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돌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돌린은 류트에서 파생된 현악기로, 17~18세기 이탈리아에서 기원하여 나폴리식 만돌린이 널리 퍼졌다. 19세기 파스쿠알레 비나치아의 개량으로 근대 만돌린의 형태가 정립되었으며, 20세기 초 이탈리아 왕비 마르게리타의 애호로 유행했다. 만돌린은 몸통 형태와 음역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바이올린과 같은 음높이로 조율되어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수엘라의 악기 - 마라카스
    마라카스는 라틴 아메리카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타악기로, 야자 열매 등으로 만들어 씨앗이나 구슬을 넣어 소리를 내며,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의식에서 기원하여 쿠바 음악을 거쳐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되고 특히 베네수엘라 호로포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독일의 악기 - 드렐라이어
    드렐라이어는 바퀴를 돌려 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10세기부터 사용된 허디 거디의 일종으로, 유럽에서 시작해 여러 형태로 발전했으며, 중세 시대 오르가니스트룸에서 심포니아로, 르네상스 시대에는 유럽 전역에서 인기를 얻었고, 17세기 이후 프랑스 귀족 사회에서 유행했으며, 동유럽에서는 '리라'라는 이름으로 민중의 악기로 사용되었으나 소련 시대 탄압을 받기도 했지만, 20세기 후반 부활하여 현대 음악에서도 활용되며 현대적인 변형도 등장했다.
  • 독일의 악기 - 아코디언
    아코디언은 벨로즈의 공기압으로 리드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로, 건반이나 버튼으로 음을 선택하고 왼손으로 벨로즈와 베이스 버튼을 조작하며, 휴대성과 화음 반주, 음량 조절이 가능하고 피아노 아코디언과 버튼 아코디언(크로매틱, 다이애토닉)으로 나뉘며 다양한 음색과 폭넓은 장르에 사용된다.
만돌린
악기 정보
이름만돌린
다른 이름만돌리노(이탈리아어)
아치탑 만돌린
악기 분류현악기
발현악기
호른보스텔-작스 분류321.321-6 (네아폴리탄)
321.322-6 (플랫백)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설명채로 소리 내는 현명악기
개발 시기18세기 중반, 만돌리노에서 파생
음색가문비나무 조각 상판: 밝음
플랫백: 따뜻하거나 부드러움
울림 감쇠빠름
14 프렛이 있는 만돌린의 음역
현대 만돌린 계열
조상 악기
관련 악기
언어별 명칭
이탈리아어it
영어mandolin
프랑스어mandoline
추가 정보
참고 자료만돌린의 간략한 역사 (Dave Hynds)
위키포털클래식 음악
[[File:Viola d'amore.png|35px|위키포털 클래식 음악]]

2. 역사

만돌린은 유럽의 류트 계열 악기에서 발전했다. 17세기와 18세기 이탈리아에서는 기턴(gittern)과 만도어 또는 만돌라가 그 전신이었다. 여러 지역 변종 중에서도 나폴리 만돌린과 롬바르디아 만돌린이 가장 널리 퍼졌으며, 특히 나폴리식 만돌린은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4]

이탈리아에서 발명되어 초기 발전을 거친 만돌린은 유럽 대륙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 악기는 주로 만돌린 오케스트라, 소위 ''에스투디안티나스''(Estudiantinas) 또는 독일의 ''주프포케스터른''(Zupforchestern)에서 클래식 전통으로 사용되었으며, 많은 도시에서 등장했다. 이러한 만돌린 계열 악기의 대륙적인 인기에 이어 아메리카와 일본에서 유럽 이외의 지역 전통이 나타났다. 카를로 쿠르티, 주세페 페티네, 라파엘레 칼라체, 실비오 라니에리와 같은 여행하는 만돌린 거장들은 20세기 초 만돌린이 "유행" 악기가 되는 데 기여했다.[56]

1930년대에 "만돌린 열풍"은 사그라들었지만, 만돌린은 미국의 컨트리 음악, 올드타임 음악, 블루그래스 음악, 포크 음악에서 새로운 위치를 찾았다. 최근에는 바로크클래식 음악 만돌린 레퍼토리와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비 아비탈, 카를로 아온조, 조셉 브렌트와 같은 클래식 연주자들이 주목받고 있다. 인도에서는 만돌린이 클래식 카르나틱 음악에서 연주되며, U. 스리니바스가 이 분야의 대표적인 연주자로 꼽힌다.[57]

오하이오주 네이폴리온의 멘돌린 클럽, 약 1892년


주세페 페티네(1898년 사진)


만돌린을 연주하는 여성 (1952년, 독일)

2. 1. 기원과 초기 발전

만돌린은 1620년경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파록키(Parocchi)가 만돌라를 소형으로 만들어 높은음을 내도록 한 '만돌리노'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넥(neck)이 짧고 굵었으며, 거트 현을 사용했다. 이후 여러 유행에 따라 나폴리식, 로마식, 프랑스식, 밀라노식 등 다양한 만돌린이 등장했다.[4]

1850년경 나폴리의 비나치아(Vinaccia)는 강선 현과 나사식 줄감개를 도입하고, 지판(指板) 위의 프렛을 17개로 늘리는 등 만돌린을 개량하여 오늘날 만돌린의 기초를 마련했다. 칼라체(Calace) 역시 유명한 만돌린 제작가로, 비나치아와 칼라체의 개량을 통해 나폴리식 만돌린이 주류가 되었다.

만돌린은 유럽에서 류트 계열 악기에서 발전했으며, 17세기와 18세기 이탈리아에서는 기턴(gittern)과 만도어 또는 만돌라가 그 전신이었다. 여러 지역 변종 중 나폴리 만돌린과 롬바르디아 만돌린이 가장 널리 퍼졌다.

1787년, 루이지 바시(Luigi Bassi)는 모차르트의 오페라에서 돈 조반니 역을 맡아 만돌린을 연주하며 여인에게 세레나데를 불렀다.


바로크 맨돌린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 그림 「맨돌린을 든 여인」)


나폴리식 맨돌린


맨돌린 너트(윗쪽 턱) 부분


맨돌린의 음계


맨돌린의 음역


맨돌린 프렛보드


초기 만돌린은 6코스의 거트 현을 가진 바로크 만돌린(만드리노)이었으며, 안토니오 비발디의 만돌린 협주곡도 이 형태를 위한 것이었다.

근대 만돌린은 19세기 파스쿠알레 비나치아의 악기 개량에서 시작된다. 비나치아는 4코스의 나폴리식 만돌린 개량에 힘써 성과를 거두었고, 이후 나폴리식이 주류가 되었다. 19~20세기 움베르토 1세 왕비 마르게리타가 만돌린을 애호하면서 이탈리아 전역에서 만돌린 연주가 유행했다. 카를로 쿠르티, 카를로 무니엘, 라파엘레 칼라체, 실비오 라니에리 등이 연주자, 작곡가로 활동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패배하고 왕정이 폐지되면서 이탈리아의 만돌린 음악은 일시적으로 쇠퇴했다.

2. 2. 근대 만돌린의 발전

만돌린은 유럽에서 류트 계열 악기에서 발전했다. 17세기와 18세기 이탈리아에서는 기턴(gittern)과 만도어 또는 만돌라가 그 전신이었다. 여러 지역 변종이 있었지만, 가장 널리 퍼진 두 가지는 나폴리 만돌린과 롬바르디아 만돌린이었다. 나폴리식 만돌린은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4]

초기 만돌린은 6코스의 가트 현을 가진 바로크 만돌린(만드리노)이었으며, 안토니오 비발디가 작곡한 만돌린 협주곡은 이 형태를 위한 것이었다.

근대 만돌린의 역사는 19세기 파스쿠알레 비나치아(Pasquale Vinaccia)의 악기 개량에서 시작된다. 비나치아는 4코스의 나폴리식 만돌린 개량에 힘썼고,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나폴리식이 주류가 된다. 19~20세기에 걸쳐 움베르토 1세 왕비 마르게리타가 만돌린을 애호하여 만돌린 연주는 이탈리아 전역에서 크게 유행하게 된다. 카를로 쿠르티(Carlo Curti), 카를로 무니엘, 라파엘레 칼라체, 실비오 라니에리(Silvio Ranieri) 등이 연주자, 작곡가로 활동했다. 그러나 이탈리아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고 왕정이 폐지되면서 이탈리아의 만돌린 음악은 일시적으로 쇠퇴했다.

2. 3. 한국에서의 만돌린

일본에서는 1894년 시가마 토쓰지가 영국인에게서 선물받은 만돌린을 연주한 기록이 있다. 1901년에는 히루마 켄파치가 이탈리아 유학 중 만돌린을 가지고 귀국하여 지도자가 되었다. 히루마의 제자로는 하기와라 사쿠타로, 후지타 시즈, 사토미 토오루 등이 있으며, 그의 딸인 히루마 키누코도 만돌린 연주자로 많은 제자를 길렀다.

