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그놀리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그놀리아는 1999년 개봉한 폴 토머스 앤더슨 감독의 미국 드라마 영화이다. 샌퍼넌도밸리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의 얽히고설킨 삶을 보여주며, 우연과 필연, 용서와 구원, 그리고 아버지와 자녀 간의 관계에 대한 주제를 다룬다. 톰 크루즈, 줄리앤 무어, 윌리엄 H. 메이시 등 다수의 배우가 출연하며, 2000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 토머스 앤더슨 감독 영화 - 인히어런트 바이스
폴 토마스 앤더슨 감독의 2014년 네오누아르 미스터리 코미디 영화 《인히어런트 바이스》는 토머스 핀천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197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립 탐정 래리 "독" 스포텔로가 전 연인의 실종 사건과 관련된 세 가지 의뢰를 받으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 폴 토머스 앤더슨 감독 영화 - 리노의 도박사
폴 토마스 앤더슨의 장편 데뷔작인 리노의 도박사는 노련한 도박사 시드니 브라운이 노숙자 존 피네건을 돕는 이야기의 네오 누아르 드라마 영화이다. - 황금곰상 수상작 - 12인의 성난 사람들 (1957년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1957년 영화)은 18세 소년의 유죄 여부를 두고 배심원들이 토론하는 법정 드라마로, 헨리 폰다가 합리적 의심을 제기하며 편견과 소수 의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황금곰상 수상작 - 센스 앤 센서빌리티
제인 오스틴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센스 앤 센서빌리티는 아버지 사망 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대시우드 가 세 자매의 사랑과 결혼을 그린 작품으로, 이성적인 엘리너와 감성적인 매리앤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사랑을 경험하며 사회적 규범 속에서 행복을 찾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엠마 톰슨 각색, 이안 감독 연출로 호평을 받고 아카데미 각색상 등을 수상했다. - 암을 소재로 한 영화 - 데드풀 (영화)
2016년 개봉한 팀 밀러 감독의 슈퍼히어로 영화 데드풀은 라이언 레이놀즈가 주연을 맡아 암 치료 실험 후 힐링팩터를 얻은 웨이드 윌슨이 복수를 펼치는 내용으로, 파격적인 유머와 액션, '제4의 벽'을 넘나드는 연출로 인기를 끌며 R등급 슈퍼히어로 영화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암을 소재로 한 영화 - 나와 친구, 그리고 죽어가는 소녀
《나와 친구, 그리고 죽어가는 소녀》는 백혈병에 걸린 친구 레이첼을 돕기 위해 친구 얼과 함께 단편 영화를 만드는 17세 고등학생 그렉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우정, 성장, 삶과 죽음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감동을 자아낸다.
매그놀리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폴 토머스 앤더슨 |
제작자 | 조앤 셀러 폴 토머스 앤더슨 |
각본가 | 폴 토머스 앤더슨 |
출연 | 제러미 블랙먼 톰 크루즈 멀린다 딜런 필립 베이커 홀 필립 시모어 호프먼 리키 제이 윌리엄 H. 메이시 알프레드 몰리나 줄리앤 무어 존 C. 라일리 제이슨 로버즈 멜로라 월터스 |
내레이터 | 리키 제이 |
음악 | 존 브라이언 |
촬영 | 로버트 엘스윗 |
편집 | 딜런 티체너 |
스튜디오 | 골라르디 필름 컴퍼니 조앤 셀러 프로덕션 |
배급사 | 뉴 라인 시네마 |
개봉일 | 1999년 12월 17일 (미국) 2000년 2월 20일 (일본) 2000년 4월 15일 (대한민국) |
상영 시간 | 188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3,700만 달러 |
흥행 수익 | 22,455,976 달러 (미국, 캐나다) 48,451,803 달러 (전 세계) |
2. 줄거리
로스앤젤레스 샌퍼넌도밸리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영화에는 주요 등장인물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들은 복잡하게 얽힌 이야기 속에서 각자의 삶을 살아간다.
경찰관 짐 커링은 신경질적인 여자의 집에서 남편의 시체를 발견하지만 범인을 찾지 못한다. 한편, 클로디아 윌슨은 아버지 지미 게이터와 다툰 후 코카인을 흡입한다. 지미는 암 투병 중이며 딸과의 화해를 원하지만, 클로디아는 아버지를 쫓아낸다. 이후 짐이 클로디아의 집을 방문하고, 둘은 서로에게 끌려 데이트를 약속한다.
