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춘은 1949년 개봉한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일본 영화이다. 홀아비인 소미야 슈키치 교수와 그의 딸 노리코의 일상을 중심으로, 결혼, 전통과 현대의 갈등, 가족, 상실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노리코는 아버지와 함께하는 삶을 선호하여 결혼을 망설이지만, 주변의 권유와 사회적 압력으로 결국 결혼을 결심한다. 영화는 낮은 카메라 앵글, 정적인 카메라, 독특한 편집 방식, 베개 샷 등 오즈 특유의 스타일을 보여주며, 결혼과 가족, 전통과 현대의 충돌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개봉 당시 일본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이후 해외에서도 작품성을 인정받아 역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마쿠라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바닷마을 다이어리 (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 (영화)는 2015년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연출한 일본 영화로, 가마쿠라에 사는 세 자매가 이복 여동생과 함께 살아가며 겪는 일들을 그린 작품이다.
  • 가마쿠라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
    《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은 2006년 대만에서 만난 일본인 아미를 잊지 못하는 지미가 아미의 엽서를 발견하고 그녀를 기리기 위해 일본으로 여행을 떠나 아미의 삶과 사랑을 깨닫는 이야기를 그린 대만-일본 합작 영화이다.
  • 오즈 야스지로 감독 영화 - 동경의 황혼
    동경의 황혼은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1957년 작품으로, 은행에서 일하는 아버지와 두 딸을 중심으로 엇갈린 가족 관계와 비극적인 사건들을 흑백 화면과 절제된 연출로 담아낸 영화이다.
  • 오즈 야스지로 감독 영화 - 고하야가와가의 가을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1961년 영화인 고하야가와가의 가을은 교토의 양조장 가족을 중심으로 재혼, 사랑, 죽음 등 삶의 주제를 따뜻하고 섬세하게 그린 작품이다.
  • 교토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는 교토를 배경으로 고미술품 절도단 연쇄살인 사건과 핫토리 헤이지의 첫사랑 찾기를 다루며, 코난과 헤이지의 추리, 액션, 그리고 헤이지의 검도와 코난의 신이치 변장이 돋보이는 극장판 여섯 번째 작품이다.
  • 교토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라쇼몽 (1950년 영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라쇼몽》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소설을 원작으로 사무라이 살인사건에 대한 엇갈린 증언을 통해 진실의 주관성과 인간의 이기심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며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만춘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원어 제목晩春 (Banshun)
로마자 표기Banshun
영화 정보
감독오즈 야스지로
각본노다 고고
오즈 야스지로
원작히로츠 가즈오의 《아버지와 딸》
제작야마모토 다케시
주연하라 세츠코
쓰키오카 유메지
미야케 구니코
스기무라 하루코
가쓰라기 요코
우사미 준
미시마 마사오
류 치슈
촬영아쓰다 유하루
편집하마무라 요시야스
음악이토 센지
제작사쇼치쿠
배급사쇼치쿠
개봉일1949년 9월 19일 (일본)
상영 시간108분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2. 줄거리

영화는 다도 장면으로 시작된다. 홀아비인 소미야 슈키치 교수(류 치슈 분)는 외동딸인 27세 미혼 노리코(하라 세츠코 분)와 함께 살고 있다. 노리코는 아버지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것을 챙기며 집안일을 돌본다. 도쿄로 쇼핑을 나간 노리코는 아버지의 친구인 오노데라 조 교수(미시마 마사오 분)를 우연히 만난다. 오노데라는 교토에 살고 있으며, 노리코는 그가 아버지처럼 홀아비였다가 최근 재혼했다는 사실을 알고 그에게 재혼이 불쾌하고 "더럽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174] 오노데라와 노리코의 아버지는 이후 노리코의 이러한 생각을 놀린다.

전통 의상을 입은 두 명의 일본인이 앉아 있다: 왼쪽에는 검은 머리의 젊은 여성이 오른쪽을 보고 있고, 오른쪽에는 흰머리의 노인이 여성을 보고 있다. 그들은 요에 앉아 있고 배경에는 쇼지 스크린이 있다.
하라 세츠코가 노리코 역을, 류 치슈가 슈키치 역을 맡은 《만춘》 (제작 스틸)


슈키치의 여동생인 마사 숙모(스기무라 하루코 분)는 오빠에게 노리코를 결혼시킬 때가 되었다고 설득한다. 노리코는 아버지의 조수인 하토리(우사미 준 분)와 친분이 있어, 마사 숙모는 오빠에게 노리코가 하토리에게 관심이 있는지 물어보라고 제안한다. 하지만 쇼키치가 이 주제를 꺼내자 노리코는 웃으며 하토리가 이미 오래전부터 다른 여성과 약혼한 사이라고 말한다.

마사는 노리코에게 도쿄대학을 졸업한 사타케라는 결혼 적령기의 청년을 만나보라고 압박한다. 마사는 사타케가 게리 쿠퍼와 매우 닮았다고 생각한다. 노리코는 결혼하면 아버지가 혼자 남겨질 것이기에 누구와도 결혼할 생각이 없다고 설명한다. 마사는 노리코가 아는 매력적인 젊은 미망인인 미와 부인(미야케 구니코 분)과 쇼키치를 짝지어주려 한다고 말해 노리코를 놀라게 한다.

노리코와 아버지가 참석한 능 공연에서 쇼키치가 미와 부인에게 미소 지으며 인사하는 것을 본 노리코는 질투심을 느낀다. 후에 아버지가 노리코에게 사타케를 만나보라고 설득하면서 미와 부인과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말한다. 충격을 받은 노리코는 마지못해 사타케를 만나기로 하고, 뜻밖에도 그에게 매우 좋은 인상을 받는다. 노리코는 결국 중매결혼에 동의한다.

결혼식 전 소미야 부녀는 마지막 여행으로 교토를 방문한다. 그곳에서 그들은 오노데라 교수와 그의 가족을 만난다. 노리코는 오노데라의 새 아내가 좋은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그의 재혼에 대한 견해를 바꾼다. 짐을 싸는 동안 노리코는 아버지에게 그가 재혼하더라도 지금처럼 함께 살 수는 없는지 묻는다. 그는 아버지를 돌보며 사는 것보다 더 행복할 수 없다고 말한다. 쇼키치는 노리코를 꾸짖으며 사타케와 함께 새 삶을 시작해야 하고, 그 삶에 자신은 끼어들 수 없다고 말한다. 그는 "그것이 인생과 역사의 순리"라고 말한다. 노리코는 아버지에게 자신의 "이기심"을 용서해 달라고 하며 결혼을 진행하기로 한다.

기코 역의 하라 세츠코와 그 아버지 역의 류 치슈


노리코의 결혼식 날, 집에서 식을 준비하는 동안 쇼키치와 마사는 전통 혼례복을 입은 노리코를 보며 감탄한다. 노리코는 평생 자신을 돌봐준 아버지에게 감사를 표하고 결혼식장으로 향하는 차에 오른다. 식이 끝난 후, 노리코의 이혼한 친구 아야(츠키오카 유메지 분)는 쇼키치와 함께 술집에 간다. 그곳에서 쇼키치는 미와 부인과 결혼하겠다는 말이 노리코를 결혼시키기 위한 거짓말이었다고 고백한다. 감동한 아야는 그를 자주 방문하겠다고 약속한다. 쇼키치는 홀로 집으로 돌아간다.[174]

3. 등장인물

영화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1]

배우배역 (영어)배역 (일본어)로마자 표기 (일본어 순)
류 치슈소미야 슈키치曾宮 周吉Somiya Shūkichi
하라 세츠코소미야 노리코曾宮 紀子Somiya Noriko
츠키오카 유메지키타가와 아야北川 アヤKitagawa Aya
스기무라 하루코타구치 마사田口 マサTaguchi Masa
아오키 호히타구치 카츠요시田口 勝義Taguchi Katsuyoshi
우사미 준핫토리 슈이치服部 昌一Hattori Shūichi
미야케 쿠니코미와 아키코三輪 秋子Miwa Akiko
미시마 마사오오노데라 죠小野寺 譲Onodera Jō
츠보우치 요시코오노데라 키쿠小野寺 きくOnodera Kiku
카츠라기 요코미사코
타카하시 토요코시게
타니자키 준하야시 세이조
베니사와 요코찻집 여주인


3. 1. 주요 인물

배우배역 (영어)배역 (일본어)로마자 표기 (일본어 순)
류 치슈소미야 슈키치曾宮 周吉Somiya Shūkichi
하라 세츠코소미야 노리코曾宮 紀子Somiya Noriko
츠키오카 유메지키타가와 아야北川 アヤKitagawa Aya
스기무라 하루코타구치 마사田口 マサTaguchi Masa
아오키 호히타구치 카츠요시田口 勝義Taguchi Katsuyoshi
우사미 준핫토리 슈이치服部 昌一Hattori Shūichi
미야케 쿠니코미와 아키코三輪 秋子Miwa Akiko
미시마 마사오오노데라 죠小野寺 譲Onodera Jō
츠보우치 요시코오노데라 키쿠小野寺 きくOnodera Kiku
카츠라기 요코미사코
타카하시 토요코시게
타니자키 준하야시 세이조
베니사와 요코찻집 여주인

[1]

3. 2. 주변 인물

배우배역 (영어)배역 (일본어)로마자 표기 (일본어 순)
류 치슈소미야 슈키치曾宮 周吉Somiya Shūkichi
하라 세츠코소미야 노리코曾宮 紀子Somiya Noriko
츠키오카 유메지키타가와 아야北川 アヤKitagawa Aya
스기무라 하루코타구치 마사田口 マサTaguchi Masa
아오키 호히타구치 카츠요시田口 勝義Taguchi Katsuyoshi
우사미 준핫토리 슈이치服部 昌一Hattori Shūichi
미야케 쿠니코미와 아키코三輪 秋子Miwa Akiko
미시마 마사오오노데라 죠小野寺 譲Onodera Jō
츠보우치 요시코오노데라 키쿠小野寺 きくOnodera Kiku
카츠라기 요코미사코
타카하시 토요코시게
타니자키 준하야시 세이조
베니사와 요코찻집 여주인



소미야 슈키치(류 치슈)는 대학 교수로, 딸 노리코(하라 세츠코)와 가마쿠라에서 함께 살고 있다. 노리코는 슈키치의 조수 핫토리(우사미 준)와 자전거를 타거나, 여학교 동창 아야(츠키오카 유메지)와 시간을 보내는 등 아버지와의 생활을 즐긴다. 슈키치는 핫토리가 노리코의 배우자감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했지만, 핫토리가 이미 약혼했다는 사실을 알고는 실망한다.