1924년 라파엘레 칼라체가 일본을 방문하면서 만돌린이 본격적으로 유행하였다. 그는 섭정궁(훗날 쇼와 천황)을 위해 궁중 연주를 하는 등 여러 지역에서 연주회를 열었다. 칼라체의 방문에 영향을 받은 만돌린 연주자들 중에는 스즈키 세이이치, 나카노 지로, 하토리 타다시와 같이 훗날 작곡가로 활동하는 이들도 있었다.

1968년부터 2년에 한 번씩 일본 만돌린 연맹 주최 독주 콩쿠르가 열려 많은 연주자를 배출하고 있다.[69][70]

3. 종류

만돌린은 몸통 형태와 음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그레그 마이너 소장품: 시계 방향으로 왼쪽 상단부터 1920년산 깁슨 F-4 맨돌린, 1917년산 깁슨 H-2 맨돌라, 1929년산 깁슨 맨도베이스, 1924년산 깁슨 K-4 맨도첼로


솔리드 바디 일렉트릭 맨돌린

  • 형태에 따른 분류
  • * 나폴리형: 무화과를 세로로 자른 모양과 같이 몸통이 둥글다. 튜닝페그(糸巻軸)의 금속 막대가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다.
  • * 로마형: 기타와 같은 방식의 튜닝페그를 가진다.
  • * 플랫형 (반돌린): 스페인·포르투갈 기원으로 기타(비올라(ヴィエラ))에서 파생되었으며, 몸통이 평평하다. 남아메리카에서 자주 사용된다.
  • * 만돌린-밴조: 만돌린의 목과 밴조 스타일의 바디를 결합한 악기이다. 1882년 벤자민 브래드버리가 특허를 받았으며, 1885년 존 패리스가 "banjoli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54]
  • * 리조네이터 맨돌린: 일반적인 목재 몸통 대신 하나 이상의 금속 콘(리조네이터)으로 소리가 생성된다. 도브로와 내셔널(National)이 유명하다.
  • * 일렉트릭 맨돌린: 일렉트릭 기타와 동시대에 개발되었으며, 솔리드 바디와 일렉트로 어쿠스틱 형태가 있다.
  • * 플랫 맨돌린: 미국에서 유래되었으며 블루그래스나 컨트리 음악에서 사용된다.

  • 음역에 따른 분류 (만돌린족)
  • * 만돌라: 테너 만돌라(영국, 아일랜드), 리올라(유럽 대륙), 알토 만돌린. 비올라와 같이 만돌린보다 5도 낮게 조율된다. (C3–G3–D4–A4)
  • * 옥타브 만돌린: 옥타브 만돌라(영국, 아일랜드), 만돌라(유럽 대륙). 만돌린보다 한 옥타브 낮게 조율된다. (G2–D3–A3–E4)
  • * 만도첼로: 만돌린보다 옥타브와 5도 낮은 음으로 조율된다. (C2–G2–D3–A3)
  • * 만도베이스: 만돌린의 베이스 버전이다.


그 외에도 만돌리네토, 라우토 등 다양한 종류의 만돌린이 존재한다.

3. 1. 형태에 따른 분류

만돌린은 몸통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크게 무화과를 세로로 자른 모양과 같은 나폴리형과 평평한 몸통을 가진 포르투갈형, 그리고 반조의 절반 크기인 반조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54] 남미에는 10현(페루), 12현(볼리비아) 등의 만돌린도 존재한다.

  • 볼백 만돌린 (라운드백)


볼백 만돌린은 얇고 좁은 나무쪽을 여러 개 옆으로 붙여 만든 반구형의 뒤판(裏板)이 앞판(表板)에 연결된 형태이다. 류트보다 굽은 정도가 급하며, 줄받침은 매우 낮고 현과의 접촉면은 평평하다. 지판에는 금속 프렛이 17개에서 27개까지 있다. 줄감개집은 류트만큼 뒤로 젖혀져 있지 않지만 줄감개는 기계나사로 되어 있다. 현은 8줄의 복현으로 4코스이다.[20][21][22][23]

볼백 만돌린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지만, 특히 유럽에서 많이 제작되며 긴 만돌린 제작 역사로 인해 지역적 스타일이 형성되었다. 일본 악기 제작자들도 볼백 만돌린을 제작한다.

일반적인 구조는 모양과 서로 다른 색상의 나무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국에서는 "감자벌레", "감자벌레"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20]

볼백 만돌린은 다음과 같은 세부 유형으로 나뉜다.

:* 나폴리식 만돌린: 곡선으로 된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진 그릇 모양의 아몬드 형태 몸통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두 평면으로 기울어진 소리판을 가지고 있으며, 4개의 코스로 배열된 8개의 금속 현의 장력을 받도록 설계되었다. 경재 지판은 소리판 위에 놓이거나 소리판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매우 오래된 악기는 나무 조율핀을 사용하지만 최근 악기는 기어식 금속 조율기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브릿지는 움직일 수 있는 길이의 경재이며, 픽가드는 현 아래 소리구멍 아래에 붙여져 있다.[21][22][23] 유럽식 둥근 뒷판 만돌린은 아치형 만돌린에서 일반적인 약 33.02cm 대신 약 33.02cm 스케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7] 나폴리형 만돌린은 튜닝페그(糸巻軸)의 금속 막대가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다.

:* 로마식 만돌린: 나폴리식 만돌린에 영향을 주었으며, 더 곡선이 지고 좁은 지판을 가지고 있다.[24] 지판은 고음 현인 E현을 위해 소리구멍 위로 연장되었으며,[24] 목 뒤쪽의 모양은 다르며, 가장자리가 덜 둥글고, 브리지는 곡선형이어서 G현이 더 높게 위치했다.[24] 로마식 만돌린은 네아폴리탄식보다 먼저 기계식 조율 장치를 사용했다.[24] 로마형 만돌린은 기타와 같은 방식의 튜닝페그를 가진다.

:* 롬바르디아 만돌린 (밀라노식 만돌린): 밀라노와 롬바르디아에서 유래했으며, 다른 현대 만돌린보다 만돌리노 또는 만도어와 더 가깝다.[33] 표준 나폴리타나 만돌린보다 짧고 넓으며, 뒷판이 얕다.[34] 6줄을 가지고 있으며, 3개의 금속제 고음 현과 3개의 양장 또는 금속 감은 실로 된 저음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33][34] 현은 기타처럼 브리지에 붙어있었고, 튜닝 페그와 브리지 사이를 지나갔다. 롬바르디아 만돌린은 g–b–e′–a′–d″–g″(헬름홀츠 음높이 표기법)으로 조율되었다.[34] 밀라노식 만돌린 개발자는 안토니오 몬지노(밀라노)와 그의 가족이었으며, 그들은 6대에 걸쳐 만돌린을 만들었다.[33] 1893년 새뮤얼 애들스타인은 롬바르디아 만돌린을 나폴리타나 만돌린보다 더 넓고 짧으며, 뒷판이 더 얕고 목이 더 짧고 넓고, 일반 만돌린의 4줄 대신 6개의 단일 줄을 가지고 있다고 기술했다.[35] 롬바르디아 만돌린은 C–D–A–E–B–G로 조율되었다.[35] 현은 기타처럼 브리지에 고정되었고,[35] 20개의 프렛이 있었고, 3옥타브와 추가로 5개의 음표를 포함했다.[35]

  • 아치탑 만돌린


19세기 말, 바이올린 계열 악기에서 영감을 받은 조각된 상판과 뒷판 구조를 가진 새로운 스타일이 미국에서 유럽식 볼백 악기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이 스타일은 1902년 "Gibson Mandolin-Guitar Manufacturing Co., Limited"를 설립한 미시간주 칼라마주(Kalamazoo)의 악기 제작자 오빌 깁슨(Orville Gibson)이 디자인하고 제작한 멘돌린에 기인한다. 깁슨 멘돌린은 플로렌틴 또는 F 스타일(목 부분 근처에 장식적인 스크롤, 하단 바디에 두 개의 포인트, 그리고 보통 헤드스톡에 조각된 스크롤이 있는 스타일)과 A 스타일(배 모양, 포인트가 없고 보통 더 단순한 헤드스톡을 가진 스타일)이라는 두 가지 기본 스타일로 발전했다.

이러한 스타일은 일반적으로 바이올린처럼 두 개의 F자형 음향구멍(F-5와 A-5) 또는 현 아래에 있는 단일 타원형 음향구멍(F-4, A-4 및 하위 모델)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는 깁슨 F홀(F-hole) F-5 멘돌린과 그 디자인의 영향을 받은 멘돌린이 블루그래스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A 스타일은 다른 유형의 음악과 관련되어 있지만, 블루그래스에도 가장 많이 사용된다. F-5의 더 복잡한 목공은 더 비싼 악기로 이어진다.

F 스타일 멘돌린에서 상판을 지지하는 내부 브레이싱은 일반적으로 바이올린의 베이스 바와 유사한 평행한 톤 바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일부 제작자는 "X 브레이싱"(두 개의 톤 바가 서로 맞물려 X자를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일부 악기 제작자는 현재 톤 바와 X 브레이싱을 모두 통합하는 "수정된 X 브레이싱"을 사용하고 있다.

