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클 벤트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벤트리스는 1922년 영국에서 태어났으며, 선형문자 B를 해독한 인물이다. 그는 건축가로 활동하며 선형문자 B 연구에 매진하여, 1952년 선형문자 B가 고대 그리스어의 초기 형태인 미케네 그리스어를 기록한 음절 문자임을 밝혀냈다. 벤트리스의 해독은 미노아 문명과 고대 그리스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56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금석학자 - 존 채드윅
    존 채드윅은 영국의 고전학자이자 암호학자로, 마이클 벤트리스와 함께 미케네 문명의 선형 B 문자를 해독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가르치고 미케네 문명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 그리스어학자 - 존 채드윅
    존 채드윅은 영국의 고전학자이자 암호학자로, 마이클 벤트리스와 함께 미케네 문명의 선형 B 문자를 해독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가르치고 미케네 문명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 그리스어학자 - 아말라순타
    아말라순타는 5세기 동고트 왕국의 여왕으로, 아들 아탈라리크의 섭정으로 통치하며 로마 문화를 도입하려 했으나 고트족 귀족의 반발과 사촌 테오다하드의 배신으로 살해당했다.
  • 영국의 문헌학자 - 로버트 사우디
    로버트 사우디는 1774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시인, 작가, 역사가로 활동했으며, 프랑스 혁명을 지지하다 보수주의로 전향하여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고, 넬슨 제독의 전기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영국의 문헌학자 - 존 채드윅
    존 채드윅은 영국의 고전학자이자 암호학자로, 마이클 벤트리스와 함께 미케네 문명의 선형 B 문자를 해독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가르치고 미케네 문명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마이클 벤트리스
기본 정보
마이클 벤트리스 (1922–1956)
이름마이클 조지 프랜시스 벤트리스
출생일1922년 7월 12일
출생지웨트햄스테드, 허트퍼드셔, 잉글랜드
사망일1956년 9월 6일
사망지햇필드, 허트퍼드셔, 잉글랜드
국적영국
로마자 표기법Maikel Beunteuriseu
IPA 발음/ˈvɛntrɪs/
학력 및 직업
교육AA 스쿨
직업건축가
가족
배우자로이스 "베티" 벤트리스 (결혼 전 성 Knox-Niven, 1920–87)
자녀2명
친척프랜시스 벤트리스 (할아버지)
업적
주요 업적선문자 B의 해독
영향아더 에번스, 앨리스 코버, 존 채드윅, 에멧 베넷
영향을 받은 분야에게 문명 사학
수상
수상 내역웁살라 대학교 명예 박사 (1954년)
케년 메달 (1959년)
기타
훈장대영 제국 훈장 (OBE)

2. 생애

마이클 벤트리스는 스위스의 Stowe School에서 공부했다. 그는 여섯 개의 유럽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으며 라틴어와 고전 그리스어를 읽을 수 있었다. 1940년 Architectural Association School of Architecture에 입학하여 1948년에 졸업하였다. 1936년 아서 에번스가 개최한 미노아 문명 전시회에 참석하여 선형문자 B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17년 동안 선형문자 B 해독에 전념했다.[26] 1951~1953년에 선형문자 B를 해독했으나, 1956년 교통사고로 34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37]

어린 시절 아버지의 결핵 치료를 위해 스위스 등 유럽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어릴 때부터 언어에 재능을 보였다. 14세 때 런던 버링턴 하우스에서 열린 그리스 미노아 미술 전시회에서 아서 에번스를 만나 미노아 문명과 선형문자 B에 대한 설명을 듣고 관심을 갖게 되었다.[26]

14세 때 부모가 이혼하고 2년 후 아버지가 사망했다. 어머니는 폴란드계로, 폴란드 친척들의 송금으로 생계를 유지했지만,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송금이 중단되어 대학에 진학하지 못했다.[28] 1940년 어머니의 인맥으로 AA스쿨에 입학했으나, 같은 해 어머니가 약물 자살했다.[28] 1942년 결혼 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영국 공군에 징집되어 복무했다. 전후 독일군 포로 심문 업무를 하다 1946년 여름 제대했다.[29] 이후 2년간 AA스쿨에서 건축을 공부하며 선형문자 B 해독 연구를 병행했다.[30]

20세기 초 아서 에번스는 크레타섬 크노소스에서 발굴한 점토판에 쓰인 선형문자 B를 발견했다. 벤트리스는 1940년 선형문자 B에 관한 첫 논문을 발표했으나, 현재 관점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31] 전후 에번스의 동료 존 마이어스를 만나 점토판을 베껴 적었다.

