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 콜룸 막 돔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 콜룸 막 돔날은 930년대에서 970년대까지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을 통치한 인물이다. 그는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의 왕인 다프날의 아들로, 게일어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945년 잉글랜드의 에드먼드 1세의 침략으로 왕국이 황폐화된 후, 에드먼드 1세에게 땅을 넘겨받아 통치했다. 973년 체스터 회의에 참석하여 에드거 왕과 다른 왕들과 함께 했으며, 997년에 사망했다. 그의 사후에는 오와인이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스트라드클리드 국왕 - 케레틱 굴레틱
    케레틱 굴레틱은 5세기 얼트 클루트의 왕으로 추정되며, 성 패트릭에 의해 아일랜드 기독교인 노예 매매로 비난받고 파문당했으며, "굴레틱"은 "토지 소유자"를 의미한다.
  • 어스트라드클리드 국왕 - 더픈왈 1세 헨
  • 997년 사망 - 북송 태종
    북송 태종은 형인 송 태조 사후 황위에 올라 오대십국을 통일하고 문치주의를 펼쳤으나 요나라와의 전쟁 실패와 무리한 군사 원정으로 비판받은 북송의 제2대 황제이다.
  • 997년 사망 - 성종 (고려)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문물 제도를 정비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으며, 요나라의 침입을 외교 담판으로 막아내고 강동 6주를 설치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나 왕실 권위가 실추되기도 했던 고려의 제6대 왕이다.
  • 10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두브 막 밀 콜룸
  • 10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말 콜룸 1세 막 돔날
    말 콜룸 1세 막 돔날은 897년 출생하여 943년 콘스탄틴 2세 퇴위 후 스코틀랜드 왕이 되었고 잉글랜드 약탈, 스트래스클라이드 위임, 모레이 진군 등의 활동을 하다 954년 사망했으며 케네스 2세와 두브를 아들로 두었다.
말 콜룸 막 돔날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요
말 콜룸 막 돔날의 이름과 작위 (영국 도서관 코튼 MS Domitian A VIII, 폴리오 5v)
말 콜룸의 이름과 작위. 사료 『첫 번째 색슨인의 도래』에 등장하는 모습: "".
작위어스트라드클리드 국왕
통치
재위97?년-997년
전임자더픈왈 6세 압 오와인 또는 러데르흐 압 더픈왈
후임자오와인 압 더픈왈
개인 정보
사망일997년
부친더픈왈 6세 압 오와인
자녀오와인 포엘?

2.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의 기원과 초기 역사

2. 1. 브리튼족의 정착과 왕국 형성

2. 2. 알트 클루트와 덤바턴

3. 던월 왕가와 잉글랜드의 침략

Máel Coluim은 930년대에서 970년대까지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을 통치했던 Dyfnwal ab Owain의 아들이었다. Máel Coluim의 이름은 게일어이며, 그의 가족과 이웃 알핀 왕조의 알바 왕국 사이의 결혼 동맹의 증거일 수 있다. 또한, 이 이름은 Máel Coluim이 북쪽의 동명이인인 Máel Coluim mac Domnaill의 대부였으며, Dyfnwal이 이 스코틀랜드 왕에게 굴복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Refer to caption
영국 도서관 로열 14 B VI의 2r 면에 나타난 에드먼드 1세의 묘사.


945년, ''Annales Cambriæ'' 와 ''Brut y Tywysogyon''은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이 잉글랜드에 의해 황폐화되었다고 기록한다. ''Anglo-Saxon Chronicle''은 잉글랜드의 왕 에드먼드 1세가 컴브리아의 땅을 침략했고 이 지역을 Máel Coluim mac Domnaill에게 넘겼다고 전한다. 12세기의 ''Historia Anglorum''은 잉글랜드가 왕국을 유린했으며, 에드먼드가 육지와 바다에서 그를 돕기로 동의한 Máel Coluim mac Domnaill에게 그 땅을 위임했다고 기록한다. Wendover 와 Paris 버전의 ''Flores historiarum''에 따르면, 에드먼드는 Dyfnwal의 아들 둘의 눈을 멀게 했다. 왕의 눈을 멀게 하는 의식은 당시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생소한 행위가 아니었으며, 에드먼드가 Dyfnwal에게 왕위 계승자를 빼앗으려고 했을 가능성도 있다.

Dyfnwal의 아들에게 가해진 끔찍한 운명은 그들의 아버지가 잉글랜드에게 한 약속을 어긴 것으로 간주되었음을 보여줄 수 있다. 한 가지 가능성은 Dyfnwal이 섬 스칸디나비아의 유력자들을 보호한 것에 대해 처벌을 받았다는 것이다. 캠페인의 배경이 무엇이었든, 잉글랜드의 케르디칭 왕조가 이웃 유력자들을 위협하고 억누르는 수단으로 활용했을 수 있다. Máel Coluim은 아마도 Dyfnwal의 어린 아들이었으며, 잉글랜드에 의해 신체 훼손을 당한 아들들 중 하나는 아니었다. Máel Coluim이 지닌 게일어 이름은 그가 컴브리아 왕국에 대한 스코틀랜드의 지배 기간 동안 태어났거나, 스코틀랜드와 컴브리아 사이에 비교적 우호적인 관계가 있었던 시기에 태어났음을 나타낼 수 있다.