수많은 현대 멘돌린 제작자들이 1920년대 초 깁슨 음향학자 로이드 로어(Lloyd Loar)의 감독 하에 제작된 깁슨 F-5 아티스트 모델을 대부분 복제하는 악기를 제작한다. 로어 시대와 그 이전의 다른 제작자로는 리온 앤 힐리(Lyon and Healy), 베가(Vega), 그리고 라슨 브라더스(Larson Brothers)가 있다.

아치탑 몸통의 이상적인 형태는 적절한 형태로 조각된 나무의 솔리드 원목이다. 그러나 적층목 또는 얇은 솔리드 원목 시트를 아치형으로 압축하여 만든 탑과 같은 다른 아치탑 형태도 있다.

  • 플랫백 만돌린


플랫백 만돌린은 볼백이나 조각 만돌린의 아치형 뒷판 대신 기타처럼 얇은 나무판에 브레이싱을 사용한다.

볼백과 마찬가지로 플랫백은 둥근 사운드홀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때때로 D홀이라고 불리는 길쭉한 구멍으로 수정되기도 한다. 바디는 둥근 아몬드 모양이며 사운드보드는 평평하거나 때로는 경사진 경우도 있다.[41]

이 유형은 1850년대 유럽에서 개발되었으며,[41]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포르투갈 만돌린이라고 불렀지만, 현지에서도 개발했다.[41] 독일에서는 반데르포겔에서 사용했다.[42]

반돌린(バンドリン)은 스페인·포르투갈 기원으로 기타(비올라(ヴィエラ))에서 파생된 플랫형을 가리키며 남미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밴돌림은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가져간 곳, 즉 남아메리카, 브라질(쇼로) 및 필리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42]

1970년대 초 영국의 악기 제작자 스테판 소벨은 자신의 시트런 디자인을 기반으로 조각된 사운드보드가 있는 대형 플랫백 만돌린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종종 '켈트' 만돌린이라고 불린다.[43][44] 미국식에는 육군-해군 만돌린, 플랫아이언 및 팬케이크 만돌린이 있다.

  • 기타 변형


다른 미국산 변형 악기로는 만돌리네토(mandolinetto)나 하우-오름(Howe-Orme) 기타 모양 만돌린(1897년부터 1920년경까지 엘리아스 하우 회사(Elias Howe Company)에서 제작)이 있다. 하우-오름 만돌린은 지판 끝에서 테일피스까지 상판에 원통형 볼록 부분이 특징이다. 또한 베가 만도-류트(Vega mando-lute)(일반적으로 실린더형 뒷판 만돌린이라고 불리며, 1913년부터 1927년경까지 베가 회사(Vega Company)에서 제작)은 비슷한 세로 방향의 볼록 부분이 있지만, 악기의 앞면이 아닌 뒷면에 있다.

만돌린의 목과 banjo 스타일의 바디를 결합한 악기는 1882년 브루클린의 벤자민 브래드버리(Benjamin Bradbury)가 특허를 받았으며, 1885년 존 패리스(John Farris)가 "banjoli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54] 오늘날 "banjolin"은 때때로 네 개의 현을 가진 악기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두 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네 개의 코스를 가진 버전은 "만돌린-밴조"라고 불린다.

리조네이터 맨돌린 또는 "레조포닉 맨돌린"은 일반적인 목재 몸통(맨돌린 상판) 대신 하나 이상의 금속 콘(리조네이터)으로 소리가 생성되는 맨돌린이다. 과거 유명 브랜드로는 도브로와 내셔널(National)이 있다.

거의 모든 현대의 현악기와 마찬가지로, 현대적인 변형 악기로 일렉트릭 맨돌린이 있다. 이 만돌린은 4줄 또는 5줄의 개별 또는 이중 코스 현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1930년대 초에 일렉트릭 기타의 개발과 동시대에 개발되었다. 솔리드 바디와 일렉트로 어쿠스틱 형태로 나온다.

3. 2. 음역에 따른 분류 (만돌린족)

만돌린은 바이올린족의 소프라노 악기인 바이올린처럼 만돌린족의 소프라노 악기이다. 현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약 약 33.02cm이며, 기브슨 모델을 기반으로 한 현대 미국식 만돌린은 약 약 33.02cm의 더 긴 현 길이를 갖는다. 각 이중현 코스의 현들은 모두 같은 음높이로 조율되며, 코스의 조율은 바이올린과 같다: G3–D4–A4–E5.

피콜로 만돌린


피콜로 또는 소프라니노 만돌린은 드물게 볼 수 있는 만돌린 계열 악기로, 만돌라보다 한 옥타브 위, 만돌린보다 4도 위로 조율된다(C4–G4–D5–A5). 이는 피콜로(피리)와 서양식 콘서트 플루트 또는 비올리노 피콜로(바이올린)와 비올라의 관계와 같다. 라이온 앤 힐리(Lyon & Healy)사에서 리랜드 브랜드로 제작한 모델이 하나 있었다. 소수의 현대 루티어들이 피콜로 만돌린을 제작하고 있다.

맨돌라는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테너 만돌라(tenor mandola)로, 유럽 대륙에서는 리올라(liola) 또는 알토 만돌린(alto mandolin)으로 불리며, 비올라바이올린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만돌린보다 5도 낮게 조율된다. 이 악기를 "알토 만돌라(alto mandola)"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일반적인 현의 길이는 약 약 40.64cm이다. 일반적으로 비올라(만돌린보다 완전 5도 낮음)와 테너 밴조처럼 C3–G3–D4–A4로 조율된다.

플랫백 옥타브 만돌린


옥타브 만돌린(미국 및 캐나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옥타브 만돌라, 유럽 대륙에서는 만돌라로 불리는 이 악기는 만돌린보다 한 옥타브 낮게 조율된다: G2–D3–A3–E4. 만돌린과의 관계는 테너 바이올린과 바이올린, 또는 테너 색소폰과 소프라노 색소폰의 관계와 같다. 옥타브 만돌린의 현 길이는 일반적으로 약 약 50.80cm이지만, 약 43.18cm만큼 짧거나 약 53.34cm만큼 긴 악기도 드물지 않다.

이 악기는 남미 트리니다드 해안에서 밴돌이라는 변형이 있는데, 금속과 나일론 현으로 낮은 두 코스가 장착된 플랫백 악기이다.[12]

엄밀히 말해 만돌린 계열이 아니지만 아일랜드 부주키는 옥타브 만돌린과 상당히 유사하고 음역도 비슷하다. 긴 목의 루트인 그리스 부주키에서 유래했으며, 플랫백 만돌린처럼 제작되었고, 대부분 G2–D3–A3–D4와 같은 5도 기반의 조율을 사용한다. 다른 조율로는 A2–D3–A3–D4, G2–D3–A3–E4(만돌린보다 한 옥타브 낮음 – 이 경우 본질적으로 옥타브 만돌린 역할을 함), G2–D3–G3–D4 또는 A2–D3–A3–E4가 있다. 아일랜드 부주키의 저음 코스 쌍은 대부분 동음으로 조율되지만, 일부 악기에서는 각 쌍 중 하나가 더 가벼운 현으로 교체되어 12현 기타와 유사하게 옥타브로 조율된다. 옥타브 만돌린/옥타브 만돌라와 같은 음역을 차지하지만, 아일랜드 부주키는 일반적으로 약 60.96cm 에서 약 66.04cm의 더 긴 현 길이로 이전 악기와 구별된다. 약 68.58cm만큼 긴 현 길이(일반적인 그리스 부주키 현 길이)도 드물지 않다. 그러나 현대적인 용법에서는 "옥타브 만돌린"과 "아일랜드 부주키"라는 용어가 종종 같은 악기를 가리키는 데 서로 바꿔 사용된다.

현대 시턴 또한 플랫백 만돌린과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확장된" 만돌린 계열에 느슨하게 포함될 수 있으며, 시턴은 플랫백 만돌린보다 앞서 등장했다. 시턴의 계보는 르네상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반적으로 약 50.80cm 에서 약 55.88cm 사이의 현 길이를 가진 5코스(10현) 악기이다. 이 악기는 대부분 D2–G2–D3–A3–D4 또는 G2–D3–A3–D4–A4로 조율되며, 본질적으로 음역의 상단이나 하단에 5번째 코스가 있는 옥타브 만돌라이다. Stefan Sobell과 같은 일부 악기 제작자는 코스가 4개이든 5개이든 관계없이 옥타브 만돌라나 현 길이가 더 짧은 아일랜드 부주키를 시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턴과 관련된 다른 악기들(때로는 이와 같이 조율하고 연주되기도 함)로는 만돌린과 느슨하게 연결될 수 있는 6코스/12현 포르투갈 기타와 5코스/9현 발드치터가 있다.