노리코에게는 숙모 마사(스기무라 하루코)를 통해 맞선 이야기가 들어온다. 슈키치의 친구 오노데라(미시마 마사오) 가족도 노리코의 결혼에 관여한다.

4. 제작

오즈 야스지로는 작가 히로쓰 가즈로의 소설 《아버지와 딸》을 원작으로 하여 딸의 결혼을 둘러싼 홈 드라마를 처음으로 그렸다. 이 작품은 오즈가 하라 세츠코와 처음으로 콤비를 이룬 작품이며, 이후 오즈 작품 스타일을 결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류 치슈가 연기하는 노년의 아버지가 딸을 시집보내는 비애 등, 이른바 오즈 영화의 스타일도 본작에서 처음으로 확립되었다.[174]

오즈는 이전에도 홈 드라마를 다루었지만, 결혼하는 딸과 아버지의 관계를 담담한 일상 속에 그린 것은 본작이 처음이었다. 전작 《바람 속의 암탉》의 실패 이후, 딸의 결혼이라는 보편적인 소재는 오즈에게 흥미를 끌었다. 오즈는 《상자 속의 아가씨》 이후 14년 만에 노다 고고와 콤비를 이루어 약 1년간 각본을 집필하고 영화화에 임했다. 노다와의 공동 각본 집필은 이후 오즈의 유작 《산마의 맛》까지 이어졌다.

로우 앵글로 전환하는 독특한 인물 숏의 반복이나, 텅 빈 무대라고 불리는 풍경 컷의 삽입 등의 영상 스타일은 이후 유작까지 반복되는 딸의 결혼이라는 드라마와 연동되어, 그 설화적 주제를 명확하게 하는 영상 스타일로 기능하게 된다.

가마쿠라교토의 일본적인 풍경이나 노 무대 등 일본 문화를 필름에 담아, 그 속에서 그려지는 불필요한 요소를 일절 배제한 결혼 드라마는, 공개 당시 일본적인 것의 부활을 느끼는 관객층과 전후의 현실로부터의 도피로 간주하는 관객층으로 나뉘어 평가는 찬반양론이 되었다. 그러나 보편적인 인간 드라마를 있는 그대로 그리려고 하는 오즈의 자세는, 후에 텔레비전 시대에 들어 본격화되는 홈 드라마의 제작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영화에서 이야기하는 인간의 감정을 다 그리기 위해 영화 문법을 벗어나는 것도 마다하지 않는 오즈의 자세나, 감정을 영상화하려고 하는 스타일은, 후에 전 세계 영화 평론가와 팬들의 논쟁의 대상이 되었고, 오즈 작품 중에서도 지금도 가장 많이 이야기되는 작품 중 하나이다.

극 중 노의 연목은 오즈가 노가쿠시 곤파루 소에몬에게 상담했고, 본작이 사랑 이야기라는 점에서 곤파루가 『두견』을 제안하여 채택되었다. 『두견』은 붓꽃의 정령 이야기로, 『이세 이야기』 제9단에 나오는 아리하라노 나리히라의 붓꽃의 와카(멀리 도시에 두고 온 아내를 생각하는 노래)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시테를 연기하는 것은 우메와카 만자부로이다.

본작은 사과 껍질을 깎고 있던 아버지가 풀이 죽는 장면으로 끝나는데, 오즈는 류 치슈에게 "껍질을 다 깎으면 통곡하는 것처럼"이라고 지시했지만, 류는 "그것은 할 수 없다"라고 대답했고, 오즈도 무리하게 시키려고 하지 않아 변경되었다.[174]

4. 1. 점령기 검열

《만춘》은 미군정의 검열 하에 제작되었으며, 여러 민감한 주제에 대한 언급이 제한되었다. 영화 학자 히라노 쿄코에 따르면, 검열관들은 중매결혼을 봉건적인 관습으로 여겨 부정적으로 보았고, 개인의 중요성을 떨어뜨리는 것처럼 보인다고 생각했다.[8] 이러한 이유로 중매 결혼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것은 엄격하게 제한되었으며, 제작 승인을 받기 위해 제출된 초기 시놉시스는 가족 전체의 결정으로 중매결혼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묘사되어 검열관들에게 거부되었다.[9]

검열관들은 조상 숭배와 관련된 장면도 삭제하도록 지시했다. 시놉시스에는 노리코가 결혼 전 아버지와 교토로 여행을 떠나는 이유가 죽은 어머니의 묘를 방문하기 위해서라고 설명되어 있었지만, 완성된 영화에서는 이 내용이 삭제되었다.[10]

전쟁 피해에 대한 언급은 연합군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될 수 있어 삭제되었다. 대본에는 도쿄가 폐허가 되었다는 내용이 있었지만, 검열 과정에서 "먼지가 많다"는 표현으로 수정되었다.[11] 반면, 할리우드 배우 게리 쿠퍼에 대한 언급은 긍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어 허용되었다.[12][13]

검열관들의 요구는 때때로 비합리적으로 보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전쟁 중 [일본] 해군에 의해 징집된 후 그녀의 직업" 때문에 노리코의 건강이 나빠졌다는 대사는 "전쟁 중 강제 노동"으로 변경되었다.[14]

검열 과정에서 검열관들은 마사 이모가 잃어버린 돈지갑을 발견하고 행운의 부적으로 간직하는 대신 경찰에 넘겨주는 장면을 추가할 것을 요구했다. 오즈는 이 요구를 슈키치가 여동생에게 돈지갑을 경찰에 넘기라고 반복적으로 설득하는 코믹한 장면으로 바꾸어, 검열에 대한 조롱 섞인 부분적 준수를 보여주었다.[15]

4. 1. 1. 오즈의 검열 "회피"

라르스 마틴 소렌센(Lars-Martin Sorensen)은 오즈 야스지로가 점령군이 장려하는 가치관과 상반되는 일본의 전통적인 가치를 제시하며 검열을 회피하려 했다고 주장한다.[16] 소렌센은 영화 초반 노리코와 하토리가 자전거를 타는 장면에 등장하는 코카콜라 간판과 영어 도로 표지판을 통해 점령군의 존재를 암시했다고 본다.[17][18]

젊은 일본 남녀가 캐주얼한 옷을 입고 이미지의 근거리 배경에서 포장된 길 위를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다. 멀리 산이 보입니다. 이미지 앞쪽, 길가에는 다이아몬드 모양의 코카콜라 간판이 있고, 그 아래 화살표에 해변의 이름(영어)이 적혀 있습니다.
하토리(우스미 준)와 노리코가 해변으로 자전거를 타는 모습(코카콜라 간판이 앞에 보임)


반면, 오즈는 다도, 가마쿠라 사찰, 공연, 교토 풍경 등 일본 전통의 상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통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했다.[2][19] 소렌슨은 이러한 역사적 랜드마크의 이미지들이 "현대의 불순함과는 대조적으로 고대 일본의 보물에 대한 경외심과 존경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의도였다"고 주장한다.[12]

4. 2. 오즈의 협력자

만춘에서 오즈는 배우 류 치슈와 촬영 기사 아츠타 유하루 등, 전전 시대부터 함께 해온 많은 동료들과 함께 작업했다. 특히, 각본가 노다 코고와 배우 하라 세츠코와의 협업은 오즈의 후기 작품 세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즈의 오랜 각본 파트너인 노다 고고: ''만춘''부터 노다는 1963년 오즈가 사망할 때까지 오즈의 모든 영화에 협력했다

4. 2. 1. 노다 코고 (野田 কর্মরত)

오즈 야스지로의 오랜 각본 파트너인 노다 고고는 《만춘》부터 1963년 오즈가 사망할 때까지 오즈의 모든 영화에 협력했다.[23] 이미 뛰어난 각본가였던 노다는 오즈의 1927년 데뷔작 《참회검》의 각본에 참여했으며,[24][23] 이후 《도쿄의 합창》을 포함한 오즈의 많은 최고 무성 영화에서 오즈와 함께 각본을 썼다.[23] 1949년까지 오즈는 오랜 친구와 14년 동안 함께 작업하지 않았지만, 《만춘》에서 재회는 매우 성공적이어서 오즈는 생애 말년까지 노다와 함께 각본을 썼다.[23]

오즈는 노다에 대해 "감독이 각본가와 함께 작업할 때는 공통적인 특성과 습관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잘 지낼 수 없다. 내가 매일 하는 일, 즉 몇 시에 일어나고 술을 얼마나 마시는지 등은 [노다]와 거의 완벽하게 일치한다. 노다와 함께 작업할 때는 짧은 대사 한 마디까지도 협력한다. 세트나 의상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결코 논의하지 않지만, 이것들에 대한 그의 심상은 항상 나의 생각과 일치하며, 우리의 아이디어는 결코 엇갈리거나 빗나가지 않는다. 심지어 대사가 'wa'로 끝나야 할지 'yo'로 끝나야 할지에도 동의한다."라고 말했다.[25]

