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하만 우스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하만 우스만은 니제르의 정치인으로, 1993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그는 1996년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99년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동맹 및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2009년에는 헌법 개정에 반대하며 망명하기도 했다. 2020-2021년 선거에서는 결선 투표까지 진출했으나 패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제르의 대통령 - 알리 사이부
    알리 사이부는 니제르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87년 대통령이 되어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으나 1990년대 초 민주화 요구에 직면하여 1993년 평화적으로 정권을 이양했다.
  • 니제르의 대통령 - 하마니 디오리
    니제르의 초대 대통령 하마니 디오리는 니제르 진보당을 유일 합법 정당으로 만들고 프랑스와의 긴밀한 관계를 추구했으나, 정치 부패와 기근 대처 실패로 1974년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 쿠데타로 축출된 지도자 - 조셉 에스트라다
    필리핀의 배우 출신 정치인인 조셉 에스트라다는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필리핀 제13대 대통령을 역임했고, 부정부패 혐의로 인해 사임했으며, 이후 마닐라 시장을 역임했다.
  • 쿠데타로 축출된 지도자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1950년 출생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1950년 출생 - 정세균
    정세균은 대한민국의 6선 국회의원, 산업자원부 장관, 민주당 대표, 국회의장, 그리고 국무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으로, '세균맨'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마하만 우스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하마네 우스만
이름마하마네 우스만
출생일1950년 1월 20일
출생지진데르, 니제르,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국적니제르
배우자나나 마리아마 이브라힘 아지아
자녀9명
정당민주공화국 갱신 (2020년 이후)
대통령
직위니제르 대통령
임기 시작1993년 4월 16일
임기 종료1996년 1월 27일
총리마하마두 이수푸, 술레이 압둘라예, 하마 아마두
이전 대통령알리 사이부
다음 대통령이브라힘 바레 마이나사라
니제르 국민 의회
직위국민 의회 의장
임기 시작1999년 12월
임기 종료2009년 5월
이전 의장무타리 무사
다음 의장세이니 우마루
ECOWAS 의회
직위ECOWAS 의회 의장
임기 시작2006년
임기 종료2011년
기타 정보
다른 정당민주사회회의-라하마

2. 1993년 대통령 선거

1993년 2월 27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CDS 후보였던 우스만은 26.59%의 득표율로 사회발전국민운동(MNSD)의 마마두 탄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변혁세력연합(AFC)으로 알려진 정당 연합의 지지를 받아 3월 27일에 열린 결선 투표에서 54.42%를 득표하며 대통령에 당선되었다.[29][30][4][5]

3. 대통령 재임 (1993-1996)

우스만 임기 후반, 우스만의 정당을 포함한 AFC는 의회 과반수를 차지했다. 그러나 1993년 9월 우스만은 총리 권한을 축소하는 법령을 발표했고, 마하마두 이수푸의 사임과 함께 그의 정당인 민주사회회의(PNDS)가 집권 연립정권에서 탈퇴했다. 우스만은 CDS 동맹국인 술리 압두라예를 총리로 임명했지만, 의회는 압두라예에 대한 불신임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1995년 1월 새로운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선거는 MNSD와 PNDS의 새로운 동맹, 그리고 우스만과 MNSD의 하마 아마두 총리가 이끄는 정부 사이의 강제적인 동거 정부 구성으로 이어졌다. 4월부터 우스만은 각료회의에 참석하는 것을 거부하였고, 7월에 아마두는 국유기업의 사장들을 교체하였다. 아마두는 또한 각료평의회와 관련하여 대통령직을 수행하려고 노력했다. 긴장이 계속 고조되었고, 우스만은 1년 후 의회를 해산하고 새 선거를 소집할 의사를 분명히 했다.[30]

1996년 1월 27일, 이브라힘 바레 마이나사라는 군부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고,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을 그 이유로 들었다.[31] 우스만은 체포되어 5일 동안 군 막사에 감금되었다가 아마두와 이수푸와 마찬가지로 4월 24일까지 가택연금되었다.[32] 2월, 아마두, 이수푸와 함께 우스만은 정치 시스템의 결함이 쿠데타의 원인이라는 견해를 표명하고 체제의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 텔레비전에 출연했다.[30]

