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편자는 말의 발굽을 보호하고, 환경적, 물리적 요인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 또는 기타 재료로 만들어진 U자형 물건이다. 말의 가축화 이후 발굽이 닳고 손상되기 쉬워지면서 편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편자는 대장장이가 제작하여 말의 발굽에 부착하며, 낡은 편자를 제거하고 발굽을 다듬는 과정을 거쳐 말의 발에 맞게 제작된다. 편자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문화적, 미신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문장학이나 스포츠(말굽 던지기)에서도 활용되며, 기념물로도 세워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 - 마부
마부는 마차를 운전하는 사람으로, 마차 종류와 목적에 따라 역할이 다양하며, 마구간 관리, 말 돌보기 등의 책임을 지고, 아일랜드에서는 '자비'라고 불렸으며, 위험한 운전자는 예후나 파에톤에 비유되거나 헝가리 민속에서는 현명한 조력자로 등장하기도 한다. - 말 - 기마경찰
기마경찰은 말을 이용하여 치안 유지 및 공공 질서 확보 임무를 수행하는 경찰 부대로,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세계 각국에 퍼졌으나, 교통 수단의 발전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규모가 축소되거나 해체되는 추세에 있다. - 탤리즈먼 - 만자문
만자문은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인도 종교에서 길상의 의미로 사용된 상징으로 건강, 행운, 번영 등을 상징하지만, 나치 독일이 하켄크로이츠로 차용하면서 서구 사회에서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각인되었다. - 탤리즈먼 - 주물숭배
주물숭배는 특정 물건에 영적인 힘이 있다고 믿고 숭배하는 종교 현상으로, 종교 진화론의 초기 단계로 제시되기도 했으며, 자본주의 사회의 물신숭배나 성적 페티시즘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개념이다. - 악으로부터 보호한다고 믿어지는 물건 - 잭오랜턴
잭오랜턴은 할로윈의 상징으로, 속을 파내고 얼굴을 새긴 호박 등불을 가리키며,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유래하여 악령을 쫓거나 초자연적 존재를 상징하는 의미를 지녔고, 미국에서는 19세기부터 호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 악으로부터 보호한다고 믿어지는 물건 - 소금
소금은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며, 조미료, 식품 보존, 산업,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암염 채굴, 천일염 생산, 해수 증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편자 | |
---|---|
말굽쇠 정보 | |
![]() | |
용도 | 말의 발굽 보호 |
재료 | 강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고무 |
관련 직업 | 장제사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고대 로마 시대 |
행운의 상징 | 유럽과 미국에서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짐 |
설치 방향 | 위쪽으로 향하게 설치: 행운을 담는 의미 아래쪽으로 향하게 설치: 행운을 쏟아내는 의미 |
구조 및 기능 | |
형태 | U자형 |
부착 방법 | 못을 사용하여 발굽에 고정 |
기능 | 발굽 마모 방지 접지력 향상 발굽 질병 예방 |
재료별 특징 | |
강철 | 내구성이 뛰어나 일반적인 말에 사용 |
알루미늄 | 가벼워 경주마에 사용 |
플라스틱/고무 | 특수 목적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 |
2. 역사
편자의 역사는 말의 사육과 함께 시작되었다. 고대에는 발굽 보호를 위해 가죽이나 식물성 재료를 사용했고, 중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금속 편자가 등장했다. 켈트족, 훈족, 고대 로마인 등 다양한 민족이 편자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편자 기원에 대한 명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한 상황이다. 초기에는 히포샌들과 같이 가죽이나 식물성 재료를 사용했으나, 중세 시대부터 금속 편자가 나타났다.
