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시밀리안 요제프 인 바이에른 공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시밀리안 요제프 인 바이에른 공작은 바이에른 공작 피우스 아우구스트의 아들이자 바이에른 왕가의 일원이다. 그는 1828년 바이에른의 루도비카 공주와 결혼하여 10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중 엘리자베스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후가 되었다. 그는 여행과 예술을 즐겼으며, 1838년에는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을 여행하고 여행기를 출판했다. 또한 바이에른 민속 음악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치터를 연주하고 작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밤베르크 출신 - 베르톨트 마리아 솅크 그라프 폰 슈타우펜베르크
    베르톨트 마리아 쉔크 그라프 폰 슈타우펜베르크는 1905년생 독일 군인으로, 클라우스 쉔크 그라프 폰 슈타우펜베르크의 장남이며, 엔지니어링을 공부하고 장교로 복무, 제11 기갑 정찰 훈련 대대를 지휘 후 소장으로 퇴역했고, 아버지의 거사 관련 기념식 및 슈타우펜베르크 기념관 개관식에 참여, 메흐틸트 쿠니군데 그라핀 벤첼 폰 슈테르나우 운트 호엔아우 폰 슈투름펠더-호르넥과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
  • 밤베르크 출신 - 니나 솅크 그래핀 폰 슈타우펜베르크
    니나 솅크 그래핀 폰 슈타우펜베르크는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독일 귀족과 결혼 후 남편의 히틀러 암살 시도 실패로 고초를 겪었으며, 전쟁 후 가족과 재회하여 92세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독일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 1808년 출생 - 앤드루 존슨
    가난한 환경에서 독학으로 정치 경력을 쌓아 대통령이 된 앤드루 존슨은 남북전쟁 이후 온건한 재건 정책으로 의회와 갈등을 겪고 탄핵 소추를 받았으나 부결되었으며, 이후 상원의원으로 활동한 논쟁적인 인물이다.
  • 1808년 출생 - 빌헬름 바이틀링
    빌헬름 바이트링은 19세기 독일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혁명가로서, 정의자 동맹에서 활동하며 초기 공산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기독교적 메시아니즘과 공산주의를 결합한 사상으로 노동자 운동을 전개했으나 후기에는 정치 활동에서 은퇴하여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막시밀리안 요제프 인 바이에른 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막시밀리안 요제프 인 바이에른 공작
기본 정보
이름막시밀리안 요제프
작위바이에른 공작
출생일1808년 12월 4일
출생지밤베르크, 독일
사망일1888년 11월 15일
사망지헤르초크-막스-팔레, 뮌헨
가문비텔스바흐
배우자바이에른 공주 루도비카 (1828년 결혼)
가계
아버지피우스 아우구스트 인 바이에른 공작
어머니아렌베르크 공녀 아멜리에 루이제
자녀루트비히 빌헬름, 바이에른 공작
빌헬름 카를, 바이에른 공작
헬레네, 투른 운트 탁시스 세습 공비
엘리자베트, 오스트리아 황후 겸 헝가리 왕비
카를 테오도르, 바이에른 공작
마리 소피, 양시칠리아 왕비
마틸데 루도비카, 트라니 백작부인
막시밀리안, 바이에른 공작
조피 샤를로테, 알랑송 공작부인
막시밀리안 에마누엘, 바이에른 공작

2. 생애

밤베르크에서 바이에른 공작 피우스 아우구스트와 그의 아내 아멜리 루이즈 폰 아렌베르크 공주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왕가와 같은 비텔스바흐 가문의 방계 출신으로, 부계로는 5대조 팔츠-빌켄펠트-비쉬바일러 공작 크리스티안 1세에서 바이에른 초대 국왕 막시밀리안 1세와 갈라졌으며, 더 올라가면 7대조인 독일 국왕 겸 팔츠 선제후 루프레히트에 이른다. (라인 궁정 백작, 팔츠-빌켄펠트 가문, 바이에른 국왕 참조).

'바이에른 공작' 칭호는 그의 할아버지인 빌헬름이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1세(훗날 국왕)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수여받은 것이다. 이 칭호는 빌헬름의 남녀 후손 모두에게 사용이 허락되었고, 빌헬름은 막시밀리안 1세의 누이 마리아 안나와 결혼하기도 했다. 이 덕분에 막시밀리안 요제프의 가문은 바이에른 내에서 세습 친왕가에 준하는 특별한 지위를 가졌다.