지미 게이터는 장수 퀴즈쇼 '아이들은 무엇을 알까?'의 사회자다. 그날 방송에는 퀴즈왕 스탠리 스펙터가 출연하는데, 스탠리는 아버지와 어른들의 기대에 짓눌려 방송 중 실수를 하고 만다. 동시에 지미도 지병으로 쓰러진다.
과거 퀴즈왕이었던 도니 스미스는 현재 삶에 적응하지 못하고 짝사랑하는 바텐더의 관심을 얻기 위해 돈을 훔치려 한다.
암으로 죽어가는 얼 파트리지는 간병인 필 파마에게 숨겨둔 아들 프랭크 매키를 찾아달라고 부탁한다. 프랭크는 남성주의 연설가로 성공했지만, 아버지와의 관계에 대한 트라우마를 갖고 있다. 얼의 아내 린다는 돈 때문에 결혼했지만 진심으로 얼을 사랑하며 그의 죽음을 슬퍼한다.
짐은 클로디아와의 데이트를 앞두고 권총을 잃어버리고, 클로디아에게 자신의 무능함을 고백한다. 클로디아도 자신의 과거를 털어놓고 둘은 키스하지만, 클로디아는 부끄러움에 도망친다.
지미는 아내 로즈에게 클로디아가 자신을 성추행범으로 믿고 있다고 말한다. 로즈는 화를 내며 집을 나가고, 지미는 자살을 결심한다.
모두가 갈등의 정점에 달했을 때, 하늘에서 개구리 비가 쏟아진다. 지미는 총알을 빗맞아 살아남고, 로즈는 클로디아와 화해한다. 얼은 깨어나 아들 프랭크와 재회하고, 도니는 짐의 도움을 받는다. 스탠리는 개구리 비를 보며 희망을 품는다.
다음날, 얼은 죽고 프랭크는 린다를 위로한다. 스탠리는 아버지에게 더 잘해달라고 말하고, 짐은 클로디아에게 진심을 고백하며 영화는 끝을 맺는다.
3. 등장인물
그 외 조연 및 단역은 다음과 같다.3. 1. 주요 등장인물
배우 | 역할 | 일본어 더빙 |
---|---|---|
제러미 블랙먼 | 스탠리 스펙터 | 토마 유미 |
톰 크루즈 | 프랭크 T. J. 매키 | 야마데라 코이치 |
멀린다 딜런 | 로즈 게이터 | |
에이프릴 그레이스 | 궤너비어 | |
루이스 구스만 | 본인 | |
필립 베이커 홀 | 지미 게이터 | 무라마츠 야스오 |
필립 시모어 호프먼 | 필 파마 | 마츠모토 야스노리 |
리키 제이 | 버트 램지, 내레이션 | |
이매뉴얼 존슨 | 딕슨 | |
윌리엄 H. 메이시 | 어린이 퀴즈왕 도니 스미스 | 타하라 아르노 |
앨프리드 몰리나 | 솔로몬 솔로몬 | |
줄리앤 무어 | 린다 파트리지 | 타카시마 가라 |
마이클 머피 | 앨런 클리그먼 | |
존 C. 라일리 | 짐 커링 경관 | 오오카와 토오루 |
제이슨 로바즈 | 얼 파트리지 | 마루야마 에이지 |
멜로라 월터스 | 클라우디아 윌슨 | 무라이 카즈사 |
마이클 보언 | 릭 스펙터 | |
헨리 깁슨 | 서스턴 하월 | |
펄리시티 허프먼 | 신시아 | |
아일린 라이언 | 메리 | |
대니 웰스 | 딕 제닝스 |
3. 2. 기타 등장인물
4. 제작
폴 토머스 앤더슨은 전작 《부기 나이트》(1997)의 성공으로 뉴 라인 시네마에게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매그놀리아》를 기획했다.[6] 당시 뉴 라인 시네마 제작 책임자 마이클 드 루카는 영화 아이디어를 듣지 않고 앤더슨에게 최종 편집권을 주었다.[6][7] 앤더슨은 이를 "다시는 경험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회상했다.[6]
처음 앤더슨은 "친밀하고 작은 규모"로 30일 만에 찍을 수 있는 영화를 구상했다.[8][9] 그러나 각본을 쓰면서 "점점 발전"했고, 많은 배우를 위해 쓰고 싶다는 생각에 "필요는 없지만 서사적인 주제"를 다루기로 했다.[8] 그는 "최고의 샌퍼넌도밸리 영화, 서사 영화"를 만들고 싶어했다.[10]
앤더슨은 에이미 만의 음악에서 큰 영감을 얻었다.[8] 그는 에이미 만의 초기 앨범들과 발매 예정이던 ''Bachelor No. 2 or, the Last Remains of the Dodo'' 데모 트랙을 바탕으로 각본을 썼다.[12] "에이미 만의 노래를 각색하기 위해 앉았다"고 할 정도였다.[13] 특히 "Deathly"는 클라우디아 캐릭터의 모티브가 되었고,[12] 영화 속 대사("Now that I've met you / Would you object to / Never seeing each other again")로도 쓰였다.[8] 등장인물들이 "Wise Up"을 함께 부르는 장면도 있다.[8]
톰 크루즈는 《부기 나이트》 팬으로, 앤더슨에게 먼저 연락해 출연 의사를 밝혔다.[20] 앤더슨은 스탠리 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 촬영장에서 크루즈를 만나 다음 영화에 자신을 캐스팅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20] 앤더슨은 크루즈를 위해 남성주의 연설가 프랭크 T.J. 매키 역을 만들었는데, 이 캐릭터는 앤더슨 친구가 들려준 로스 제프리스 강의 테이프에서 영감을 받았다.[5]