못으로 고정된 편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서기 900년경에 나타나며, 비잔틴 제국의 황제 레오 6세 시대 이전에는 관련 기록이 없다. 철제 편자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서기 910년에 "초승달 모양의 철과 그 못"에 대한 언급이다.[10]
2. 1. 고대
말의 사육 초창기부터 가축은 발굽이 부러지거나 과도하게 닳는 등 여러 조건에 노출되었다. 고대인들은 가축의 발굽 벽(그리고 때로는 바닥)에 자연적인 경도 외에 추가적인 보호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발굽 보호의 초기 형태는 고대 아시아에서 나타났으며, 말의 발굽을 생가죽, 가죽 또는 기타 재료로 감싸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고 닳는 것을 방지했다.[4] 영국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고대 로마인들은 오늘날의 발굽 부츠와 약간 유사한 끈으로 고정하는 단단한 바닥의 히포샌들을 사용하여 말의 발을 보호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5]
2. 2. 중세

1000년경, 유럽에서는 못 구멍이 있는 주조 청동 편자가 흔하게 사용되었다. 가장자리에 굴곡이 있고 못 구멍이 6개 있는 디자인이 일반적이었다.[4] 13~14세기에는 철제 편자가 대량으로 생산되었다.[13] 십자군 전쟁 (1096–1270) 시기에는 편자 사용이 널리 확산되었고, 다양한 문헌에서 자주 언급되었다.[6] 당시 철의 가치가 높았기 때문에 세금을 동전 대신 편자로 납부하기도 했다.[4]
13세기에는 편자가 대량으로 제작되어 완제품으로 구입할 수 있었다.[4] 16세기에는 말을 편자에 맞게 제작하는 열간 제련 방식이 일반화되었다.[13] 편자의 필요성으로 인해 대장장이 기술은 중세와 현대 시대의 주요 기술 중 하나가 되었으며, 야금술 발전에 기여했다.[11]
2. 3. 근대
16세기에는 말을 편자에 맞게 신발을 만드는 과정인 열간 제련이 일반화되었다.[13] 19세기에는 헨리 버든이 시간당 최대 60개의 편자를 만들 수 있는 편자 제조 기계에 대한 최초의 미국 특허를 발급받으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13]2. 4. 중국
중국에서는 원나라(1271-1368) 시대에 쇠 편자가 보편화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등나무와 가죽 신발이 사용되었다.[4] 전국 시대(기원전 476–221년)의 문헌인 장자에는 말 발굽 관리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4] 기원전 81년의 염철론에는 가죽 신발의 사용이 언급되지만, 이것이 말 발굽 보호용인지 승마 보조용인지는 불분명하다.[4] 쇠 말굽의 잔해는 현재 중국 북동부에서 발견되었지만, 고구려 시대인 서기 41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 서기 584년에 제작된 모고굴의 벽화에는 남자가 말 발굽을 관리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일부에서는 말굽 박기를 묘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추측하지만, 벽화가 너무 훼손되어 명확하게 알 수 없다.[4]중국에서 쇠 말굽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오대 십국 시대인 서기 938년에 나타난다.[4] 서역으로 파견된 고거휘라는 승려는 감주(현재의 장예)의 사람들이 그에게 "말 발굽 ''뮤즈''"를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기록했다.[4] 그러나 쇠 말굽은 그로부터 3세기 후에야 보편화되었다. 조여괄은 1225년에 완성된 ''제번지''에서 아랍과 페르시아의 말들이 쇠 말굽을 사용한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중국의 말들은 그렇지 않았음을 암시한다.[4] 서기 1271년 원나라가 건국된 후, 쇠 말굽은 중국 북부에서 더욱 흔해졌다.[4] 토머스 블래키스턴이 양쯔강을 따라 여행했을 때, 그는 쓰촨에서는 소들이 짚신을 신었고, 중국 북부에서는 말과 소가 쇠 신발과 못을 사용했다고 기록했다.[4] 중국에서 발견된 쇠 말굽의 대부분은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쓰촨, 그리고 티베트에서 발견되었다.[4]
2. 5. 일본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말짚신이라는 짚으로 만든 말굽 보호구를 사용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서양식 금속제 편자가 도입되기 시작했다.[37] 특히 일본 육군은 1873년 프랑스에서 장제 교관을 초빙하고, 1890년에는 독일인 교관을 초빙하여 굽쇠 기술 도입과 정착에 힘썼다.1890년 굽쇠공 면허 규칙이 제정되어 굽쇠공은 국가 자격증이 되었다. 굽쇠공 양성은 수의 학교나 농학교 부속 굽쇠 전과에서 이루어졌으며, 1년 만에 졸업하여 면장을 받았다.
