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괄량이 길들이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극으로, 파도바의 부유한 상인 밥티스타의 두 딸, 카트리나와 비앙카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성격이 거친 언니 카트리나와 달리 순종적인 동생 비앙카에게 구혼자가 몰리자, 밥티스타는 카트리나가 먼저 결혼해야 비앙카도 결혼시킬 수 있다고 선언한다. 베로나 출신의 신사 페트루치오는 카트리나의 재산을 노리고 결혼을 제안하고, 그녀의 거친 행동에 맞서며 길들이려 한다. 한편, 비앙카에게는 여러 구혼자들이 등장하여 경쟁하며, 결국 카트리나는 페트루치오에게 굴복하고 비앙카는 루센티오와 결혼한다. 작품은 여성의 복종, 성 정치학, 잔혹성, 돈과 같은 주제를 다루며, 도입부에서는 크리스토퍼 슬라이라는 술주정뱅이가 연극을 관람하는 설정이 등장한다. 이 작품은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으며, 여성 혐오적인 내용으로 비판받기도 하지만, 여성의 역할과 남녀 간의 권력 관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로나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베로나의 두 신사
    베로나의 두 신사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초기 희극으로, 우정과 사랑 사이의 갈등, 배신과 용서를 다루며 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적 가치관과 사랑에 대한 관념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1590년대 희곡 - 사랑의 헛수고
    《사랑의 헛수고》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극으로, 나바라 왕과 귀족들이 학문에 전념하려다 여성들을 만나 맹세가 깨지는 과정을 언어유희와 풍자로 그린 작품이다.
  • 1590년대 희곡 - 한여름 밤의 꿈
    《한여름 밤의 꿈》은 셰익스피어가 쓴 희극으로, 아테네 공작의 결혼 축하 행사와 숲 속 요정 세계를 배경으로 사랑, 환상,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인물들의 관계를 그린 작품이다.
  • 결혼식을 소재로 한 작품 - 난타
    난타는 사물놀이 리듬을 기반으로 주방 도구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한국의 비언어극으로, 해외 데뷔 성공 이후 세계적인 공연으로 성장하여 다양한 볼거리와 관객 참여를 특징으로 한다.
  • 결혼식을 소재로 한 작품 - 팸 & 토미
    파멜라 앤더슨과 토미 리의 결혼 생활과 신혼여행 비디오 유출 사건을 다룬 훌루 리미티드 시리즈 《팸 & 토미》는 1990년대 유명인 사생활 침해와 인터넷 발달의 영향을 그리며 엇갈린 평가를 받았고, 파멜라 앤더슨은 불편함을 표했다.
말괄량이 길들이기
기본 정보
말괄량이 길들이기 제목 페이지
말괄량이 길들이기 제목 페이지
원제The Taming of the Shrew
장르희극
배경파도바와 시골
쓰여진 시기1590–1591년경
초연1592년경
발표 시기1623년 (First Folio)
작가
작가윌리엄 셰익스피어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카테리나 미놀라
페트루키오
비앙카 미놀라
루첸시오
호르텐시오
그루미오
영화 & 뮤지컬
영화말괄량이 길들이기 (1967년 영화)
뮤지컬키스 미, 케이트

2. 등장인물


  • 카트리나(케이트) 미놀라: 밥티스타의 장녀이자 제목의 '말괄량이'이다. 괄괄하고 거침없는 성격으로 기존 여성상에 반항한다.[1]
  • 비앙카 미놀라: 카트리나의 여동생으로, 언니와는 대조적으로 청순하고 순종적인 성격이다.[1]
  • 밥티스타 미놀라: 카트리나와 비앙카 자매의 아버지로, 파도바의 부유한 상인이다.[1]
  • 페트루치오: 베로나 출신의 신사로, 카트리나의 재산에 관심을 갖고 그녀를 길들이려 하는 구혼자이다.[1]
  • 그루미오: 페트루치오의 하인이다.[1]
  • 호텐쇼: 비앙카의 구혼자이자 페트루치오의 친구이다.[1]
  • 그레미오: 비앙카의 구혼자 중 가장 나이가 많다.[1]
  • 루센티오: 피사 출신의 비앙카의 구혼자이다.[1]
  • 트라니오: 루센티오의 하인이다.[1]
  • 비온델로: 루센티오의 하인이다.[1]
  • 빈센티오: 루센티오의 아버지이다.[1]

3. 줄거리

파도바의 부유한 상인 밥티스타에게는 두 딸이 있었다. 언니 카트리나는 '말괄량이'로 불릴 만큼 거친 성격으로 유명해 구혼자가 없었지만, 동생 비앙카는 아름답고 순종적이어서 구혼자가 많았다. 밥티스타는 카트리나가 결혼하기 전에는 비앙카를 결혼시키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베로나에서 온 신사 페트루치오는 카트리나의 재산을 노리고 그녀에게 청혼한다. 그는 카트리나의 거친 행동을 무시하고 그녀의 말에 반대로 반응하며 그녀를 혼란에 빠뜨린다. 페트루치오는 결혼식에서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고, 카트리나를 집으로 데려가 먹지도 재우지도 않으며 길들이기를 시도한다.

찰스 로버트 레슬리(Charles Robert Leslie) (1832)의 ''캐서린과 페트루치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말괄량이 길들이기', 4막, 1장)''''


비앙카의 구혼자들은 그녀의 환심을 사기 위해 경쟁한다. 루첸시오는 가정교사로 변장하여 비앙카에게 접근하고, 그의 하인 트라니오는 루첸티오 행세를 하며 밥티스타와 협상한다.

결국 카트리나는 페트루치오에게 굴복하고, 비앙카는 루첸시오와 결혼한다. 결혼식 피로연에서 페트루치오는 다른 남성들과 아내의 복종에 대한 내기를 하고, 카트리나가 가장 먼저 남편의 부름에 응답하면서 내기에서 이긴다. 카트리나는 다른 아내들에게 남편에게 복종해야 한다고 연설한다.

