완 지층에서 발견된 수각류 공룡 속으로, 콧등 위의 독특한 단일 볏이 특징이며 모식종은 *Monolophosaurus jiangi*이다. - 용반목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 용반목 - 스타우리코사우루스
스타우리코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브라질에서 살았던 2.1m 크기의 소형 이족보행 육식 공룡으로, 원시적인 골격 구조와 톱니 모양의 이빨을 지니며 헤레라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지만 계통 발생적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불완전한 화석 기록으로 용각류와 수각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며 *테유와수 바베르네이*의 이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얀두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속 | 얀두사우루스속 (Yandusaurus) |
종 | hongheensis |
생물학적 분류 | |
시대 | 쥐라기 중기 |
상목 | 공룡상목 |
목 | †조반목 (Ornithischia) |
목 계급 없음 | 각각류 (Cerapoda) |
과 | 힙실로포돈과 |
명명 | |
명명자 | 허 (He, 1979) |
종 명명자 | 허 (He, 1979) |
타입 종 | Y. hongheensis |
식별자 | |
분류군 식별자 | Q980959 |
2. 발견 및 명명
쓰촨성 쯔궁에서 얀두사우루스의 화석이 처음 발견된 이후, 여러 차례 학명이 변경되고 재분류되는 과정을 거쳤다. 모식 표본 '''GCC V20501'''은 샤시먀오 하부 지층에서 발굴되었으며, 두개골을 포함한 부분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발견 당시 기계에 의해 손상되어 아래턱, 골반, 꼬리 끝 부분은 완전히 파괴된 상태였다.[2]
1979년 허신루 교수에 의해 ''얀두사우루스 홍헤엔시스''(Yandusaurus hongheensis)로 명명되었으며, 이후 1983년에는 두 번째 종인 ''얀두사우루스 멀티덴스''(Yandusaurus multidens)가 동정되었다.[3] 그러나 ''얀두사우루스 멀티덴스''는 아길리사우루스, 오트니엘리아, 헥신루사우루스 등으로 여러 차례 재분류되었다.[4]
2. 1. 최초 발견
1973년 1월, 쓰촨성 쯔궁의 소금 산업 박물관은 훙허 댐 근처 진즈당에서 퇴비 공사 작업 중 공룡 뼈가 발견되었다는 보고를 받았다. 박물관 팀은 심하게 손상된 유해 일부를 수습했다. 현지에서는 처음에 이 동물을 "유바사우루스" 또는 "훙허사우루스"라고 불렀다.[1]2. 2. 초기 명칭
1973년 1월, 쓰촨성 쯔궁의 소금 산업 박물관은 홍허 댐 근처 진즈당에서 퇴비 공사 작업 중 공룡 뼈가 실수로 처리되었다는 경고를 받았다. 박물관 팀은 심하게 손상된 유해 일부를 수습했다. 현지에서는 처음에 이 동물을 "유바사우루스" 또는 "홍허사우루스"라고 불렀지만, 1979년 베이징의 허신루 교수는 이 동물을 모식종 ''얀두사우루스 홍헤엔시스''(Yandusaurus hongheensis)로 명명하고 기술했다. 속명은 쯔궁의 고대 명칭인 ''얀두''(Yandu)에서 유래되었다. 이 이름은 쯔궁이 역사적으로 중국 소금 채굴의 중심지였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옌''(yan, "소금")과 ''두''(du, "수도")를 축약한 것이다. 이런 식으로 ''얀두사우루스''(Yandusaurus)는 간접적으로 소금 박물관을 지칭하기도 한다. 종명은 홍허 강을 의미한다.[1]2. 3. 학명 부여
1979년 베이징의 허신루 교수가 모식종 '얀두사우루스 홍헤엔시스'(Yandusaurus hongheensis)로 명명하고 기술했다. 속명은 쯔궁의 고대 명칭인 '얀두'에서 유래했으며, 종명은 훙허 강을 의미한다.[1] 얀두는 쯔궁이 역사적으로 중국 소금 채굴의 중심지였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옌'(yan, "소금")과 '두'(du, "수도")를 축약한 것이다. 이런 식으로 '얀두사우루스'는 간접적으로 쯔궁 소금 박물관을 지칭하기도 한다.2. 4. 모식 표본
모식 표본인 '''GCC V20501'''은 샤시먀오 하부 지층에서 발굴되었으며, 두개골을 포함한 부분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개골, 척추, 어깨 거들, 앞다리 및 뒷다리 등 신체 대부분 부위의 골격 요소가 보존되었지만, 모두 매우 제한적이거나 손상되었다. 아래턱, 골반, 꼬리 끝 부분은 기계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2. 5. 추가 연구
1983년, 허신루와 차이카이지는 ''얀두사우루스 멀티덴스''(Yandusaurus multidens)라는 두 번째 종을 동정했다.[3] 1992년 펑광자오는 이를 아길리사우루스 속으로 재분류했고, 1996년 그레고리 S. 폴은 오트니엘리아 속으로, 2005년 폴 바렛 (고생물학자) 등은 헥신루사우루스 속으로 재분류했다.[4]3. 특징
얀두사우루스는 민첩한 두 발 보행 동물로, 발에는 각각 4개, 손에는 각각 5개의 손가락이 있었다. 굽은 관골을 통해 눈이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빨은 평행하게 수직으로 융기한 독특한 패턴을 보였다.[9]
얀두사우루스의 크기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과거 ''Y. multidens''로 분류되었던 헥신루사우루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표본들은 모두 어린 개체였다. 그러나 ''Yandusaurus hongheensis''는 이보다 훨씬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9]