청일 전쟁, 러일 전쟁에서 일본 육군은 굽쇠공 부족에 시달렸다. 중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에 걸쳐 육군은 굽쇠공을 중시하여, 민간 굽쇠 기술자를 사전에 등록하고 동원 시 우선적으로 소집 영장을 보내 굽쇠공 확보에 힘썼다. 굽쇠공은 군대에서 우대받았으며, 준사관인 특무조장 대우의 굽쇠공장까지 승진할 수 있었다.
태평양 전쟁 패전 후, 1948년 일본 장제사 회는 해산하고 일본 장제 협회가 창립되어 일본 장제사 회로 개칭되었다. 1970년에는 장제사법이 폐지되어 장제사는 국가 자격증이 아니게 되었고, 인정 장제사 제도가 발족했다. 인정 자격은 2급, 1급, 지도급의 3단계로 구성된다. 현재 일본중앙경마회(JRA) 경주마 종합 연구소 부지 내에 일본 장제사 회・장제 교육 센터가 설치되어 장제사 양성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3. 편자의 필요성
말의 가축화로 인해 말은 야생에서와 달리 다양한 환경적, 물리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면서 발굽을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4]
- 영양 부족: 야생마는 다양한 식물을 섭취하여 발굽 건강에 필요한 영양소를 얻지만, 가축화된 말은 제한된 먹이를 섭취하여 영양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제엽염을 유발할 수 있는 곡물 위주의 식단은 발굽을 약화시킨다.
- 유전적 요인: 가축화 과정에서 발굽의 강도보다는 다른 특성을 우선시하여 품종을 개량했기 때문에, 현대 가축마의 발굽은 야생마보다 약한 경향이 있다.
3. 1. 환경적 요인
말은 가축화되면서 야생 상태와 다른 환경에 놓이게 되었고, 이는 발굽 건강에 영향을 미쳤다.- 다양성 부족: 가축화된 말은 제한된 환경에서 생활하여 발굽이 충분히 단단해지지 않는다. 야생마는 하루에 약 80.47km까지 이동하며 다양한 지형을 걷기 때문에 발굽이 자연스럽게 마모되고 굳은살처럼 두꺼워지지만, 가축화된 말은 이러한 자극을 받기 어렵다.[4]
- 습윤 기후: 말은 원래 건조한 스텝 초원 지대에 살았지만, 가축화된 환경은 더 습한 경우가 많다. 습한 환경은 발굽을 약하게 만들어 손상되기 쉽다.[4]
- 암모니아 노출: 마구간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는 발굽의 각질 조직(케라틴(단백질))을 약화시킨다.
3. 2. 물리적 요인
말은 가축화되면서 야생에서보다 발굽에 더 많은 부담을 받게 되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발굽에 영향을 미친다.4. 편자 장착 과정
편자 장착은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며, 대장장이(장제사)가 수행한다. 굽쇠 박기는 제대로 수행될 경우 동물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다. 대장장이는 굽의 감각이 없는 부분을 다듬는데,[20] 이는 사람의 손톱에 하는 매니큐어와 유사하지만 훨씬 더 큰 규모로 이루어진다.[1]
굽쇠를 박기 전에 대장장이는 펜치(굽쇠 제거기)를 사용하여 낡은 굽쇠를 제거하고, 날카로운 펜치와 같은 도구인 니퍼와 굽 칼로 굽의 발굽 벽, 발바닥 및 혀를 원하는 길이로 다듬는다. 굽쇠는 야생에서 자연적으로 닳는 것과 같이 굽이 닳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그로 인해 너무 길어질 수 있다. 굽 내부의 관절뼈는 발굽뼈의 두 뼈와 일직선이 되어야 한다. 과도한 굽을 다듬지 않으면 뼈가 어긋나 동물의 다리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21]