19세기와 20세기 라우타


만도첼로는 일반적으로 만돌린보다 옥타브와 5도 낮은 음으로 조율되며, 첼로와 바이올린의 관계와 같이 현은 C2–G2–D3–A3으로 조율된다. 일반적인 스케일 길이는 약 약 66.04cm이다. 일반적인 비올론첼로의 스케일은 약 68.58cm이다.

1889년 로마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주세페 브란졸리가 연주하는 만돌론


만돌론은 베이스 음역대의 만돌린 계열 악기로 바로크 시대에 사용되었으나 만도첼로에 의해 그 자리를 넘겨주었다. 나폴리 만돌린 계열에 속한다.

그리스의 ''라우토'' 또는 ''라구토''(긴 목의 루트)는 만도첼로와 유사하며, 일반적으로 C3/C2–G3/G2–D3/D3–A3/A3로 조율되며, 아래 두 코스의 각 쌍 중 절반은 더 가는 게이지의 현으로 한 옥타브 높게 조율된다. 본체는 조각된 볼이며, 대부분의 우드와 루트처럼 평평한 면에 붙어 있는 브리지가 없고, 기계식 조율기, 스틸 현, 그리고 묶인 양줄 프렛이 있다. 크레타 섬에서 연주되는 현대 라우토는 낮은 C보다 한 옥타브 위인 C3로 전체 아래 코스가 조율되는 리엔트런트 옥타브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스케일 길이는 약 약 71.12cm이다.

알제리의 ''만돌린''은 1930년대 초 이탈리아 악기 제작자가 만돌라에서 크기를 키워 약 25~27인치의 스케일 길이에 이르도록 개발했다.[13] 평평한 뒷판 악기이며, 넓은 목과 4코스(8현), 5코스(10현) 또는 6코스(12현)을 가지고 있으며, 알제리와 모로코에서 사용된다. 이 악기는 연주할 음악과 연주자의 선호도에 따라 기타,

1922년 기브슨 만도베이스 광고


만도베이스는 만돌린의 베이스 버전으로, 더블베이스가 바이올린의 베이스인 것과 같다. 더블베이스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4개의 단일 현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만돌린 계열 악기와 같이 5도 음정이 아닌 4도 음정으로 조율되는 경우가 많다: E1–A1–D2–G2 — 베이스 기타와 같은 조율이다. 이 악기는 20세기 초 기브슨(Gibson)사에서 제작되었으나, 흔하지 않았다. 좀 더 작은 크기의 4현 만도베이스는 보통 5도 음정으로 조율된다: G1–D2–A2–E3 (만돌린보다 두 옥타브 낮음). 큰 악기만큼 공명하지는 않지만, 취급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뛰어나 연주자들이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17] 그러나 대부분의 만돌린 오케스트라에서는 전문적인 만돌린 계열 악기보다 일반적인 더블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고 한다. 기브슨보다 앞서 활동한 칼라체(Calace)와 다른 이탈리아 제작자들도 만도베이스를 제작했다.

비교적 드문 8현 만도베이스 또는 "트레몰로 베이스"도 존재하며, 나머지 만돌린 계열 악기와 마찬가지로 이중현을 가지고 있으며, 만돌린보다 두 옥타브 낮은 G1–D2–A2–E3 또는 만돌라보다 두 옥타브 낮은 C1–G1–D2–A2로 조율된다.[18][19]

3. 3. 그 외

1926 패러마운트 스타일 A 밴조 만돌린


미국산 변형 악기로는 만돌리네토(mandolinetto)나 하우-오름(Howe-Orme) 기타 모양 만돌린(1897년부터 1920년경까지 엘리아스 하우 회사(Elias Howe Company)에서 제작)이 있다. 하우-오름 만돌린은 지판 끝에서 테일피스까지 상판에 원통형 볼록 부분이 특징이다. 또한 베가 만도-류트(Vega mando-lute)(일반적으로 실린더형 뒷판 만돌린이라고 불리며, 1913년부터 1927년경까지 베가 회사(Vega Company)에서 제작)은 비슷한 세로 방향의 볼록 부분이 있지만, 악기의 앞면이 아닌 뒷면에 있다.

만돌린의 목과 밴조(banjo) 스타일의 바디를 결합한 악기는 1882년 브루클린의 벤자민 브래드버리(Benjamin Bradbury)가 특허를 받았으며, 1885년 존 패리스(John Farris)가 "banjoli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54] 오늘날 "banjolin"은 때때로 네 개의 현을 가진 악기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두 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네 개의 코스를 가진 버전은 "만돌린-밴조"라고 불린다.

리조네이터 맨돌린 또는 "레조포닉 맨돌린"은 일반적인 목재 몸통(맨돌린 상판) 대신 하나 이상의 금속 콘(리조네이터)으로 소리가 생성되는 맨돌린이다. 과거 유명 브랜드로는 도브로와 내셔널(National)이 있다.

거의 모든 현대의 현악기와 마찬가지로, 현대적인 변형 악기로 일렉트릭 맨돌린이 있다. 이 맨돌린은 4줄 또는 5줄의 개별 또는 이중 코스 현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1930년대 초에 일렉트릭 기타의 개발과 동시대에 개발되었다. 솔리드 바디와 일렉트로 어쿠스틱 형태로 나온다.

특정 악기들은 맨돌린의 pluck된 음표의 빠른 감쇠를 극복하도록 설계되었다.[55] 펜더(Fender)는 1992년에 추가 현(E현 위의 높은 A현), 트레몰로 브릿지, 추가 험버커 픽업(총 2개)을 장착한 모델을 출시했다.[10] 그 결과, 헤비메탈 스타일의 기타 리프 또는 지속적인 음표로 바이올린과 같은 음절을 연주할 수 있으며, 일렉트릭 기타처럼 조정할 수 있는 악기가 탄생했다.[10]

만돌린에는 무화과를 세로로 자른 모양과 같은 볼륨 있는 몸통의 나폴리형과 평평한 몸통의 포르투갈형, 반조의 절반 크기인 반조형 등이 있다. 또한, 남미에는 10현(페루), 12현(볼리비아) 등의 만돌린도 존재한다.

나폴리형 만돌린은 튜닝페그(糸巻軸)의 금속 막대가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의 만돌린을 가리키며, 로마형 만돌린은 기타와 같은 방식의 튜닝페그를 가진 것을 가리킨다.

이탈리아 기원으로 루트에서 파생된 것을 “만돌린”, 스페인·포르투갈 기원으로 기타(비올라(ヴィエラ))에서 파생된 플랫형의 것을 (남미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반돌린(バンドリン)”이라고 부르지만, 연주법은 같고 소리도 매우 비슷하다.

만돌린 계열의 현악기로는 그 밖에 만돌라, 만돌론첼로, 만돌로네 등이 있다.

  • 플랫 맨돌린 - 미국에서 유래한 현악기. 블루그래스나 컨트리 음악에서 사용된다.
  • 일렉트릭 맨돌린 - 록이나 팝 음악에서 사용되는 현악기. 펜더사, 리켄배커사 등 일렉트릭 기타 제조사가 제작한다.
  • 반돌린 -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유래한 현악기. 쇼로 등에서 사용된다. 남미에서는 "맨돌린"이라고 불린다.

4. 구조

만돌린은 공명체 역할을 하는 몸통과 목으로 구성된다. 나폴리 만돌린과 같은 전통적인 이탈리아 만돌린은 둥근 류트와 비슷한 형태를 띠고, 얇고 좁은 나무 조각들을 이어 붙여 만든 반구형의 뒤판이 앞판에 연결되어 있다.[5] 줄받침은 매우 낮으며 현과의 접촉면은 평평하다. 지판에는 금속 프렛이 17개에서 27개까지 있다. 줄감개집은 류트만큼 뒤로 젖혀져 있지 않지만 줄감개는 기계 나사로 되어 있다. 현은 8줄의 복현으로 4코스이다.

교육용 맨돌린


맨돌린의 구조
번호명칭설명
1이토마키줄감개
1-(1)이토마키지쿠줄감개 축
1-(2)겐케츠줄 구멍
1-(3)츠마미손잡이
2사오
2-(4)헤드헤드
2-(5)지쿠아나축 구멍
2-(6)츠리아나걸이 구멍
2-(7)
3유비이타지판
3-(8)우에고마너트
3-(9)우에고마이토미치너트 홈
3-(10)프렛프렛
3-(11)포지션 마크포지션 마크
3-(12)니기부넥 상단부(손잡이 부분)
4히비키이타울림판
4-(13)오토구치사운드홀
4-(14)구치카자리사운드홀 장식
4-(15)기코우반가드
4-(16)후치카자리테두리 장식
5도우몸통
6고마브리지
6-(17)마쿠라브리지 받침대
6-(18)이토미치브리지 홈
7
8소데이타측판
9오토메스트랩 버튼
10엔드핀(エンドピン)엔드핀
11신도우겐쵸우진동현 전체 길이


4. 1. 몸통 (Body)

만돌린의 몸통은 공명체 역할을 하며, 크게 볼(bowl) 모양과 상자 모양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전통적인 이탈리아 만돌린은 둥근 류트와 비슷한 형태를 띠고, 얇고 좁은 나무 조각들을 이어 붙여 만든 반구형의 뒤판이 앞판에 연결되어 있다.[5] 이 굽은 정도는 류트보다 더 급하다. 줄받침은 매우 낮고 현과 닿는 면은 평평하다.