4. 집필 연대 및 텍스트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1623년 퍼스트 폴리오에 처음 수록되었다.[55] 이와 거의 같은 줄거리지만, 다른 표현과 등장인물 이름을 가진 ''A Pleasant Conceited Historie, called the taming of a Shrew''(''초고'')라는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이 존재한다. '초고'는 1594년 5월 2일 출판업자 조합 기록에 등록되었으며, 1594년, 1596년, 1607년에 각각 재출판되었다.[3]

1623년 퍼스트 폴리오에 실린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첫 페이지.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유일한 쿼토 판은 1631년에 출판되었는데, 이는 1623년 퍼스트 폴리오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다.[55] 서지학자 W.W. 그레그는 저작권에 있어서 '말괄량이 길들이기'와 '초고'는 동일 텍스트로 간주되었으며, 한쪽 텍스트의 권리 소유자가 다른 쪽의 권리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1609년에 스메즈윅이 퍼스트 폴리오에 실린 희곡을 인쇄할 권리를 링으로부터 샀을 때, 링은 '초고'가 아닌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권리를 양도했다.[55]

4. 1. 집필 연대

1631년에 인쇄된 초판본 표제, ''A Wittie and Pleasant Comedie Called The Taming of the Shrew''라는 제목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정확한 집필 연대는 알 수 없지만, 1590년에서 1594년 사이에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3] 연대 추정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거의 동일한 줄거리를 가졌지만, 등장인물과 대사가 다른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 ''A Pleasant Conceited Historie, called the taming of a Shrew''(''초고''라고 칭함)와의 관계 때문이다.[3] '말괄량이 길들이기'와 '초고'의 정확한 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초고'가 '말괄량이 길들이기' 공연의 보고된 텍스트라는 설,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원전이라는 설,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초기 원고(아마도 보고되었을 가능성이 있음)라는 설, 또는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각색본이라는 설 등이 있다.[3]

'초고'는 1594년 5월 2일에 출판업자 등록소에 등록되었는데, 이는 두 연극의 관계가 어떻든 간에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1590년(셰익스피어가 런던에 도착한 시기)에서 1594년('초고' 등록 시점) 사이에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몇몇 작가들은 연대를 더 좁힐 수 있다고 제안한다.

  • '초고'의 최소 시점: 1592년 8월일 수 있는데, 3.21의 무대 지시에서 "사이먼"이 언급되기 때문이다. 이는 1592년 8월 21일에 매장된 배우 사이먼 주얼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다.
  • 앤서니 츄트의 언급: 앤서니 츄트의 ''Beauty Dishonoured, written under the title of Shore's wife''(1593년 6월 출판)에 "그는 케이트라고 부르고, 그녀는 와서 그에게 키스해야 한다"라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1593년보다 먼저 쓰여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초고'에는 해당 "키스 장면"이 없기 때문에 '말괄량이 길들이기'를 가리켜야 한다.
  • ''A Knack To Know A Knave''와의 유사성: 두 '말괄량이' 연극과 익명의 연극 ''A Knack To Know A Knave''(1592년 6월 10일 더 로즈에서 초연) 사이에도 언어적 유사점이 있다. ''Knack''은 '초고'와 '말괄량이 길들이기' 모두에 공통적인 여러 구절을 특징으로 하지만, '말괄량이 길들이기'에만 있는 여러 구절을 차용하기도 한다. 이는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1592년 6월 이전에 무대에 올랐음을 시사한다.


H.J. 올리버는 1982년 옥스퍼드 셰익스피어 판에서 이 연극이 1592년 늦어도 이전에 만들어졌다고 제안한다. 그는 '초고'의 표제면을 근거로 하는데, 여기에는 이 연극이 펨브로크 경의 극단에 의해 "여러 번" 공연되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런던 극장이 흑사병 발병으로 인해 1592년 6월 23일에 폐쇄되었을 때, 펨브로크 경의 극단은 바스와 러들로로 지방 순회 공연을 떠났다. 이 순회 공연은 재정적으로 실패했고, 극단은 9월 28일에 런던으로 돌아와 재정적으로 파산했다. 그 후 3년 동안, 그들의 이름이 표제면에 있는 네 편의 연극이 출판되었다. 크리스토퍼 말로의 ''에드워드 2세''(1593년 7월 쿼토로 출판), 셰익스피어의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1594년 쿼토로 출판), ''리처드 요크 공작의 진정한 비극''(1595년 옥타보로 출판) 및 ''The Taming of a Shrew''(1594년 5월 쿼토로 출판)이다. 올리버는 이러한 출판물이 실패한 순회 공연 후 파산한 펨브로크 경의 극단 구성원들에 의해 판매된 것은 "자연스러운 추정"이라고 말한다. 올리버는 '초고'가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보고된 버전이라고 가정하며, 이는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6월에 순회 공연을 시작했을 때 그들이 소유하고 있었음에 틀림없고, 9월에 런던으로 돌아왔을 때 공연하지 않았으며, 그 당시 새로운 자료를 소유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앤 톰슨은 1984년과 2003년 뉴 케임브리지 셰익스피어 판에서 '초고'를 보고된 텍스트로 간주한다. 그녀는 1592년 6월 23일 극장 폐쇄에 초점을 맞춰, '초고'가 발생하려면 연극이 1592년 6월 이전에 쓰여졌음에 틀림없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초고'의 "사이먼" 언급, 앤서니 츄트의 ''Beauty Dishonoured''에서 '말괄량이 길들이기'에 대한 암시, '말괄량이 길들이기'와 ''A Knack to Know a Knave'' 간의 언어적 유사성을 1592년 6월 이전의 제작 시기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인용한다. 스티븐 로이 밀러는 뉴 케임브리지 셰익스피어의 1998년 '초고' 판에서 1591년 말/1592년 초의 날짜에 동의하며,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초고'보다 먼저 쓰여졌다고 믿는다(하지만 그는 보고된 텍스트 이론을 각색/재작성 이론으로 거부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텍스트 동반자''에서 게리 테일러는 1590~1591년경의 제작 시기를 주장하며, 다른 학자들이 인용한 것과 동일한 증거의 대부분을 언급하지만, 연극의 날짜를 확실하게 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지만 키어 엘람은 셰익스피어가 1591년에 출판된 두 개의 자료, 즉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의 ''Theatrum Orbis Terrarum'' 4판의 이탈리아 지도와 존 플로리오의 ''Second Fruits''를 사용했을 가능성에 근거하여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최소 시점''을 1591년으로 주장했다. 첫째, 셰익스피어는 파도바베네토가 아닌 롬바르디아에 위치시키는 실수를 범했는데, 아마도 이탈리아 전체에 "롬바르디아"라고 적힌 오르텔리우스의 이탈리아 지도를 자료로 사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엘람은 셰익스피어가 이탈리아 관용구와 일부 대사를 플로리오의 이탈리아어 및 문화에 대한 이중 언어 소개인 ''Second Fruits''에서 가져왔다고 제안한다. 엘람은 루센시오의 오프닝 대화가 북쪽에 막 도착한 피터와 스테판 간의 플로리오의 대화에서 차용한 예라고 주장한다.

엘람의 주장은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1591년보다 먼저 쓰여졌을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제작 시기를 1591~1592년경으로 정한다.

