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티네이아 전투 (기원전 20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티네이아 전투 (기원전 207년)는 기원전 207년, 스파르타의 왕 마카니다스와 아카이아 동맹의 필로포이멘이 만티네이아에서 벌인 전투이다. 마카니다스는 용병과 경장보병을 이끌고, 필로포이멘은 경장보병, 흉갑병, 일리리아 병, 기병, 팔랑크스를 배치하여 전투를 벌였다. 전투 초반 스파르타군의 우세했으나, 필로포이멘의 지략과 아카이아군의 반격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결국 마카니다스는 필로포이멘과의 일기토에서 사망하고, 스파르타군은 4,000명의 사상자를 내며 패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07년 - 메타우루스 전투
    메타우루스 전투는 기원전 207년 제2차 포에니 전쟁 중 로마군이 카르타고 군을 격파하여 한니발을 고립시키고 로마가 지중해 패권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전투이다.
  • 기원전 207년 - 거록 대전
    기원전 207년 진나라 말기에 항우가 이끄는 초나라 군대가 조나라를 구원하는 과정에서 뛰어난 전략과 용맹함으로 진나라 군대를 대파하여 진나라 멸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전투가 거록 대전이다.
  • 아카이아 동맹 - 셀라시아 전투
    기원전 222년에 벌어진 셀라시아 전투는 마케도니아 연합군이 스파르타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스파르타의 쇠퇴를 가져왔고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 세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카이아 동맹 - 필로포이멘
    필로포이멘은 아카이아 동맹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에파메이논다스를 롤모델 삼아 검소하고 헌신적인 삶을 살았으며, 다양한 전투에서의 뛰어난 군사적 능력, 군대 개혁, 민주주의적 가치 옹호, 로마 영향력 저항 등을 통해 그리스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다.
  •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 - 필리포스 5세
    필리포스 5세는 기원전 221년부터 기원전 179년까지 마케도니아 왕국을 통치한 왕으로, 즉위 후 그리스 내 입지를 다지고 로마와 충돌했으며 말년에는 국가 재건에 힘썼다.
  •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 - 아탈로스 1세
    아탈로스 1세는 기원전 241년부터 197년까지 페르가몬을 통치한 왕으로, 갈라티아인 격퇴, 셀레우코스 왕조와의 전쟁 승리, 로마와의 동맹, 문예 장려, 키벨레 숭배 도입 등의 업적을 남겼다.
만티네이아 전투 (기원전 207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만티네이아 전투 (기원전 207년)
일부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
날짜기원전 207년
장소만티네이아
결과아카이아 동맹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 1아카이아 동맹
교전 2스파르타
지휘관 및 지도자
아카이아 동맹필로포이멘
스파르타마카니다스 †
병력 규모
아카이아 동맹불명
스파르타불명
사상자 및 피해
아카이아 동맹불명
스파르타전사 4000명
기타
그리스 반도, 펠로폰네소스
펠로폰네소스 지도

2. 배경

기원전 207년 스파르타의 왕 마카니다스가 아카이아 동맹의 도시 만티네이아 영토를 침공하자,[3] 아카이아 동맹의 스트라테고스(장군) 필로포이멘이 만티네이아를 구원하기 위해 출병하면서 전투가 벌어졌다.[3]

3. 전투

마카니다스가 쇠뇌로 아군을 혼란에 빠뜨리려는 의도를 간파한 필로포이멘은 타라스 기병에게 즉각적인 공격을 명령했다.[18]

3. 1. 양측의 배치

마카니다스는 양쪽 날개 전방에 용병을 배치하고, 그 뒤에 병참대를 배치하였다. 그리고 자신은 우익에 진을 치고 경장보병을 지휘했다.[17][4][5] 반면, 필로포이멘은 만티네이아 시 앞의 언덕에서 좌익으로 경장보병을 배치하고, 그 남쪽에 흉갑병, 일리리아 병을 배치했다. 그리고 우익에 아카이아의 기병을, 그 뒤에 팔랑크스를 배치하고 마카니다스에 대한 좌익은 필로포이멘이, 우익은 아리스타이네토스가 지휘했다.[17][6]