3. 1. 신체 구조
얀두사우루스는 이족 보행을 했으며, 각 발에 4개의 발가락, 각 손에 5개의 손가락을 가지고 있었다. 굽은 관골로 보아 큰 눈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연구자들이 부처상 손가락에 비유한 독특한 형태의 수직 평행 능선을 보이는 이빨은 안쪽 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비대칭적이다. 15개의 상악골 이빨은 가운데가 가장 크고 서로 겹쳐져 있다.[2]많은 자료에서 얀두사우루스의 크기를 언급할 때, 이전의 ''Y. 멀티덴스''(Y. multidens)인 헥신루사우루스의 크기를 제시하는데, 이 표본들은 모두 어린 개체로 길이가 60cm에서 1.6m이며, 무게는 약 7kg이다. 그러나 ''얀두사우루스 홍헤엔시스''(Yandusaurus hongheensis)는 이러한 표본보다 훨씬 컸다. 그는 몸길이를 3m로 추정했으며,[2] 펭은 3.2m로 추정했다. 2010년 G.S. 폴은 길이 3.8m, 무게 140kg으로 추정했다.[5]
3. 2. 이빨 특징
얀두사우루스의 이빨은 독특한 형태의 수직 평행 능선을 보이며, 중국 연구자들은 이를 부처상 손가락에 비유했다. 이빨 안쪽 면은 심하게 마모되어 비대칭적이다. 15개의 상악골 이빨은 가운데가 가장 크고 서로 겹쳐져 있다.[2]3. 3. 크기
초기에는 헥신루사우루스의 크기를 바탕으로 얀두사우루스의 크기가 작게 추정되었는데, 이 표본들은 모두 어린 개체로 길이가 60cm에서 1.6m, 무게는 약 7kg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얀두사우루스 홍헤엔시스''(Yandusaurus hongheensis)는 이보다 훨씬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몸길이는 3미터,[2] 펭은 3.2m로 추정했다. 2010년 G.S. 폴은 길이 3.8m, 무게 140kg으로 추정했다.[5]4. 분류
얀두사우루스는 한때 힙실로포돈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 힙실로포돈과는 자연적이지 않은 측계통군으로 여겨진다.[1][6][7] 이에 따라 얀두사우루스는 신조반목류 내에서 위치가 불확실하거나, 기저 진조각류로 분류된다.[8]
4. 1. 초기 분류
''얀두사우루스''는 힙실로포돈과(Hypsilophodontidae)로 분류되기도 했으나,[1] 오늘날 힙실로포돈과는 자연적인 분류군이 아닌 측계통군으로 여겨진다.[6][7] 따라서 ''얀두사우루스''는 신조반목류(Neornithischia) 내에서 위치가 불확실한 상태이거나, 기저 진조각류로 여겨진다.[8]4. 2. 현재 분류
오늘날 힙실로포돈과는 자연적인 분류군이 아닌 측계통군으로 여겨지며, 얀두사우루스는 신조반목류(Neornithischia) 내에서 위치가 불확실한 상태로 간주된다.[6][7] 얀두사우루스를 로 분류하기도 했으나,[8] 현재는 이 과가 측계통군으로 여겨지므로 얀두사우루스는 단순히 기저 진조각류로 여겨진다.참조
[1]
논문
A newly discovered ornithopod dinosaur ''Yandusaurus'' from Zigong, Sichuan
Geol. publishing House, Beijing
1979
[2]
서적
The Middle Jurassic dinosaurian fauna from Dashampu, Zigong, Sichuan. Vol. 1: The ornitopod dinosaurs
Sichua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ublishing House, Chengdu, Sichuan
1984
[3]
논문
A new species of ''Yandusaurus'' (hypsilophodont dinosaur) from the Middle Jurassic of Dashanpu, Zigong, Sichuan
1983
[4]
논문
Small-bodied ornithischian dinosaurs from the Middle Jurassic of Sichuan, China
2005
[5]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6]
간행물
The phylogeny of the ornithischian dinosaurs
[7]
간행물
The systematic relationships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ornithischian dinosaurs
[8]
논문
A newly discovered ornithopod dinosaur ''Yandusaurus'' from Zigong, Sichuan
Geol. publishing House, Beijing
1979
[9]
서적
The Middle Jurassic dinosaurian fauna from Dashampu, Zigong, Sichuan. Vol. 1: The ornitopod dinosaurs
Sichuan Scientific and Tecnological Publishing House, Chengdu, Sichuan
1984
[10]
논문
A new species of ''Yandusaurus'' (hypsilophodont dinosaur) from the Middle Jurassic of Dashanpu, Zigong, Sichuan
1983
[11]
논문
Small-bodied ornithischian dinosaurs from the Middle Jurassic of Sichuan, China
2005
[12]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