볼백 맨돌린의 해부도


상자 모양의 몸통에는 아치탑 만돌린과 플랫백 만돌린이 있다.[6] 현은 목 상단의 기계식 조율 장치와 악기 끝의 테일피스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현은 목과 소리판 위를 지나 떠 있는 브리지에 의해 지탱된다.[7] 브리지는 현의 압력으로 소리판과 맞닿아 진동을 일으켜 소리를 낸다.[11]

목은 평평하거나 약간 굽어있으며, 금속 프렛이 있는 지판으로 덮여 있다.[8][9][10] 지판에는 17개에서 27개의 프렛이 있다. 줄감개집은 류트만큼 뒤로 젖혀져 있지 않지만, 줄감개는 기계 나사로 되어있다. 현은 8줄의 복현으로 4코스이다.

다른 발현악기처럼 만돌린의 음은 바이올린처럼 지속되지 않고 빠르게 사라진다. 이 때문에 트레몰로 주법(한 쌍 이상의 현을 빠르게 튕기는 것)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음이나 코드를 만든다. 만돌린의 짝을 이룬 현은 이 주법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플렉트럼(피크)으로 한 쌍의 현을 번갈아 튕기면 단일 현보다 풍부하고 지속적인 소리를 낼 수 있다.

만돌린의 음량을 키우기 위해 다양한 변형과 증폭 기술이 사용되었다. 더 큰 반조 몸통을 가진 맨돌린-반조, 금속 공명기를 추가한 레조네이터 맨돌린(도브로와 내셔널 스트링 악기 회사가 대표적), 앰프를 통해 증폭하는 일렉트릭 맨돌린 등이 있다.

4. 2. 목 (Neck)

만돌린의 목은 평평하거나 약간의 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프렛이 있는 지판으로 덮여 있다.[8][9][10] 지판에는 금속 프렛이 17개에서 27개까지 있다. 현은 목의 상단에 있는 기계식 조율장치와 현의 다른 쪽 끝을 고정하는 테일피스 사이에 놓여 있다.

번호일본어한국어
7ネック(Neck)
10フレット(Fret)프렛
12握部(니기부)넥 상단부(손잡이 부분)


4. 3. 줄감개집 (Headstock)

줄감개집은 류트만큼 뒤로 젖혀져 있지 않지만 줄감개는 기계나사로 되어 있다.[5] 현은 목의 상단에 있는 기계식 조율장치와 현의 다른 쪽 끝을 고정하는 테일피스 사이에 놓여 있다.

번호일본어 표기한국어 번역
1糸巻(이토마키)줄감개
(1)糸巻軸(이토마키지쿠)줄감개 축
(2)弦穴(겐케츠)줄 구멍
(3)つまみ(츠마미)손잡이
4さお(사오)
(4)ヘッド(Head)헤드
(5)軸穴(지쿠아나)축 구멍
(6)つり穴(츠리아나)걸이 구멍


4. 4. 현 (String)

만돌린의 현은 목의 상단에 있는 기계식 조율 장치와 현의 다른 쪽 끝을 고정하는 테일피스 사이에 놓여 있다.[7] 현은 목과 소리판 위에 걸쳐져 있고 떠 있는 브리지 위를 지난다.[7] 브리지는 현의 아래쪽 압력에 의해 소리판과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목은 평평하거나 약간의 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프렛이 있는 지판으로 덮여 있다.[8][9][10]

전통적인 이탈리아 만돌린은 8개의 줄이 복현으로 4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4. 5. 기타

맨돌린은 공명체 역할을 하는 몸통과 목으로 구성된다. 공명 몸통은 볼(항아리) 모양(목이 달린 항아리형 루트)이거나 상자 모양(목이 달린 상자형 루트)일 수 있다. 나폴리 맨돌린과 같은 전통적인 이탈리아 맨돌린은 목이 달린 항아리형에 해당한다.[5] 목이 달린 상자형 악기에는 아치탑 맨돌린과 플랫백 맨돌린이 포함된다.[6]

현은 목의 상단에 있는 기계식 조율장치와 현의 다른 쪽 끝을 고정하는 테일피스 사이에 놓여 있다. 현은 목과 소리판 위에 걸쳐져 있고 떠 있는 브리지 위를 지난다.[7] 브리지는 현의 아래쪽 압력에 의해 소리판과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목은 평평하거나 약간의 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프렛이 있는 지판으로 덮여 있다.[8][9][10] 브리지에 가해지는 현의 작용으로 소리판이 진동하여 소리가 발생한다.[11]

다른 플럭킹 악기와 마찬가지로 맨돌린 음은 바이올린의 활로 연주하는 음처럼 지속적으로 울리는 것이 아니라 사라지며, 기타와 같은 더 큰 현악기보다 더 빨리 사라진다. 이 때문에 지속적인 음이나 코드를 만들기 위해 트레몰로(한 쌍 이상의 현을 빠르게 튕기는 것)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맨돌린의 짝을 이룬 현은 이 기법을 용이하게 한다. 플렉트럼(피크)은 한 쌍의 현을 번갈아 가며 타격하여 단일 현보다 더 풍부하고 지속적인 소리를 낸다.

맨돌린의 볼륨을 더 큰 악기나 오케스트라와 비슷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 변형과 증폭 기술이 사용되었다. 여기에는 더 큰 반조의 드럼 같은 바디를 가진 맨돌린-반조 하이브리드 제작, 금속 공명기를 추가하여 레조네이터 맨돌린을 만드는 것(도브로와 내셔널 스트링 악기 회사가 가장 주목할 만함), 그리고 앰프를 통해 일렉트릭 맨돌린을 증폭하는 것이 포함된다.

맨돌린의 구조
번호명칭설명
1이토마키줄감개
1-(1)이토마키지쿠줄감개 축
1-(2)겐케츠줄 구멍
1-(3)츠마미손잡이
2사오
2-(4)헤드헤드
2-(5)지쿠아나축 구멍
2-(6)츠리아나걸이 구멍
2-(7)
3유비이타지판
3-(8)우에고마너트
3-(9)우에고마이토미치너트 홈
3-(10)프렛프렛
3-(11)포지션 마크포지션 마크
3-(12)니기부넥 상단부(손잡이 부분)
4히비키이타울림판
4-(13)오토구치사운드홀
4-(14)구치카자리사운드홀 장식
4-(15)기코우반가드
4-(16)후치카자리테두리 장식
5도우몸통
6고마
6-(17)마쿠라브리지 받침대
6-(18)이토미치브리지 홈
7
8소데이타측판
9오토메스트랩 버튼
10엔드핀(エンドピン)엔드핀
11신도우겐쵸우진동현 전체 길이


5. 주법

만돌린 연주자는 의자에 앉아 오른발을 왼발 위에 올리고 그 위에 악기를 놓는다. 오른손 엄지와 검지에 뿔로 된 픽(pick)을 쥐고 연주한다. 내려퉁김(강)과 올려퉁김(약, ∨) 방식으로 연주하며, 내려퉁김에서는 목현의 한쪽만 울릴 수도 있다. 상하를 빠르게 반복하면 만돌린 특유의 트레몰로를 얻을 수 있다. 만돌린은 표현력이 한정되어 있어 고도의 표현력이 요구되는 곡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연주 기술이 쉬워 가정용 악기로 널리 애용된다.

6. 서양 고전 음악에서의 쓰임

비발디는 만돌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몇몇 협주곡을 작곡했다. 대표적으로 4현 만돌린, 콘트라베이스, 통주저음을 위한 C장조 협주곡 (RV 425), 5현 만돌린 두 대, 베이스 현악기, 통주저음을 위한 G장조 협주곡 (RV 532), 그리고 두 대의 만돌린, 두 대의 바이올린 ("트럼펫" 스타일), 두 대의 리코더, 두 대의 살모에, 두 대의 테오르보, 첼로, 현악기와 통주저음을 위한 C장조 협주곡 (p. 16)이 있다.

베토벤은 만돌린 음악[60]을 작곡했고 만돌린 연주를 즐겼다.[61] 1796년에 작곡된 그의 소품으로는 소나티네 WoO 43a, 아다지오 마 논 트로포 WoO 43b, 소나티네 WoO 44a, 안단테 콘 바리아치오니 WoO 44b가 있다.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Don Giovanni)''(1787)에는 아리아 "Deh vieni alla finestra"의 반주에 만돌린 파트가 사용되었다. 베르디의 오페라 오텔로(Otello)의 아리아 "Dove guardi splendono raggi"에는 구즐라 반주가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만돌린으로 연주된다.[62]

말러는 교향곡 7번, 교향곡 8번, 대지의 노래(Das Lied von der Erde)에서 만돌린을 사용했다.

