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박물관은 경기도 과천시에 위치한 렛츠런파크 서울 내에 있는 박물관으로, 한국 마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고대부터 한국인의 삶에 깊이 관여해 온 말과 관련된 유물들을 통해 한국 마문화의 역사를 보여준다. 전시실에는 각종 마구, 말 조각, 그림, 민속자료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실물 크기의 말 조형물과 고분벽화, 건국신화 관련 내용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말갖춤(마구), 말 그림, 마패 등과 관련된 정보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경마 - 한국마사회
    한국마사회는 경마 시행, 말의 개량 및 육성을 통해 축산 발전을 지원하고, 경마 수익금으로 세금을 납부하며 축산산업과 농어촌 복지에 기여하는 대한민국 공공기관이다.
  • 과천시의 단체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은 이만희를 교주로,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한 종말론적, 메시아적 성격의 종교 단체로, 공격적인 전도 방식과 코로나19 집단 감염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며 주류 기독교계에서 이단으로 간주된다.
  • 과천시의 단체 - 문원도서관
    문원도서관은 2012년 2월 13일에 개관하여 어린이자료실, 일반자료실, 시청각실, 강의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평일 오전 9시부터 밤 10시, 주말 오전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운영하며 매주 금요일과 일요일, 국경일 및 법정공휴일, 개관기념일에 휴관하는 도서관이다.
  • 한국마사회 - 렛츠런파크 서울
    렛츠런파크 서울은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대한민국 경마장으로, 한국 최초 경마장의 계승자이며 1988년 서울 올림픽 승마 경기 개최를 위해 과천으로 이전하여 1989년 개장한 이후 한국 경마의 주요 경주를 개최하는 중심지이고 한국마사회 본사가 위치해 있다.
  • 한국마사회 - 한국마사회 탁구단
    한국마사회 탁구단은 1996년 창단되어 2019년부터 남녀 통합 운영을 시작한 프로 탁구단으로, 2022년부터 한국프로탁구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여자팀은 현정화 감독이 이끌고 있다.
말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박물관 정보
원어 이름말박물관
옛 명칭마사박물관
마사박물관 전경
국가대한민국
소재지경기도 과천시 경마공원대로 107
개관일1988년 9월 13일
소유자한국마사회
운영자한국마사회
웹사이트말박물관 홈페이지

2. 위치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경마공원대로 107 (685번지) 렛츠런파크 서울 내에 위치한다.

3. 한국 마문화의 역사

3. 1. 고대 사회와 말

말은 고대부터 한국인의 삶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다. 힘과 속도의 상징으로서 신앙과 신분, 교통과 통신, 전쟁 등에 폭넓게 관여하면서 문화와 문명사의 중심에 깊숙이 자리잡아왔다. 말조각이나 말그림이 어느 동물보다 즐겨 제작되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이 가운데 신앙 측면에서의 말은 유감주술에 기초한 고대적 사유세계에서 왕권이나 지배계층의 상징으로, 때로는 영혼을 실어 나르는 메신저의 기능으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고대 토우의 다채로운 세계는 물론, 조선시대 이후에도 말에 관한 신앙은 왕실 차원에서 제사하는 마조단을 비롯하여 민간신앙의 형태로 서낭당이나 성곽 부근에서 출토된 토제말, 부군당이나 도당의 신장들이 말을 탄 모습의 그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말의 존재가 한국인의 삶과 깊숙이 밀착되어 왔음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가야(5~6C)에서 제작된 마형토기뿔잔(馬形土器角杯)은 높이 23cm로, 기마인물형토기(국보 91호)와 더불어 말모양토기 가운데 드물게 보이는 수작으로 꼽힌다. 빼어난 조형미를 평가받아 1979년부터 3년간 미국의 주요도시를 순회한 <한국미술 5000년전>에도 출품된 바 있다. 삼각형 투공이 일렬로 뚫린 2단 원형의 가야식 기대 위에 올려진 말은 작지만 힘차고 당당한 모습으로 빚었고, 안장 위에는 길쭉하고 끝이 구부러진 우각형 뿔잔을 비스듬히 얹어 조형적 아름다움을 잘 갖추었다. 다래까지 갖춘 마구의 표현은 투공의 형식 등과 함께 5~6세기경 가야토기의 전형을 보이고 있어 이 무렵 마구형식의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3. 2. 고려시대의 마문화

3. 3. 조선시대의 마문화

4. 전시실 유물로 보는 마문화

전시실은 전문 박물관인 만큼 재갈, 안장, 발걸이, 말장신구, 편자 등 각종 마구를 비롯하여 흙, 쇠, 도자기, 돌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든 말 조각, 수렵도, 준마도 등 조선시대의 각종 말 그림 그리고 말과 관련된 민속자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실물 크기의 조형물은 신라의 고분에서 나온 각종 마구들을 복원해 장식한 것으로써 당시 지배층의 화려한 기마문화를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말 모형 뒤로는 고분벽화의 기마인물상과 삼국사기의 관련 기사가 펼쳐져 있으며, 그 바로 옆에는 삼국의 건국신화에 있는 말 이야기들을 한데 모아 전시하고 있다.