4. 2. 텍스트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1623년에 출판된 퍼스트 폴리오에 처음 수록되었다.[55] 그러나 이와 거의 동일한 줄거리지만, 다른 표현과 등장인물 이름을 가진 ''A Pleasant Conceited Historie, called the taming of a Shrew''(이하 '초고')라는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이 존재한다. '초고'는 1594년 5월 2일에 출판업자 조합 기록에 등록되었으며, 1594년, 1596년, 1607년에 각각 재출판되었다.[3]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유일한 쿼토 판은 1631년에 출판되었는데, 이는 1623년 퍼스트 폴리오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다.[55]

5. 분석 및 비평

페트루키오가 카타리나를 굶기고 잠도 못 자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순종적인 여성으로 만드는 줄거리는 현대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에게 비판받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폭력성과 차별에 대한 지적은 이전부터 있었다.[58] 린다 부스는 존 플레처가 1611년경에 이 작품의 속편인 『여자의 승리, 또 다른 이름은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길들여졌다』(''The Tamer Tamed'')를 발표한 점을 들어,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셰익스피어 시대에도 관객들에게 불편함을 줬을 가능성을 제기했다.[59] 바바라 호지든은 어떤 연출에서도 마지막 장면이 관객에게 "행복한 강간과도 같은 장면"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60]

『캐리커처』지에 게재된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풍자화. ("Tameing a Shrew; or, Petruchio's Patent Family Bedstead, Gags & Thumscrews", 1815).


조지 버나드 쇼는 이 연극에 대해 "제대로 된 감정을 가진 남자라면, 내기나 여자 자신의 입에서 나오는 연설에 나타난, 잘난 체하는 남자들의 도덕성에 강하게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고는, 여자와 함께 연극을 끝까지 볼 수 없다"라고 비판하며, 『말괄량이 길들이기』에 대한 비판을 담은 희곡 『피그말리온』을 썼다.[61]

''오거스터스 에그 "말괄량이 길들이기"''(1860).


하지만 페트루키오가 카타리나를 변화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 카타리나가 페트루키오의 방식에 맞춘 점 등을 들어 이 작품이 차별적이라는 분석에 반박하는 비평도 있다. 이러한 해석에 기반한 공연도 존재한다.[62] 캐럴 토마스 니리는 카타리나와 페트루키오의 관계에서 폭력성보다는 둘 사이의 사랑을 강조하는 분석을 제시했다.[63] 또한, 카타리나와 페트루키오 모두 세상에서 소외된 고독한 젊은이들이며, 두 사람이 마음을 열게 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비평과 공연도 있다.[64]

5. 1. '초고'와의 관계

''말괄량이 길들이기''(''The Shrew'')와 ''초고''(A Shrew)의 관계는 학계의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이다. 이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제시되었는데, 주요 이론들은 다음과 같다.[6][7][8][9]

이론내용
우르-슈루(Ur-Shrew) 이론두 작품은 현재는 유실된 다른 작품을 기반으로 한다.
배드 쿼토 이론초고는 배우들이 기억에 의존하여 원작을 재구성하려는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재구성된 버전이다.
소스 이론셰익스피어가 자신이 쓰지 않은 기존의 초고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소스로 사용했다.
초기 초고 이론두 버전 모두 셰익스피어 자신이 쓴 작품이며, 초고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초기 초고이다.
각색 이론초고는 셰익스피어 이외의 다른 사람이 각색한 말괄량이 길들이기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말괄량이 길들이기''를 원작으로, ''초고''를 그 파생작으로 보는 경향이 우세하다. H.J. 올리버는 "[''초고''에는] [...] 그것들이 파생되었음에 틀림없는 [폴리오] 버전을 아는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는 구절"이 있다고 지적한다.

이 논쟁은 1725년 알렉산더 포프가 셰익스피어 작품집에서 ''초고''의 발췌문을 ''말괄량이 길들이기''에 삽입하면서 시작되었다. 18세기 말까지는 ''초고''가 셰익스피어 작품이 아닌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소스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1850년 새뮤얼 힉슨은 두 작품의 텍스트를 비교하여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원본이고 ''초고''가 여기서 파생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1926년, 피터 알렉산더는 ''초고''를 배드 쿼토로 분류하는 이론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하지만 E. K. 챔버스와 레오 키르슈바움 등은 ''초고''가 배드 쿼토의 패턴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알렉산더의 이론에 반박했다.

1942년 R.A. 혹은 ''우르-슈루'' 이론이 제기되었고, 1943년 G.I. 더시는 ''초고''가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유실된 초기 초고의 재구성이라고 주장했다.

1980년대에는 브라이언 모리스, H.J. 올리버, 앤 톰슨 등이 이 문제를 다시 다루었다. 모리스는 배드 쿼토 이론을 지지했고, 올리버는 더시의 이론을 잠정적으로 주장했다.

1998년 스티븐 로이 밀러는 ''초고''가 셰익스피어 이외의 다른 사람에 의한 각색이라고 주장했다. 밀러는 어댑터가 ''말괄량이 길들이기''를 더 짧고, 로맨틱 코미디로 만들고, 더 분명한 코미디를 추가하려 했다고 본다.

5. 2. 호텐시오 문제

H.J. 올리버는 1623년 ''제1 폴리오''에 실린 희곡 버전이 셰익스피어가 수정한 흔적이 보이는 작가의 초고 원고에서 복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4] 올리버는 이러한 수정이 주로 호르텐시오 캐릭터와 관련 있으며, 현재는 유실된 희곡의 원래 버전에서 호르텐시오는 비앙카의 구혼자가 아니라 단순히 페트루치오의 오랜 친구였음을 시사한다. 셰익스피어가 호르텐시오가 변장한 구혼자(리치오)가 되도록 희곡을 다시 쓰면서, 그의 대사 중 많은 부분이 생략되거나 트라니오(루켄치오로 변장)에게 주어졌다고 보았다.[4]

올리버는 희곡에서 호르텐시오(또는 그의 부재)가 문제를 일으키는 몇몇 장면을 다음과 같이 예로 든다.