3. 1. 던월 압 오와인(Dyfnwal ab Owain)의 통치

3. 2. 맬 콜룸의 출생과 게일어 이름

3. 3. 에드먼드 1세의 침략과 그 결과

Map of Britain
Máel Coluim의 생애와 시대와 관련된 지역


945년, ''Annales Cambriæ''[16] 와 ''Brut y Tywysogyon''은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이 잉글랜드에 의해 황폐화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7] ''Anglo-Saxon Chronicle''은 잉글랜드의 왕 에드먼드 1세가 컴브리아의 땅을 침략했고 이 지역을 Máel Coluim mac Domnaill에게 넘겼다고 전한다.[18] 마찬가지로, ''Historia Anglorum''은 잉글랜드가 왕국을 유린했으며, 에드먼드가 육지와 바다에서 그를 돕기로 동의한 Máel Coluim mac Domnaill에게 그 땅을 위임했다고 기록한다.[19]

에드먼드는 Dyfnwal의 아들 둘의 눈을 멀게 했다.[21] 왕의 눈을 멀게 하는 의식은 당시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생소한 행위가 아니었으며,[23] 에드먼드가 Dyfnwal에게 왕위 계승자를 빼앗으려고 했을 가능성도 있다.[24] Dyfnwal의 아들에게 가해진 끔찍한 운명은 그들의 아버지가 잉글랜드에게 한 약속을 어긴 것으로 간주되었음을 보여줄 수 있다.[25]

이러한 캠페인의 배경은 잉글랜드의 케르디칭 왕조가 이웃 유력자들을 위협하고 억누르는 수단으로 활용했을 수 있다.[27]

4. 리데르흐와 스코틀랜드와의 갈등

962년 Illulb mac Custantín, King of Alba가 사망한 후, 스코틀랜드 왕위는 Dub mac Maíl Choluim을 거쳐 Illulb의 아들인 Cuilén에게 넘어갔다.[30] 971년, ''알바 왕 연대기''에 따르면, Rhydderch ap Dyfnwal은 자신의 딸 때문에 Cuilén을 죽였다.[33] ''멜로즈 연대기''[35] 등도 Cuilén의 살해범을 스코틀랜드 왕에게 납치되어 강간당한 딸의 아버지인 Rhydderch로 지목한다.[36]

캡션 참조


Rhydderch가 왕이었다는 증거는 없지만,[37] Cuilén이 그의 딸과 관계를 맺었고, 그의 군대가 Cuilén의 군대를 물리칠 만큼 강력했다는 사실은 그가 상당한 지위에 있었음을 보여준다.[38]

Cuilén의 뒤를 이은 Cináed mac Maíl Choluim은 알바 왕으로서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을 침공했는데,[41] 이는 Cuilén의 살해에 대한 보복이었을 수 있다.[42] 그러나 Cináed의 침공은 실패로 끝났고,[44] 이는 쿰브리아 왕국이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이었음을 보여준다.[45] Rhydderch가 Cuilén의 몰락 시점에 Dyfnwal의 뒤를 이었을 가능성이 있지만,[46] Dyfnwal이 여전히 왕이었고 Cináed의 침공이 Dyfnwal 통치의 마지막 분쟁이었다는 가능성도 있다.[47] Cináed는 포스 강에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는 쿰브리아의 침략을 막기 위한 조치였을 가능성이 있다.[50]

캡션 참조

4. 1. 쿠일렌(Cuilén)의 죽음과 리데르흐의 복수

962년 Illulb mac Custantín, King of Alba가 사망한 후, 스코틀랜드 왕위는 Dub mac Maíl Choluim을 거쳐 Illulb의 아들인 Cuilén에게 넘어갔다.[30] 971년, ''알바 왕 연대기''에 따르면, Rhydderch ap Dyfnwal은 자신의 딸 때문에 Cuilén을 죽였다.[33] 멜로즈 연대기''[35] 등도 Cuilén의 살해범을 스코틀랜드 왕에게 납치되어 강간당한 딸의 아버지인 Rhydderch로 지목한다.[36]

Rhydderch가 왕이었다는 증거는 없지만,[37] Cuilén이 그의 딸과 관계를 맺었고, 그의 군대가 Cuilén의 군대를 물리칠 만큼 강력했다는 사실은 그가 상당한 지위에 있었음을 보여준다.[38]

Cuilén의 뒤를 이은 Cináed mac Maíl Choluim은 알바 왕으로서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을 침공했는데,[41] 이는 Cuilén의 살해에 대한 보복이었을 수 있다.[42] 그러나 Cináed의 침공은 실패로 끝났고,[44] 이는 쿰브리아 왕국이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이었음을 보여준다.[45] Rhydderch가 Cuilén의 몰락 시점에 Dyfnwal의 뒤를 이었을 가능성이 있지만,[46] Dyfnwal이 여전히 왕이었고 Cináed의 침공이 Dyfnwal 통치의 마지막 분쟁이었다는 가능성도 있다.[47] Cináed는 포스 강에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는 쿰브리아의 침략을 막기 위한 조치였을 가능성이 있다.[50]

4. 2. 키나드 2세(Cináed mac Maíl Choluim)의 침공과 실패

962년 Illulb mac Custantín, King of Alba가 사망한 후, Dub mac Maíl Choluim이 스코틀랜드 왕위를 차지했다가 Illulb의 아들인 Cuilén에게 대체되었다.[30] 971년 Cuilén은 Dyfnwal의 아들에게 살해당했는데,[32] ''알바 왕 연대기''는 살해범이 자신의 딸 때문에 Cuilén을 죽인 Rhydderch ap Dyfnwal이라고 기록하고 있다.[33] Rhydderch가 왕이었다는 증거는 없지만,[37] Cuilén이 그의 딸과 관계를 맺었고 그의 군대가 Cuilén의 군대를 물리칠 만큼 강력했다는 점을 볼 때, 그는 뛰어난 지위에 있었을 것이다.[38]