== 말갖춤(마구) ==

말갖춤은 말을 부리거나 올라앉기 위해 또는 말을 꾸미기 위해 쓰이는 모든 장비를 말한다. 한국에서 말갖춤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초기 철기시대부터이지만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삼국시대 이후이다. 말갖춤은 그 기능에 따라 말을 부리기 위한 제어용구, 말을 편하게 타기 위한 안정용구, 그리고 위엄을 갖추기 위한 장식용구 등으로 구분된다.

제어용구로서 재갈과 고삐가 있으며, 재갈은 말을 조종하기 위하여 말의 입에 물리는 재갈쇠, 재갈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재갈멈치, 재갈과 고삐를 연결시켜주는 고삐이음쇠 등 세 부분으로 나뉜다. 고려시대의 청동은상감재갈(靑銅銀象嵌馬銜 HORSE BIT) 은 원형고리 및 재갈을 연결하는 결구부의 각 면에 유려한 당초문이 은상감된 청동재갈이다.

안정용구로는 말을 타기 편하도록 말 등에 얹는 안장과 안장을 놓을 때 말등이 상하지 않도록 천이나 가죽으로 덮어 보호하는 안장깔개(언치), 말에 오를 때 딛거나 말 몸체를 무릎으로 쉽게 조이기 위하여 발을 걸치는 발걸이와 이것들을 말에 매달기 위한 가죽띠가 있다. 안장은 둥근 모양의 앞가리개와 뒷가리개가 있고 그것을 연결하는 안장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안장가리개의 바깥면에는 여러 가지 무늬를 투각한 금동판으로 장식된 것이 많다. 한국의 마구 중 안장의 발전상은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그 실상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보면 신라에서도 진골과 6, 5, 4두품 및 그에 따른 여인의 안장으로 장식에 차등을 두었다. 조선시대 기린문안장(麒麟文鞍裝 SADDLE) 은 영친왕 이은(1897~1971)공이 소장했던 유물로서 나무로 틀을 짜고 그 위에 얇은 면포로 씌운 후 검은 칠을 하였다. 앞가리개 중앙에는 기린문양과 더불어 서운이 뼈로 상감되었으며, 기린문 위와 양측 좌우에는 만(卍)자문이 상감되었다. 말을 탈 때 등자(발걸이)는 안장갖춤의 필수품이다. 초기에는 짐승의 가죽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야금술이 발달됨에 따라 철이나 구리가 대종을 이룬다.

장식용구로는 대개 가죽끈이 교차되는 곳에 부착되는 말띠꾸미개와 가죽끈에 드리우는 말띠드리개, 고들개에 달아서 소리를 내며 장식적인 효과를 겸하는 말방울과 말종방울, 말머리꾸미개 등이 있다. 방울을 사용한 초기의 기록은『삼국사기』(잡지 제9직관 무관조)에 비교적 상세하게 명시되어 있다. 신라은제말방울(銀製馬鈴 SILVER HORSE BELLS) 은 구형(球形)의 은제 말방울로 탁신(鐸身)과 고리나 끈에 연결하기 위한 뉴, 그리고 내부에 소리를 내는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말방울은 가슴걸이에 달아서 소리를 내고 장식적 효과를 겸하는 것으로 재질에 따라 신분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밖에 말이 움직이거나 달릴 때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양쪽에 드리워 가리개 역할을 하는 다래와 전투에서 말을 보호하기 위하여 투구처럼 말머리를 온통 감싸는 말머리가리개, 철편으로 갑옷과 같이 말의 몸을 감싸 보호하는 말갑옷이 있다. 천마총에서 발견된 천마도는 자작나무 껍질을 겹쳐서 만든 다래의 표면에 하늘을 나는 천마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 말 그림 ==

말 그림은 과거 한국인들이 동물화 가운데 와 함께 가장 즐겨 다룬 화목 가운데 하나이다.