선형문자 B의 언어가 에트루리아어와 유사하다고 생각했지만 증명하지 못했다. 1951년 초부터 건축 일을 그만두고 연구에 집중하며, 작업 노트를 만들어 연구자들에게 의견을 구했다. 1952년 중반까지 작업 노트는 20권에 달했다.

카를 블레겐이 1939년 그리스 본토 필로스에서 선형문자 B 점토판을 발견했고, 1951년 에멧 L. 베넷이 "The Pylos Tablet"을 출판했다. 1952년 2월에는 마이어스가 편찬한 에번스의 "미노아 문서" 제2권도 출판되어 자료가 크게 늘었다.

코버의 논문과 베넷의 저서를 비교하여 일부 단어가 크레타섬의 지명이라고 가정하고, 1952년 5월 암니소스를 나타내는 단어(

)를 찾아냈다.[34] 크노소스, 파이스토스, 뤼크토스, 튀리소스 등을 나타내는 단어도 발견했다.[35]

밝혀진 음가를 통해 선형문자 B에트루리아어가 아닌 고대 그리스어임을 알게 되었다. 1952년 7월 BBC 라디오 방송에서 자신의 발견을 발표했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고전학자 존 채드윅이 방송을 듣고 연락해왔다. 체드윅과 벤트리스는 공동으로 논문을 작성하여 1952년 11월 발표했고, 1955년 "미케네 그리스어 문서"를 출판했다.

1956년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며 연구는 존 채드윅에게 이어졌다.[37] 벤트리스의 사인은 교통사고이지만, 자살설도 있다. 마가릿 폭스는 벤트리스가 건축 일에 복귀하려 했지만 잘 되지 않았고, 선형문자 B에 대한 관심도 사라졌으며, 아내와 자녀와의 관계도 소원해졌다는 점을 들어 자살 여부가 불명확하다고 언급했다.[38]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벤트리스는 1922년에 영국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프랜시스 벤트리스는 중국 주둔 영국군 사령관을 지낸 중장이었고, 아버지 에드워드 프랜시스 베리커 벤트리스는 인도군 중령이었다.[2] 벤트리스는 외아들이었다.[2]

벤트리스 가족은 아버지의 건강 문제로 8년 동안 스위스로 이주했다. 어린 벤트리스는 그슈타드에서 학교를 다녔는데, 수업은 프랑스어와 독일어로 진행되었다. 그는 곧 스위스 독일어 방언을 능숙하게 구사하게 되었다.[3]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후 몇 주 동안 스웨덴에 머물면서 스웨덴어에도 능숙해졌고, 어머니가 폴란드어를 자주 사용하여 여덟 살이 되기 전에 폴란드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다.[3]

1931년, 벤트리스 가족은 영국으로 돌아왔다. 1931년부터 1935년까지 벤트리스는 켄트주 브롬리의 비클리 홀 스쿨에 다녔다. 1935년에 부모가 이혼했고, 같은 해 벤트리스는 스토우 스쿨 장학금을 받았다. 스토우에서 그는 라틴어그리스어를 배웠다.[3] 그는 대부분의 여가 시간을 선형문자 B에 대해 배우는 데 보냈고, 밤에는 이불 속에서 손전등을 켜고 공부하기도 했다.

2005년 8월 스토우 스쿨


기숙학교에 다니지 않을 때, 벤트리스는 어머니와 함께 살았다. 1935년 이전에는 해안 호텔에서, 그 후에는 아방가르드 건축가인 버솔드 루베트킨의 하이포인트 모더니스트 아파트에서 살았다. 그의 어머니의 집에는 당시 많은 조각가, 화가, 작가들이 자주 드나들었다. 아파트는 마르셀 브로이어의 작품들로 꾸며져 있었다.[4]

어린 시절 아버지의 결핵 치료를 위해 스위스 등 유럽 대륙 여러 지역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언어 능력이 뛰어났으며, 7세 때 독일어로 쓰인 상형 문자 관련 서적을 읽었다. 9세에 영국의 예비학교에 입학했고, 스토우 학교에 장학생으로 다녔다. 14세 때 런던 버링턴 하우스에서 열린 그리스 미노아 미술 전시회를 견학하던 중 우연히 만난 아서 에반스에게 미노아 문명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그 과정에서 선형문자 B가 해독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후 관심을 갖게 되었다.[26] 같은 해 런던 북부의 하이포인트라는 공동 주택으로 이사하여 선형문자 B 연구를 시작했다.[27]