Cuilén의 뒤를 이은 Cináed mac Maíl Choluim[40]은 알바 왕으로서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을 침공했다.[41] 이 원정은 Cuilén의 살해에 대한 보복이었거나,[42] 스코틀랜드 권위에 대한 브리튼족의 공격을 진압하는 과정이었을 수 있다.[43] 하지만 Cináed의 침공은 실패로 끝났는데,[44] 이는 Cuilén의 살해와 더불어 쿰브리아 왕국이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이었음을 보여준다.[45] ''알바 왕 연대기''에 따르면, Cináed는 포스 강에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는 쿰브리아의 침략을 막기 위한 조치였을 가능성이 있다.[50]

5. 맬 콜룸과 체스터 회담

wikitext

973년 체스터에서 에드거 왕과 여러 왕들이 모인 사건은 당시 브리튼의 복잡한 국제 정세를 보여준다.[53][54]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D", "E", "F" 버전에 따르면, 에드거 왕은 대규모 해군을 소집하여 체스터에서 6명의 왕을 만났다고 한다.[54] 10세기에는 그 수가 8명으로 늘어났으며,[55] 12세기에는 8명의 왕의 이름이 밝혀졌다.[56][57][58] 이들은 데 강을 따라 에드거 왕을 노를 저어 내려갔다고 한다.[61]

8명의 왕이 노를 저어 강을 내려가는 왕의 흑백 삽화
왼쪽


이 상징적인 이야기는 역사적 과장일 수 있지만,[66] 8명의 왕 대부분은 동시대 통치자와 연관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에드거와 화합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66]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왕들이 에드거에게 복종했다고 주장하지 않고, 단지 그들이 그와 협력하기로 합의하여 그의 efen-wyrhtanang ("공동 작업자", "동등 작업자", "동료 작업자")가 되었다고 명시한다.[68]

973년 체스터 회의는 945년 에드먼드의 컴브리아 침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에드먼드는 컴브리아를 Máel Coluim mac Domnaill에게 letang했을 때, 후자가 그의 mid-wyrhtaang ("공동 작업자", "동등 작업자", "동료 작업자", "함께 작업자")가 된다는 조건으로 그렇게 했다.[69]

체스터 회의 장소는 모든 당사자에게 논리적인 장소였을 것이다.[76] 927년까지 스트래스클라이드의 남부 국경은 페스리 근처의 이몬트 강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75]

회의 참석자 중 한 명은 알바의 왕 키나드였다.[80] 키나드와 아믈라입 막 일룰브의 통치 시기가 불확실하고[82]—아믈라입 막 일룰브는 아마도 971/976–977년에[83], 키나드는 971/977–995년에 통치했을 것이다[81]—알바 왕이 회의에서 수행한 역할은 그의 왕국의 국경과 관련이 있었을 수 있다.[84]

다른 참석자로는 마쿠스 막 아라일트와[85] 그의 형제 고프라이드 막 아라일트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86] 이들은 제도인으로 스코틀랜드인[84]과 컴브리아인에게 위협적인 존재였을 수 있다.[81] 마쿠스와 고프라이드는 그 십 년 초에 앵글시를 황폐화했는데,[87] 이는 에드거의 회의가 이 활기찬 섬의 스칸디나비아인들이 제기하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이었음을 시사한다.[88]

이 회의는 아믈라입 쿠아란의 세력 상승과도 관련이 있었을 수 있다.[91] 에드거는 마쿠스와 고프라이드와 같은 이들을 억제하고, 그들이 아믈라입 쿠아란과 연계하는 것을 막고 싶어했을 수 있다.[92] 잉글랜드 북부 국경 안정 역시 중요한 요인이었다. 토레드 구너슨은 966년 웨스트모어랜드를 황폐화했는데,[93] 이는 컴브리아 남쪽 확장에 대한 대응이었을 수 있다.[93]

에드거 왕이 973년 체스터에서 맬 콜룸을 비롯한 여러 왕들을 소집했다는 증거가 있다.[53]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D", "E", "F" 버전에 따르면, 잉글랜드 왕 에드거는 대규모 해군을 소집하여 체스터에서 6명의 왕을 만났다.[54] 10세기 무렵에는 그를 만난 왕의 수가 8명으로 늘어났다고 하며,[55] 12세기에는 8명의 왕의 이름이 밝혀졌다.[56] 이들은 데 강을 따라 에드거를 노를 저어 내려갔다고 한다.[61]

8명의 왕이 에드거를 강 아래로 노를 저어 내려갔다는 이야기는 역사적 과장일 수 있지만, 왕들의 이름 대부분은 동시대 통치자와 연관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에드거와 화합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66]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왕들이 에드거에게 복종했다고 주장하지 않고, 단지 그와 협력하기로 합의하여 그의 efen-wyrhtanang ("공동 작업자", "동등 작업자", "동료 작업자")가 되었다고 명시한다.[68]

이 회의는 945년 에드먼드가 컴브리아를 침략한 사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에드먼드는 컴브리아를 맬 콜룸 막 돔날에게 letang하면서, 그가 자신의 mid-wyrhtaang ("공동 작업자", "동등 작업자", "동료 작업자", "함께 작업자")가 된다는 조건으로 양도했다.[69]

973년 체스터 회의 장소는 모든 당사자에게 논리적인 장소였을 것이다.[76] 회의와 거의 같은 시기에, 에드거가 노섬브리아의 앨더맨리를 북부와 남부로 나누어 티스 강과 Myreforthla로 나눴다는 언급이 있다.[77] 만약 후자의 위치가 에스크 강과 솔웨이 만 사이의 갯벌을 가리킨다면,[77] 이는 오늘날 컴벌랜드가 컴브리아 왕실의 권한에서 벗어나 잉글랜드의 손에 들어갔음을 의미할 수 있다.[78]