  • '''격구도(擊毬圖 PAINTING, KOREAN POLO)''' : 이여성(李如星:1901~?)이 그린 격구도는 신라 후기에 들어와 고려에서 크게 융성했던 격구를 근대적인 역사화 기법으로 그렸다. 이 그림을 그릴 당시에는 이미 격구의 전통이 끊긴 뒤여서 《용비어천가》《경국대전》《무예도보통지》 등 조선시대의 격구 관련 문헌을 상고하여 상단에 쓰고, 하단에는 그 기록을 토대로 격구장의 활달한 경기장면을 세련된 필치로 현장감 있게 그려냈다. 화가가 전통복식과 풍속 등을 연구해 온 문화사가의 입장이어서 자료적 가치가 더욱 높다. 이여성은 한국전쟁 후 월북, 북에서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숙청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긴 회화가 많지 않아 격구도의 가치가 더욱 높다. 동생 이쾌대는 유명한 근대 화가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한국전쟁에 이르는 시기에 민족적이며 사실주의적 작품 활동으로 화단의 주목을 받았다.

  • '''유하신마도(柳下神馬圖 PAINTING, DIVINE HORSE UNDER THE WILLOW)''' : 안중식(安中植:1861~1919)이 그린 유하신마도는 근대화단의 대표적 화가였던 안중식이 그린 말 그림이다. 여러 화목에 두루 능했지만, 특히 말 그림에서 남다른 기량을 보였다. 이 그림은 '渥洼精神'이라는 화제가 시사하듯, 한나라 한 무제 때 감숙성 안서현의 악규천에서 神馬가 나왔다는 『한서』 예악편의 기록을 소재로 그렸으며, 당시(1918)의 암울한 시대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래 버드나무와 살구꽃, 말이 어우러진 회화의 소재는 杏花春燕이라 하여 고대 중국에서부터 살구꽃이 필 무렵에 열리는 殿試의 급제를 바라는 뜻과 함께 馬報平安 또는 馬上平安의 도상으로 안정과 평안을 상징하게 된다.


== 마패 ==

마패는 공무를 띤 관리가 지방을 여행할 때 역참으로부터 말을 징발할 수 있는 증명서의 일종이었다. 이때 품계에 따라 새겨진 역마의 수가 각기 달랐다.

한국의 우역제도는 신라 소지왕(479~499재위) 9년(487) 3월에 비로소 사방에 우역을 두고 소관 관아에 관도를 수리케 함으로써 비롯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이를 운용하는 자에게 마패를 쓰게 한 것은 고려 원종 15년(1274)부터였다.

마패는 구리로 만든 원형 패찰로서 한 면에는 여행자의 품계와 직위에 따라 규정된 마필의 수를, 다른 면에는 자호와 제작년월 그리고 전서체로 상서원인`尙瑞院印`이라는 네 글자가 양각된다.

4. 1. 말갖춤(마구)

말갖춤은 말을 부리거나 올라앉기 위해 또는 말을 꾸미기 위해 쓰이는 모든 장비를 말한다. 한국에서 말갖춤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초기 철기시대부터이지만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삼국시대 이후이다. 말갖춤은 그 기능에 따라 말을 부리기 위한 제어용구, 말을 편하게 타기 위한 안정용구, 그리고 위엄을 갖추기 위한 장식용구 등으로 구분된다.

제어용구로서 재갈과 고삐가 있으며, 재갈은 말을 조종하기 위하여 말의 입에 물리는 재갈쇠, 재갈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재갈멈치, 재갈과 고삐를 연결시켜주는 고삐이음쇠 등 세 부분으로 나뉜다. 고려시대의 청동은상감재갈(靑銅銀象嵌馬銜 HORSE BIT) 은 원형고리 및 재갈을 연결하는 결구부의 각 면에 유려한 당초문이 은상감된 청동재갈이다.

안정용구로는 말을 타기 편하도록 말 등에 얹는 안장과 안장을 놓을 때 말등이 상하지 않도록 천이나 가죽으로 덮어 보호하는 안장깔개(언치), 말에 오를 때 딛거나 말 몸체를 무릎으로 쉽게 조이기 위하여 발을 걸치는 발걸이와 이것들을 말에 매달기 위한 가죽띠가 있다. 안장은 둥근 모양의 앞가리개와 뒷가리개가 있고 그것을 연결하는 안장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안장가리개의 바깥면에는 여러 가지 무늬를 투각한 금동판으로 장식된 것이 많다. 한국의 마구 중 안장의 발전상은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그 실상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보면 신라에서도 진골과 6, 5, 4두품 및 그에 따른 여인의 안장으로 장식에 차등을 두었다. 조선시대 기린문안장(麒麟文鞍裝 SADDLE) 은 영친왕 이은(1897~1971)공이 소장했던 유물로서 나무로 틀을 짜고 그 위에 얇은 면포로 씌운 후 검은 칠을 하였다. 앞가리개 중앙에는 기린문양과 더불어 서운이 뼈로 상감되었으며, 기린문 위와 양측 좌우에는 만(卍)자문이 상감되었다. 말을 탈 때 등자(발걸이)는 안장갖춤의 필수품이다. 초기에는 짐승의 가죽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야금술이 발달됨에 따라 철이나 구리가 대종을 이룬다.