스파르타군의 전열은 아카이아 동맹군보다 짧아(아마도 포위되는 것을 두려워한 듯) 마카니다스는 우익을 뻗어 같은 길이로 하고, 석궁 부대를 모든 전열 앞으로 보냈다.[18]

3. 2. 전투 전개

마카니다스는 양측 전방에 용병을 배치하고, 그 뒤에 보급대를 배치하였다. 그는 우익에서 경장보병을 지휘했다. 필로포이멘은 만티네이아 시 앞 언덕에서 좌익에 경장보병, 그 남쪽에 흉갑병과 일리리아 병을 배치했다. 우익에는 아카이아 기병과 팔랑크스를 배치하고, 좌익은 필로포이멘이, 우익은 아리스타이네토스가 지휘했다.[17]

스파르타군의 전열은 아카이아 동맹군보다 짧았기 때문에, 마카니다스는 우익을 늘리고 쇠뇌 부대를 전열 앞에 배치했다.[18] 필로포이멘은 적의 의도가 쇠뇌로 아군을 혼란에 빠뜨리는 것임을 간파하고, 타라스 기병에게 즉시 공격을 명령했다. 마카니다스 또한 휘하의 타라스 기병에게 응전하게 했다.[8] 이어서 양측 용병 부대 간의 전투가 벌어졌고, 마카니다스 측 용병 부대가 수와 훈련도에서 우세하여 아카이아군 좌익의 일리리아 병, 흉갑병을 1.26km 가량 후퇴시켰다.[9] 마카니다스는 경장보병을 이끌고 이들을 추격했다.[10][5]

그동안 전장에 남은 아카이아군은 비어있는 좌익에 부대 일부를 이동시켜 보충했다.[11] 한편, 우익의 우세를 본 스파르타군 팔랑크스는 사리사를 던지고 아카이아군에게 돌격했지만, 참호에 빠져 아카이아군의 공격을 받고 패주했다.[12]

적을 추격하던 마카니다스는 만티네이아 시 근처 참호에 가로막혔고,[13] 전장에서 승리한 필로포이멘에게 퇴로를 차단당하고 일기토 끝에 전사했다.[14][5]

아카이아 동맹의 전사자 수는 불분명하지만, 스파르타군은 4,000명의 전사자를 냈다.[15][16]

3. 3. 결과

아카이아 동맹만티네이아 전투에서 크게 이겼다. 이 전투에서 스파르타군은 4,000명이 전사했고,[15][16] 마카니다스 왕은 필로포이멘에게 직접 죽임을 당했다.[14][5] 아카이아 동맹군의 전사자 수는 불분명하다. 이 전투는 필로포이멘의 뛰어난 전략, 전술과 아카이아 동맹군의 용맹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기록되었다.

참조

[1] 서적 Μάχες της Μαντινείας (418 π.Χ. – 362 π.Χ. – 207 π.Χ.) https://www.openbook[...]
[2] 웹사이트 Ελληνιστικοί Χρόνοι http://www.tegeamuse[...] 2022-12-20
[3] 논문 ポリュビオス, XI. 11. 1-2
[4] 논문 ibid, XI. 11. 2-7
[5] 논문 パウサニアス, VIII, 50, 2
[6] 논문 ポリュビオス, XI. 11. 2-7
[7] 논문 ibid, XI. 12. 4
[8] 논문 ibid, XI. 12. 5-7
[9] 논문 ibid, XI. 13. 1-3
[10] 논문 ibid, XI. 14. 1, 6-7
[11] 논문 ibid, XI. 15. 1
[12] 논문 ibid, XI. 15. 6, 16. 1-3
[13] 논문 ibid, XI. 18. 1
[14] 논문 ibid, XI. 18. 4
[15] 논문 ポリュビオス, XI. 18. 10
[16] 논문 プルタルコス, 「フィロポイメン」, 10
[17] 논문 폴리비오스, XI 11. 2-7
[18] 논문 ibid, XI 12. 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