《만춘》 이후, 부분적으로 노다의 영향으로 오즈의 모든 등장인물들은 편안한 중산층이 되었고, 즉각적인 육체적 궁핍과 필요에서 벗어났다.[26]

4. 2. 2. 하라 세츠코 (原 節子)

하라 세츠코(본명: 아이다 마사에, 1920년 6월 17일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출생)는 1930년대 중반 십 대 시절부터 영화에 출연했다.[27] 큰 키와 강렬한 이목구비, 특히 매우 큰 눈과 뚜렷한 코는 당시 일본 여배우들 사이에서는 드문 특징이었다.[28] 독일인 조부모가 있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확인되지는 않았다.[28] 군사 정부가 선전을 목적으로 제작한 많은 영화에 출연하면서 전쟁 기간 내내 인기를 유지했고, "완벽한 전쟁 영화의 여주인공"이 되었다.[29] 일본의 패전 후 그 어느 때보다 인기가 높아져 오즈가 처음으로 그녀와 함께 ''만춘''을 작업할 무렵에는 이미 "일본에서 가장 사랑받는 여배우 중 한 명"이 되었다.[30]

오즈 야스지로가 "노리코 3부작"의 마지막 영화인 ''도쿄 이야기''(1953)에서 하라 세츠코를 연출하는 모습. 오즈는 사진 전경 오른쪽 맨 끝에 서 있다.


오즈는 하라의 연기에 매우 높은 평가를 했다. 그는 "모든 일본 배우는 군인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모든 일본 여배우는 어느 정도 매춘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라와 같은) 좋은 집안 출신의 딸 역할을 할 수 있는 여배우를 찾기는 드물다."라고 말했다.[29] ''초여름''에서의 연기에 대해서는 "하라 세츠코는 정말 훌륭한 배우다. 그녀와 같은 배우를 네다섯 명 더 가졌으면 좋겠다."라고 말하기도 했다.[25]

오즈는 "노리코" 3부작 외에도 ''도쿄 황혼''(1957, 불행한 결혼 생활을 하는 아내 역),[31][32] ''가을 햇살''(1960, 결혼 적령기의 딸을 둔 어머니 역),[33][34] ''고하야가와가의 가을''(1961, 공장 주인의 며느리 역)에서 그녀를 연출했다.[35][36] 보드웰은 하라가 오즈의 후기 작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평가들의 의견을 "1948년 이후 하라 세츠코는 예비 신부 또는 중년의 과부, 전형적인 오즈의 여인이 되었다."라고 요약했다.[23]

5. 주제 및 특징

《만춘》은 결혼, 전통과 현대의 갈등, 가족, 상실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영화는 다도 장면으로 시작하여, 홀아비인 소미야 교수(류 치슈 분)와 그의 딸 노리코(하라 세츠코 분)의 일상을 보여준다. 노리코는 아버지의 일상생활을 챙기며 함께 살고 있다.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들은 결혼, 전통과 현대, 그리고 가족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아버지 소미야 슈키치와 딸 노리코는 이러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또한, 《만춘》은 계절과 성(性)이라는 주제를 통해 영화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 영화의 제목인 "만춘"은 노리코의 결혼 적령기를 뜻하는 동시에, 연극 ''붓꽃''과 연결되어 성적인 상징과 깨달음이라는 주제를 암시한다.[19]

오즈 야스지로는 이 영화에서 결혼, 전통과 현대의 갈등, 가족, 계절과 성 등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배우배역 (영어)배역 (일본어)로마자 표기 (일본어 순)
류 치슈소미야 슈키치曾宮 周吉Somiya Shūkichi
하라 세츠코소미야 노리코曾宮 紀子Somiya Noriko
츠키오카 유메지키타가와 아야北川 アヤKitagawa Aya
스기무라 하루코타구치 마사田口 マサTaguchi Masa
아오키 호히타구치 카츠요시田口 勝義Taguchi Katsuyoshi
우사미 준핫토리 슈이치服部 昌一Hattori Shūichi
미야케 쿠니코미와 아키코三輪 秋子Miwa Akiko
미시마 마사오오노데라 죠小野寺 譲Onodera Jō
츠보우치 요시코오노데라 키쿠小野寺 きくOnodera Kiku
카츠라기 요코미사코
타카하시 토요코시게
타니자키 준하야시 세이조
베니사와 요코찻집 여주인


5. 1. 서사 전략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는 독특한 서사 방식으로 유명하며, 《만춘》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난다. 오즈는 노리코의 결혼식처럼 중요한 장면은 생략하고, 겉보기에 중요하지 않은 사건(예: 하토리가 참석했지만 노리코는 참석하지 않은 콘서트)을 부각하는 방식을 사용했다.[4][37]

또한, 주요 정보를 관객에게 숨기거나, 장면 전환 없이 시점을 건너뛰는 등 독특한 연출 기법을 활용했다.[37][38] 예를 들어 노리코가 핫토리의 약혼 소식을 알리기 전까지 관객은 이 사실을 전혀 알 수 없으며,[37] 기차 플랫폼 장면에서 도쿄행 기차가 이미 출발한 장면으로 이어지는 것도 이러한 연출 기법의 예시이다.[38]

5. 1. 1. "매개변수적 서술" 이론

데이비드 보드웰은 오즈의 서사 접근 방식을 "매개변수적 서술"이라고 칭한다. 보드웰에 따르면 오즈의 "과도하게 통합된" 시각적 접근 방식은 "스타일적 엄격함"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는 종종 서술적 유희를 포함한 "재치 있는 일탈"의 기반을 제공한다.[39] 보드웰은 오즈가 "유머와 놀라움을 얻기 위해 자신의 기계 장치에서 물러난다"고 명확하게 표현했다.[40] 그는 "서사시에서 리듬과 각운이 이야기를 전달하는 요구에 완전히 종속될 필요는 없다. 예술 가곡이나 오페라에서는 '자율적인' 음악 구조가 특정 화성 또는 멜로디 패턴이 작동하는 동안 이야기가 멈춰야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영화에서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특성이 파불라(이야기) 정보를 표현하는 데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패턴으로 우리를 유혹할 수 있다"고 보았다.[41]

5. 1. 2. "본질주의적" 서사 이론

카테 가이스트(Kat Geist)는 오즈의 서사 방식이 예술가의 절제된 표현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오즈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기법과 서사 생략이 "오즈의 플롯에 '그들의 의지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플롯" 그 자체라고 말한다. 즉, 생략된 부분과 반복되는 부분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오즈의 본질적인 이야기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42]

가이스트는 예시로 노리코와 핫토리가 함께 자전거를 타고 해변으로 가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을 언급한다. 이 장면은 그들 사이에 싹트는 로맨틱한 관계를 암시하는 듯하다. 하지만 노리코는 조금 후에 아버지에게 핫토리가 그 자전거 여행 전에 이미 다른 여성과 약혼했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가이스트는 "우리는 왜 오즈가 [노리코에게] '잘못된 남자'에게 그렇게 많은 시간을 낭비했는지 궁금해한다."라고 말한다.[43] 그러나 가이스트에 따르면, 해변 장면에서 중요한 점은 핫토리와 노리코의 대화인데, 여기서 노리코는 자신이 "질투심이 많은 타입"이라고 말한다. 그녀의 상냥한 성격을 고려할 때, 이러한 주장은 다소 뜻밖이지만, 그녀가 아버지의 재혼 계획에 대해 격렬하게 질투할 때 나중에 확인된다. 가이스트는 "그녀의 질투심은 그녀를 자신의 결혼으로 몰아넣고, 따라서 플롯이 회전하는 중심축이 된다."라고 설명한다.[43]

가이스트는 전후 시대의 여러 주요 오즈 영화에 대한 분석을 요약하면서 "서사는 놀라운 정밀도로 전개되며, 어떤 숏과 장면도 낭비되지 않고 모든 것이 복잡하게 얽힌 의미의 그물로 겹겹이 덮여 있다"고 주장한다.[44]

5. 2. 주요 테마

《만춘》은 결혼, 전통과 현대의 갈등, 가족, 상실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영화는 다도 장면으로 시작하여, 홀아비인 소미야 교수(류 치슈 분)와 그의 딸 노리코(하라 세츠코 분)의 일상을 보여준다. 노리코는 아버지의 일상생활을 챙기며 함께 살고 있다.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들은 결혼, 전통과 현대, 그리고 가족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아버지 소미야 슈키치와 딸 노리코는 이러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또한, 《만춘》은 계절과 성(性)이라는 주제를 통해 영화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 영화의 제목인 "만춘"은 노리코의 결혼 적령기를 뜻하는 동시에, 연극 ''붓꽃''과 연결되어 성적인 상징과 깨달음이라는 주제를 암시한다.[19]

5. 2. 1. 결혼

영화의 주요 주제는 결혼이며, 특히 1940년대 후반 일본 사회에서 결혼이 갖는 의미를 탐구한다. 1948년 1월 1일, 20세 이상의 젊은이들이 부모의 동의 없이 합의하에 결혼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법이 처음으로 시행되었다.[45] 1947년의 일본국 헌법은 아내가 남편과 이혼하는 것을 훨씬 더 쉽게 만들었는데, 그 전까지는 이혼이 "어렵고, 거의 불가능"했었다.[26]

영화에서 결혼은 죽음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오노데라 교수의 딸은 결혼을 "인생의 묘지"라고 언급한다.[46]

대학 교수인 소미야 슈키치(류 치슈)는 딸인 노리코(하라 세츠코)와 단둘이 가마쿠라에서 살고 있다. 노리코는 아버지와의 생활을 즐기고 있지만, 숙모 마사(스기무라 하루코)로부터 맞선 이야기가 들어온다. 노리코는 아버지를 혼자 둘 수 없다며 거절하려 하지만, 마사는 슈키치에게도 재혼 이야기가 있으니 걱정할 필요 없다고 설득한다.