14세 때 부모가 이혼하였고, 2년 후 아버지는 병으로 돌아가셨다. 어머니는 폴란드계였으며, 폴란드 친척들의 송금으로 생계를 유지했지만,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송금이 중단되어 벤트리스는 대학에 진학하지 못했다.[28] 예술가였던 어머니의 인맥으로 1940년 AA스쿨(AA School)에 입학했지만, 어머니는 같은 해 약물 자살했다.[28]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2년 벤트리스는 징집되어 건축학 공부를 마치지 못하고 영국 공군(RAF)을 선택했다. 그는 조종사보다 항법사를 선호했고, 1944년 초에 자격을 얻어 임관되기 위해 영국과 캐나다에서 훈련을 받았다.[6] 훈련 중에 그는 몇 주 동안 러시아어를 집중적으로 공부했다.[6] 그는 핸들리 페이지 할리팩스를 타고 76 비행대대 소속으로 독일 폭격에 참여했으며, 처음에는 RAF 브라이턴에, 그 후에는 RAF 홀름-온-스팔딩 무어(둘 다 이스트 요크셔에 위치)에 있었다.[6][7] 전쟁이 끝난 후 그는 독일에서 나머지 복무 기간을 지상에서 보냈는데, 이는 그의 러시아어 실력 때문이었다. 그의 친구들은 그가 정보 임무를 맡았다고 추측했다.[8]


2. 3. 건축가로서의 활동

전쟁 후 그는 스웨덴에서 잠시 일하며 학자들과 소통할 수 있을 정도로 스웨덴어를 익혔다.[3] 1948년 우등으로 건축학 교육을 마치고[9] 귀국하여 로이스와 함께 건축가로 일하며 정착했다. 그는 교육부를 위해 학교를 설계했으며, 그와 그의 아내는 직접 가족 주택인 햄프스테드 노스 엔드 19번지를 설계했다.[10][11]
벤트리스의 자택(1952~1956). 그와 그의 아내이자 건축가인 로이스가 직접 설계하였다.
벤트리스 부부에게는 두 명의 자녀가 있었다. 아들 니키(1942~1984)와 딸 테사(1946년생)이다.[12]

2. 4. 선형문자 B 연구와 해독

벤트리스는 1936년 아서 에번스가 개최한 미노아 문명 전시회에 참석하여 선형문자 B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3] 1940년에는 미국 고고학 저널에 "미노아 언어 소개"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선형문자 B 연구를 시작했다.[13]

벤트리스의 초기 가설은 에트루리아어와 선형 B 문자가 관련이 있다는 것이었으나, 이는 후에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13] 앨리스 코버는 선형 B 문자의 특정 단어들이 어미 변화를 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벤트리스는 이를 바탕으로 자음과 모음을 연관시키는 격자를 만들었다.[14]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미국의 고고학자 칼 블레겐은 그리스 본토 필로스에서 약 600개의 선형 B 점토판을 발견했다. 앨리슨 프란츠가 촬영한 이 점토판 사진들은 벤트리스의 해독 작업을 도왔다.[14]

벤트리스는 그리스 본토에서 발견된 점토판과 크레타 섬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비교하면서, 특정 기호 그룹이 크레타 섬의 지명일 것이라는 추측을 했다. 그는 이 추측을 바탕으로 여러 기호를 해독했고, 선형 B 문자가 고대 그리스어의 초기 형태임을 밝혀냈다.

1952년 7월 1일, 벤트리스는 BBC 라디오 방송에서 자신의 발견을 발표했다. 블레치리 파크에서 암호 해독 경험이 있던 존 채드윅은 이 방송을 듣고 벤트리스와 함께 연구를 진행했다. 1953년, 그리스 본토에서 발견된 점토판 중 하나(PY Ta 641)에는 삼발이 가마솥 그림과 함께 선형 B 기호가 있었는데, 벤트리스와 채드윅은 이를 "ti-ri-po-de"(삼발이)로 번역했다.[17] 벤트리스와 채드윅은 1953년부터 1956년까지 공동 논문을 발표했고, 1955년에는 "미케네 그리스어 문서"를 출판했다.[17]

2. 5. 죽음과 유산

1956년 9월 6일, 햄프스테드에 살던 34세의 벤트리스는 밤늦게 장인어른 댁에 지갑을 찾으러 갔다.[18] 귀가하던 중 허트퍼드셔주 해틀필드에서 도로변 휴게소에 주차된 트럭과 충돌하여 현장에서 사망했다.[19][20] 검시관은 사고사로 판정했다.[21]

벤트리스는 선형문자 B 해독 공로로 1955년 대영제국 훈장(OBE)을 수여받았고,[10] 1959년에는 영국 아카데미의 케니언 메달을 사후에 수여받았다.