얼 파트리지 역은 원래 제이슨 로바즈를 위해 썼지만, 처음에는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출연이 불가능했다.[22] 조지 C. 스콧이 거절한 후, 로바즈가 다시 캐스팅되었다.[23] 로바즈는 배역처럼 폐암 환자였고, 촬영 이듬해에 사망했다.[93]
촬영은 1999년 1월부터 6월까지 약 90일간 진행되었다.[25] 앤더슨은 복잡한 카메라 움직임과 롱 테이크를 활용해 등장인물들의 감정과 관계를 섬세하게 묘사했다. 특히 스탠리 스펙터가 'What Do Kids Know?' 녹화장에 도착하는 장면은 2분 15초 동안 카메라가 여러 공간을 이동하며 다양한 인물들을 따라가는 롱테이크로 촬영되었다.[27]
영화의 주요 모티브 중 하나인 '개구리 비'는 찰스 포트의 저서에서 영감을 받았다.[19] 앤더슨은 처음에 이 현상이 성경에 언급된 내용인지 몰랐다고 한다.[19]
에이미 만의 노래는 영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Save Me"는 아카데미 주제가상 후보에 올랐다.[12] 존 브리온의 스코어는 영화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5. 주제
영화의 주제는 우연과 운명, 가족 관계와 소통 부재, 용서와 구원, 그리고 현대 사회의 고독 등이다.
우연과 운명:영화는 겉보기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인물들의 삶이 우연한 사건들로 인해 서로 얽히고설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인간의 삶에서 우연과 운명이 차지하는 비중을 강조한다. 특히, 영화 마지막 부분에 하늘에서 개구리가 쏟아지는 장면은 이러한 주제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75][76][77][78][79] 영화 전체에 걸쳐 출애굽기 8장 2절 ("만일 네가 그들을 보내기를 거절하면 내가 개구리로 네 모든 지경을 칠지라")는 구절이 언급된다.[81]
가족 관계와 소통 부재:등장인물들은 가족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소통 부재로 인해 고통받는다. 특히, 아버지와 자녀 간의 관계가 중요한 주제로 다뤄진다. 지미와 클라우디아, 얼과 프랭크, 스탠리와 릭 등 다양한 부자 관계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보여준다.[80][2]
용서와 구원:영화는 등장인물들이 과거의 상처와 죄책감에서 벗어나 서로를 용서하고 구원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린다, 프랭크, 로즈, 클라우디아 등이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고 서로를 용서하는 모습은 영화의 중요한 메시지 중 하나이다.
현대 사회의 고독:로스앤젤레스 샌퍼넌도밸리라는 특정 지역을 배경으로, 현대 사회의 고립과 소외 문제를 다룬다.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고독과 외로움 속에서 살아가며, 서로 연결되기를 갈망한다.
이러한 주제들은 영화 속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와 사건들을 통해 복합적으로 얽혀 있으며, 관객들에게 깊은 생각할 거리를 제공한다.
6. 평가 및 반응
《매그놀리아》는 1999년 12월 17일 7개 극장에서 제한 상영을 시작하여 193,604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2000년 1월 7일에는 1,034개 극장에서 와이드 릴리스를 하였고, 개봉 주말에 570만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 최종적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2250만달러, 다른 지역에서 2600만달러를 벌어들여 총 4850만달러의 전 세계 수익을 거두었으며, 제작비는 3700만달러였다.