쇤베르크 (변주곡 작품 31), 스트라빈스키 (아곤), 프로코피예프 (로미오와 줄리엣), 베베른 (작품 10)의 작품에도 만돌린 파트가 포함되어 있다.

20세기 주요 유럽 만돌린 작곡가로는 라파엘레 칼라체(Raffaele Calace, 작곡가, 연주자, 악기 제작자)와 주세페 아네다(Giuseppe Anedda) (비르투오소 콘서트 피아니스트, 1975년 이탈리아 파두아 만돌린 음악원 초대 교수)가 있다. 현대 이탈리아 클래식 및 클래식-컨템포러리 음악의 대표자로는 우고 오를란디(Ugo Orlandi), 카를로 아온조(Carlo Aonzo), 도리나 프라티(Dorina Frati), 마우로 스퀼란테(Mauro Squillante), 두일리오 갈페티(Duilio Galfetti)가 있다.

타케이 모리시게(Morishige Takei)와 쿠와하라 야스오(Yasuo Kuwahara) 등 일본 작곡가들도 20세기에 만돌린을 위한 관현악 음악을 작곡했지만, 일본 외 지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63]

다음은 만돌린이 제한적으로 사용된 관현악곡 목록이다.

작곡가작품명
도메니코 치마로사오페라 라 핀타 파리지나 (La finta parigina)
존 크레이턴오페라 몬테 블로토 백작의 이상한 사건 (The Curious Affair of the Count of Monte Blotto)
미셸 코레트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25 코믹 협주곡C장조 24번 협주곡 "휴런의 행진곡" (Concerto nr 24 in C major "La Marche du Huron" )
루카스 포스교향곡 제2번 "합창 교향곡" (Symphony No. 2 "Symphony Of Chorales" (1958) )
앙드레 그레트리질투하는 연인 ('LAmant jaloux'') (파리, 1778)[68]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오라토리오 알렉산더 발루스 (Alexander Balus)
죄르지 리게티오페라 대학살 (Le Grand Macabre), 마카브르의 신비(Mystéry of the Macabre)
브루노 마데르나오페라 돈 펠림플린, 혹은 사랑과 상상의 승리 ('Don Perlimplin, ovvero il trionfo dellamore e dellmmaginazione)
구스타프 말러* 교향곡 제7번, 밤의 노래 (Symphony No. 7, Song of the Night)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오페라 돈 조반니[68]
조반니 파이지엘로세빌리아의 이발사[68]
빌렘 피이퍼* 오페라 할레바인 (Halewijn)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발레 음악 로미오와 줄리엣
오토리노 레스피기교향시 로마의 축제
안토니오 살리에리타라레 (Tarare) (파리, 1787)[68]
로디온 셰드린발레 음악 안나 카레니나
아놀드 쇤베르크* 오페라 모세와 아론
니콜라 스피넬리오페라 아 바쏘 포르토: 만돌린과 관현악을 위한 간주곡 (Intermezzo for mandolins and orchestra)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발레 음악 아곤
주세페 베르디오페라 오텔로
안토니오 비발디오라토리오 유디타 트리움판스
안톤 베베른관현악을 위한 다섯 개의 소품 (Five Pieces for Orchestra)
베른트 알로이스 짐머만뷔왕의 만찬을 위한 음악(Musique pour le souper du roi Ubu)


7. 만돌린을 위한 주요 작품

소위 "클래식 음악"에서 만돌린의 전통은 만돌린이 널리 "민속" 악기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다소 들쭉날쭉했다. 중요한 작곡가들이 만돌린을 위해 특별히 음악을 작곡하기는 했지만, 널리 알려진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된 큰 작품은 바이올린을 위해 작곡된 작품과 비교하면 상당히 적다. 그 결과 정규 오케스트라에서 만돌린 연주자의 자리가 거의 없었다. 이러한 문헌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돌린 오케스트라들은 전통적으로 일반 오케스트라나 다른 합주단을 위해 작곡된 음악의 편곡을 많이 연주해왔다. 일부 연주자들은 새로운 작품을 의뢰하기 위해 현대 작곡가들을 찾았다.

18세기 이후로 만돌린을 위해 작곡된 작품 중 많은 작품이 분실되거나 잊혀졌다. 이 중 일부는 박물관과 도서관 및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만돌린과 만돌린이 포함된 합주를 위한 18세기 음악의 재발견된 예로는 1762년 상반기에 장 르페뷔르(Jean Lefebure)가 수집한 "지모 컬렉션(Gimo collection)"이 있다.[59] 르페뷔르는 이탈리아에서 이 음악을 수집했고, 악보가 재발견될 때까지 잊혀졌다.[59]

20세기 유럽의 주요 만돌린 작곡가로는 라파엘레 칼라체, 주세페 아네다가 있다. 오늘날 이탈리아 클래식 음악과 이탈리아 클래식-컨템포러리 음악의 대표자로는 우고 오를란디, 카를로 아온조, 도리나 프라티, 마우로 스퀼란테, 두일리오 갈페티가 있다.

일본 작곡가들도 20세기에 만돌린을 위한 관현악 음악을 제작했지만, 일본 외부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주목할 만한 작곡가로는 타케이 모리시게, 쿠와하라 야스오가 있다.[63]

전통적인 만돌린 오케스트라들은 특히 일본과 독일에서 인기가 많지만, 미국, 유럽 및 세계 다른 지역에도 존재한다. 그들은 만돌린 계열 악기를 위해 작곡된 작품이나 전통적인 작품의 재편곡을 연주한다. 현대 전통 만돌린 오케스트라의 구조는 1, 2부 만돌린, 만돌라 (옥타브 만돌라, 만돌린보다 한 옥타브 낮게 조율, 또는 테너 만돌라, 비올라처럼 조율), 만돌첼로 (첼로처럼 조율), 베이스 악기 (일반적인 콘트라베이스 또는 드물게 만도베이스)로 구성된다. 두 대의 만돌린, 만돌라, 만돌첼로로 구성된 4중주와 같은 소규모 합주단도 찾아볼 수 있다.


  • 무반주 독주곡
  • 반주 포함 독주곡
  • 이중주곡
  • 협주곡

7. 1. 무반주 독주곡

다음은 만돌린 무반주 독주곡 목록이다.

  • 니콜로 파가니니
  • 미뉴에트(Minuet)
  • 존 피터슨 (John Peterson (composer))
  • 가을 빛을 빠르게 지나가며 (Moving Fast Through Autumn Light) (2000)
  • 래리 시츠키
  • 시바의 세 이름 (The Three Names Of Shiva) (1992)
  • Silvio Ranieri|실비오 라니에리영어
  • 하이든 주제에 의한 변주곡(Variations on a Theme by Haydn)
  • 여름의 노래(Song of summer)
  • 에릭 그로스 (Eric Gross)
  • 카덴차 1번(Cadenza No.1)
  • 카덴차 2번(Cadenza No.2)
  • 카덴차 3번(Cadenza No.3)
  • 카덴차 4번(Cadenza No.4)
  • 카덴차 5번(Cadenza No.5)
  • 카덴차 6번(Cadenza No.6)
  • 카덴차 7번(Cadenza No.7)
  • 카덴차 8번(Cadenza No.8)
  • 카덴차 10번(Cadenza No.10)
  • 카덴차 11번(Cadenza No.11)
  • 라파엘레 칼라체
  • 프렐류드 1번(Prelude No. 1)
  • 프렐류드 2번(Prelude No. 2)
  • 프렐류드 3번(Prelude No. 3)
  • 프렐류드 5번(Prelude No. 5)
  • 프렐류드 10번(Prelude No. 10)
  • 프렐류드 11번(Prelude No. 11)
  • 프렐류드 14번(Prelude No. 14)
  • 프렐류드 15번(Prelude No. 15)
  • 대 프렐류드(Large prelude)
  • 콜라드(Collard)
  • 실비아(Sylvia)
  • 장미의 미뉴에트(Minuet of rose)
  • 하인리히 코니에츠니 (Heinrich Koniettsuni)
  • 파르티타 1번 등(Partita No. 1, etc.)
  • 허버트 바우만
  • 소나티네 등(Sonatine, etc.)
  • 지그프리트 베렌드
  • 감각 - 구조(Sense – structure)
  • 존 크레이턴
  • 회색 늑대(The Gray Wolf)
  • 페르페투움 모빌레(Perpetuum Mobile)
  • 데어 플뤼텐 루스트호프 변주곡(Variations from Der Fluyten Lust-hof)
  • 하기와라 사쿠타로 (Sakutarō Hagiwara)
  • 깃발 내리는 처녀(Hataoriru maiden)
  • 다케이 슈세이 (Takei Shusei)
  • 떠날 봄(Spring to go)
  • 스즈키 세이이치 (Seiichi Suzuki)
  • 슈베르트 자장가 변주곡(Variations on Schubert lullaby)
  • 엘름의 도시(City of Elm)
  • 고조노츠키 주제에 의한 변주곡(Variations on Kojonotsuki of subject matter)
  • 길라드 호흐만
  • 솔로 만돌린을 위한 두 개의 에피소드(Two Episodes for solo mandolin)
  • 나카노 지로
  • "봄이 왔다" 변주곡("Spring has come" Variations)
  • 기도(Prayer)
  • 판타지아 2번(Fantasia second No.)
  • 세레나데(Serenata)
  • 아름다운 나의 아이와 어디에(Beautiful my child and where)
  • 저녁의 기도(Prayer of the evening)
  • 9월의 사건 주제에 의한 변주곡(Variations on September Affair of the subject matter)
  • 마키노 유카리타카 (Makino YukariTaka)
  • 봄 눈의 발라드(Spring snow of ballads)
  • 콘도 조
  • 이른 봄에(In early spring)
  • 쿠보타 타카시 (Takashi Kubota)
  • 녹턴(Nocturne)
  • 에튀드(Etude)
  • 판타지아 1번(Fantasia first No.)
  • 쿠와하라 야스오
  • 달과 산의 마녀(Moon and mountain witch)
  • 즉흥곡(Impromptu)
  • 겨울빛(Winter Light)
  • 무큐 운동(Mukyu motion)
  • 존가라(Jon-gara)
  • 조용한 문(Silent door)