3. 1. 정치적 갈등과 동거 정부

우스만 임기 후반, 우스만의 정당을 포함한 AFC는 의회 과반수를 차지했다. 그러나 1993년 9월, 우스만은 총리의 권한을 축소하는 법령을 발표했고, 이로 인해 마하마두 이수푸 총리가 사임했으며, 그의 정당인 니제르 민주사회당(PNDS)도 연립 정부에서 탈퇴했다.[30] 이로 인해 연립 정부는 의회 과반수를 잃었지만, 우스만은 자신의 CDS 동맹인 술레이 압둘라예를 총리로 임명했고, 의회는 압둘라예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빠르게 통과시켰다. 그 결과 1995년 1월에 새로운 의회 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MNSD와 PNDS 간의 새로운 동맹으로 구성된 야당이 승리하여, 우스만과 MNSD 총리 하마 아마두가 이끄는 정부 간의 동거 정부가 강요되었다. 이로 인해 심각한 경쟁과 정부의 교착 상태가 발생했다.[30] 4월부터 우스만은 헌법상 그렇게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각료 회의에 참석하는 것을 거부했고, 7월에 아마두는 우스만이 되돌리기를 원했던 국영 기업의 대표들을 교체했다. 아마두는 또한 각료 회의와 관련하여 대통령의 역할을 맡으려 했다. 긴장은 계속 고조되었고, 우스만은 1년이 지난 후 (더 일찍은 헌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었다) 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를 치를 의향을 분명히 했다.[30]

1996년 1월 27일, 이부라힘 바레 마이나사라는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잡았고,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을 정당화했다.[31] 우스만은 체포되어 5일 동안 군 막사에 구금되었고, 그 후 아마두와 이수푸와 마찬가지로 4월 24일까지 가택 연금되었다.[32] 2월에 우스만은 아마두, 이수푸와 함께 텔레비전에 출연하여 쿠데타의 원인이 정치 시스템 운영의 결함에 있으며, 시스템의 변화를 촉구하는 입장을 표명했다.[30]

3. 2. 1996년 쿠데타

1996년 1월 27일, 이브라힘 바레 마이나사라는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으며, 그 이유로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을 들었다.[31] 우스만은 체포되어 5일 동안 군 막사에 구금되었고, 이후 하마 아마두와 마하마두 이수푸와 마찬가지로 4월 24일까지 가택 연금되었다.[32] 2월에 우스만은 아마두, 이수푸와 함께 텔레비전에 출연하여 쿠데타의 원인이 정치 시스템 운영의 결함에 있다고 보고, 시스템의 변화를 촉구하는 입장을 표명했다.[30]

4. 1996년 이후 정치 활동

1999년 11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탄자 마마두의 사회 발전 국민 운동(MNSD)과 우스만의 민주사회회의(CDS) 동맹이 과반수를 차지했다.[4][10] 우스만은 진데르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고,[11] 1999년 12월 29일,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1]

우스만은 2004년 9월 18일에 열린 CDS 제5차 임시 의회에서 다시 CDS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13] 그는 2004년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17.4%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다.[4]

이후의 행적은 하위 섹션을 참고.

4. 1. 대통령 선거 재출마

우스만은 1996년 7월 7일에서 8일까지 치러진 1996년 니제르 대통령 선거에서 19.75%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으며, 마이아사라가 승리했다.[4] 그는 투표 둘째 날에 다시 가택 연금을 당했고, 2주 후에 석방되었다.[7] 1997년 1월 11일 민주화 시위 이후, 우스만은 탄자와 이수푸와 함께 체포되어 1월 23일까지 구금되었다.[8]

우스만은 마이아사라의 암살 이후에 치러진 1999년 10월 대통령 선거에서 22.51%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다. 그는 2위 득표자인 이수푸보다 약간 뒤쳐졌고, 따라서 11월에 치러진 결선 투표에는 참여하지 않았다.[4] 우스만은 탄자를 지지했고, 탄자는 이수푸를 꺾고 결선 투표에서 승리했다.[9]

4. 2. 국회의장 및 기타 활동

우스만은 2003년 3월 9일 제12차 회의에서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동맹의 국회의원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2004년 3월 제13차 회의에서 그 직책에 재선되었다.[12] 그는 또한 2004년 1월 15일 국제의회연맹 (IPU)의 국회의원 인권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

2004년 12월 의회 선거 이후, 우스만은 12월 16일 국회 의장으로 재선되었다.[3]

2006년 11월 14일, 우스만은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ECOWAS)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또 다른 니제르 정치인인 무무니 아다무 제르마코예를 58대 37로 꺾었다. 그는 2010년에 끝날 예정인 4년간의 과도기를 통해 지역 의회의 두 번째 입법부를 이끌었다. 그 직책에서 그는 의회 의원 선거에서 직접 보통 선거를 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과정을 조정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14]

4. 3. 탄자 정부와의 갈등 및 망명

우스만은 탄자 마마두 대통령이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직을 연장하려는 시도에 반대하여, 2009년 6월 CDS가 정부를 떠나도록 이끌었다. 그는 CDS가 헌법을 존중하기를 원하며 탄자가 헌법 재판소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15]