잉마르 베리만은 인터뷰에서 이 작품을 "미국 영화의 강점"을 보여주는 예시로 언급하며 높게 평가했다.[41]
6. 1. 비평
《매그놀리아》는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149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지지율 83%, 평균 평점 7.50/10을 기록했다.[90] 메타크리틱에서는 34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가중 평균 점수 77/100을 기록했다.[91] 많은 비평가들이 영화의 독창적인 구성,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 감정적인 깊이를 칭찬했다.씨네21의 박은영 기자는 영화가 '가족을 비롯한 온갖 인간관계에 잠복해 있는 비극성'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로버트 올트먼의 《숏 컷》과 비교하여 '용서와 화해를 주선하는 이들의 존재와 감독의 애정어린 시선'이 느껴진다고 말했다.[92] 듀나는 몇몇 과도한 감정선과 스타일을 지적하면서도, 거창한 주제를 정공법으로 진지하게 풀어내는 용감함과 통찰력이 돋보이는 '결점 있는 걸작'으로 호평했다.[94] 황덕호 재즈 칼럼니스트는 에이미 맨과 존 브라이언의 영화 음악이 제각각의 이야기에 동질성과 동시성을 부여하며 '용서와 구원'이라는 테마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분석했다.[93]
《USA 투데이》는 이 영화에 별 넷 중 셋 반을 부여하며 "올해 최고의 영화 중 가장 불완전한 작품"이라고 평했다.[31] 《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넷을 모두 부여했으며, 1999년 그의 두 번째로 좋아하는 영화로 꼽았다. 그는 "《매그놀리아》는 내가 본능적으로 반응하는 영화다. 논리는 문 밖에 두고, 절제된 취향과 자제를 기대하지 말고, 대신 일종의 오페라적인 황홀경을 기대하라"고 말했다.[32] 이후 그는 이 영화를 자신의 '위대한 영화' 목록에 추가했다.[33]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이 영화에 "B+" 평점을 부여하며 톰 크루즈의 연기를 칭찬했다.[34]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네스 투란 역시 톰 크루즈의 연기를 칭찬했다.[36]
반면, 《뉴욕 타임스》의 자넷 머슬린은 영화가 "엄청나게 자멸하기 시작한다"고 비판했지만, 연기의 친밀함과 배우들이 보내는 절박한 신호 덕분에 영화가 구원받았다고 덧붙였다.[38] 《타임》의 평론가 리처드 시켈은 "그 결과는 열심히 노력하고 뒤얽힌 영화로, 앤더슨이 바라는 부드럽게 왕복하는 엔진이 되지는 못한다"고 썼다.[40]
잉마르 베리만은 인터뷰에서 《매그놀리아》를 "미국 영화의 힘"을 보여주는 예로 언급했다.[41] 로저 이버트는 2008년에 이 작품을 "위대한 영화" 목록에 포함시키며 "영화 제작의 행위로서, 우리를 끌어들이고 놓아주지 않는다"고 말했다.[42]
6. 2. 수상
wikitext연도 | 상 | 부문 | 수상자 | 결과 | 출처 |
---|---|---|---|---|---|
2000 | 제5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황금곰상 | 《매그놀리아》 | 수상 | [50] [51] |
제57회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부문 남우조연상 | 톰 크루즈 | 수상 | [57] [58] | |
영화 부문 주제가상 | 에이미 맨 - 'Save Me' | 후보 | [57] [58] | ||
제72회 아카데미상 | 남우조연상 | 톰 크루즈 | 후보 | [49] | |
각본상 | 폴 토머스 앤더슨 | 후보 | [49] | ||
주제가상 | 에이미 맨 - "Save Me" | 후보 | [49] | ||
방송영화비평가협회상 | 작품상 | 《매그놀리아》 | 후보 | [55] | |
제6회 미국 배우 조합상 |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 줄리앤 무어 | 후보 | [67] | |
영화 부문 남우조연상 | 톰 크루즈 | 후보 | [67] | ||
영화 부문 종합연기상 | 《매그놀리아》 | 후보 | [67] | ||
7.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매그놀리아》는 가족 해체, 소통 부재, 개인의 고립 등 한국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갈등과 화해는 한국 사회의 가족 관계, 세대 간의 갈등, 사회적 소외 문제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다.