다른 왕들 중에는 키나드, 마쿠스 막 아라일트, 고프라이드 막 아라일트 등이 있었다.[80][85][86] 마쿠스와 고프라이드는 스코틀랜드인과 컴브리아인에게 위협으로 여겨졌을 수 있으며,[84][81] 에드거의 회의는 이들이 제기하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이었을 수 있다.[88] 실제로, 체스터 회의 결과 이 형제들이 영국 본토에서 서쪽으로 아일랜드로 관심을 돌렸을 가능성도 있다.[89]

이 회의는 아믈라입 쿠아란의 세력 상승과도 관련이 있었을 수 있다.[91] 에드거는 마쿠스와 고프라이드 같은 이들을 억제하고, 스코틀랜드인과 컴브리아인이 아믈라입 쿠아란과 연계하여 아일랜드해 지역에서 그의 권위를 인정하는 것을 막고 싶어했을 수 있다.[92] 또한 잉글랜드 북부 국경의 안정 역시 중요한 요인이었을 것이다.[93]

5. 1. 체스터 회담의 배경과 참석자

973년 체스터에서 에드거 왕과 여러 왕들이 모인 사건은 당시 브리튼의 복잡한 국제 정세를 보여준다.[53][54]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D", "E", "F" 버전에 따르면, 에드거 왕은 대규모 해군을 소집하여 체스터에서 6명의 왕을 만났다고 한다.[54] 10세기에는 그 수가 8명으로 늘어났으며,[55] 12세기에는 8명의 왕의 이름이 밝혀졌다.[56][57][58] 이들은 데 강을 따라 에드거 왕을 노를 저어 내려갔다고 한다.[61]

이 상징적인 이야기는 역사적 과장일 수 있지만,[66] 8명의 왕 대부분은 동시대 통치자와 연관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에드거와 화합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66]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왕들이 에드거에게 복종했다고 주장하지 않고, 단지 그들이 그와 협력하기로 합의하여 그의 efen-wyrhtanang ("공동 작업자", "동등 작업자", "동료 작업자")가 되었다고 명시한다.[68]

973년 체스터 회의는 945년 에드먼드의 컴브리아 침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에드먼드는 컴브리아를 Máel Coluim mac Domnaill에게 letang했을 때, 후자가 그의 mid-wyrhtaang ("공동 작업자", "동등 작업자", "동료 작업자", "함께 작업자")가 된다는 조건으로 그렇게 했다.[69]

체스터 회의 장소는 모든 당사자에게 논리적인 장소였을 것이다.[76] 927년까지 스트래스클라이드의 남부 국경은 페스리 근처의 이몬트 강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75]

회의 참석자 중 한 명은 알바의 왕 키나드였다.[80] 키나드와 아믈라입 막 일룰브의 통치 시기가 불확실하고[82]—아믈라입 막 일룰브는 아마도 971/976–977년에[83], 키나드는 971/977–995년에 통치했을 것이다[81]—알바 왕이 회의에서 수행한 역할은 그의 왕국의 국경과 관련이 있었을 수 있다.[84]

다른 참석자로는 마쿠스 막 아라일트와[85] 그의 형제 고프라이드 막 아라일트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86] 이들은 제도인으로 스코틀랜드인[84]과 컴브리아인에게 위협적인 존재였을 수 있다.[81] 마쿠스와 고프라이드는 그 십 년 초에 앵글시를 황폐화했는데,[87] 이는 에드거의 회의가 이 활기찬 섬의 스칸디나비아인들이 제기하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이었음을 시사한다.[88]

이 회의는 아믈라입 쿠아란의 세력 상승과도 관련이 있었을 수 있다.[91] 에드거는 마쿠스와 고프라이드와 같은 이들을 억제하고, 그들이 아믈라입 쿠아란과 연계하는 것을 막고 싶어했을 수 있다.[92] 잉글랜드 북부 국경 안정 역시 중요한 요인이었다. 토레드 구너슨은 966년 웨스트모어랜드를 황폐화했는데,[93] 이는 컴브리아 남쪽 확장에 대한 대응이었을 수 있다.[93]

5. 2. 회담의 목적과 결과

에드거 왕이 973년 체스터에서 맬 콜룸을 비롯한 여러 왕들을 소집했다는 증거가 있다.[53]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D", "E", "F" 버전에 따르면, 잉글랜드 왕 에드거는 대규모 해군을 소집하여 체스터에서 6명의 왕을 만났다.[54] 10세기 무렵에는 그를 만난 왕의 수가 8명으로 늘어났다고 하며,[55] 12세기에는 8명의 왕의 이름이 밝혀졌다.[56] 이들은 데 강을 따라 에드거를 노를 저어 내려갔다고 한다.[61]

8명의 왕이 에드거를 강 아래로 노를 저어 내려갔다는 이야기는 역사적 과장일 수 있지만, 왕들의 이름 대부분은 동시대 통치자와 연관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에드거와 화합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66]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왕들이 에드거에게 복종했다고 주장하지 않고, 단지 그와 협력하기로 합의하여 그의 efen-wyrhtanang ("공동 작업자", "동등 작업자", "동료 작업자")가 되었다고 명시한다.[68]

이 회의는 945년 에드먼드가 컴브리아를 침략한 사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에드먼드는 컴브리아를 맬 콜룸 막 돔날에게 letang하면서, 그가 자신의 mid-wyrhtaang ("공동 작업자", "동등 작업자", "동료 작업자", "함께 작업자")가 된다는 조건으로 양도했다.[69]