초기에는 해독에 대한 학계의 회의적인 시각도 있었지만,[22] 오늘날 미케네 그리스어라는 속성은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잉글리시 헤리티지의 청색 명판이 햄프스테드 노스엔드에 있는 그의 집을 기리고 있으며,[23] 크레타 섬의 수도 헤라클리온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24]

뒷면의 벤트리스 크레이터는 1970년 국제천문연맹에서 그의 이름을 따 명명했다.[25]

벤트리스의 직접적인 사인은 교통사고이지만, 자살설도 있다. 전기 작가 마가릿 폭스는 자살 여부는 불명확하다고 하면서도, 벤트리스가 1956년 건축 일에 복귀하려 했지만 잘 되지 않았고, 선형 B 문자에 대한 관심도 사라졌으며, 아내와 자녀와의 관계도 소원해졌다는 점을 지적한다.[38]

3. 선형문자 B 해독

1939년 그리스 본토의 필로스에서 선형문자 B가 적힌 많은 수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다. 이는 선형문자 B가 오직 크레타에서만 쓰였다고 생각했던 아서 에번스에게는 매우 놀라운 일이었다. 1952년 7월 1일, 벤트리스는 BBC 라디오 방송에서 예비 결과를 발표했다. 이 방송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블레치리 파크에서 암호 해독에 참여했던 존 채드윅이 듣게 되었고, 두 사람은 선형문자 B 해독에 대한 추가 연구를 위해 협력하기 시작했다.

선형문자 B는 아가멤논이 다스렸다고 전해지는 미케네의 이름을 딴 미케네 그리스어를 쓰기 위해 기원전 15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쓰였다. 선형문자 B 점토판은 재료와 물건 목록을 적은 회계장부로, 최초로 문자로 쓰인 그리스어의 예라고 할 수 있다.

3. 1. 선형문자 B의 발견과 초기 연구

1900년 고고학자 아서 에번스 경은 크레타 섬의 고대 도시인 크노소스를 발굴하던 중 알 수 없는 글자들이 적힌 점토판을 발견했는데, 그중 더 오래된 것을 선형문자 A, 더 최근의 것들을 선형문자 B라고 명명하였다. 에번스는 이후 몇 십 년 동안 선형문자 B를 해독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했다.[13]

에번스가 문자를 해독하지 못한 이유는 그가 크레타 문명이 미노아인의 것이라고 확신하고, 선형문자 B가 미노아 문명의 문자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벤트리스는 초기에 에트루리아어와 미노아 어가 서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 연구를 진행했지만, 1950년대 초까지 이 연결고리를 찾지 못했다.

에번스가 사망한 뒤, 앨리스 코버는 선형문자 B의 특정 단어들이 라틴어그리스어와 같이 어미에 변화를 가진다는 것을 알아차렸다.[15][16] 벤트리스는 이 단서를 이용하여 점토판의 기호와 자음, 모음과 연관있는 일련의 격자들을 만들어내었다.

1939년 그리스 본토의 필로스에서 선형문자 B가 적힌 많은 수의 점토판이 발견되면서, 선형문자 B가 크레타에서만 쓰였다고 생각했던 에번스의 생각은 흔들리게 되었다. 벤트리스는 특정 이름들이 크레타 문서들에만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그 이름들을 섬의 도시들에 적용시켜보는 추측을 했고, 이는 맞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벤트리스는 곧 대부분의 문서들을 해독하여, 선형문자 B가 기록하고 있는 언어가 음절 문자로 기록된 그리스어라는 것을 밝혀냈다.[14]

3. 2. 벤트리스의 해독 과정

1936년, 런던 버링턴 하우스에서 열린 크레타 고고학 전시회에 참석한 벤트리스는 아서 에번스가 보여준 선형문자 B 점토판을 보고 해독을 결심했다.[13] 1940년, 18세의 벤트리스는 ''미국 고고학 저널''에 "미노아 언어 소개"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에트루리아어와 선형문자 B의 연관성을 주장했지만, 이는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13]

앨리스 코버가 선형문자 B의 어미 변화를 발견한 후, 벤트리스는 이를 바탕으로 자음과 모음을 연관시키는 격자를 만들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칼 블레겐이 발견하고 앨리슨 프란츠가 촬영한 필로스의 선형문자 B 점토판 사진을 참고하여 해독 작업을 진행했다.[14] 존 마이어스 경의 초대로 코버와 벤트리스는 선형 B 자료 필사 작업을 함께 했다.[15][16] 비록 둘은 더 이상 협력하지 않았지만, 코버의 연구는 벤트리스가 이론을 구축하는 기초가 되었다.