7. 2. 반주 포함 독주곡



작곡가작품
루트비히 판 베토벤
존 크레이튼
조반니 호프만
요한 네포무크 훔멜C 장조 소나타 Op. 35
비토리오 몬티차르다시
칼로 무니에
라파엘레 칼라체
실비오 라니에리Warsaw of memories
엔리코 마르첼리
한스 갈
노르베르트 슈푸룬구루만돌린과 기타를 위한 세레나데
프랑코 마루고라만돌린과 기타를 위한 그랜드 소나타
쿠르트 슈바엔슬로베니아 바람 춤곡 등
디트리히 에르트만소나티네
다카노 마리침묵의 빛
테라시마 리쿠야만돌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2002)[64]


7. 3. 이중주곡

이중주 또는 두오(Duet, Duo)는 두 명의 연주자가 동등한 중요성을 지닌 음악 작품이다. 두 명 이상의 독주 악기 또는 성악으로 구성된 실내악단은 트리오, 쿼텟, 퀸텟, 섹스텟, 셉텟, 옥텟 등으로 불린다.

작곡가작품
엘라 본 아다예프스카-슐츠 (1846–1926)베네수엘라 세레나데[65]
발렌타인 아브트 (1873–1942)베네치아의 물에서[65]
찰스 액턴곤돌리에의 노래[65]
헤르만 암브로시우스이중주
에마누엘레 바르벨라만돌린과 통주저음을 위한 D장조 소나타[65]
이냐시오 비텔리(Ignazio Bitelli) (c. 1880–1956)• 크리스마스 트리, 만돌린과 기타를 위한 목가[65]
코스탄티노 베르투치(Costantino Bertucci)베네치아의 카니발 변주곡[65]
피에트로 가에타노 보니 (1686–1741)• 라장조 만돌린 소나타, 작품 2, 1번[65]
안토니오 델 부오노(Antonio Del Buono)"곤돌라에서" 베네치아 세레나데 "베네치아의 만돌리니스트에게"[65]
라파엘레 칼라체• 바카롤라 작품 100 기타곡[65]
조아키노 코키2대의 만돌린과 통주저음을 위한 심포니 (Gimo 76)[66]
쥘 코탱물 위에서[65]
존 크레이튼• 카론이 스틱스 강을 건너다 (만돌린 & 더블베이스)
한스 갈작품 59a 2대의 만돌린을 위한 소나티나 (1952)
에릭 그로스(Eric Gross)• 후퍼리즘 작품 181 (1991)
조반니 바티스타 제르바시오• 만돌린과 통주저음을 위한 소나타 (Gimo 141)[66][67]
주세페 줄리아노(Giuseppe Giuliano)만돌린과 통주저음을 위한 D장조 소나타
제프리 고든(Geoffrey Gordon)안뜰의 내부 (만돌린 & 기타)
아디에고 게라(Addiego Guerra)만돌린과 통주저음을 위한 G장조 소나타
포지티브 하토리(Positive Hattori)2대의 만돌린과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션 히키만돌린 캐논 (만돌린 & 기타)
조반니 호프만• 만돌린과 바이올린을 위한 3개의 이중주
타일러 카이어(Tyler Kaier)작은 인어공주 (만돌린 & 기타)
페터 마하이디크매의 눈으로 만돌린과 기타를 위한 (2016)
조반니 바티스타 말두라(Giovanni Battista Maldura)멘델스존의 베네치아 바카롤라[65]
에드워드 메자카포 (1832–1898)곤돌리에의 노래[65]
하인리히 몰베 (1835–1915)곤돌라타 작품 74 만돌린, 클라리넷과 피아노곡[65]
카를로 무니에 (1859–1911)• "곤돌라에서" 멘델스존의 추억[65]
나카노 지로메다카, 회전하는 등불
존 피터슨와이어드 라이프 (1999)
주세페 페티네 (1874–1966)만돌린을 위한 바카롤라[65]
사이토 히데오, 나카노 지로두 에지 마르티노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D단조 소나타 (K77)
타카노 마리• 만돌린과 하프시코드를 위한 침묵의 빛 (2001)
세르게이 타네예프 (1856–1913)• 밤의 베네치아, 바카롤라 작품 9, 1번[65]
로베르토 발렌티니(Roberto Valentini) (1674–1747)• 라장조 만돌린 소나타, 작품 12, 1번


7. 4. 협주곡

안토니오 비발디는 만돌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몇몇 협주곡을 작곡했다.[59] 4현 만돌린, 콘트라베이스 & 통주저음을 위한 C장조 협주곡 (RV 425), 5현 만돌린 두 대, 베이스 현악기 & 통주저음을 위한 G장조 협주곡 (RV 532), 그리고 두 대의 만돌린, 두 대의 바이올린 "트럼펫" 스타일, 두 대의 리코더, 두 대의 살모에, 두 대의 테오르보, 첼로, 현악기와 통주저음을 위한 C장조 협주곡 (p. 16)을 작곡했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만돌린 음악[60]을 작곡했고 만돌린 연주를 즐겼다.[61] 1796년에 작곡된 그의 4개의 소품은 소나티네 WoO 43a, 아다지오 마 논 트로포 WoO 43b, 소나티네 WoO 44a 그리고 안단테 콘 바리아치오니 WoO 44b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1787)에는 유명한 아리아 "Deh vieni alla finestra"의 반주를 포함한 만돌린 파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오텔로에서는 아리아 "Dove guardi splendono raggi"에 구슬레 반주가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만돌린으로 연주된다.[62]

구스타프 말러는 그의 교향곡 7번, 교향곡 8번대지의 노래에서 만돌린을 사용했다.

만돌린 파트는 아르놀트 쇤베르크 (변주곡 작품 31),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곤),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로미오와 줄리엣) 및 안톤 베베른 (작품 10)의 작품에 포함되어 있다.

20세기 가장 중요한 유럽 만돌린 작곡가들 중에는 라파엘레 칼라체(Raffaele Calace) (작곡가, 연주자 및 악기 제작자)와 주세페 아네다 (비르투오소 콘서트 피아니스트이자 1975년 이탈리아 파두아 만돌린 음악원의 초대 교수)가 있다. 오늘날 이탈리아 클래식 음악과 이탈리아 클래식-컨템포러리 음악의 대표자로는 우고 오를란디, 카를로 아온조(Carlo Aonzo), 도리나 프라티, 마우로 스퀼란테 및 두일리오 갈페티(Duilio Galfetti)가 있다.