그 후 굽쇠는 발에 맞춰 측정한 후 망치, 모루, 용광로를 사용하여 올바른 모양으로 구부리고, 스터드용 탭과 같은 다른 수정 사항을 추가한다. 대장장이는 금속 굽쇠를 가열하지 않고 구부리는 냉간 굽쇠 제작을 하거나, 금속을 용광로에 넣어 구부리는 열간 굽쇠 제작을 할 수 있다. 열간 굽쇠 제작은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으며 대장장이가 용광로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지만, 뜨거운 굽쇠로 굽에 남겨진 자국을 통해 굽쇠가 얼마나 고르게 놓이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나은 착용감을 제공한다. 또한 대장장이가 발가락과 쿼터 클립을 그리는 등 굽쇠를 더 많이 수정할 수 있다. 대장장이는 열이 굽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뜨거운 굽쇠를 굽에 너무 오래 대고 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21]
뜨거운 굽쇠는 물에 넣어 식힌다. 그런 다음 대장장이는 굽의 흰 선에 못을 박아 굽쇠를 박는다. 못은 박히면서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도록 모양이 잡혀 있어 발의 민감한 내부 부분을 피하여 굽의 측면에 나온다. 못이 완전히 박히면 대장장이는 날카로운 부분을 잘라내고 클린처(이 목적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펜치 형태) 또는 망치와 함께 클린칭 블록을 사용하여 못의 나머지 부분을 구부려 굽 벽과 거의 일치시킨다. 이렇게 하면 못이 무언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못과 굽쇠가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돕는다.[21]
그 후 대장장이는 줄(큰 파일)을 사용하여 굽쇠와 만나는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하고 못을 잘라낸 후 남은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제거한다.[21]
5. 편자의 문화적 의미
편자는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닌 상징물로 여겨져 왔다.
유럽에서는 편자를 문에 걸어 액막이나 행운의 부적으로 사용했다. 현관에 편자 끝이 위로 향하면 행운이 오고, 아래로 향하면 불운이 온다고 믿는 문화권이 있는 반면, 끝이 아래로 향해야 행운이 온다고 믿는 지역도 있다.[22] 이는 켈트족이 다난 신족을 철기와 기마로 물리친 것에서 유래하여, 요정이나 악귀 등 이계의 존재는 철을 싫어하여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설과 성 던스턴과 악마 이야기에서 액막이로 여겨지게 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23] 일본중앙경마회(JRA)는 말이 사람을 밟지 않는다는 점에서 편자를 교통안전 부적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문장학에서 편자는 대장장이, 마샬, 스미스 등과 같은 이름을 가진 가문의 문장에 사용되는 등 가장 흔하게 말장난 문장으로 나타난다. 편자(두 개의 망치와 함께)는 런던의 자치구인 해머스미스 앤 풀럼의 문장에 나타난다.[28] 영국에서 가장 작은 역사적 자치구인 러틀랜드의 기는 참나무 열매가 흩뿌려진 밭 위에 놓인 금색 편자로 구성되어 있다.[29]
말굽 던지기는 말굽을 막대에 최대한 가깝게 던져 점수를 얻는 스포츠이다. 전 세계적으로 말굽을 던져 노는 풍습이 있으며, 미국에서는 호스슈즈(Horseshoes, 호스슈 피칭이라고도 함)라는 인기 스포츠가 되었다.