973년 체스터 회의 장소는 모든 당사자에게 논리적인 장소였을 것이다.[76] 회의와 거의 같은 시기에, 에드거가 노섬브리아의 앨더맨리를 북부와 남부로 나누어 티스 강과 Myreforthla로 나눴다는 언급이 있다.[77] 만약 후자의 위치가 에스크 강과 솔웨이 만 사이의 갯벌을 가리킨다면,[77] 이는 오늘날 컴벌랜드가 컴브리아 왕실의 권한에서 벗어나 잉글랜드의 손에 들어갔음을 의미할 수 있다.[78]

다른 왕들 중에는 키나드, 마쿠스 막 아라일트, 고프라이드 막 아라일트 등이 있었다.[80][85][86] 마쿠스와 고프라이드는 스코틀랜드인과 컴브리아인에게 위협으로 여겨졌을 수 있으며,[84][81] 에드거의 회의는 이들이 제기하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이었을 수 있다.[88] 실제로, 체스터 회의 결과 이 형제들이 영국 본토에서 서쪽으로 아일랜드로 관심을 돌렸을 가능성도 있다.[89]

이 회의는 아믈라입 쿠아란의 세력 상승과도 관련이 있었을 수 있다.[91] 에드거는 마쿠스와 고프라이드 같은 이들을 억제하고, 스코틀랜드인과 컴브리아인이 아믈라입 쿠아란과 연계하여 아일랜드해 지역에서 그의 권위를 인정하는 것을 막고 싶어했을 수 있다.[92] 또한 잉글랜드 북부 국경의 안정 역시 중요한 요인이었을 것이다.[93]

6. 맬 콜룸의 통치와 죽음

다프날[97]에드거는 모두 975년에 사망했다.[98] 여러 아일랜드 연대기에 따르면 다프날은 순례 중에 죽음을 맞이했다.[99] 현존하는 자료에는 975년 다프날의 부고와 997년 Máel Coluim의 부고 사이의 쿰브리아 왕국에 대한 언급이 없다.[100] 다프날이 언제 왕위를 잃었는지는 불확실하다. 한편으로는, 리더르크가 971년에 권력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38] 다른 한편으로는, 다프날이 973년에도 여전히 통치하고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101] 실제로, 이것이 그가 Máel Coluim에게 권력을 넘겨준 시점일 수 있다. 이는 2년 전 리더르크가 퀼렌을 암살한 결과일 수 있다.[102] 또는 다프날은 순례를 떠날 때까지 왕권을 유지했을 수 있다.[103]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에드거의 죽음이 이 마지막 여정을 촉발하고 쿰브리아 왕위가 Máel Coluim에게 이전되었을 수 있다.[81]

캡션 참조


캡션 참조


Máel Coluim이 회의에 참여한 것은 그의 아버지의 순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그는 에드거의 왕국을 거치는 다프날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받고자 했을 것이다.[84] Máel Coluim이 회의에 참석한 왕 중 한 명으로 확인되었다는 사실은 다프날이 회의 전에 그에게 통치권을 넘겨주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106] 반대로, Máel Coluim의 칭호는 그가 단지 늙은 아버지를 대표했을 뿐이며,[107] 섭정 역할을 했을 수도 있다.[108] Máel Coluim이 실제로 회의 전에 왕위를 차지했다는 증거는 970년 울머에서 영국 왕실 헌장을 증언한 Malcolm duxla의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109]

만약 Máel Coluim이 다프날의 뒤를 이었다면, 이는 리더르크가 (그가 실제로 Máel Coluim의 형제였다면) 죽었거나 왕으로 통치할 수 없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945년 잉글랜드인에게 부상을 입은 다프날의 아들들이 970년대에도 살아 있었을 가능성은 있지만,[47] 이들이 겪은 끔찍한 부상으로 인해 통치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졌을 것이다.[115] 즉위와 관련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Máel Coluim의 통치는 뚜렷한 특징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16]

Máel Coluim은 동시대 아일랜드, 잉글랜드, 프랑크 왕들과 함께 10세기의 ''살타이르 나 란''에 보존된 여러 행렬 구절로 기념된다.[119] 그는 997년에 사망했는데, 이는 그의 북부의 상대인 쿠스탄틴 막 퀼레인이 사망한 해와 같다.[120] Máel Coluim의 죽음은 ''클론맥노이스 연대기'',[121] ''얼스터 연대기'',[122] ''스코토룸 연대기'',[123] 그리고 ''티거르나흐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 후자는 그를 "북부 브리튼인의 왕"으로 칭한다.[124] Máel Coluim은 오와인이라는 형제가 뒤를 이은 것으로 보인다.[125] 후임자는 오와인 포엘로 보이며, 그는 Máel Coluim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127]

6. 1. 맬 콜룸의 섭정과 즉위

다프날[97]에드거는 모두 975년에 사망했다.[98] 여러 아일랜드 연대기에 따르면 다프날은 순례 중에 죽음을 맞이했다.[99] 현존하는 자료에는 975년 다프날의 부고와 997년 Máel Coluim의 부고 사이의 쿰브리아 왕국에 대한 언급이 없다.[100] 다프날이 언제 왕위를 잃었는지는 불확실하지만, 리더르크가 971년에 권력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38]

973년, 체스터 회의에서 Máel Coluim이 에드거에게 복종을 맹세했을 가능성이 있다.[106] Máel Coluim이 회의에 참여한 것은 그의 아버지 다프날의 순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그는 에드거의 왕국을 거치는 다프날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받고자 했을 것이다.[84] 혹은 Máel Coluim은 늙은 아버지를 대신하여 섭정 역할을 했을 수도 있다.[107][108]