맞선 후 노리코는 결혼을 승낙하고, 시집가기 전 마지막 여행으로 부녀는 교토로 향한다. 슈키치는 딸에게 결혼하여 새로운 생활을 쌓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설득하고, 노리코는 "제멋대로 굴어서 죄송했어요"라고 끄덕인다.

노리코가 시집간 날 밤, 슈키치는 자신의 재혼 이야기가 노리코를 결혼시키기 위한 "일생일대의 거짓말"이었다고 고백한다.

5. 2. 2. 전통과 현대

영화는 전통과 현대의 압력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며, 등장인물들의 식습관, 옷차림, 행동 방식을 통해 이러한 갈등을 구체화한다.[49] 노리코는 서구적인 옷차림과 현대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것처럼 보이지만, 아버지보다 더 전통적인 가치관에 얽매여 있다.[50] 노리코의 친구 아야는 이혼 경험을 통해 전통을 거부하는 인물로 그려지지만,[19][26][51] 아버지 소미야 교수는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모습을 보인다.[16]

5. 2. 3. 가족 (집)

晩春|만춘일본어은 가족, 특히 '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전후 일본 사회의 변화상을 보여준다. 전쟁 전 일본 영화에서 집은 사회와 대립하는 따뜻한 공간으로 그려졌지만,[54] 전쟁 이후 집은 도덕적 권위를 상실하고 사회적 관련성도 약화되었다.[56]

5. 2. 4. 계절과 성 (性)

晩春일본어은 현존하는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 중 "계절"이라는 제목을 가진 첫 번째 작품이다.[26][57] 제목의 "만춘"은 가장 명백하게는 27세의 노리코(하라 세츠코 분)가 인생의 "늦봄"에 접어들어 결혼 적령기를 넘어서고 있음을 의미한다.[18][59]

오즈의 제목에는 고대 일본 문화에서 파생된 또 다른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노리코와 슈키치가 연극을 관람할 때 상연되는 작품은 ''붓꽃(Kakitsubata)'' 또는 "물붓꽃"이라고 불린다. (일본의 물붓꽃은 늦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습지나 기타 습한 토양에서 피는 식물이다.)[19][60] 이 연극에서 여행 중인 승려는 물붓꽃으로 유명한 야츠하시라는 곳에 도착하고, 한 여인이 나타난다. 그녀는 헤이안 시대의 유명한 와카 시인인 아리와라노 나리히라의 유명한 시를 암시하는데, 이 시는 다섯 행 각각이 "물붓꽃"이라는 단어("ka-ki-tsu-ba-ta")를 구성하는 음절로 시작한다. 승려는 그 여인의 초라한 오두막에서 하룻밤을 묵고, 그 여인은 정교한 기모노와 머리 장식을 하고 나타나 자신이 물붓꽃의 정령임을 드러낸다. 그녀는 나리히라를 칭찬하고 춤을 추고, 새벽에 깨달음을 얻고 사라진다.[61][62]

노먼 홀랜드는 이 영화에 대한 에세이에서 "붓꽃은 영화의 제목인 늦봄과 연관되어 있다."[19]고 설명하며, 이 연극에는 많은 성적, 종교적 상징이 담겨 있다고 하였다. 붓꽃의 잎과 꽃은 전통적으로 각각 남성과 여성의 성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홀랜드에 따르면 이 연극 자체는 전통적으로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남녀의 결합에 대한 찬사"로 여겨진다.[19]

노리코는 노 드라마의 "고풍스러운" 형태로 표현될 때는 이러한 성적 내용을 침착하게 받아들이지만, 관객석에 있던 매력적인 미망인 미와 부인에게 아버지가 정중하게 고개를 끄덕이는 것을 보고 "노리코는 그것이 터무니없고 화가 난다고 느낀다. 이 여자와 그녀의 아버지는 이 성에 대한 연극에서 만날 약속을 한 것인가? 이것이 [오노데라의] 재혼처럼 '더러운' 재혼인가? 그녀는 분노와 절망을 느낀다. 그녀는 아버지에게 너무 화가 나서, 전혀 평소와 다르게, 극장을 나온 후 그에게서 화가 나서 걸어간다."[19] 따라서 홀랜드는 이 영화의 주요 주제 중 하나가 "전통적이고 억제된 노리코를 결혼으로 밀어 넣는 것"으로 본다.[19]

5. 3. 주요 등장인물

배우배역 (영어)배역 (일본어)로마자 표기 (일본어 순)
류 치슈소미야 슈키치曾宮 周吉Somiya Shūkichi
하라 세츠코소미야 노리코曾宮 紀子Somiya Noriko
츠키오카 유메지키타가와 아야北川 アヤKitagawa Aya
스기무라 하루코타구치 마사田口 マサTaguchi Masa
아오키 호히타구치 카츠요시田口 勝義Taguchi Katsuyoshi
우사미 준핫토리 슈이치服部 昌一Hattori Shūichi
미야케 쿠니코미와 아키코三輪 秋子Miwa Akiko
미시마 마사오오노데라 죠小野寺 譲Onodera Jō
츠보우치 요시코오노데라 키쿠小野寺 きくOnodera Kiku
카츠라기 요코미사코
타카하시 토요코시게
타니자키 준하야시 세이조
베니사와 요코찻집 여주인


  • 소미야 슈키치(류 치슈 분): 대학교수. 딸 노리코와 단둘이 가마쿠라에서 살고 있다.
  • 소미야 노리코(하라 세츠코 분): 슈키치의 딸. 아버지와의 생활을 즐기고 있다.
  • 키타가와 아야(츠키오카 유메지 분): 노리코의 친구.
  • 타구치 마사(스기무라 하루코 분): 슈키치의 여동생이자 노리코의 숙모.
  • 핫토리 슈이치(우사미 준 분): 슈키치의 조수.
  • 미와 아키코(미야케 쿠니코 분): 다도회의 미망인.
  • 오노데라 죠(미시마 마사오 분): 슈키치의 친구.

5. 3. 1. 소미야 노리코

27세의 노리코는 미혼으로, 아버지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며 아버지와 함께 행복하게 살고 있다. 노리코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특징은 아버지와의 유난히 가깝고 애정 어린 관계, 그리고 결혼하여 집을 떠나는 것에 대한 극심한 꺼림이다. 부녀 관계는 "세대를 초월한 우정"[63]으로 묘사되지만, 근친상간적이거나 부적절한 낌새는 없다.[64] 이는 일본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 때문일 수 있으며, 서양에서 리메이크되었다면 그러한 해석을 피할 수 없었을 것이다.[63] 결혼에 대한 강한 반감은 일본의 개념인 ''아마에''로 해석되기도 하는데, 이는 자녀가 부모에게 갖는 강한 정서적 의존을 의미하며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될 수 있다. 《만춘》에서 아버지와 성인 딸의 관계 단절은 오즈 야스지로가 ''아마에'' 관계의 종말이 불가피하며 필요하다고 본 것이지만, 이러한 단절의 고통을 간과하지는 않는다.[46][65]

노리코의 복잡한 성격에 대해 평론가들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그녀는 아버지에게 아내,[26] 어머니,[19][53] 심술궂은 아이,[19][26] 혹은 수수께끼[66]와 같다는 묘사를 받았으며, 특히 결혼을 자유롭게 선택하는지 여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26] 아버지의 (가짜) 재혼 계획에 반대하는 것 때문에 보수적 가치를 옹호한다는 영화 학자들의 일반적인 믿음[19][26][50]에도 이의가 제기되었다. 로빈 우드는 세 명의 노리코를 하나의 집합적인 캐릭터로 묘사하며, "노리코"는 "현대 자본주의 세계가 짓밟는 가장 훌륭한 인간적 가치들, 즉 배려, 정서적 관대함, 돌보고 공감하는 능력, 무엇보다도 자각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왔다"고 말한다.[67]

5. 3. 2. 소미야 슈키치 교수

류 치슈가 연기한 소미야 슈키치는 대학교수로, 소미야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인물이다. 그는 전통적인 일본 아버지의 모습과는 달리, 비가부장적인 가장으로 그려진다.[26] 슈키치는 딸 노리코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딸에게 도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억압적인 방식으로 소통하지는 않는다.[63]

소미야 교수는 "매우 평화롭고, 자신과 세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잘 알고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 미국 영화에서 선전된 맹렬한 일본 남성들의 고정관념과는 현저히 다르다는 평가를 받는다.[26]

노리코가 결혼한 후, 영화는 슈키치 교수의 점증하는 외로움과 슬픔에 초점을 맞춘다.[26] 원작 소설에서는 아버지가 결국 재혼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영화에서는 슈키치 교수가 마지막에 외롭고 위로받지 못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7]

6. 오즈 야스지로의 스타일

오즈 야스지로의 독특한 스타일은 비평가와 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언급되었다.[71][72][73] 그의 스타일은 할리우드 영화 제작의 많은 관습을 거부했기 때문에 반(反)할리우드 스타일로 간주되기도 한다.[19][74][75] 특히 카메라 사용, 배우 기용 방식, 특유의 편집 방식, 그리고 일부 평론가들이 "베개 샷"이라고 부르는 독특한 유형의 샷을 자주 사용하는 방식은 오즈 영화, 특히 후기 스타일의 전형적인 특징이다.[76][77]