핀란드 알라부스 시 투우리 마을에 있는 쇼핑몰 위에는 거대한 황금색 편자 구조물이 세워져 있는데, 로이터 통신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흉물스러운 건물 및 기념물 목록에서 3위에 올랐다.[31]
5. 1. 미신
편자는 오랫동안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편자는 악령을 물리친다고 여겨지는 철로 만들어졌으며, 전통적으로 행운의 숫자인 7개의 못으로 고정되었다.[41]이 미신은 10세기 캔터베리 대주교였던 성 던스턴과 관련된 전설로 인해 기독교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다. 대장장이였던 던스턴에게 어느 날 악마가 찾아와 자신의 말에 편자를 박아달라고 요청했다. 던스턴은 악마를 알아봤지만 요청에 동의하고, 말굽 대신 악마의 발에 편자를 박아 고통을 주었다. 던스턴은 악마가 문에 편자가 걸린 집에 들어가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고 나서야 편자를 제거했다.[23]
편자를 거는 방향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행운을 잡기 위해 끝부분이 위로 향해야 한다고 믿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행운이 쏟아지도록 끝부분이 아래로 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2] 뱃사람들은 편자를 돛대에 박으면 폭풍을 피할 수 있다고 믿었다.[26][27]
유럽에서는 문에 편자를 걸어 액막이나 행운의 부적으로 사용한다. 현관에 편자 끝이 위로 향하면 행운이 오고, 아래로 향하면 불운이 온다고 믿는 문화권이 있는 반면, 끝이 아래로 향해야 행운이 온다고 믿는 지역도 있다. 일본중앙경마회(JRA)는 말이 사람을 밟지 않는다는 점에서 편자를 교통안전 부적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이러한 풍습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켈트족이 다난 신족을 철기와 기마로 물리친 것에서 유래하여, 요정이나 악귀 등 이계의 존재는 철을 싫어하여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설과 성 던스턴과 악마 이야기에서 액막이로 여겨지게 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5. 2. 문장학
문장학에서 편자는 대장장이, 마샬, 스미스 등과 같은 이름을 가진 가문의 문장에 사용되는 등 가장 흔하게 말장난 문장으로 나타난다. 편자(두 개의 망치와 함께)는 런던의 자치구인 해머스미스 앤 풀럼의 문장에도 나타난다.[28]영국에서 가장 작은 역사적 자치구인 러틀랜드의 기는 참나무 열매가 흩뿌려진 밭 위에 놓인 금색 편자로 구성되어 있다.[29] 이는 러틀랜드의 자치 도시인 오크햄을 방문하는 모든 귀족이 영주의 저택에 편자를 선물하고, 이를 오크햄 성의 벽에 못 박는 고대 전통을 가리킨다. 수세기에 걸쳐 오크햄 성은 방대한 편자 컬렉션을 모았으며, 가장 오래된 것은 15세기에 제작된 것이다.[30]
5. 3. 스포츠
말굽 던지기는 말굽을 막대에 최대한 가깝게 던져 점수를 얻는 스포츠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 스포츠는 말굽 자체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전통적인 말굽도 여전히 사용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조직화된 경기에서는 말의 발굽에 맞지 않는 특수 스포츠 말굽을 사용한다.[32]
전 세계적으로 말굽을 던져 노는 풍습이 있으며, 미국에서는 호스슈즈(Horseshoes, 호스슈 피칭이라고도 함)라는 인기 스포츠가 되었다. 처음에는 필요 없어진 고리 모양의 말굽을 던져 비거리를 겨루는 것이었지만, 점차 말뚝을 향해 던지는 일종의 "고리 던지기"와 같은 놀이로 변화했다.
1번에 1명이 2개의 말굽(horse shoes)을 던지는 것에서 "호스슈즈"라고 명명되었다.
미국에서는 유럽에서 온 이민자들이 이 호스슈즈를 가져왔고, 특히 카우보이들 사이에서 대유행했다. 1921년에는 "National Horseshoes Pitchers Association of America"가 설립되어 회원 수가 15,000명 이상인 메이저 스포츠가 되었다.[39]
일본에서도 1991년에 "일본 호스슈즈 협회"가 설립되어 전일본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경기 인구는 약 5,000명이다.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주목받고 있다. 만화가 후지코 후지오 A는 래피드 시티에서 개최되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일본 대표 선수들을 소재로 한 "사우스다코타의 푸른 하늘"을 '월드 표류기'[40]에서 그리고 있다.
5. 4. 기념물
핀란드 알라부스 시 투우리 마을에 있는 쇼핑몰 위에는 거대한 황금색 편자 구조물이 세워져 있다. 이 구조물은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기념물 중 하나이지만, 로이터 통신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흉물스러운 건물 및 기념물 목록에서 3위에 올랐다.[31]참조
[1]
서적
The Whole Horse Catalog: Revised and Updated
Fireside
1998
[2]
서적
The Horse
Freeman
1990
[3]
웹사이트
The Legend Behind Horseshoes For Good Luck Involves The Devil Himself
https://www.wideopen[...]