  • 2막 1장에서 트라니오(루켄치오로 변장)와 그레미오는 비앙카에게 구혼하지만, 모두가 구혼자임을 알고 있는 호르텐시오는 언급되지 않는다.
  • 3막 1장에서 루켄치오(캄비오로 변장)는 비앙카에게 "우리가 늙은 판탈론을 속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지만, 호르텐시오가 그녀에게 구애하는 시도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대신 그의 유일한 경쟁자는 그레미오임을 암시한다.
  • 3막 2장에서 트라니오는 갑자기 페트루치오의 오랜 친구가 되어 그의 말투를 알고 결혼식 전에 그의 지각을 설명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페트루치오가 파두아에서 아는 사람은 호르텐시오뿐이었다.
  • 4막 3장에서 호르텐시오는 빈센시오에게 루켄치오가 비앙카와 결혼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호르텐시오가 알고 있는 한, 루켄치오는 비앙카를 포기했는데, 왜냐하면 4막 2장에서 트라니오(루켄치오로 변장)는 호르텐시오와 함께 둘 다 비앙카를 쫓지 않기로 동의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가 루켄치오로 생각하는 사람과 비앙카의 결혼에 대한 그의 지식은 거의 말이 되지 않는다.


올리버는 이러한 점들을 들어, 희곡의 원래 버전에서는 호르텐시오가 단순히 페트루치오의 친구였고 비앙카와 관련된 이야기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고 결론 내린다. 그러나 셰익스피어가 극을 더 복잡하게 만들고 싶어 희곡을 다시 쓰면서 리치오의 변장을 도입하고 호르텐시오의 버려진 대사 중 일부를 트라니오에게 주었지만, 새로운 구혼자의 존재에 맞춰 모든 것을 완전히 수정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한다.[4]

5. 3. 성차별 논란

2003년 카멜 셰익스피어 페스티벌 프로덕션에서 케빈 블랙이 "결혼 복장"을 입고 있다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여성 혐오적인 내용으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13][14] 데이나 아스피날은 "1588년에서 1594년 사이에 처음 등장한 이후로, '말괄량이'는 '성질 고약한 말괄량이' 카테리나를 '길들이는' 거칠고 소란스러운 방식과, 분명히 잠재적으로 다루기 힘든 모든 아내들에 대한 긍정적이고 윤리적으로 불안하며 완전히 혐오스러운 반응들을 불러일으켰다."라고 말한다.[58] 필리스 라킨은 "현재의 불안, 욕망, 믿음의 맥락에서 볼 때, 셰익스피어의 희곡은 여성에 대한 가장 억압적인 현대적 가정을 예시하고, 그러한 가정을 시대를 초월한 진실로 정당화하는 것처럼 보인다"라고 주장한다.[59] 스티비 데이비스는 "'말괄량이'에 대한 반응은 불안과 당혹감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셰익스피어가 말하려는 것을 실제로 의미했을 리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욕망이 동반되었고, 따라서 그는 실제로 그것을 말할 수 없다"라고 말한다.[60]

19세기 중반 판화, 4막 3장 (페트루치오가 재단사의 카테리나 의상을 거부하다)


일부 학자들은 셰익스피어 시대에도 성 정치의 변화하는 본질 때문에 이 연극이 논란이 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마조리 가버는 셰익스피어가 유도 부분을 만들어 청중이 페트루치오/카테리나 이야기의 여성 혐오에 나쁘게 반응하지 않도록 했다고 제안한다. 그는 사실상 성차별 혐의에 대해 자신을 방어하고 있었다.[61] G.R. 히버드는 이 연극이 쓰여진 시대에 정략결혼이 더 새롭고 낭만적인 결합으로 바뀌기 시작했고, 따라서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와 남성과의 관계에 대한 사람들의 견해가 변화하는 중이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청중은 카테리나에 대한 가혹한 대우를 종종 생각하는 것만큼 관대하지 않았을 것이다.[62]

20세기에 페미니즘 운동이 일어나면서, 이 연극에 대한 반응은 더욱 분열되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비평가들에게 "케이트의 길들이기는 더 이상 재미있지 않았고 [...] 그녀의 지배는 조지 버나드 쇼의 말처럼 '현대 감성에 완전히 역겹게' 되었다."[63] 예를 들어, 정치적 관점에서 "말괄량이"와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리아 S. 마커스는 이 연극을 보이는 그대로 믿는 편이다. 그녀는 "말괄량이"가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초기 버전이라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이 "말괄량이"가 셰익스피어에 의해 쓰여졌다는 생각을 거부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녀는 그 이유 중 하나가 "말괄량이"가 "말괄량이 길들이기"에는 없는 수많은 수식어를 사용하여 연극의 가부장제 메시지를 완화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64]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이 연극을 20세기 페미니스트의 가부장적 지배에 대한 비난보다 앞선 것으로 보고 여성 해방에 대한 논쟁으로 본다. 예를 들어, RSC의 2008년 프로덕션 감독인 코널 모리슨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I am staggered that some people see the play as misogynistic. I believe it is a moral tale. I believe it is saying, 'Do not do this,' and, 'Do not do that.' 'These people are objectionable.' By the time you get to the last scene, all of the men, even her father, are saying, 'My God, it is amazing how you have crushed that person.' It is amazing how you have lobotomised her. And they are betting on the women as if they were dogs or horses at a race. It has been reduced to that. And it is all about the level of money and power. Could you crush Katharina, or could Hortensio and Lucentio control Bianca and the widow? Could you, likewise, control your own, original shrews? It is so obviously objectionable that I do not believe for a second that Shakespeare is advocating this. And I do not believe for a second that the man who liked strong lovers like Benedict and 클레오파트라, 로미오 and 줄리엣, would have some misogynistic aberration. It is clearly a satire on this male behaviour and a cautionary tale [...] That is not the way he sees women's relationships, as has been evidenced in the other plays. This is him investigating misogyny, exploring it, animating it, and clearly decrying it, because none of the men come out smelling of roses. When it comes to a crisis, they all default to positions of power, self-protection, status, and they are all delighted and relieved to see a woman who challenged them, with all their wit and intelligence, crushed.영어

페트루치오가 카타리나를 먹이지 않고, 재우지 않는 등의 수법으로 순종적인 여자로 변하게 하는 줄거리는 현대적인 페미니스트 비평의 맥락에서 비판받는 경우가 많지만, 이 작품의 폭력성, 차별은 더 이전부터 주목받았다.[58] 린다 부스는, 존 플레처가 1611년경에 이 작품의 속편인 『여자의 승리, 또 다른 이름은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길들여졌다』(''The Tamer Tamed'')를 발표한 점 등에 주목하여,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셰익스피어 시대의 기준에서도 반드시 관객에게 편안한 연극은 아니었을 가능성을 생각했고,[59] 바바라 호지든은, 어떤 연출 하에서도 마지막 장면이 관객에게 "행복한 강간과도 같은 장면"으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60]