일본 작곡가들도 20세기에 만돌린을 위한 관현악 음악을 제작했지만, 이들은 일본 외부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주목할 만한 작곡가로는 타케이 모리시게와 쿠와하라 야스오가 있다.[63]

만돌린 협주곡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작품명
애나 클라인 (Anna Clyne)만돌린과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세 자매 (Three Sisters)
에릭 그로스 (Eric Gross)만돌린과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작품번호 141 (1984), 협주곡 제2번 작품번호 151 (1986)
래리 시츠키 (Larry Sitsky)조하르, 세파르딕 협주곡 (1998)
제인 스탠리 (Jane Stanley)만돌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정령의 노래 협주곡 (The Spirit's Lay Concerto) (2000)
캐롤라인 셰토 (Caroline Szeto)만돌린과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1998)
조반니 호프만 (Giovanni Hoffmann)D장조 만돌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안토니오 비발디 (Antonio Vivaldi)C장조 만돌린 협주곡, G장조 만돌린 2중주 협주곡, C장조 두 대의 만돌린, 두 대의 바이올린, 두 대의 플루트, 두 대의 살모에, 두 대의 테오르보, 첼로, 현악기와 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
프란시스코 로드리고 아르토 (Francisco Rodrigo Arto)만돌린 협주곡 (1984)
도미니코 카우디오소 (Dominico Caudioso)G장조 만돌린 협주곡
존 크레이튼 (John Craton)D단조 만돌린 협주곡 제1번, D장조 만돌린 협주곡 제2번, E단조 만돌린 협주곡 제3번, G장조 만돌린 협주곡 제4번, 만돌린 2중주 협주곡 ("Rromane Bjavela")
헤라르도 엔리케 디리에 (Gerardo Enrique Dirié)네 대의 리코더, 만돌린과 타악기를 위한 여덟 개의 다리 (Los ocho puentes) (1984)
요한 아돌프 하세 (Johann Adolph Hasse)G장조 만돌린 협주곡
레오폴트 코젤루흐 (Leopold Kozeluch)E♭장조 피아노, 만돌린, 트럼펫,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협주곡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지 (Giovanni Battista Pergolesi)B♭장조 만돌린 협주곡
조반니 파이지엘로 (Giovanni Paisiello)E♭장조 만돌린 협주곡, C장조 만돌린 협주곡, G장조 만돌린 협주곡
요한 네포무크 후멜 (Johann Nepomuk Hummel)G장조 만돌린 협주곡
아르민 카우프만 (Armin Kaufmann)만돌린 협주곡
디트리히 에르드만 (Dietrich Erdmann)만돌린 협주곡
허버트 바우만 (Herbert Baumann)만돌린과 현악기를 위한 협주곡
브라이언 이스라엘 (Brian Israel)만돌린을 위한 협주곡 (1985), 소나티네타 (1984), 초현실주의 세레나데 (1985)
마키노 유카리타카 (Makino YukariTaka)만돌린 협주곡
줄리안 도스 (Julian Dawes)만돌린과 현악기를 위한 협주곡
다나카 켄 (Tanaka Ken)만돌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아크" (Arc)
블라디미르 코로루츠쿠 (Vladimir Kororutsuku)모음곡 "긍정과 부정" (Suite "positive and negative")
아브너 도어만 (Avner Dorman)만돌린 협주곡
길라드 호흐만 (Gilad Hochman)만돌린과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판타지아 콘체르탄테 "네두딤" ("방랑") (Nedudim) ("Wanderings") (2014)


참조

[1] 웹사이트 Mandolins: A Brief History http://www.mandolinl[...] 2010-10-31
[2] 서적 Musical Instruments: A Comprehensive Dictionary 1975
[3]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econd Edition 2001
[4] 논문 2003
[5] 웹사이트 Mandolin – Neapolitan http://omeka1.grinne[...] 2015-09-05
[6] 웹사이트 Mandolin – flat-back http://omeka1.grinne[...] 2015-09-05
[7] 웹사이트 OM floating bridge? http://www.mandolinc[...] 2012-04-20
[8] 논문 2008
[9] 백과사전 Mandoline
[10] 웹사이트 Radiused vs. flat fingerboard on mandolin? http://www.mandolinc[...] 2015-03-28
[11] 서적 The Luthier's Handbook Hal Leonard Corporation 2002
[12] 서적 Dictionary of the English/Creole of Trinidad & Tobago: On Historical Principles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13-05-05
[13] 웹사이트 Mr Abdelkader Bendamèche répond à l'APS au sujet du mandole (Translation: Mr Abdelkader Bendamèche responds to the APS about the mandola) https://web.archive.[...] 2017-07-25
[14] 서적 The Musician's Workbook VI, Fretted Instrument Octave Designation Diagram & Charts https://www.stringsb[...]
[15] 웹사이트 Arab tuning https://web.archive.[...] 2017-07-29
[16] 웹사이트 Thomann Algerian Mondol 10 Standard https://web.archive.[...] 2017-07-29
[17] 웹사이트 American Mando-Bass History 101 http://www.mandolin.[...] 2019-04-29
[18] 서적 Musical Instruments: A Comprehensive Dictionary W. W. Norton & Company 1975
[19] 간행물 The Mandolin Orchestra in America, Part 3: Other Instruments 1990
[20] 서적 The Science of String Instruments Springer 2001-01-01
[21] 논문 1996
[22] 논문 2003
[23] 논문 1989
[24] 논문 2003
[25] 서적 The Embergher mandolin R. Leenen and B. Pratt 2004
[26] 웹사이트 Mandolin Glossary http://www.mandolinc[...] 2014-12-21
[27] 웹사이트 Who are the top classical builders? http://www.mandolinc[...] 2014-12-21
[28] 웹사이트 The Latest from the Shop http://www.labraid.c[...] 2019-05-17
[29] 웹사이트 Grand Concert https://web.archive.[...]
[30] 웹사이트 Mandolin (neapolitan, Round Back, Bowl Back...) https://web.archive.[...] 2014-12-21
[31] 웹사이트 Japanese Mandolin Makers https://web.archive.[...] 2014-12-21
[32] 웹사이트 Historia et imago Cremae. La vita di Giovanni Vailati, il Paganini del mandolino: dai caffè cremaschi ai teatri d'Europa [translation: Historia et imago Cremae. The life of Giovanni Vailati, the Paganini of the mandolin: from the cremaschi cafés to the theaters of Europe] https://www.cremaonl[...] 2018-06-11
[33] 웹사이트 Milanese Mandolin Makers http://www.mandolinl[...] 2014-12-21
[34] 논문 2003
[35] 논문 1893
[36] 웹사이트 Thread: Plans of Brescian mandolin... http://www.mandolinc[...] 2015-09-05
[37] 서적 Anweisung die Mandoline von selbst zu erlernen nebst einigen Uebungsstucken von Bortolazzi https://books.google[...] Breitkopf and Härtell 1805
[38] harvnb 2003
[39] 서적 Musical Instrument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1997
[40] 웹사이트 Mandolin,19th century Italian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8-04-04
[41] harvnb 2008
[42] harvnb 2008
[43] 웹사이트 Stefan Sobell Guitars » Mandolins and Mandola http://www.sobellgui[...] 2019-04-25
[44] harvnb 2008
[45] 웹사이트 Joseph Brent's Brian N. Dean Grand Concert Mandolin https://web.archive.[...] 2017-05-29
[46] 웹사이트 The Russian Embergher https://archive.org/[...] 2017-05-29
[47] 웹사이트 Re: Avi Avital and the Arik Kerman mandolin https://www.mandolin[...] 2017-05-29
[48] 웹사이트 Joseph Brent's Brian N. Dean Grand Concert Mandolin https://web.archive.[...] 2017-05-29
[49] 뉴스 Artist To Artist: 10 Minutes With Avi Avital. http://www.thebluegr[...] The Bluegrass Special 2011-01
[50] 웹사이트 Thread: Avi Avital and the Arik Kerman mandolin http://www.mandolinc[...] 2015-09-03
[51] 웹사이트 Alon Sariel interview https://web.archive.[...] 2015-09-03
[52] 웹사이트 Instrumentarium https://web.archive.[...] 2018-03-16
[53] 웹사이트 Concert artists: Tom Cohen http://frusion.co.uk[...] 2015-09-03
[54] 웹사이트 The Irish Tenor Banjo by Don Meade http://blarneystar.c[...] 2018-03-16
[55] 웹사이트 Heavy Metal Electric Mandolin, inventions http://maestroalexgr[...] 2015-09-13
[56] 간행물 Mandolin Mania in Buffalo's Italian Community, 1895 to 1918 https://web.archive.[...] 2015-03-30
[57] 뉴스 Remembering Mandolin Hero U. Srinivas https://www.npr.org/[...] 2021-11-07
[58] 뉴스 U. Shrinivas, 45, Indian Mandolin Virtuoso With Global Reach, Dies https://www.nytimes.[...] 2021-11-07
[59] 웹사이트 The Gimo Music Collection https://www.ibiblio.[...] 2016-09-26
[60] 웹사이트 Gamut Musical Strings Home Page http://daniellarson.[...] 2014-12-21
[61] 웹사이트 DawgTab https://web.archive.[...] Mandozine.com 2012-06-10
[62] 서적 Orchestral and Chamber Excerpts by Joseph Brent https://books.google[...] Lulu 2007-12
[63] 웹사이트 Mandolin In Japan https://mixingaband.[...] 2021-11-30
[64] 웹사이트 Work list http://gregorio.jp/t[...] 2018-02-07
[65] 웹사이트 Quintetto A Plettro "Raffaele Calace" Ensemble "Quadro Raro" – Serenata Veneziana With Mandolin https://www.discogs.[...] 2019-04-30
[66] 웹사이트 The Gimo Music Collection https://www.mutopiap[...] 2019-05-18
[67] 음반노트 Gimo-Samling: 18Th Century Sonatas & Trio Sonatas https://www.bol.com/[...] Centaur Records 2019-05-18
[68] 음반노트 Mandolin Music, Beethoven, Hummel https://archive.org/[...] Nonesuch Records 2019-05-24
[69] 문서 日本マンドリン独奏コンクールのあゆみ https://jmu-jp.up.se[...]
[70] 웹사이트 第23回日本マンドリン独奏コンクール終了 http://jmu.jp/artic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