오즈는 배우들에게 매우 섬세한 연기를 요구했으며, 배우의 사소한 행동까지도 엄격하게 통제했다.[88][82] 그는 배우들이 내면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행동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도록 했다.[90] 스기무라 하루코가 특정 순간에 그녀의 캐릭터가 어떤 감정을 느껴야 하는지 물었을 때, 오즈는 "당신은 느끼는 것이 아니라, 하는 것입니다."라고 답했다.[90] 《만춘》에서 아줌마 마사 역을 연기한 스기무라는 오즈의 연출 방식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91]

오즈 영화의 편집은 각본에 종속되며, 각 장면의 리듬은 시나리오 작성 단계에서 결정된다.[92] 영화의 최종 편집은 이를 반영했고,[92] 세트의 구조 방식 또한 템포에 맞춰 결정되었다. 《만춘》을 포함한 오즈의 후기 영화에서 장면 간의 전환은 오로지 단순한 컷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93] 페이드, 디졸브, 와이프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96] 오즈는 디졸브 사용을 "일종의 속임수"라고 말하기도 했다.[97]

오즈는 영화에서 장면 사이에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 물체나 풍경 등을 삽입하는 "베개 샷"을 자주 사용했다.[76][77] 이러한 샷은 "커튼 샷",[94] "중간 공간",[98][99] "빈 샷"[100] 등으로도 불리며, 고전 일본 시의 베개말에 비유되기도 한다.[77]

6. 1. 카메라 사용

오즈 영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극도로 낮은 카메라 위치를 일관되게 사용하는 것이다. 오즈는 패닝 샷, 트래킹 샷, 크레인 샷 등 대부분의 영화 감독들이 사용하는 카메라 움직임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스타일로 널리 알려져 있다.[82][83][84] 그는 가끔 "나는 구로사와 아키라와 같은 역동적인 감독이 아니다"라고 말하곤 했다.[85]

움직이는 인물을 시야에 유지하기 위해 다시 프레임을 잡는 것(예: 약간의 패닝)을 거부하는 데 있어서도 "가장 절대적"이었다고 평가받는다.[86] 1930년부터 오즈의 모든 영화에서 단 한 번의 리프레이밍도 없었다고 한다.[86] 후기 영화(''만춘'' 이후 영화)에서 감독은 "사람들이 중앙 깊이로 걸어 들어가도록 프레임의 측면을 차단하기 위해 벽, 스크린 또는 문을 사용할 것이며," 따라서 카메라의 움직임 없이 인물에 초점을 맞추었다.[86]

영화 제작자는 배우나 배우들이 움직이는 정확한 속도로 돌리로 카메라를 움직여, 등장인물이 걷거나 탈 때에도 역설적으로 고정된 구성을 유지했다. 그는 충실한 촬영 기사인 아쓰타 유하루에게 배우와 기술자들이 트래킹 샷 동안 정확하게 걸음 수를 세도록 요구하여 배우와 카메라의 움직임을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하여 그를 눈물짓게 했다.[86] 이야기 초반에 나오는 해변으로 자전거를 타는 장면에 대해 페냐는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마치 노리코(자전거를 탄)가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고, 핫토리가 프레임 내에서 그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시각적 특징은 오즈의 스타일을 매우 흥미롭고 독특하게 만들며, 우리에게 움직임을 제공하고 동시에 움직임을 ''약화''시킨다."[26][87]

본작을 둘러싼 논쟁 중에는 "항아리 컷 논쟁"이 있다. 이는 후반부 교토의 여관 장면에서 아버지와 딸이 베개를 나란히 하고 잠들어 있을 때, 벽감에 놓인 항아리가 잠깐 비치는 컷의 의미를 둘러싼 것이다. 미국의 영화감독 폴 슈레이더는 이를 아버지와 헤어져야 하는 딸의 심정을 상징하는 '물의 아와레'의 정취라고 평했다. 또한 영화 평론가 도널드 리치는 항아리를 보고 있는 것은 딸이며, 항아리를 응시하는 딸의 시선에 결혼의 결의가 숨겨져 있다고 분석한다.

이에 대해, 여성사 연구자인 이케가와 레이코는 상세한 이미지 분석을 바탕으로 이들과는 전혀 다른 해석을 하고 있다.[176] 이케가와는 문제의 컷 왼쪽 가장자리의 어둠 속에 놓인 작은 탑에 주목하여, 이 컷이 "항아리와 탑의 세트를 기준으로, 명암, 생사, 음양과 같은 이원론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그 위에, 그 이원론이 의미하는 바는 "남녀"이며 "자궁과 페니스"라고 결론짓고 있다.

6. 1. 1. 낮은 앵글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영화에서 카메라는 극도로 낮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데이비드 보드웰은 이러한 촬영 기법이 1931~1932년 영화부터 나타났다고 분석한다.[78]

노리코와 그녀의 친구 아야(츠키오카 유메지)의 대화에서 아야는 앉아있는 노리코의 시선으로 아래에서 보이는 것처럼 촬영되었다.


《만춘》에서 낮은 카메라 앵글의 예로 노리코가 친구 아야의 집을 방문하는 장면을 들 수 있다. 노리코는 앉아 있고 아야는 약간 더 높은 위치에 앉아 아야가 친구를 내려다보는 구도이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낮은 카메라 앵글을 가지고 있다. 노리코는 서 있는 아야를 올려다보지만, 반대편 숏]는 노리코의 얼굴을 올려다보며 아야의 시점을 거부한다. 따라서 우리는 아야와 동일시하는 것을 방지하고 노리코에 대해 비인간적인 시점을 강요받게 된다."[79]

오즈 감독이 낮은 카메라 앵글을 사용한 이유에 대해 평론가들의 의견은 일치하지 않는다. 보드웰은 주로 시각적인 이유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 앵글을 통해 독특한 구성을 만들 수 있고 "모든 이미지를 선명하고 안정적이며 눈에 띄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80] 영화 역사학자이자 평론가인 도널드 리치는 "일본 주택의 연극적 측면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보았다.[81] 또 다른 평론가는 낮은 카메라 위치의 궁극적인 목적이 관객이 노리코와 그녀의 아버지와 같은 영화 속 평범한 사람들에 대해 "경외심을 갖는 시점"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79]

6. 1. 2. 정적인 카메라

오즈는 패닝 샷, 트래킹 샷, 크레인 샷 등 대부분의 영화 감독들이 사용하는 카메라 움직임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스타일로 널리 알려져 있다.[82][83][84] 그는 가끔 "나는 구로사와 아키라와 같은 역동적인 감독이 아니다"라고 말하곤 했다.[85]

움직이는 인물을 시야에 유지하기 위해 다시 프레임을 잡는 것(예: 약간의 패닝)을 거부하는 데 "가장 절대적"이었다고 평가받는다.[86] 1930년부터 오즈의 모든 영화에서 단 한 번의 리프레이밍도 없다고 한다.[86] 후기 영화(''만춘'' 이후 영화)에서 감독은 "사람들이 중앙 깊이로 걸어 들어가도록 프레임의 측면을 차단하기 위해 벽, 스크린 또는 문을 사용할 것이며," 따라서 카메라의 움직임 없이 인물에 초점을 맞춘다.[86]

6. 2. 배우 연출

오즈 야스지로는 배우들에게 매우 섬세한 연기를 요구했으며, 배우들의 행동과 대사를 엄격하게 통제했다.[88][82] 그는 배우들에게 내면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행동, 심지어 기계적인 행동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도록 했다.[90] 한번은, 스기무라 하루코가 감독에게 특정 순간에 그녀의 캐릭터가 어떤 감정을 느껴야 하는지 물었을 때, 오즈는 "당신은 느끼는 것이 아니라, 하는 것입니다."라고 답했다.[90]

《만춘》에서 아줌마 마사 역을 연기한 스기무라는 오즈의 연출 방식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가방을 들고 방을 한 바퀴 도는 기모노를 입은 중년 일본 여성의 모습. 왼쪽에는 책장, 오른쪽에는 등받이 의자가 있으며, 배경에는 스크린과 천장 램프가 있다.
아줌마 마사(스기무라 하루코)가 노리코의 방을 마지막으로 한 바퀴 돈다.


> 오즈는 나에게 [하라와 류가 나간 후] 방으로 다시 들어와서 한 바퀴 돌라고 했다. 그래서 시키는 대로 했지만, 물론 충분하지 않았다. 세 번째 촬영 후, 오즈는 승인했다… [아줌마 마사]가 방을 한 바퀴 도는 이유는 그곳의 모든 추억에 대한 향수가 있고, 아무것도 잊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싶기 때문이다. 그는 이 모든 것을 명시적으로 보여주지 않았지만, 부드럽게 방을 도는 행동—내가 움직이는 방식, 속도, 그리고 동선을 통해—그것이 그가 표현하려고 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당시에는 이해하지 못했다. 나는 그것을 리듬감 있게 했던 것을 기억한다. 걷지도 않고 뛰지도 않았다. 나는 가볍고 리듬감 있게 움직였다. 계속 그렇게 하자, 그것이 그렇게 되었고, 오즈는 승인했다. 생각해보니, 리듬감 있게 걷는 방식이 좋았던 것 같다. 의도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했다. 그리고 물론 그것을 하는 데 도움을 준 사람은 오즈였다.[91]

6. 3. 편집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편집은 각본에 종속되며, 각 장면의 리듬은 시나리오 작성 단계에서 결정된다.[92] 영화의 최종 편집은 이를 반영했다.[92] 세트의 구조 방식 또한 템포에 맞춰 결정되었다. 《만춘》을 포함한 오즈의 후기 영화에서 장면 간의 전환은 오로지 단순한 컷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93] 페이드, 디졸브, 와이프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96] 오즈는 디졸브 사용을 "일종의 속임수"라고 말하기도 했다.[97]

교토 여관에서 아버지와 딸이 잠자리에 들기 전, 노리코는 아버지의 재혼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한다. 이후 장면 전환에서 꽃병이 등장하는데, 이는 오즈 영화에서 가장 논란이 된 장면 중 하나이다.[104]

반쯤 어두운 방 안, 나뭇가지 그림자가 드리워진 <a href=쇼지 스크린 뒤로 바닥에 놓인 평범한 꽃병이 보인다.">
나뭇가지 그림자가 보이는 ''쇼지'' 스크린 앞에 놓인 꽃병을 6초 동안 촬영한 장면...