970년 울머에서 영국 왕실 헌장을 증언한 Malcolm duxla의 기록은 Máel Coluim이 그 이전에 즉위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다.[109] 이 헌장의 진위 여부는 의문스럽지만, 증언된 말콤은 Máel Coluim 자신과 동일 인물일 수 있다.[110] 만약 Máel Coluim이 실제로 973년에 왕이었다면, 회의에서 다프날의 역할은 일종의 '원로 정치인'이었을 것이다.[112]

만약 Máel Coluim이 다프날의 뒤를 이었다면, 이는 리더르크가 죽었거나 왕으로 통치할 수 없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945년 잉글랜드인에게 부상을 입은 다프날의 아들들이 970년대에도 살아 있었을 가능성은 있지만,[47] 이들이 겪은 끔찍한 부상으로 인해 통치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졌을 것이다.[115] 즉위와 관련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Máel Coluim의 통치는 뚜렷한 특징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16] 다프날이 로마로 떠났다는 사실은 후자가 부재 중에 왕국이나 왕조가 위협받지 않는다고 생각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일 수 있다.[118]

Máel Coluim은 997년에 사망했는데, 이는 쿠스탄틴 막 퀼레인이 사망한 해와 같다.[120] Máel Coluim의 죽음은 ''클론맥노이스 연대기'',[121] ''얼스터 연대기'',[122] ''스코토룸 연대기'',[123] 그리고 ''티거르나흐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 후자는 그를 "북부 브리튼인의 왕"으로 칭한다.[124]

6. 2. 맬 콜룸의 통치 기간과 업적

맬 콜룸은 다프날[97]에드거가 모두 사망한 975년[98] 이후, 쿰브리아 왕국의 왕위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다프날의 사망 시점은 불확실하지만, 973년에 맬 콜룸에게 왕위를 넘겨주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01] 이는 2년 전 리더르크가 퀼렌을 암살한 결과일 수도 있다.[102] 혹은 다프날이 순례를 떠날 때까지 왕권을 유지했을 수도 있으며, 에드거의 죽음이 순례와 왕위 이전을 촉발했을 가능성도 있다.[81]

973년 맬 콜룸이 에드거와 회의에 참석한 것은 아버지 다프날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수 있다.[84] 혹은 맬 콜룸이 이미 왕위를 계승하여 회의에 참석했을 수도 있고,[106] 섭정 역할을 수행했을 수도 있다.[107] 970년 울머에서 영국 왕실 헌장을 증언한 Malcolm duxla가 맬 콜룸일 가능성도 제기된다.[109] 만약 맬 콜룸이 973년에 이미 왕이었다면, 다프날은 회의에서 '원로 정치인' 역할을 수행했을 수 있다.[112]

맬 콜룸의 즉위와 관련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그의 통치는 뚜렷한 특징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16] 다프날이 로마로 떠날 때 왕국이나 왕조가 위협받지 않는다고 생각했다는 점은 이를 뒷받침한다.[118]

맬 콜룸은 10세기의 ''살타이르 나 란''에 여러 행렬 구절로 기념된다.[119] 그는 997년에 사망했으며,[120] 그의 죽음은 ''클론맥노이스 연대기'',[121] ''얼스터 연대기'',[122] ''스코토룸 연대기'',[123] ''티거르나흐 연대기''[124]에 기록되어 있다. ''티거르나흐 연대기''는 그를 "북부 브리튼인의 왕"으로 칭한다.[124] 맬 콜룸은 오와인이라는 형제가 뒤를 이은 것으로 보이며,[125] 후임자는 오와인 포엘로 추정된다.[127]

6. 3. 맬 콜룸의 죽음과 왕위 계승

다프날[97]에드거는 모두 975년에 사망했다.[98] 여러 아일랜드 연대기에 따르면 다프날은 순례 중에 죽음을 맞이했다.[99] 현존하는 자료에는 975년 다프날의 부고와 997년 Máel Coluim의 부고 사이의 쿰브리아 왕국에 대한 언급이 없다.[100] 다프날이 언제 왕위를 잃었는지는 불확실하다. 한편으로는, 리더르크가 971년에 권력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38] 다른 한편으로는, 다프날이 973년에도 여전히 통치하고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101] 실제로, 이것이 그가 Máel Coluim에게 권력을 넘겨준 시점일 수 있다. 이는 2년 전 리더르크가 퀼렌을 암살한 결과일 수 있다.[102] 또는 다프날은 순례를 떠날 때까지 왕권을 유지했을 수 있다.[103]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에드거의 죽음이 이 마지막 여정을 촉발하고 쿰브리아 왕위가 Máel Coluim에게 이전되었을 수 있다.[81]

Máel Coluim이 회의에 참여한 것은 그의 아버지의 순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그는 에드거의 왕국을 거치는 다프날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받고자 했을 것이다.[84] Máel Coluim이 회의에 참석한 왕 중 한 명으로 확인되었다는 사실은 다프날이 회의 전에 그에게 통치권을 넘겨주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106] 반대로, Máel Coluim의 칭호는 그가 단지 늙은 아버지를 대표했을 뿐이며,[107] 섭정 역할을 했을 수도 있다.[108] Máel Coluim이 실제로 회의 전에 왕위를 차지했다는 증거는 970년 울머에서 영국 왕실 헌장을 증언한 Malcolm duxla의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109]

만약 Máel Coluim이 다프날의 뒤를 이었다면, 이는 리더르크가 (그가 실제로 Máel Coluim의 형제였다면) 죽었거나 왕으로 통치할 수 없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945년 잉글랜드인에게 부상을 입은 다프날의 아들들이 970년대에도 살아 있었을 가능성은 있지만,[47] 이들이 겪은 끔찍한 부상으로 인해 통치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졌을 것이다.[115] 즉위와 관련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Máel Coluim의 통치는 뚜렷한 특징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16]