또한 조지 버나드 쇼는 이 연극에 대해 "제대로 된 감정을 가진 남자라면, 내기나 여자 자신의 입에서 나오는 연설에 나타난, 잘난 체하는 남자들의 도덕성에 강하게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고는, 여자와 함께 연극을 끝까지 볼 수 없다"라고 말하며, 『말괄량이 길들이기』에 대한 비판을 반영하는 희곡 『피그말리온』을 집필했다.[61]

한편, 페트루키오가 카타리나를 변하게 하기 위해 매우 고생했다는 점을 강조하거나, 카타리나가 페트루키오의 방식에 맞춘 점에 주목하여, 이 작품이 차별적인 작품이라는 분석에 반박하는 비평이 있으며, 이러한 해석에 따른 상연도 존재한다.[62] 캐럴 토마스 니리는 카타리나와 페트루키오의 관계성에 관해, 폭력성보다는 두 사람 사이에 사랑이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분석을 하고 있다.[63] 또한, 카타리나와 페트루키오가 둘 다 세상에 있을 곳이 없고 문제를 안고 있는 고독한 젊은이이며, 두 사람이 마음을 통하게 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비평이나 상연도 존재한다.[64]

5. 4. 도입부(Induction)

에드워드 로버트 휴즈(Edward Robert Hughes) (1898)의 "말괄량이 카테리나"


유도는 크리스토퍼 슬라이(Christopher Sly)라는 술 취한 사람 앞에서 연기되는 "일종의 역사"로 극을 구성하며, 그는 자신이 영주라고 믿도록 속임을 당한다. 이 연극은 실제로 여성으로 분장한 하인 바솔로뮤인 "아내"로부터 슬라이의 주의를 돌리기 위해 공연된다.[15]

William Quiller Orchardson의 슬라이와 영주의 삽화, 찰스 윌리엄 샤프가 조각함; 찰스 나이트가 편집한 ''셰익스피어 전집의 황실판'' (1876)에서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여성혐오 여부 또는 그 부재에 대한 논쟁의 한 요소는 유도 부분이며, 이것이 카타리나/페트루치오 이야기와 어떻게 관련되는가에 대한 논의가 있다. H.J. 올리버에 따르면, "유도 부분에서 비앙카와 카테리나-페트루치오 플롯 모두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주제'를 발견하고, 주제의 동일성은 장점이며 슬라이의 도입을 '정당화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정설이 되었다." 제프리 불로프는 세 개의 플롯이 "결혼에서의 성 관계에 대한 논의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디어 면에서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리처드 호슬리는 세 개의 플롯이 정체성에 대한 가정과 성격에 대한 가정 모두를 다루는 한 통일된 전체를 형성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올리버는 "슬라이 유도는 갇힌 이야기의 주제를 알리기보다는 그들의 ''톤''을 설정한다"고 주장한다.

마조리 가버는 유도 부분에 대해 "틀은 나중의 행동을 거리감을 두고, 가벼운 톤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페트루치오에 의해 케이트가 겪는 실제 학대를 고려할 때 중요하다"라고 썼다. 올리버는 유도 부분을 사용하여 청중을 갇힌 플롯의 세계에서 분리하고, 슬라이 이야기를 청중과 동일한 수준의 현실에 두고, 카테리나/페트루치오 이야기를 다른 수준의 현실에 둔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것이 청중이 연극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즉 카테리나/페트루치오 이야기를 희극으로 보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다고 주장한다.

올리버는 "유도 부분의 주요 목적은 연극 속 연극의 톤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특히 술 취한 땜장이를 즐겁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그다지 심각하지 않은 코미디로 케이트와 그녀의 여동생의 이야기를 제시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그는 유도 부분이 연극 제작에서 제거되면 (매우 자주 그렇듯이) 구조의 근본적인 부분이 손실되었다고 제안한다.

조나단 베이트와 에릭 라스무센은 "슬라이 프레임워크는 잔소리꾼 연극 ''으로서''의 지위를 강요하는 자기 참조 연극성을 확립한다"고 주장한다. 그레이엄 홀더니스는 "받아들여진 전체에서 연극은 성 정치에 대한 단순하거나 단일적인 견해를 제시하지 않는다. 그것은 남성 우월주의에 대한 조악한 반동적인 교리를 포함하지만, 또한 그 이데올로기에 작용하여 자기 모순으로 표현하도록 강요한다. 이러한 자기 조사의 수단은 슬라이 프레임워크의 복잡한 연극 장치이다 [...] 슬라이 프레임워크의 메타 연극적 잠재력 없이는, ''말괄량이''의 모든 제작은 감독의 예술적 및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훨씬 더 수동적으로 던져진다"고 주장한다. 코펠리아 칸은 "술 취한 건달에서 고귀한 영주로의 크리스토퍼 슬라이의 변형, 일시적이고 피상적인 변형은 케이트의 독립성의 전환이 기만적일 수 있으며, ''데누먼''의 아이러니를 준비시킨다"고 제안한다. 유도 부분은 여성혐오 혐의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극 속 연극은 희극이며, 슬라이가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듯이 청중도 진지하게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따라서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일의 진지함에 대한 질문은 무관하게 된다.

5. 5. 언어

언어는 이 희곡의 주요 주제이며, 특히 길들이기 과정에서 언어의 숙달이 중요하게 나타난다.[16] 카테리나는 주변 사람들에게 거친 언어를 사용하며, 이는 남성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진다.[16] 예를 들어, 카테리나가 1막 1장에서 호르텐시오와 그레미오를 꾸짖은 후, 호르텐시오는 "모든 악마로부터, 주여, 우리를 구하소서!"라고 말한다. 심지어 카테리나의 아버지조차 그녀를 "악마적인 정신의 녀석"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페트루치오는 카테리나의 언어를 길들이려 한다. 그는 그녀의 격정적인 본성을 훼손하는 수사법을 사용한다. 페트루치오는 카테리나가 하는 말을 의도적으로 오해하여 언어 기호의 근본을 훼손하고, 기표와 기의의 관계를 무너뜨리려 한다.

페트루치오는 언어를 사용하여 카테리나를 객체화하기도 한다. 3막 2장에서 페트루치오는 카테리나가 자신의 소유물이라고 말한다. 그는 카테리나를 "케이크"와 "고양이"라고 부르며, 그녀를 동물에 비유하기도 한다. 특히 에 비유하며 사냥 은유를 사용한다.