2019-01-18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orseshoes
http://www.equisearc[...]
Equisearch.com
2011-11-19
[5]
웹사이트
Iron hipposandal
https://artsandcultu[...]
2017-07-20
[6]
웹사이트
Who Invented Horseshoeing?
http://www.horseshoe[...]
[7]
간행물
Etruscan Horseshoes from Corneto
https://penelope.uch[...]
2015-11-01
[8]
서적
Groundbreaking Scientific Experiments,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the Ancient World
Greenword/ABC-CLIO
[9]
서적
Scientific American Inventions and Discoveries
John Wiley
2004-08-02
[10]
서적
An essay on the knowledge of the ancients respecting the art of shoeing the horse, and of the probable period of the commencement of this art
https://books.google[...]
[11]
서적
Horseshoe
2005
[12]
서적
On dating old horse-shoes
The Museum
1939
[13]
웹사이트
Horseshoes, Nails, Saddles, and Riding
http://theinventors.[...]
TheInventors.org
2010-06-16
[14]
서적
The Museum Called Canada: 25 Rooms of Wonder
Random House
2004
[15]
웹사이트
~ K K {{!}} x «إߦZ x ~ b y -- -- H
http://culture.peopl[...]
[16]
서적
Horses and Horsemanship: Animal Agriculture Series.
Interstate Publishers
1990
[17]
서적
Horses & Tack: A Complete One Volume Reference on Horses and Their Care
Houghton Mifflin Co.
1991
[18]
간행물
Race Horses Require Shoes of Special Design and Weight
https://books.google[...]
1936-04
[19]
서적
A Natural Approach to Horse Management
Methuen
1992
[20]
웹사이트
Mesa Horse Farrier Services {{!}} Arizona Horseshoeing {{!}} Farrier Near Me™
https://www.farriern[...]
2019-04-10
[21]
서적
The Horse
Freeman
1990
[22]
웹사이트
Superstition Bash: Horseshoes
http://www.csicop.or[...]
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
2004-01-13
[23]
웹사이트
Who was St Dunstan?
http://www.stdunstan[...]
St Dunstan Episcopal Church
2015-08-12
[24]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The True Legend of St. Dunstan and the Devil, by Edward G. Flight
https://www.gutenber[...]
2024-12-19
[25]
웹사이트
Horseshoes - As Luck Would Have It
https://bouldercount[...]
2024-12-18
[26]
서적
Don't Shoot the Albatross!: Nautical Myths and Superstitions
A&C Black
2011
[27]
웹사이트
Luck and Horseshoes
http://www.indepthin[...]
Indepthinfo.com
2011-12-19
[28]
웹사이트
Hammersmith and Fulham, London Borough of
http://civicheraldry[...]
Civic Heraldry of England and Wales
[29]
웹사이트
Flag of Rutland
Flag Institute|Rutla[...]
Flag Institute
2018-05-12
[30]
서적
The Horseshoes of Oakham Castle
Leicestershire Museums
1987
[31]
웹사이트
10 top ugly buildings and monument
https://www.reuters.[...]
Reuters
[32]
웹사이트
The Official Rules/Regulations Guidelines Specifications For The Sport Of Horseshoe Pitching
https://www.horsesho[...]
2022-10-23
[33]
웹사이트
Q&A - 公益社団法人日本装削蹄協会
http://sosakutei.jra[...]
2016-11-30
[34]
문서
Die Alamannenbeute aus dem Rhein bei Neupotz: Plünderungsgut aus dem römischen Gallien.
Mainz
1993
[35]
문서
横浜ウマ物語-文明開化の蹄音
神奈川新聞社
2004
[36]
뉴스
装蹄教育センター(宇都宮市)
読売新聞
2006-06-29
[37]
서적
幕末日本探訪記
講談社
1997
[38]
웹사이트
わらじを履いて薪運び
https://natgeo.nikke[...]
2023-10-30
[39]
웹사이트
http://www.horseshoe[...]
2017-10-10
[40]
서적
小学館
1995-09
[41]
웹인용
Superstition Bash: Horseshoes
http://www.csicop.or[...]
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