벤트리스는 특정 기호 그룹이 크레타 섬의 지명일 것이라는 추측을 했고, 이는 사실로 판명되었다. 1952년 7월 1일, 벤트리스는 BBC 라디오 방송에서 예비 결과를 발표했다. 블레치리 파크에서 암호 해독 경험이 있던 존 채드윅은 방송을 듣고 벤트리스와 협력하여 선형 B 해독 연구를 진행했다.

1953년, PY Ta 641를 포함한 선형 B 점토판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벤트리스와 채드윅은 "ti-ri-po-de"(삼발이)라는 단어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1953년부터 1956년까지 공동 논문을 발표하며,[17] 선형문자 B가 미케네 그리스어를 기록한 문자임을 밝혀냈다.

3. 3. 선형문자 B의 특징

선형문자 B는 약 87개의 음성 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선형문자 A에서 50개를 차용하고 10개를 수정했으며, 나머지 선형문자 A 기호는 버리고 새로운 17개의 기호를 추가하여 만들어졌다.[13] 음성 기호는 자음모음의 결합을 나타내는 음절 문자이다.

선형문자 B에는 음성 기호뿐만 아니라 표어문자도 있다. 이 표어문자들은 선형문자 B의 표음 문자 체계 밖에 존재하며, 주로 거래되던 물품들을 나타낸다. 선형문자 B가 주로 거래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몇몇 표어문자들은 그것이 의미하는 바와 유사하게 생겼기 때문에 그림문자로 불리기도 한다. 아직 모든 표어문자가 해독된 것은 아니다.[14]

3. 4. 해독의 의의

벤트리스의 선형문자 B 해독은 미케네 문명이 그리스 본토와 크레타 섬에 걸쳐 존재했음을 입증했다. 선형문자 B그리스어가 기원전 200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17] 미케네 그리스어는 고전 그리스어의 초기 형태로, 그리스어의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racking the code: the decipherment of Linear B 60 years on https://www.cam.ac.u[...] 2012-10-13
[2] 서적 Great Britons: Twentieth-century lives 1985
[3] harvnb 1990
[4] 웹사이트 Desk by Marcel Breuer https://www.artfund.[...] 2022-09-24
[5] 웹사이트 The Life of Michael Ventris https://www.classics[...] 2013-09-05
[6] 웹사이트 Royal Air Force (Volunteer Reserve) (RAF(VR)) Officers 1939–1945 http://www.unithisto[...] 2012-04-11
[7] harvnb 2002
[8] harvnb 2000
[9] 서적 Great Britons: twentieth-century lives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10] harvnb 1990
[11] 웹사이트 Designs for the architects' house and garden, 19 North End, Hampstead, London: site plan and floor plans https://www.ribapix.[...] 2022-09-24
[12] 문서 The Ventris Papers http://sas-space.sas[...] School of Advanced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2006
[13] harvnb 2002
[14] 학술지 Biographical Memoirs: Alison Frantz http://www.amphilsoc[...] 2000-06
[15] 서적 The Decipherment of Linear B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
[16] 뉴스 Alice E. Kober, 43; Lost to History No More https://www.nytimes.[...] 2013-05-11
[17] 웹사이트 Ventris, Michael George Francis (1922–1956), classical scholar and architect https://www.oxforddn[...] 2022-09-24
[18] 서적 Riddle of the Labyrinth
[19] 서적 The decipherment of Linear B
[20] 서적 The man who deciphered Linear B
[21] harvnb 2002
[22] 웹사이트 Linear B Decipherment Controversy Re-Examined, The https://sunypress.ed[...] 2023-05-09
[23] 웹사이트 VENTRIS, MICHAEL (1922–1956) https://www.english-[...] English Heritage 2021-05-25
[24] 웹사이트 Ο ιδιοφυής νεαρός Μάικλ Βέντρις… https://amarysia.gr/[...] 2021-07-27
[25] 웹사이트 Ventris https://planetarynam[...]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013
[29] 서적 2013
[30] 서적
[31] 서적 2013
[32] 서적 2013
[33] 서적 1964
[34] 서적 2013
[35] 서적 1964
[36] 서적
[37] 서적 線文字Bを解読した男
[3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