1828년 9월 9일, 테게른제에서 아버지의 사촌이자 당시 바이에른 국왕 루트비히 1세의 이복 여동생인 루도비카 공주와 결혼했다. 루도비카는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국왕의 여섯째 딸이었다. 부부는 5남 5녀, 총 10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실제 부부 관계는 원만하지 않아 사실상 파탄 상태였다.

막시밀리안은 궁정의 엄격한 격식과 관습을 싫어하여 주로 가족과 시골에서 자유롭게 생활하는 것을 선호했다. 1834년에는 슈타른베르크 호수 근처의 포센호펜 성을 매입하여 주요 거주지로 삼았으며, 이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1838년에는 비텔스바흐 가문의 선조의 거처였던 비텔스바흐 성 부근 운터비텔스바흐 성(오늘날 그의 딸 엘리자베트를 기리는 "시시 박물관"이 위치한 곳)을 매입하기도 했다.

그는 딸 엘리자베트(훗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후)를 데리고 여행이나 사냥을 즐겼으며, 시 창작, 치터 연주, 작곡 등 예술적인 활동에도 재능을 보였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가족을 등한시하고 자신의 즐거움만 좇는 자기중심적인 면모도 있었다. 명문 귀족임에도 군주제에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는데, 이러한 그의 자유분방하고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성격은 딸 엘리자베트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엘리자베트는 어린 시절 아버지를 매우 따랐지만 훗날 관계는 소원해졌다.

아내 루도비카의 언니인 조피 대공비와는 성격 차이로 사이가 좋지 않았으며, 이는 뮤지컬 엘리자베트에서도 묘사된다. 아들 카를 테오도르는 귀족임에도 안과 의사로 활동하며 아버지나 누나와는 다른 방식으로 귀족 사회의 틀을 벗어난 삶을 살았다. 이러한 막시밀리안 일가의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모습 때문에, 보수적인 궁정에서는 이들을 "방랑자 일당"이라며 다소 폄하하기도 했다.

막시밀리안 요제프는 뮌헨에서 사망했고, 아내 루도비카와 함께 테게른제 수도원의 가족 묘소에 안장되었다. 이 수도원은 루도비카의 아버지인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국왕이 1817년에 매입한 곳이다. 막시밀리안 요제프의 할아버지 빌헬름 공작 역시 반츠 수도원을 매입했으며, 테게른제와 반츠 두 영지는 현재 바이에른 공작 막스가 소유하고 있다.

3. 중동 여행

1838년 막시밀리안 요제프는 이집트팔레스타인을 여행했다.[2] 그는 이 여행에 대한 기록으로 Wanderung nach dem Orient im Jahre 1838de (1839년 뮌헨 게오르그 프란츠 출판, 1978년 파펜호펜 루트비히 재판)을 남겼다. 그는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오르는 동안 하인들에게 마치 알프스산맥을 오르는 것처럼 요들을 부르게 하기도 했다.

여행 중 그는 다수의 고대 유물을 수집하여 바이에른으로 가져왔고, 아버지의 집이었던 반츠 수도원에 전시했는데, 이 유물들은 오늘날에도 그곳에서 볼 수 있다. 수집품 중에는 젊은 여성의 미라, 미라 머리 3개, 여러 동물 미라, 샤브티, 그리고 덴두르 사원의 돌을 포함한 무덤이나 사원에서 가져온 여러 돌들이 있다. 또한 카이로의 노예 시장에서는 아이들을 사서 해방시켜 주기도 했다. 예루살렘 방문 중에는 고난의 길에 있는 채찍질 교회의 복원 비용을 지원했다.

4. 민속 음악

막시밀리안 요제프는 19세기에 바이에른 민속 음악을 가장 널리 알린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영향으로 치터가 궁정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결국 바이에른의 국가 악기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는 이러한 관심 때문에 Zither-Maxl|치터 막슬de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직접 치터를 연주했으며, 치터를 위한 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그의 사촌 루트비히 2세가 방문했을 때, 루트비히는 막시밀리안 요제프의 피아노에서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의 악보를 보게 되었다. 이는 1863년부터 루트비히 2세가 바그너에게 재정적 지원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막시밀리안 요제프의 악곡은 ''Die im Druck erschienenen Kompositionen von Herzog Maximilian in Bayern: Ländler, Walzer, Polka, Schottisch, Mazurka, Quadrillen und Märsche für Pianoforte, Zither, Gitarre oder Streichinstrumente'' (뮌헨: Musikverlag Emil Katzbichler, 1992)라는 제목의 작품집으로 수집되어 출판되었다.