반쯤 어두운 방 안, 쇼지 스크린 앞에 놓인 꽃병을 미디엄 숏으로 6초 동안 보여준다. 이후 노리코는 슬픈 표정을 짓고, 다시 꽃병을 10초 동안 보여준다.[105][106]

이 꽃병 장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한 평론가는 꽃병을 "정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고,[108] 또 다른 비평가는 "우리의 감정을 담는 그릇"이라고 묘사했다.[109] 다른 이는 "비서사적 요소"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10] 질 들뢰즈는 이 장면을 "시간 이미지"의 예시로 보았는데, 꽃병은 변하지 않는 시간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시간 ''내의'' 객체는 변화한다고 설명했다.[112]

6. 4. 베개 샷 (Pillow shots)

오즈 야스지로는 영화에서 장면 사이에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 물체나 풍경 등을 삽입하는 "베개 샷"을 자주 사용했다.[76][77] 이러한 샷은 "커튼 샷",[94] "중간 공간",[98][99] "빈 샷"[100] 등으로도 불리며, 고전 일본 시의 "베개말"에 비유되기도 한다.[77]

만개한 큰 나무를 아래에서 찍은 샷.


일반적인 지붕과 나무, 나무가 늘어선 산과 하늘을 배경으로 한 일본 탑(교토)의 샷.


:《만춘》에서 사용된 베개 샷

베개 샷의 기능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서사적 전환: 사토 다다오는 (비평가 난부 케이노스케를 인용하며) 서양 연극의 커튼 사용에 비유하며 "다음 시퀀스의 환경을 제시하고 시청자의 기대를 자극한다"고 설명한다.[94]
  • 인물의 내면 표현: 도널드 리치는 등장인물이 인식하거나 생각하는 것만을 제시하여, 관객이 "등장인물이 경험하는 것만 경험"하게 하는 수단이라고 주장한다.[101]
  • 시각적 유희: 데이비드 보드웰은 "플래이싱 샷"과 "컷어웨이"의 전통적인 전환 장치를 확대하여, "'인접성'에 대한 느슨한 개념"을 전달한다고 본다.[102]


《만춘》에서는 오프닝 크레딧 직후 기타카마쿠라 기차역, 겐초지 사찰,[37] 노리코와 관련된 "나무 모티프"를 소개하는 잎이 거의 없는 나무, 연극 장면 직후 잎이 무성한 나무, 교토[103] 등이 베개 샷으로 사용되었다.

6. 4. 1. 꽃병 장면

《만춘》을 둘러싼 논쟁 중에는 "항아리 컷 논쟁"이 있다. 이는 영화 후반부, 아버지와 딸이 교토의 여관에서 나란히 베개를 베고 잠든 장면에서 벽감에 놓인 항아리가 잠깐 비치는 컷의 의미를 둘러싼 것이다. 이 꽃병은 오즈 영화에서 가장 논쟁적인 베개 샷 중 하나로, 시간의 흐름, 여성성, 전통 등 다양한 상징으로 해석되며, 노리코의 감정 변화를 암시하는 중요한 장치로 작용한다.[7]

미국의 영화감독 폴 슈레이더는 이를 아버지와 헤어져야 하는 딸의 심정을 상징하는 '물의 아와레'의 정취라고 평가했다.[7] 영화 평론가 도널드 리치는 항아리를 보고 있는 것은 딸이며, 항아리를 응시하는 딸의 시선에 결혼의 결의가 숨겨져 있다고 분석했다.[7] 반면, 하스미 시게히코는 모든 것을 백주의 빛 속에서 선명한 윤곽으로 그려온 오즈가 달빛에 의해 역광의 실루엣이 된 항아리를 그린 것은 예외적인 장면이며, 아버지와 딸 사이에 놓인 보이지 않는 성적인 이미지를 읽어내려고 했다.[7]

영화 평론가 이와사키 아키라는 아버지에 대해 성적 콤플렉스(엘렉트라 콤플렉스)를 품고 있던 딸이, 이 여관 장면을 전환점으로 아버지로부터 성적으로 해방되는 명장면이라고 주장했다.[7] 한편, 딸이 항아리를 보고 있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에 성립하는 것이지만, 편집된 필름을 보는 한, 딸은 항아리를 보고 있지 않다는 반론도 있으며, 성적인지 여부, 항아리를 보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은 지금도 여전히 결론이 나지 않았다.[7]

2003년 오즈 탄생 10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에서, 포르투갈의 영화감독 마노엘 데 올리베이라는 이 문제에 대해 "부녀 상간"이라고 언급하여 논란을 일으켰다.[7] 스기무라 하루코는 이러한 컷을 촬영할 때, 오즈로부터 "여운이 남도록 연기해 주세요"라는 주문을 받았다고 말했다.[175]

여성사 연구자 이케가와 레이코는 상세한 이미지 분석을 바탕으로, 문제의 컷 왼쪽 가장자리의 어둠 속에 놓인 작은 탑에 주목하여, 이 컷이 "항아리와 탑의 세트를 기준으로, 명암, 생사, 음양과 같은 이원론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더 나아가 이케가와는, 『만춘』 전년에 제작된 『행복의 한계』에서도 하라 세츠코가 연기한 히로인의 자택에 다량의 항아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지적하며, 항아리가 "차세대를 기르는 자궁"의 은유였다고 결론짓고 있다.[176]

7. 해석

걸작 영화 ''만춘''은 다양하고 상반되는 비평적, 학술적 해석을 불러일으켰다. 대표적인 두 가지 해석은 다음과 같다.


  • 보편적인 "생의 주기"의 일부: 이 영화가 보편적이고 불가피한 "생의 주기"의 일부를 묘사하는 오즈 야스지로 작품 시리즈 중 하나이며, 따라서 시리즈 내의 다른 오즈 작품에 의해 복제되거나 보완된다는 견해이다.
  • 결혼에 대한 비판: 이 영화가 다른 오즈 작품과 주제와 줄거리가 유사하지만, 뚜렷한 비평적 접근을 요구하며, 결혼, 또는 적어도 영화에 묘사된 특정한 결혼에 대해 비판적이라는 견해이다.


오즈의 영화는 개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인간의 생애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오즈 자신도 그런 의도를 언급한 적이 있다.[113] 이러한 관점은 오즈 작품의 보편성을 강조하며, 영화가 제작된 일본의 특정한 문화적 맥락을 초월한다고 주장한다.[114]

반면, "인생 주기" 이론에 반대하는 비평가들은 이 영화가 결혼을 호의적으로 여겼다는 생각에 회의적이다. 로저 에버트는 ''만춘''이 아버지와 딸 모두 원하지 않는 일을 강요받는 상황을 다루며, 그 결과는 원망과 불행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한다.[116] 로빈 우드는 ''만춘''이 노리코의 행복을 '전통'을 위한 희생으로 묘사하며, 그녀의 결혼이 그 희생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63]

7. 1. "생애 주기" 시리즈의 일부

오즈의 영화는 개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보편적인 인간의 생애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오즈 자신도 자신의 영화가 생애 주기를 보여주고자 했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나는 이 영화(''초여름'')에서 생애 주기를 보여주고 싶었다. 나는 변전(''린네'')을 묘사하고 싶었다. 나는 행동 자체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리고 나는 내 인생에서 그렇게 열심히 일한 적이 없다."[113]

이러한 해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오즈 작품의 보편성을 강조하며, 영화가 제작된 일본의 특정한 문화적 맥락을 초월한다고 주장한다. 보크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오즈 영화의 주제는 우리 모두가 남녀로 태어나 우리 자신의 자녀를 낳으면서 직면하는 것이다. 즉, 가족이다… ['쇼밍게키' 또는 '홈 드라마']는 오즈의 작품에 적용되어 특유의 일본스러움의 환상을 만들어낼 수 있지만, 사실 그 단어 뒤에는 우리 모두가 생애 주기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이 있다. 그것은 자기 정의, 개인의 자유, 실망스러운 기대, 소통의 불가능성, 결혼과 죽음의 불가피한 과정으로 인한 분리 및 상실의 투쟁이다."[114]

가이스트는 오즈가 “덧없는 것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하는 ''사비''의 개념을 전달하고 싶어 했다고 말한다. "덧없는 것의 많은 부분이 또한 순환적이다. 따라서 ''사비''는 순환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며, 이는 오즈의 영화에서 형식적으로나 주제적으로 분명히 드러난다. 종종 그것들은 인간의 생애 주기, 보통 아이의 결혼이나 부모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115]