Máel Coluim은 동시대 아일랜드, 잉글랜드, 프랑크 왕들과 함께 10세기의 ''살타이르 나 란''에 보존된 여러 행렬 구절로 기념된다.[119] 그는 997년에 사망했는데, 이는 그의 북부의 상대인 쿠스탄틴 막 퀼레인이 사망한 해와 같다.[120] Máel Coluim의 죽음은 ''클론맥노이스 연대기'',[121] ''얼스터 연대기'',[122] ''스코토룸 연대기'',[123] 그리고 ''티거르나흐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 후자는 그를 "북부 브리튼인의 왕"으로 칭한다.[124] Máel Coluim은 오와인이라는 형제가 뒤를 이은 것으로 보인다.[125] 후임자는 오와인 포엘로 보이며, 그는 Máel Coluim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127]

7.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의 쇠퇴와 멸망

8.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의 유산

8. 1. 문화적 유산

8. 2. 역사적 의의

참조

[1] 문서 Davidson (2002) p. 142 n. 149; Arnold (1885) p. 372; ''Cotton MS Domitian A VIII'' (n.d.)
[2] 문서 Downham (2007)
[3] 문서 Clarkson (2014); Edmonds (2014); Charles-Edwards (2013b); Oram (2011); Aird (2009); Davidson (2002); Hudson (1996)
[4] 문서 Minard (2012); Parsons (2011); Woolf (2007); Busse (2006c); Minard (2006); Broun (2004c); Hicks (2003); Thornton (2001)
[5] 문서 Duncan (2002)
[6] 문서 Williams (2014); Walker (2013); Clarkson (2012); Minard (2012); Clarkson (2010); Keynes (2008); Breeze (2007); Macquarrie (2004); Hicks (2003); Duncan (2002); Hudson (2002); Jayakumar (2002)
[7] 문서 Charles-Edwards (2013b)
[8] 문서 Clarkson (2010)
[9] 문서 Clarkson (2014) ch. genealogical tables; Charles-Edwards (2013b) p. 572 fig. 17.4; Clarkson (2010) ch. genealogical tables; Woolf (2007) p. 238 tab. 6.4; Broun (2004c) p. 135 tab.; Macquarrie (1998) pp. 6, 16; Hudson (1994) p. 173 genealogy 6
[10] 문서 Thornton (2001) p. 67
[11] 문서 Clarkson (2010) ch. 9 ¶ 44
[12] 문서 Parsons (2011) p. 129; Woolf (2007) p. 184
[13] 문서 Clarkson (2013) p. 25
[14] 문서 Woolf (2007) pp. xiii, 184, 184 n. 17; Koch (2006); Bruford (2000) pp. 64, 65 n. 76; Schrijver (1995) p. 81
[15] 문서 ''Royal MS 14 B VI'' (n.d.)
[16] 문서 Gough-Cooper (2015a) p. 27 § a509.3; Keynes (2015) pp. 95–96; Clarkson (2014) ch. 6 ¶ 14, 6 n. 19; Halloran (2011) p. 308, 308 n. 40; Woolf (2010) p. 228, 228 n. 27; Downham (2007) p. 153; Woolf (2007) p. 183; Downham (2003) p. 42; Hicks (2003) p. 39; Alcock (1975–1976) p. 106; Anderson, AO (1922) p. 449
[17] 문서 Clarkson (2014) ch. 6 ¶ 15; Clarkson (2010) ch. 9 ¶ 25; Downham (2003) p. 42; Hicks (2003) p. 39; Anderson, AO (1922) p. 449; Rhŷs (1890) p. 261; Williams Ab Ithel (1860) pp. 20–21
[18] 문서 Gough-Cooper (2015a) p. 27 n. 191; Keynes (2015) pp. 95–96; McGuigan (2015) pp. 83, 139–140; McLeod (2015) p. 4; Molyneaux (2015) pp. 33, 52–53, 76; Clarkson (2014) chs. 1 ¶ 10, 6 ¶ 11, 6 n. 18, 6 ¶ 20; Walker (2013) ch. 4 ¶ 5; Halloran (2011) p. 307, 307 n. 36; Molyneaux (2011) pp. 66, 66 n. 27, 69, 70, 73, 88; Clarkson (2010) ch. 9 ¶¶ 25–27; Woolf (2010) p. 228, 228 n. 26; Downham (2007) p. 153; Woolf (2007) p. 183; Clancy (2006); Williams (2004b); Downham (2003) p. 42; Hicks (2003) p. 16 n. 35; Duncan (2002) p. 23; Thornton (2001) p. 78, 78 n. 114; O'Keeffe (2001) p. 80; Williams (1999) p. 86; Whitelock (1996) p. 224; Smyth (1989) pp. 205–206; Alcock (1975–1976) p. 106; Stenton (1963) p. 355; Anderson, AO (1908) p. 74, 74 n. 3; Thorpe (1861) pp. 212–213
[19] 문서 Holland (2016) ch. Malmesbury ¶ 7; Clarkson (2014) ch. 6 ¶ 11, 6 n. 20; Anderson, AO (1908) p. 74 nn. 4–5; Arnold (1879) p. 162 bk. 5 ch. 21; Forester (1853) p. 172 bk. 5