카테리나는 처음에는 언어의 독립을 주장한다. 하지만 페트루치오가 시간을 묻는 장면에서 카테리나는 그의 말에 따르게 된다. 4막 5장에서 카테리나는 페트루치오가 "달"과 "해"를 바꾸어 말해도 그의 말에 동의하며, 그의 언어에 굴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줄리어스 시저 입베슨의 4막 5장 삽화( "해와 달" 대화) ''보이델 셰익스피어 판화''; 아이작 테일러 (1803)가 새김

6. 주제

The Taming of the Shrew영어에서 돈은 여러 등장인물의 중요한 행동 동기이다. 호르텐시오는 카테리나와의 결혼 조건으로 "충분한 돈"을 언급하고[1], 페트루치오는 "페트루치오의 아내가 될 정도로 부유한 여자"라면 시빌처럼 나이가 많거나 소크라테스크산티페처럼 악처라도 상관없다고 말한다.[2] 그루미오 역시 돈만 충분하다면 어떤 여자와 결혼해도 상관없다는 태도를 보인다.[3]

페트루치오는 카테리나와의 결혼에 성공하면 그레미오, 트라니오(루첸시오로 변장), 호르텐시오에게 밥티스타의 지참금 외에 추가로 돈을 지불하겠다고 약속받는다.[4] 그레미오와 트라니오는 비앙카를 두고 지참금 경쟁을 벌이기도 한다.[5]

6. 1. 여성의 복종



작품의 핵심 주제 중 하나는 여성의 복종이며, 이는 카테리나(카트리나)의 마지막 대사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7] 이 대사는 연극에서 가장 긴 대사로, 여성의 역할과 남편에 대한 의무를 강조하며 전통적인 가부장적 질서를 옹호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대사의 진정성과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현대 서구 사회는 성별에 대해 비교적 평등주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대사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면 연극이 여성 굴복을 옹호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어 문제가 된다.

이 대사에 대한 비평적 해석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 카트리나가 진심으로 페트루치오에게 복종하게 되었다.
  • 카트리나가 페트루치오를 사랑하게 되어 자신의 역할을 받아들였다.
  • 카트리나가 비꼬는 것이며, 페트루치오를 속여 길들여졌다고 믿게 만들었다.
  • 연극 속 연극의 희극적인 본질을 고려할 때, 이 대사를 심각하거나 아이러니컬하게 읽어서는 안 된다.


조지 버나드 쇼는 1897년에 이 대사에 대해 "어떤 감정을 가진 사람도...매우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고 앉아 있을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17]

메릴 스트립은 1978년 셰익스피어 인 더 파크 축제에서 카트리나 역을 맡아 "놀라운 열정과 사랑"이 변화의 원동력이라고 해석했다.[18] 존 C. 빈은 이 대사를 카트리나가 사랑에 빠지는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보았다.

샘 테일러의 1929년 영화와 프랑코 제피렐리의 1967년 영화에서는 이 대사가 아이러니컬하게 해석되었다. 1929년 영화에서 메리 픽포드는 비앙카에게 윙크를 하여 진심이 아님을 암시하고, 1967년 영화에서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대사 후 방을 나가 페트루치오가 쫓아가게 만든다.

필리스 래킨은 영국 르네상스 극장에서 어린 소년이 여성 역할을 연기했기 때문에 여성의 몸에 대한 언급이 아이러니컬하다고 지적하며, 성 역할에 대한 풍자로 해석한다. 필리파 켈리는 셰익스피어 시대 소년 배우의 몸이 가부장적 이야기를 훼손하는 성적 불확정성을 만들어냈다고 주장한다. 코펠리아 칸은 카트리나가 길들여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대사라고 주장한다.

윌리엄 엠프슨은 캐서리나 역을 원래 성인 남성 배우가 연기했다는 점을 들어, 마지막 대사의 아이러니를 강조한다.

로버트 B. 하일만은 이 대사를 파르스(farce, 익살극)의 일부로 보아, 문자 그대로나 아이러니컬하게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H.J. 올리버는 발단이 연극을 파르스로 받아들이도록 유도한다고 주장하며, 카트리나의 대사를 파르스의 적절한 절정으로 본다.

엠마 스미스는 페트루키오와 카트리나가 함께 이 연설을 꾸며 페트루치오가 내기에서 이기도록 했다는 해석을 제시한다.[19]

6. 2. 성 정치학

《말괄량이 길들이기》에서 젠더 정치 문제는 중요한 주제이다. 조지 버나드 쇼는 "팔 몰 가제트"에 보낸 편지에서 이 연극을 "첫 단어부터 마지막 단어까지 여성과 남성에 대한 한 가증스러운 모욕"이라고 칭했다.[20]

비평가 에밀리 뎃머는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아내가 남편의 폭력 사용을 제한하는 법이 점점 더 일반화되었다고 지적한다. 당시 문화는 욕설을 하거나 매춘을 하는 여성에게는 가혹했지만, 아내를 구타하는 남편에 대해서는 점점 더 민감해졌다.[20] 뎃머는 아내 구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남편이 가족을 통제하는 수단을 재구성하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즉, '평범한' 남자의 폭력 대신 '젠틀맨'의 '숙련된' 지배 방식을 통해 아내를 종속시키는 것이다.[20]

페트루키오는 카타리나를 심리적으로 길들이는 방법을 택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비난받지 않는 방식이었다. 뎃머는 "이 연극은 폭력이 아닌 지배를 정당화함으로써 아내 종속을 관리하는 '현대적인' 방식으로의 전환을 신호한다"고 말한다.[20] 페트루키오의 길들이기 방식은 물리적 폭력을 자제하는 것이 어떻게 더 효과적인지를 보여주며, 관객들은 그의 방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된다.[20]

그러나 뎃머는 셰익스피어가 남성 지배를 덜 잔혹하게 묘사했다고 옹호하는 학자들을 비판한다. 그녀는 가정 폭력 피해자가 겪는 스톡홀름 증후군을 예로 들어, 카타리나의 굴복이 동의가 아닌 학대의 전형적인 반응이라고 주장한다. 카타리나는 생존을 위해 자신의 감정을 부정하고 학대자(페트루키오)와 유대감을 형성하며, 굴복과 순종은 생존 전략이 된다는 것이다.[20]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나타샤 코르다는 페트루키오가 폭력적이지는 않지만, 여전히 여성을 굴복시키고 객체화하는 16세기 관념을 구현한다고 주장한다. 코르다는 페트루키오가 카타리나의 생산 능력이 아닌 소비에 초점을 맞춰 그녀를 길들인다고 본다. 즉, 카타리나를 단순한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로 만들고, 가부장적 경제관을 받아들이게 한다는 것이다.[20] 카타리나의 마지막 대사는 남녀의 분리된 역할, 즉 남편은 밖에서 일하고 아내는 집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는 주부가 남편에게 영원히 빚을 지게 만든다고 코르다는 해석한다.[20]

신학적 관점에서 데이비드 보레가드는 카타리나와 페트루키오의 관계를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으로 해석한다. 페트루키오는 미덕을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카타리나를 본성과 조화시키고, 카타리나는 페트루키오에게 부, 행운, 미덕, 우정, 사랑, 가정의 평화 등 행복의 요소를 가져다준다는 것이다. 보레가드는 카타리나의 순종을 노예에 대한 주인의 통치가 아닌, 자유롭고 평등한 사람에 대한 정치가의 통치로 본다. 즉, 이 연극은 지배하려는 여성의 의지(말괄량이 기질)를 악으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행복을 추구한다는 것이다.[20]

6. 3. 잔혹성

이 연극의 또 다른 주제는 잔혹함이다. 알렉산더 레갓은 "캐서리나 길들이기는 단순한 교훈이 아니라 게임, 즉 기술을 시험하고 즐거움을 얻는 것이다. 거친 행동은 근본적으로 재미의 일부이다."라고 말한다.