CDS는 야당으로서 2009년 8월 헌법 국민 투표와 2009년 10월 의회 선거에 대한 보이콧에 참여했다. 야당과 탄자 정부 간의 적대감이 고조되면서, 당국은 우스만에 대한 체포 영장을 발부했다. 당시 우스만은 니제르 밖에 머물고 있었다. 2009년 12월 8일, 알리 바지오 가마티 총리는 야당과의 대화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체포 영장이 중단되었다고 발표했다. 우스만은 이 조치가 고무적이라고 말했지만, 정부가 정치범으로 묘사된 사람들을 석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6] 그러나 2주 후 체포 영장이 다시 발동되었고, 정부는 우스만과 다른 야당 지도자들이 니제르에 입국하면 체포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7]

탄자는 2010년 2월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이로 인해 우스만은 체포되지 않고 니제르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고, 2010년 3월 24일 아부자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으로 귀국했다.[18]

참조

[1] 웹사이트 President of the National Assembly of Niger Mahamane Ousmane Elected President of the IPU Committee on Human Rights of Parliamentarians http://archive.ipu.o[...] Inter-Parliamentary Union 2004-01-15
[2] 웹사이트 Background Notes: Niger, July 1994 http://dosfan.lib.ui[...] 2006-08-15
[3] 웹사이트 Page at the official website of the National Assembly of Niger http://www.assemblee[...] 2005-02-13
[4] 웹사이트 Elections in Niger http://africanelecti[...]
[5] 간행물 The rise to power of an opposition party: the MNSD in Niger Republic http://www.unisa.ac.[...] Unisa Press 1996
[6] 뉴스 Niger's First Democratically Elected President Is Ousted https://www.latimes.[...] 2019-01-26
[7] 웹사이트 Niger: A major step backwards http://web.amnesty.o[...] Amnesty International 1996-10-16
[8] 웹사이트 Harassment of Government Opponents has Become Systematic http://www.unhcr.org[...] Amnesty International 1997-05-01
[9] 웹사이트 Tandja well placed to win second term as president http://www.irinnews.[...] IRIN 2004-09-20
[10] 웹사이트 Niger: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 2001 https://2001-2009.st[...] U.S. State Department 2002-03-04
[11] 웹사이트 List of deputies elected in the 1999 election by constituency http://www.assemblee[...] 2011-12-31
[12] 웹사이트 Page about Ousmane and the 13th session of the Interparliamentary Committee of the West African Economic and Monetary Union http://www.assemblee[...] 2017-05-30
[13] 웹사이트 Congrès d'investiture du candidat de la CDS-Rahama aux élections présidentielles : Les militants verts renouvellent leur confiance à M. Mahamane Ousmane http://www.africatim[...] La Roue de l'Histoire 2004-09-21
[14] 웹사이트 Niger MP elected ECOWAS new Parliament Speaker http://www.panapress[...] Panapress 2006-11-15
[15] 웹사이트 Tandja's main ally quits government http://www.int.iol.c[...] IOL 2009-06-25
[16] 웹사이트 Niger opposition welcomes 'small step' https://archive.toda[...] AFP 2009-12-10
[17] 뉴스 Niger vows to arrest exiled opposition leaders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2-24
[18] 웹사이트 Niger ex-parliamentary speaker returns from exile https://archive.toda[...] AFP 2010-03-25
[19] 웹사이트 President of the National Assembly of Niger Mahamane Ousmane Elected President of the IPU Committee on Human Rights of Parliamentarians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04-01-15
[20] 웹사이트 Background Notes: Niger, July 1994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State
[21] 웹사이트 Page at the official website of the National Assembly of Niger http://www.assemblee[...] 2005-02-13
[22] 웹사이트 Elections in Niger http://africanelecti[...]
[23] 간행물 The rise to power of an opposition party: the MNSD in Niger Republic http://www.unisa.ac.[...] Unisa Press 1996
[24] 뉴스 https://www.aljazeer[...] 2021-01-02
[25] 뉴스 Mohamed Bazoum declared Niger’s new president https://www.aljazeer[...] 2021-02-24
[26] 웹인용 President of the National Assembly of Niger Mahamane Ousmane Elected President of the IPU Committee on Human Rights of Parliamentarians http://archive.ipu.o[...] Inter-Parliamentary Union 2004-01-15
[27] 웹인용 Background Notes: Niger, July 1994 http://dosfan.lib.ui[...] 2006-08-15
[28] 웹사이트 Page at the official website of the National Assembly of Niger http://www.assemblee[...] 2005-02-13
[29] 웹사이트 Elections in Niger http://africanelecti[...]
[30] 간행물 The rise to power of an opposition party: the MNSD in Niger Republic http://www.unisa.ac.[...] Unisa Press 1996
[31] 뉴스 Niger's First Democratically Elected President Is Ousted http://articles.lati[...] 2019-01-26
[32] 웹사이트 Niger: A major step backwards http://web.amnesty.o[...] Amnesty International 1996-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