장식용구로는 대개 가죽끈이 교차되는 곳에 부착되는 말띠꾸미개와 가죽끈에 드리우는 말띠드리개, 고들개에 달아서 소리를 내며 장식적인 효과를 겸하는 말방울과 말종방울, 말머리꾸미개 등이 있다. 방울을 사용한 초기의 기록은『삼국사기』(잡지 제9직관 무관조)에 비교적 상세하게 명시되어 있다. 신라은제말방울(銀製馬鈴 SILVER HORSE BELLS) 은 구형(球形)의 은제 말방울로 탁신(鐸身)과 고리나 끈에 연결하기 위한 뉴, 그리고 내부에 소리를 내는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말방울은 가슴걸이에 달아서 소리를 내고 장식적 효과를 겸하는 것으로 재질에 따라 신분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밖에 말이 움직이거나 달릴 때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양쪽에 드리워 가리개 역할을 하는 다래와 전투에서 말을 보호하기 위하여 투구처럼 말머리를 온통 감싸는 말머리가리개, 철편으로 갑옷과 같이 말의 몸을 감싸 보호하는 말갑옷이 있다. 천마총에서 발견된 천마도는 자작나무 껍질을 겹쳐서 만든 다래의 표면에 하늘을 나는 천마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4. 2. 말 그림

말 그림은 과거 한국인들이 동물화 가운데 와 함께 가장 즐겨 다룬 화목 가운데 하나이다.

  • '''격구도(擊毬圖 PAINTING, KOREAN POLO)''' : 이여성(李如星:1901~?)이 그린 격구도는 신라 후기에 들어와 고려에서 크게 융성했던 격구를 근대적인 역사화 기법으로 그렸다. 이 그림을 그릴 당시에는 이미 격구의 전통이 끊긴 뒤여서 《용비어천가》《경국대전》《무예도보통지》 등 조선시대의 격구 관련 문헌을 상고하여 상단에 쓰고, 하단에는 그 기록을 토대로 격구장의 활달한 경기장면을 세련된 필치로 현장감 있게 그려냈다. 화가가 전통복식과 풍속 등을 연구해 온 문화사가의 입장이어서 자료적 가치가 더욱 높다. 이여성은 한국전쟁 후 월북, 북에서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숙청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긴 회화가 많지 않아 격구도의 가치가 더욱 높다. 동생 이쾌대는 유명한 근대 화가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한국전쟁에 이르는 시기에 민족적이며 사실주의적 작품 활동으로 화단의 주목을 받았다.

  • '''유하신마도(柳下神馬圖 PAINTING, DIVINE HORSE UNDER THE WILLOW)''' : 안중식(安中植:1861~1919)이 그린 유하신마도는 근대화단의 대표적 화가였던 안중식이 그린 말 그림이다. 여러 화목에 두루 능했지만, 특히 말 그림에서 남다른 기량을 보였다. 이 그림은 '渥洼精神'이라는 화제가 시사하듯, 한나라 한 무제 때 감숙성 안서현의 악규천에서 神馬가 나왔다는 『한서』 예악편의 기록을 소재로 그렸으며, 당시(1918)의 암울한 시대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래 버드나무와 살구꽃, 말이 어우러진 회화의 소재는 杏花春燕이라 하여 고대 중국에서부터 살구꽃이 필 무렵에 열리는 殿試의 급제를 바라는 뜻과 함께 馬報平安 또는 馬上平安의 도상으로 안정과 평안을 상징하게 된다.

4. 3. 마패



마패는 공무를 띤 관리가 지방을 여행할 때 역참으로부터 말을 징발할 수 있는 증명서의 일종이었다. 이때 품계에 따라 새겨진 역마의 수가 각기 달랐다.

한국의 우역제도는 신라 소지왕(479~499재위) 9년(487) 3월에 비로소 사방에 우역을 두고 소관 관아에 관도를 수리케 함으로써 비롯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이를 운용하는 자에게 마패를 쓰게 한 것은 고려 원종 15년(1274)부터였다.

마패는 구리로 만든 원형 패찰로서 한 면에는 여행자의 품계와 직위에 따라 규정된 마필의 수를, 다른 면에는 자호와 제작년월 그리고 전서체로 상서원인`尙瑞院印`이라는 네 글자가 양각된다.

5. 현대 사회와 마문화

6. 결론

참조

[1] 서적 Korea Now https://books.google[...] The Korea Herald 2012-12-24
[2] 서적 Korea Now https://books.google[...] コリア・ヘラルド 2012-12-24
[3] 서적 마사박물관지
[4] 서적 알즐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