앤 톰슨은 "이야기 버전에서 앙칼진 여인 길들이기 이야기가 남편들이 아내의 순종에 내기를 걸 때 절정에 달한다는 사실은 연극 전체에 걸쳐 스포츠, 게임 및 도박에 대한 많은 언급에 부분적으로 기여했을 것이다. 이러한 은유는 페트루키오의 잔혹함을 제한적이고 관습적인 것으로 보이게 함으로써 용납할 수 있게 해준다."라고 설명한다.[36] 마빈 베넷 크림스는 "이 연극은 코미디 효과를 위해 잔혹함의 묘사에 크게 의존한다"고 주장한다.[39] 그는 잔혹함이 서막을 포함하여 연극 전체에 스며든다고 믿으며, 슬라이 프레임과 영주의 심술궂은 장난은 관객이 잔혹함을 코미디 문제로 다루려는 연극에 대비하게 한다고 주장한다.[40] 그는 잔혹함이 젠더보다 더 중요한 주제라고 제안하며, "''말괄량이 길들이기''에 묘사된 공격성은 젠더와 관련이 적고, 증오와 더 관련이 있으며, 텍스트는 인간의 잔혹함과 희생의 일반적인 문제를 코믹하게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48]

1978년에 이 연극을 연출한 마이클 보그다노프 감독은 "셰익스피어는 페미니스트였다"고 생각한다. 그는 "셰익스피어는 여성들이 동물처럼 완전히 학대받고, 최고 입찰자에게 흥정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는 여성들이 상품으로 사용되고, 스스로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21]

페트루키오가 카타리나를 먹이지 않고, 재우지 않는 등의 수법으로 순종적인 여자로 변하게 하는 줄거리는 현대적인 페미니스트 비평의 맥락에서 비판받는 경우가 많지만, 이 작품의 폭력성, 차별은 더 이전부터 주목받았다.[58] 린다 부스는, 존 플레처가 1611년경에 이 작품의 속편인 『여자의 승리, 또 다른 이름은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길들여졌다』(''The Tamer Tamed'')를 발표한 점 등에 주목하여,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셰익스피어 시대의 기준에서도 반드시 관객에게 편안한 연극은 아니었을 가능성을 생각했고,[59] 바바라 호지든은, 어떤 연출 하에서도 마지막 장면이 관객에게 "행복한 강간과도 같은 장면"으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60]

또한 조지 버나드 쇼는 이 연극에 대해 "제대로 된 감정을 가진 남자라면, 내기나 여자 자신의 입에서 나오는 연설에 나타난, 잘난 체하는 남자들의 도덕성에 강하게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고는, 여자와 함께 연극을 끝까지 볼 수 없다"라고 말하며, 『말괄량이 길들이기』에 대한 비판을 반영하는 희곡 『피그말리온』을 집필했다.[61]

한편, 페트루키오가 카타리나를 변하게 하기 위해 매우 고생했다는 점을 강조하거나, 카타리나가 페트루키오의 방식에 맞춘 점에 주목하여, 이 작품이 차별적인 작품이라는 분석에 반박하는 비평이 있으며, 이러한 해석에 따른 상연도 존재한다.[62] 캐럴 토마스 니리는 카타리나와 페트루키오의 관계성에 관해, 폭력성보다는 두 사람 사이에 사랑이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분석을 하고 있다.[63] 또한, 카타리나와 페트루키오가 둘 다 세상에 있을 곳이 없고 문제를 안고 있는 고독한 젊은이이며, 두 사람이 마음을 통하게 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비평이나 상연도 존재한다.[64]

6. 4. 돈

The Taming of the Shrew영어에서 돈은 중요한 동기로 작용한다. 호르텐시오는 카테리나와의 결혼에 대해 이야기할 때 "충분한 돈"을 언급한다[1]. 페트루치오는 "페트루치오의 아내가 될 정도로 부유한 여자"라면 시빌처럼 나이가 많거나, 소크라테스크산티페처럼 악처라도 상관없다고 말한다[2]. 그루미오 역시 돈만 충분하다면 아무 문제 없다고 거든다[3].

페트루치오는 그레미오, 트라니오(루첸시오로 변장), 호르텐시오에게 카테리나와의 결혼에 성공하면 밥티스타의 지참금 외에 추가로 돈을 지불하겠다고 약속받는다[4]. 그레미오와 트라니오는 비앙카를 두고 지참금 경쟁을 벌이기도 한다[5].

7. 각색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연극, 오페라, 뮤지컬, 발레,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 오페라:
  • 페르디난도 베르토니의 오페라 부파 ''Il duca di Atene''(1780)는 이 극을 바탕으로 한 최초의 오페라이다.[22]
  • 헤르만 괴츠의 ''Der Widerspänstigen Zähmung''(1874)는 코믹 오페라로, 비앙카의 하위 플롯에 초점을 맞추고 길들이기 이야기는 축소되었다.
  • 존 켄드릭 뱅스의 ''Katherine: A Travesty''(1888)는 길버트와 설리번 스타일의 패러디 오페레타이다.[23]
  • 루페르토 차피의 ''라스 브라비아스''(1896)는 1막짜리 ''헤네로 치코'' ''사르수엘라''로, 이야기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등장인물 이름이 바뀌고 배경이 마드리드로 변경되었다.[24]
  • 에르만노 볼프-페라리의 베리스모 오페라 ''Sly, ovvero la leggenda del dormiente risvegliato''(1927)는 도입부에 초점을 맞춘다.
  • 비토리오 지아니니의 ''The Taming of the Shrew''(1953)는 오페라 부파이다.[27]
  • 비사리온 셰발린의 ''Ukroshchenye stroptivoy''(1957)는 셰발린의 마지막 오페라였고 러시아 전역에서 걸작으로 칭송받았다.[28]

  • 발라드 오페라 및 뮤지컬:
  • 제임스 워스데일의 ''심술 맞은 여자의 치료법''은 발라드 오페라이다.
  • 콜 포터의 뮤지컬 ''키스 미, 케이트''는 ''말괄량이 길들이기''를 각색한 작품으로, 1948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31] 1999년 리바이벌도 성공적이었다.[32]

  • 발레:
  • 모리스 베자르의 ''라 메제르 아프리보제''는 이 희곡의 최초 발레 버전이었다.[33]
  • 가장 잘 알려진 발레 각색은 존 크랑코의 ''말괄량이 길들이기''이다.