영화에 등장하는 '개구리 비'와 같은 초자연적인 현상은 예측 불가능한 사회적 재난, 개인의 무력함,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잃지 않는 인간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자연재해, 사회적 참사 등을 겪은 한국 사회에 깊은 울림을 준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영화는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8. 기타
- 폴 토마스 앤더슨은 1990년 퀴즈 프로그램 "Quiz Kids Challenge"의 어시스턴트를 한 적이 있다.[88]
- 하늘에서 개구리가 떨어지는 장면은 출애굽기에서 인용한 것이라고 보도된 적이 있었지만, 감독은 당시 그 사실을 알지 못했다. 실제로는 초자연 현상 연구가인 찰스 포트의 책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극 중에서도 스탠리의 서재에 포트의 저서 "Wild Talents"가 등장한다.[89]
- 제목인 "매그놀리아"는 꽃의 이름이지만, 영화의 무대인 샌퍼낸도 밸리에 실제로 존재하는 거리의 이름이기도 하다.
- 극 중에서 지미 게이터와 도니 스미스가 중얼거리는 "And the book says: "We may be through with the past but the past is not through with us."(그리고 책은 말한다: "우리는 과거와 끝났을지 몰라도, 과거는 우리와 끝나지 않았다.")"라는 대사는, 미국의 영어학자 버겐 에반스의 저서 "The Natural History of Nonsense"(Alfred A. Knopf, 1946년)에서 인용한 것이다.
- 도니는 바에서 서스턴과의 대화 중 새뮤얼 존슨의 말을 다수 인용하고 있다.
9. 한국판 성우진 (SBS, 2004년 6월 25일)
참조
[1]
웹사이트
MAGNOLIA (18)
http://www.bbfc.co.u[...]
2000-01-11
[2]
뉴스
Magnolia
http://rogerebert.su[...]
2008-11-27
[3]
간행물
GamesRadar
http://www.totalfilm[...]
2014-09-11
[4]
웹사이트
'Magnolia': Paul Thomas Anderson's Absorbing Mosaic of Compassion, Humanity and the Importance of Forgiveness • Cinephilia & Beyond
https://cinephiliabe[...]
2019-12-16
[5]
뉴스
PTA Meeting: An Interview with Paul Thomas Anderson
Creative Screenwriting
2000-01-01 # Assuming Jan-Feb means beginning of 2000
[6]
뉴스
His Way
https://www.nytimes.[...]
1999-12-19
[7]
뉴스
Heading in a New Direction
1999-12-24
[8]
뉴스
Magnolia Maniac
https://www.theguard[...]
2000-03-10
[9]
뉴스
Magnolia Production Notes
http://www.cigarette[...]
New Line Cinema
[10]
뉴스
Magnolia Springs from Valley Roots
1999-12-19
[11]
뉴스
How Magnolia Grew and Grew
1999-12-30
[12]
뉴스
Music Blossomed into Film
1999-12-16
[13]
웹사이트
Aimee Mann got cinematic with the gorgeous Magnolia soundtrack
https://www.avclub.c[...]
2020-06-25
[14]
뉴스
He Finally Gets the Girl
2000-01-11
[15]
뉴스
Everything's Coming Up Magnolia's for Actress
1999-12-23
[16]
간행물
Paul Thomas Anderson's film tour of L.A.
https://ew.com/artic[...]
[17]
뉴스
Director Can Do Both Riveting and Ribbiting
2000-01-23
[18]
뉴스
I Went from Being Anonymous to: 'Who Is This Guy We've Got To Have Him'
2000-03-05
[19]
서적
Scripture on the Silver Screen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3
[20]
뉴스
Boogie writer back in the Valley
https://www.nytimes.[...]
1999-10-08
[21]
웹사이트
Paul Thomas Anderson Made a Fake Infomercial with Tom Cruise | Late Night with Conan O'Brien - YouTube
https://www.youtube.[...]
2021-09-28
[22]
뉴스
Interview: USA Today
http://cigsandredvin[...]
2000-01-07
[23]
뉴스
Dangerous Ground Is Paul Thomas Anderson's Turf
2000-01-07
[24]
뉴스
Burt Reynolds: 'I regret turning down Greta Garbo'
https://www.theguard[...]
2015-12-03
[25]
비디오미디어
Magnolia
New Line Home Video, Inc.
2000
[26]
웹사이트
Video: Steadicam progress – the career of Paul Thomas Anderson in five shots
https://www2.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15-03-23
[27]
간행물
25 Great Extended Shots in Film History
http://www.pastemaga[...]