[20] 문서 Firth (2016) pp. 24–25; McGuigan (2015) p. 139; Molyneaux (2015) pp. 33, 61, 76; Clarkson (2014) ch. 6 ¶¶ 12–13, 6 n. 21; Halloran (2011) p. 308; Molyneaux (2011) pp. 66, 66 n. 27, 70; Woolf (2007) p. 183; Duncan (2002) p. 23; Thornton (2001) p. 78, 78 n. 114; Hudson (1994) p. 174 n. 12; Stenton (1963) p. 355; Anderson, AO (1908) p. 74 n. 5; Giles (1849) pp. 252–253; Coxe (1841) p. 398
[21] 문서 McGuigan (2015) p. 139; Luard (2012) p. 500; Halloran (2011) p. 308, 308 n. 41; Yonge (1853) p. 473
[22] 문서 Clarkson (2014) ch. 6 ¶ 14; Clarkson (2010) ch. 9 ¶ 25
[23] 문서 Clarkson (2014) ch. 6 n. 23
[24] 문서 Clarkson (2014) chs. 6 ¶ 14, 7 ¶ 5
[25] 문서 Holland (2016) ch. Malmesbury ¶ 5; Molyneaux (2015) pp. 77–78; Woolf (2007) p. 183
[26] 문서 Oram (2011) ch. 2
[27] 문서 Molyneaux (2015) pp. 33, 77–78
[28] 문서 Clarkson (2014) ch. 7 ¶ 5
[29] 문서 Anderson, AO (1922) p. 476; Stevenson, J (1835) p. 226; ''Cotton MS Faustina B IX'' (n.d.)
[30] 문서 Broun (2004a)
[31] 문서 Walker (2013) ch. 4 ¶ 23
[32] 문서 Broun (2015); Clarkson (2014) ch. 7 ¶ 6; Clarkson (2012) ch. 9 ¶¶ 28–29; Oram (2011) chs. 2, 5; Clarkson (2010) ch. 9 ¶ 29; Busse (2006b); Busse (2006c); Broun (2004c) p. 135 tab.; Macquarrie (2004); Macquarrie (1998) pp. 6, 16; Hudson (1994) pp. 173 genealogy 6, 174 n. 10; Williams; Smyth; Kirby (1991) pp. 92, 104
[33] 문서 Clarkson (2010) ch. 9 ¶ 29; Macquarrie (1998) p. 16; Anderson, AO (1922) p. 476, 476 n. 1; Skene (1867) p. 151
[34] 문서 Broun (2005) pp. 87–88 n. 37; Skene (1867) p. 179
[35] 문서 Clarkson (2010) ch. 9 ¶¶ 32–33; Woolf (2007) p. 204; Macquarrie (2004); Hicks (2003) pp. 40–41; Anderson, AO (1922) p. 476; Stevenson, J (1835) p. 226
[36] 문서 Hudson (1994)
[37] 문서 Macquarrie (2004)
[38] 문서 Macquarrie (2004)
[39] 문서 'The Annals of Tigernach'' (2016)'
[40] 문서 Broun (2004a)
[41] 문서 Williams (2014)
[42] 문서 Walker (2013)
[43] 문서 Walker (2013)
[44] 문서 Clarkson (2010)
[45] 문서 McGuigan (2015)
[46] 문서 Thornton (2001)
[47] 문서 Clarkson (2010)
[48] 문서 Hicks (2003)
[49] 문서 McGuigan (2015)
[50] 문서 Clarkson (2012)
[51] 문서 Rhŷs (1890)
[52] 문서 Clarkson (2014)
[53] 문서 Clarkson (2014)
[54] 문서 Firth (2018)
[55] 문서 Edmonds (2015)
[56] 문서 Firth (2018)
[57] 문서 Edmonds (2015)
[58] 문서 McGuigan (2015)
[59] 문서 Thornton (2001)
[60] 문서 Thornton (2001)
[61] 문서 Luard (2012)
[62] 문서 Hicks (2003)
[63] 문서 Davidson (2002)
[64] 문서 Cassell's History of England'' (1909)'
[65] 문서 Williams (2004)
[66] 문서 Thornton (2001)
[67] 문서 Thornton (2001)
[68] 문서 Davidson (2002)
[69] 문서 Hicks (2003)
[70] 문서 Keynes (2008)
[71] 서적 Anderson, MO (1960)
[72] 서적 Luard (2012)
[73] 서적 Anderson, MO (1960)
[74] 서적 Downham (2007)
[75] 서적 Dumville (2018)
[76] 서적 Barrow (2001)
[77] 서적 McGuigan (2015)
[78] 서적 Duncan (2002)
[79] 서적 O'Keeffe (2001)
[80] 서적 Aird (2009)
[81] 서적 Woolf (2007)
[82] 서적 Woolf (2007)
[83] 서적 Duncan (2002)
[84] 서적 Matthews (2007)
[85] 서적 Jennings (2015)
[86] 서적 Clarkson (2014)
[87] 서적 Gough-Cooper (2015b)
[88] 서적 Charles-Edwards (2013b)
[89] 서적 Downham (2007)
[90] 서적 Baker (2000)
[91] 서적 Charles-Edwards (2013b)
[92] 서적 Charles-Edwards (2013b)
[93] 서적 Williams (2014)
[94] 서적 McGuigan (2015)
[95] 서적 McGuigan (2015)
[96] 서적 Walker (2013)
[97] 서적 Clarkson (2014)
[98] 서적 Clarkson (2014)
[99] 서적 "''The Annals of Ulster'' (2017)"
[100] 서적 Clarkson (2010)
[101] 서적 Walker (2013)
[102] 서적 Walker (2013)
[103] 서적 Walker (2013)
[104] 서적 Anderson, AO (1922)
[105] 서적 Minard (2012)
[106] 문서
[107] 문서
[108] 문서
[109] 문서
[110] 문서
[111] 문서
[112] 문서
[113] 문서
[114] 문서
[115] 문서
[116] 문서
[117] 문서
[118] 문서
[119] 문서
[120] 문서
[121] 문서
[122] 문서
[123] 문서
[124] 문서
[125] 문서
[126] 문서
[12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