  • 라디오 드라마:
  • 1924년, BBC 라디오를 통해 희곡의 발췌본이 방송된 것을 시작으로,[36] 미국과 영국에서 여러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 영화:
  • 1908년 D.W. 그리피스가 제작한 무성 영화가 최초이다.
  • 1929년에는 메리 픽포드와 더글러스 페어뱅스 주연의 영화가 제작되었다(한국 제목 『말괄량이 길들이기』).
  • 1967년에는 프랑코 제피렐리 감독, 엘리자베스 테일러, 리처드 버튼 주연으로 영화화되었다(한국 제목 『말괄량이 길들이기』).
  • 1999년에는 미국의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내가 널 사랑할 수 없는 10가지 이유』가 인기를 끌었다.

  • 텔레비전 드라마:
  • 블루문 특급』에서 주요 등장인물이 "말괄량이 길들이기"를 패러디하는 에피소드가 있었다.
  • 2000년 브라질의 텔레비전 드라마 ''O Cravo e a Rosa''도 이 희곡을 바탕으로 한다.

  • 기타:
  • 존 플레처가 쓴 속편 『여자의 승리, 또는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1611년에 쓰여졌고, 2004년에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에 의해 재공연되었다.

참조

[1] 문서 See also harvp|Brunvand|1991.
[2] 문서 For more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ses'' and ''The Shrew'', see harvp|Seronsy|1963.
[3] 문서 For more information on ''A Shrew'' see harvp|Morris|1981|pp=12–50, harvp|Oliver|1982|pp=13–34 and harvp|Miller|1998|pp=1–57
[4] 서적 The Shakespeare First Folio: Its Bibliographical and Textual History https://archive.org/[...] Clarendon
[5] 서적 Shakespeare's Borrowed Feathers: How Early Modern Playwrights Shaped the World's Greatest Wri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6] 문서 See esp. harvp|Houk|1942 and harvp|Duthie|1943. See also harvp|Morris|1981|pp=16–24 and harvp|Oliver|1982|pp=23–25.
[7] 문서 See esp. harvp|Alexander|1926 and harvp|Alexander|1969. See also harvp|Morris|1981|pp=14–16 and harvp|Oliver|1982|pp=16–18; 31–34.
[8] 문서 See esp. harvp|Shroeder|1958. See also harvp|Morris|1981|pp=24–26 and harvp|Evans|1997|pp=104–107.
[9] 문서 See harvp|Duthie|1943, harvp|Oliver|1982|pp=13–34, harvp|Marcus|1991 and harvp|Marcus|1996|pp=101–131.
[10] 문서 See harvp|Hickson|1850a and harvp|Hickson|1850b
[11] 서적 Henry VI, Part Two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Henry VI, Part Three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Shakespeare's stage traffic : imitation, borrowing and competition in Renaissance theat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4] 웹사이트 Conall Morrison on directing ''The Taming of the Shrew'' http://www.rsc.org.u[...] Royal Shakespeare Company 2010-03-15
[15] 뉴스 A prosaic transformation 1980-10-31
[16] 서적 Fashioning Femininity and English Renaissance Dram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문서 Quoted in harvp|Thompson|2003|p=21
[18] 문서 Quoted in harvp|Henderson|2003|p=132
[19] 서적 This is Shakespeare Pelican
[20] 서적 George Bernard Shaw: His Life and Works, a Critical Biography Kessinger
[21] 서적 The Shakespeare Myth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Shakespeare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Zarzuela Companion Screcrow Press
[25] 서적 The Essential Guide to Dutch Music: 100 Composers and Their Work Amsterdam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Penguin Guide to Compact Discs and DVDs: Yearbook 2004/2005 Penguin
[27] 서적 Operas in English: A Dictionary Scarecrow Press
[28] 웹사이트 Vissarion Shebalin: Biography http://www.allmusic.[...] 2015-01-12
[29] 서적 Operas in English: A Dictionary Scarecrow Press
[30] 서적 The Dublin Stage, 1720–1745: A Calendar of Plays, Entertainments, and Afterpieces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31] 웹사이트 Search Past Winners http://www.tonyaward[...] Tony Awards 2015-01-13
[32] 웹사이트 "Contact" and "Copenhagen" win top 1999–2000 Tony Awards http://www.playbill.[...] 2015-01-13
[3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Dan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Louis Falco Repertory http://www.louisfalc[...] The Louis Falco Repertory 2015-01-13
[35] 웹사이트 Hats off Gentlemen http://www.matchavar[...] Vakhtang Matchavariani Official Web Site 2015-01-13
[36] 웹사이트 Shakespeare Night [18/11/1924]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1
[37] 웹사이트 Shakespeare, Scene and Story [17/04/1925]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1
[38] 웹사이트 Katherine (1926)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1
[39]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27)"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1
[40]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32)"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1
[41]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35)"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1
[42]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41)"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1
[43] 웹사이트 Theatre Programme [02/09/1947]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44]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54)"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45]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73)"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46]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89)"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47]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2000)"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48]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37)"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49]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40)"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50]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41)"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51]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49)"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52] 서적 Shakespeares After Shakespeare: An Encyclopedia of the Bard in Mass Media and Popular Culture Greenwood Press
[53] 웹사이트 "The Taming of the Shrew (1960)"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5-01-22
[54] 문서
[55] 서적 The Shakespeare First Folio: Its Bibliographical and Textual History Clarendon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간행물 Scolding Brides and Bridling Scolds: Taming the Woman’s Unruly Member Shakespeare Quarterly 1991
[60] 서적 The Shakespeare Trade: Performances and Appropriations U of Pennsylvania P
[61] 서적 Shaw on Shakespeare Cassell
[62] 서적 Man’s Estate: Masculine Identity in Shakespeare U of California P
[63] 서적 Broken Nuptials in Shakespeare's Plays Yale UP
[64] 서적 じゃじゃ馬たちの文化史―シェイクスピア上演と女の表象 南雲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