5. 자녀

1828년 아버지 피우스 아우구스트의 사촌 여동생이자 당시 바이에른 국왕 루트비히 1세의 이복 여동생인 공주 루도비카와 결혼하여 5남 5녀, 총 10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러나 부부 관계는 좋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사진이름생몰년배우자 및 자녀비고
루트비히 빌헬름 공작
루트비히 빌헬름
("루이")
1831년 6월 21일
1920년 11월 6일 (89세)
1. 헨리에테 멘델 (1833–1891), 발러제 남작부인 (1859년 결혼, 귀천상혼)
자녀: 딸 1명, 아들 1명.
2. 바르바라 안토니 바르트 (1871–1956), 바르톨프 부인 (1892년 결혼, 1913년 이혼, 귀천상혼)
자녀: 없음.
배우 헨리에테 멘델과 귀천상혼하여 공작위 계승권을 포기했다.
빌헬름 카를1832년 12월 24일
1833년 2월 13일
미혼유아기에 사망.
헬레네 공녀
헬레네 카롤리네 테레제
("네네")
1834년 4월 4일
1890년 5월 16일 (56세)
투른 운트 탁시스 후계공 막시밀리안 안톤 (1831–1867) (1858년 결혼)
자녀: 딸 2명, 아들 2명.
원래 프란츠 요제프 1세의 황후 후보였으나, 프란츠 요제프 1세가 동생 엘리자베트를 선택했다.
엘리자베트 황후
엘리자베트 아말리에 오이게니
("시시")
1837년 12월 24일
1898년 9월 10일 (60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 (1830–1916) (1854년 결혼)
자녀: 딸 3명, 아들 1명.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후. 미모로 유명했으나, 엄격한 황실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랑 생활을 하다가 제네바에서 암살당했다.
카를 테오도르 공작
카를 테오도르
("가클")
1839년 8월 9일
1909년 11월 30일 (70세)
1. 작센의 조피 (1845–1867), 사촌 (1865년 결혼)
자녀: 딸 1명.
2. 포르투갈의 마리아 조제파 (1857–1943) (1874년 결혼)
자녀: 딸 3명, 아들 2명.
아버지의 작위를 계승. 안과 의사로 활동하며 많은 환자를 무료로 치료했다.
마리아 소피아 왕비
마리아 조피 아말리에1841년 10월 4일
1925년 1월 19일 (83세)
양시칠리아 왕국 국왕 프란체스코 2세 (1836–1894) (1859년 결혼)
자녀: 딸 1명.
양시칠리아 왕국의 마지막 왕비. 가에타 공방전에서 용감한 모습으로 가에타의 영웅이라 불렸다.
마틸데 루도비카
마틸데 루도비카1843년 9월 30일
1925년 6월 18일 (81세)
트라니 백작 루도비코 (1838–1886), 남편 프란체스코 2세의 이복동생 (1861년 결혼)
자녀: 딸 1명.
남편은 양시칠리아 왕국의 왕족. 언니 마리아 소피아의 남편 프란체스코 2세의 이복동생과 결혼했다.
막시밀리안1845년 12월 8일미혼사산.
조피 샤를로테 공작부인
조피 샤를로테 아우구스테
("소퍼를")
1847년 2월 23일
1897년 5월 4일 (50세)
알렝콩 공작 페르디낭 (1844–1910) (1868년 결혼)
자녀: 딸 1명, 아들 1명.
루트비히 2세와 약혼했으나 파혼했다. 파리의 자선 바자회 화재 사고로 사망했다.
막시밀리안 에마누엘 공작
막시밀리안 에마누엘
("마페를")
1849년 12월 7일
1893년 6월 12일 (43세)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아말리에 (1848–1894) (1875년 결혼)
자녀: 아들 3명.
바이에른 군대에서 복무했다.


6. 유산

그는 다음과 같은 훈장과 장식을 받았다:[3]

참조

[1] 서적 Annual Register https://books.google[...] J. Dodsley. 1887
[2] 논문 Dendur: The Six-Hundred-Forty-Third Stone 1998
[3]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86 https://babel.hathit[...] Landesamt
[4]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Hessen 1879
[5] 간행물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Decker
[6]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73 Heinrich
[7]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2021-04-05
[8] 문서 스캔들 세계사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