7. 2. 결혼에 대한 비판

일부 비평가들은 《만춘》이 결혼, 특히 영화에 묘사된 특정한 결혼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오즈 야스지로가 결혼을 호의적으로 여겼다는 일반적인 생각에 회의적이다.[116] 영화에서 아버지와 딸은 모두 원하지 않는 결혼을 강요받고 있으며, 그 결과는 원망과 불행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116]

로저 에버트는 "어느 나이가 되면 여자는 남편을 원한다는 것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다. ''만춘''은 이를 간절히 믿지 않는 두 사람에 대한 영화이며, 그들의 사려 깊음, 서로에 대한 배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그들에게 동의하는 것처럼 보이려는 필요성에 의해 어떻게 망가지는지에 대한 영화이다."라고 평했다.[116]

로빈 우드는 ''만춘''이 "노리코의 행복을 '전통'을 유지하고 지속하기 위한 희생에 관한 것이며, 그 희생은 그녀의 결혼 형태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63] 그는 이 영화가 "혼자 외로운 노년을 보내는 과부인 아버지를 성실하게 섬기기 위해 자신의 행복을 숭고하게 희생하려는 젊은 여성에 대한 영화가 아니다"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싱글 여성으로서의 그녀의 삶은 그녀가 분명히 선호하는 삶이기 때문이다.[117]

8. 평가 및 유산

만춘은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로, 딸의 결혼을 둘러싼 홈 드라마를 섬세하게 그려내 일본 영화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이 영화는 하라 세츠코가 연기한 "노리코(기코)" 3부작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1949년 일본 개봉 당시 키네마 준보 설문에서 1위를 차지하고,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에서 주요 상을 휩쓸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122][123][124][125][126]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은 자신이 뽑은 역대 최고 영화 중 하나로 ''만춘''을 꼽기도 했다.[128]

1972년 북미 개봉 당시 뉴욕 타임스의 빈센트 캔비 등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129] 로튼 토마토에서 100%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하는 등[133] 현대에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영국 영화 협회의 ''Sight & Sound'' 선정 역대 최고 영화 15위에 오르기도 했다.[141]

오즈 야스지로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2003년에는 이치카와 곤 감독이 TV 영화 《딸의 결혼》(무스메노 겟콘|むすめのけっこん일본어)으로 리메이크하기도 했다.[145][146] 그 외에도 여러 감독들이 ''만춘''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작품을 만들었다.

'''<만춘>에서 영감을 받은 영화'''
제목감독개봉 연도유형설명
딸의 결혼 (무스메노 겟콘|むすめのけっこん일본어)이치카와 곤2003년리메이크오즈 탄생 100주년 기념 TV 영화.
럼 35잔 (35 Rhums프랑스어)클레어 드니2008년오마주오즈의 영화에서 많은 것을 "훔쳐왔다"고 밝힘.
카페 뤼미에르 (珈琲時光|커피 시간일본어)허우 샤오시엔2003년오마주오즈 탄생 100주년 기념작. 21세기 초에 맞춰 업데이트된 만춘 이야기.
어느 외로운 암소가 새벽에 울다 (痴漢貴婦: 娘のヨメと…|치칸 기후: 무스코노 요메토...일본어)고토 다이스케2003년핑크 영화만춘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소프트 포르노 영화.
비정상 가족 (変態家族 兄貴の嫁さん|헨타이 카조쿠: 아니키노 요메산일본어)스오 마사유키1983년핑크 영화오즈의 스타일을 가장 작은 세부 사항까지 재현한 영화.



8. 1. 일본 내 평가 및 명성

만춘은 1949년 9월 19일 일본에서 개봉하여[1] 일본 평론가들로부터 열렬한 환호를 받았다.[120] ''신 유칸''은 교토 촬영 장면을 통해 "고요한 일본 분위기"를 구현했다고 묘사했고,[121] ''도쿄 신문''과 함께 이 영화를 "걸작"이자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평가했다.[121] 그러나 ''아사히 신문''은 "템포가 현재 시대와 맞지 않는다"고 비평했고, ''호치 신문''은 오즈에게 더 진보적인 주제를 선택해야 한다고 경고했다.[121]

1950년, ''만춘''은 키네마 준보 설문에서 1위를 차지하여 1949년 일본 최고 영화로 선정되었으며,[122][123][124]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에서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각본상, 최우수 여우주연상(하라 세츠코)을 수상했다.[125][126]

2009년 키네마 준보의 역대 최고 일본 영화 설문에서 ''만춘''은 36위를 기록했다.[127]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은 자신의 역대 최고 영화 중 하나로 ''만춘''을 꼽으며, 오즈 영화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128]

1972년 뉴요커 필름스를 통해 북미에서 개봉했을 때, 빈센트 캔비를 비롯한 뉴욕 평론가들은 대체로 호평했다.[129] 캔비는 오즈의 기법을 "엄격한 기법의 목록으로 축소하지 않고, 그의 무감정적인 휴머니즘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방식으로 묘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130] 그는 류와 하라가 연기한 캐릭터들을 "매우 감동적"이라고 칭찬하며, "그들의 사생활, 감정의 신비에 대한 깊은 존경심"을 가진 영화 제작자를 칭찬했다.[130]

빌리지 보이스의 스튜어트 바이런은 ''만춘''을 "오즈의 가장 위대한 업적이며, 역대 최고의 영화 10편 중 하나"라고 칭했고,[131] 버라이어티의 로버트 B. 프레데릭은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매우 가치 있는 영화적 노력"이라고 평가했다.[132]

현대 장르 평론가들 역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로튼 토마토에서 100%의 종합 점수를 받았다.[133] 스튜어트 갤브레이스 4세는 크라이테리온 컬렉션 DVD 리뷰에서 "전형적인 전후 오즈"라고 칭하며, "''만춘''은 감독의 관심사를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인상적으로 요약했다"고 평했다.[134] 데니스 슈워츠는 "아름다운 드라마"이며, "인위적이거나, 조작적이거나, 감상적인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평했다.[135] 빌리지 보이스는 1999년 "세기의 최고의 영화" 목록 250편 중 112위에 이 영화를 올렸다.[136]

레너드 말틴은 이 영화에 별 4개 만점을 부여하며 "감독의 걸작으로서 ''도쿄 이야기''와 비견될 초월적이고 감동적인 작품"이라고 평했다.[137]

2012년 영국 영화 연구소(BFI)의 ''Sight & Sound'' "역대 최고의 영화" 설문 조사에서 ''만춘''은 15위에 올랐고,[141] BBC의 2018년 100대 외국어 영화 목록에서는 53위를 차지했다.[144]

딸의 결혼을 둘러싼 홈 드라마를 오즈가 처음으로 그린 작품으로, 이후 오즈 작품 스타일을 결정지었다. 오즈와 하라 세츠코가 처음으로 콤비를 이룬 작품이기도 하다. 본작 및 후년의 『만추』 (1951년), 『도쿄 이야기』 (1953년)에서 하라 세츠코가 연기한 히로인은 모두 "기코"라는 이름이며, 이 3 작품을 묶어 "기코 3부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공개 당시 일본적인 것의 부활을 느끼는 관객층과 전후 현실로부터의 도피로 간주하는 관객층으로 나뉘어 평가는 찬반양론이 있었다.

8. 2. 해외 평가 및 명성

The New Yorker Films영어가 1972년 7월 21일 북미에서 이 영화를 개봉한 이후, 해외 평론가들 사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129] 당시 뉴욕에서 활동하던 빌리지 보이스의 스튜어트 바이런, 뉴스위크의 찰스 미체너, 뉴욕 타임스의 빈센트 캔비, 뉴욕 포스트의 아처 윈스턴, 투데이 쇼의 주디스 크리스트, 뉴 리퍼블릭의 스탠리 카우프만은 호평을 보냈고, 뉴욕의 존 사이먼은 "혼합적" 평가를 내렸다.[129] 바이런은 ''만춘''을 "오즈의 가장 위대한 업적이며, 따라서 역대 최고의 영화 10편 중 하나"라고 칭했다.[131] 버라이어티의 평론가 로버트 B. 프레데릭 또한 이 작품에 대해 "고(故) 야스지로 오즈의 영화적 걸작"이라며 높이 평가했다.[132]

현대 장르 평론가들 역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로튼 토마토에서는 24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했고, 평균 점수는 9.00/10이었다.[133] 레너드 말틴은 이 영화에 별 4개 만점을 부여하며 "감독의 걸작으로서 ''도쿄 이야기''와 비견될 초월적이고 감동적인 작품"이라고 평했다.[137]

영국 영화 협회(BFI)는 2012년 ''Sight & Sound'' "역대 최고의 영화" 설문 조사에서 ''만춘''을 15위로 선정했다.[141] 이 영화는 2018년 BBC 선정 100대 외국어 영화 목록에서 53위를 차지했다.[144]

8. 3. <만춘>에서 영감을 받은 영화

오즈 야스지로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2003년에 TV 영화 《딸의 결혼》(무스메노 겟콘|むすめのけっこん일본어)으로 리메이크되었다.[145][146] 이 영화는 이치카와 곤[147][148] 감독이 연출하고 WOWOW에서 제작하여[149] 오즈 탄생 100주년이자 사망 40주년 이틀 후인 2003년 12월 14일에 방영되었다.[150]

이치카와 곤 감독은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스타일을 재현하기 위해 노력했는데, 예를 들어 오즈가 컬러 영화에서 붉은색을 좋아했던 것을 본떠 선명한 붉은색 물체를 포함한 많은 숏을 삽입했다.[151]

'''<만춘>에서 영감을 받은 영화'''
제목감독개봉 연도유형설명
딸의 결혼 (무스메노 겟콘|むすめのけっこん일본어)이치카와 곤2003년리메이크오즈 탄생 100주년 기념 TV 영화.
럼 35잔 (35 Rhums프랑스어)클레어 드니2008년오마주오즈의 영화에서 많은 것을 "훔쳐왔다"고 밝힘.
카페 뤼미에르 (珈琲時光|커피 시간일본어)허우 샤오시엔2003년오마주오즈 탄생 100주년 기념작. 21세기 초에 맞춰 업데이트된 만춘 이야기.
어느 외로운 암소가 새벽에 울다 (痴漢貴婦: 娘のヨメと…|치칸 기후: 무스코노 요메토...일본어)고토 다이스케2003년핑크 영화만춘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소프트 포르노 영화.
비정상 가족 (変態家族 兄貴の嫁さん|헨타이 카조쿠: 아니키노 요메산일본어)스오 마사유키1983년핑크 영화오즈의 스타일을 가장 작은 세부 사항까지 재현한 영화.


참조

[1] 인용
[2] 인용
[3] 문서
[4] 인용
[5] 웹사이트 Umbrella: Issue 2, Spring 2007 – Dan Schneider on Yasujirō Ozu's ''Late Spring'' http://www.umbrellaj[...] 2011-07-19
[6] 간행물 'Late Spring'' [DVD Review]' http://news-business[...] 2012-02-07
[7] 웹사이트 Late Spring (1949) – Yasujirō Ozu (Ozu-san.com) http://www.a2pcinema[...] 2011-09-04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17] 인용
[18] 인용
[19] 웹사이트 Norman Holland on Yasujirō Ozu's ''Late Spring'' http://www.asharperf[...] 2011-08-07
[20] 인용
[21] 인용
[22] 인용
[23] 인용
[24] 인용
[25] 웹사이트 Ozu Spectrum: The first translations by and about the master of Japanese cinema (p. 3) http://www.mip.berke[...] 2011-07-23
[26] 인용
[27] 인용
[28] 인용
[29] 인용
[30] 인용
[31] 인용
[32] 인용
[33] 인용
[34] 인용
[35] 인용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웹사이트 filmbordwell.pdf (application – pdf Object) https://web.archive.[...] 2012-02-19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문서
[58] 문서
[59] 웹사이트 MovieMartyr.com – Late Spring http://www.moviemart[...] 2011-08-07
[60] 웹사이트 Iris Laevigata Seeds (Japanese Water Iris Seeds) http://www.rarexotic[...] 2012-02-19
[61] 웹사이트 Noh Plays DataBase: Kakitsubata (Water Iris) http://www.the-noh.c[...] 2011-08-07
[62] 문서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웹사이트 Trends in Japan http://web-japan.org[...] 2011-10-22
[73] 웹사이트 Midnight Eye feature – The World of Yasujirō Ozu http://www.midnighte[...] 2011-10-22
[74] 웹사이트 Yasujirō Ozu – Senses of Cinema http://www.sensesofc[...] 2011-10-22
[75] 웹사이트 Ozu's Life http://www.a2pcinema[...] 2011-10-22
[76] 문서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Youtube Late Spring (Yasujirō Ozu) – Bicycle scene [YouTube clip] https://www.youtube.[...] 2011-12-11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Tokyo Story (DVD)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Tokyo Story (DVD)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인용
[107] 인용
[108] 인용
[109] 인용
[110] 인용
[111] 인용
[112] 인용
[113] 인용
[114] 간행물 West Looks East: The Influence of Yasujirō Ozu on Wim Wenders and Peter Handke
[115] 뉴스 Late Spring – rogerebert.com – Great Movies https://www.rogerebe[...] 2011-10-08
[116] 인용
[117] 인용
[118] 인용
[119] 인용
[120] 인용
[121] 인용
[122] 웹사이트 Late Spring (1949) — Awards https://www.imdb.com[...] 2011-09-24
[123] 웹사이트 Kinema Junpo [Japanese] http://www.geocities[...] 2011-12-24
[124] 웹사이트 Mainichi Film Concours (1950) https://www.imdb.com[...] 2011-02-04
[125] 웹사이트 Mainichi Film Concours https://web.archive.[...] 2011-02-04
[126] 웹사이트 Greatest Japanese films by magazine Kinema Junpo (2009 version) https://archive.toda[...] 2011-12-26
[127] 웹사이트 Akira Kurosawa's Top 100 Films – Movie Forums http://www.movieforu[...] 2011-12-26
[128] 웹사이트 Show Page http://www.mip.berke[...] 2011-12-26
[129] 웹사이트 Movie Review - Late Spring - Screen: Japanese Life: 'Late Spring' by Ozu Opens at New Yorker - NYTimes.com https://movies.nytim[...] New York Times Co. 1972-07-22
[130]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s://web.archive.[...] 2011-12-26
[131] 웹사이트 Show Page [Variety review] http://www.mip.berke[...] 2011-12-26
[132] 웹사이트 Late Spring –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 1949-09-13
[133] 웹사이트 Late Spring (with Tokyo-ga) – Criterion Collection: DVD Talk Review of the DVD Video https://www.dvdtalk.[...] 2011-12-26
[134] 웹사이트 latespring https://web.archive.[...] 2011-12-26
[135] 웹사이트 Take One: The First Annual Village Voice Film Critics' Poll http://www.villagevo[...] 2006-07-27
[136] 서적 Classic Movie Guide: From the Silent Era Through 1965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137] 뉴스 Vertigo tops greatest film poll, ending reign of Citizen Kane https://www.theguard[...] 2012-08-01
[138] 뉴스 "'Citizen Kane' bumped by 'Vertigo' as greatest film ever made in BFI's Sight & Sound poll – NY Daily News" http://www.nydailyne[...] 2012-08-02
[139] 웹사이트 The Greatest Films of All Time – British Film Institute https://web.archive.[...] 2012-08-02
[106] 웹사이트 Deleuze's Time Image: Ozu's Late Spring (1949) [YouTube clip] https://www.youtube.[...] 2008-06-06
[141] 웹사이트 The Top 50 Greatest Films of All Time https://web.archive.[...] 2012-08-02
[142] 웹사이트 BFI – Sight and Sound – Top 10 Poll 2002 – Critics' Top 10 Films of All Time https://web.archive.[...] 2012-08-02
[143] 웹사이트 BFI – Sight and Sound – Top 10 Poll 2002 – Directors' Poll https://web.archive.[...] 2012-08-02
[144]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Foreign Language Films https://www.bbc.com/[...] 2021-01-10
[145] 웹사이트 Introduction [in Japanese] http://www.wowow.co.[...] 2012-03-17
[146] 웹사이트 Musume no kekkon (2003) – Trivia https://www.imdb.com[...] 2012-03-17
[147] 웹사이트 Director: Kon Ichikawa [in Japanese] http://www.wowow.co.[...] 2012-03-17
[148] 웹사이트 Musume no kekkon (2003) (TV) – Full cast and crew https://www.imdb.com[...] 2012-03-17
[149] 웹사이트 Musume no kekkon (2003) (TV) – Company credits https://www.imdb.com[...] 2012-03-17
[150] 웹사이트 Musume no kekkon (2003) (TV) – Release dates https://www.imdb.com[...] 2012-03-17
[151] 웹사이트 Production Notes [in Japanese] http://www.wowow.co.[...] 2012-03-17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간행물 35 Shots of Rum (DVD)
[157] 웹사이트 BAM/PFA Film Programs https://web.archive.[...] 2012-01-15
[158] 웹사이트 DVD Verdict Review – Cafe Lumiere https://www.dvdverdi[...] 2012-01-15
[159] 웹사이트 Home Cinema @ The Digital Fix – A Lonely Cow Weeps at Dawn http://film.thedigit[...] 2012-01-15
[160] 서적
[161] 웹사이트 Midnight Eye Review: Abnormal Family (Hentai Kazoku: Aniki no Yomesan, 1983, director Masayuki SUO) http://www.midnighte[...] 2012-01-19
[162] 서적
[163] 웹사이트 TCM [in "Cast and Crew" and "Notes" sections] http://www.tcmuk.tv/[...] 2012-02-22
[164] 웹사이트 Tower.com Video – Japanese in World Cinema Video (VHS) from New Yorker Video http://www.tower.com[...] 2012-02-22
[165] 웹사이트 Late Spring (Banshun) (Director's Suite) (1949) http://www.michaeldv[...] 2012-02-04
[166] 웹사이트 Late Spring Blu-Ray – Setsuko Hara http://www.dvdbeaver[...] 2012-02-04
[167] 웹사이트 'YESASIA: Ozu Yasujiro 100th Anniversary Collection 3 – Late Spring (Hong Kong Version) DVD – Hara Setsuko, Kasatomi Shu, Panorama (HK) – Japan Movies and Videos – Free Shipping' http://www.yesasia.c[...] 2012-02-04
[168] 웹사이트 Late Spring: Home with Ozu – From the Current – The Criterion Collection https://www.criterio[...] 2012-01-22
[169] 웹사이트 Late Spring (1949) https://www.criterio[...] 2012-01-22
[170] 웹사이트 Home Cinema @ The Digital Fix – Late Spring http://film.thedigit[...] 2012-01-28
[171] 웹사이트 CriterionForum.org – Late Spring Blu-ray Review http://www.criterion[...] 2012-07-27
[172]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Films of All Time https://www.bfi.org.[...] BFI 2022-12-02
[173] 웹사이트 The Greatest Films of All Time https://www.bfi.org.[...] BFI 2022-12-02
[174] 서적 大船日記 小津安二郎先生の思い出 扶桑社 1991
[175] 서적 解説 私的小津論 新書館 2003
[176] 서적 女優原節子の住んだ家――映像表現の中の家父長制 青簡舎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