2013-05-01
[28]
뉴스
What's a record exec to do with Aimee Mann?
https://www.nytimes.[...]
1999-07-11
[29]
Box Office Mojo
[30]
웹사이트
CinemaScore
https://www.cinemasc[...]
[31]
뉴스
Magnolia Unfolds with Epic Boldness
1999-12-17
[32]
웹사이트
Magnolia
https://www.rogerebe[...]
2000-01-07
[33]
웹사이트
Tales of loneliness, in full flower
https://www.rogerebe[...]
2008-11-27
[34]
간행물
Magnolia
http://www.ew.com/ew[...]
1999-12-29
[35]
뉴스
I Left with that Strange Feeling You Get When You've Witnessed a Genuine Act of Courage
2000-03-19
[36]
뉴스
Magnolia
http://www.calendarl[...]
2000-04-06
[37]
뉴스
A Day in the Life of L.A.: Where's the Rough Stuff?
http://www.observer.[...]
2000-01-23
[38]
뉴스
Entangled Lives on the Cusp of the Millennium
https://movies.nytim[...]
1999-12-17
[39]
뉴스
Magnolia
http://film.guardian[...]
2000-03-19
[40]
잡지
Magnolia
http://www.time.com/[...]
1999-12-27
[41]
뉴스
EuroScreenwriters – Interviews with European Film Directors – Ingmar Bergman
http://zakka.dk/euro[...]
[42]
뉴스
Magnolia
http://rogerebert.su[...]
2008-11-27
[43]
잡지
GamesRadar
http://www.totalfilm[...]
2014-09-11
[44]
뉴스
Empire's 500 Greatest Movies of All Time
http://www.empireonl[...]
Empire Magazine
2014-01-05
[45]
웹사이트
Votes for Magnolia (1999)
http://www.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46]
웹사이트
They Shoot Pictures, Don't They?
http://www.theyshoot[...]
2011-09-27
[47]
잡지
When David Foster Wallace Taught Paul Thomas Anderson
https://www.theparis[...]
2015-01-06
[48]
웹사이트
I'm Paul Thomas Anderson, Writer and Director of PHANTOM THREAD, AMA!
https://www.reddit.c[...]
2018-01-16
[49]
웹사이트
Nominees & Winners for the 72nd Academy Award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50]
웹사이트
Berlinale: 2000 Prize Winners
https://www.berlinal[...]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51]
뉴스
Magnolia Blossoms
2000-02-21
[52]
웹사이트
Bodil Prize 2001
https://www.bodilpri[...]
Bodil Awards
[53]
웹사이트
1988-2013 Award Winner Archives
https://chicagofilmc[...]
Chicago Film Critics Association
2013-01
[54]
웹사이트
6th Annual Chlotrudis Awards
https://chlotrudis.o[...]
Chlotrudis Society for Independent Films
[55]
웹사이트
The BFCA Critics' Choice Awards :: 1999
http://www.bfca.org/[...]
Broadcast Film Critics Association
[56]
웹사이트
1999 FFCC AWARD WINNERS
http://www.floridafi[...]
Florida Film Critics Circle
[57]
웹사이트
Magnolia
https://www.goldengl[...]
Golden Globe Awards
[58]
뉴스
American Beauty Wins 3 Golden Globe Awards
2000-01-24
[59]
웹사이트
43rd Annual GRAMMY Awards
https://www.grammy.c[...]
Grammy Awards
[60]
웹사이트
Previous Sierra Award Winners
http://www.lvfcs.org[...]
Las Vegas Film Critics Society
[61]
웹사이트
1999 Award Winners
https://nationalboar[...]
National Board of Review
[62]
웹사이트
Past Awards
https://nationalsoci[...]
National Society of Film Critics
2009-12-19
[63]
웹사이트
4th Annual Film Awards (1999)
http://www.oftaaward[...]
Online Film & Television Association
[64]
웹사이트
1999 Awards (3rd Annual)
https://ofcs.org/awa[...]
Online Film Critics Society
2012-01-03
[65]
웹사이트
2000 Awards (4th Annual)
https://ofcs.org/awa[...]
Online Film Critics Society
2012-01-03
[66]
웹사이트
2000 Satellite Awards
https://www.pressaca[...]
Satellite Awards
[67]
웹사이트
The 6th Annual Screen Actors Guild Awards
http://www.sagawards[...]
Screen Actors Guild Awards
[68]
웹사이트
Press Release - Stinkers 1999 Winners
http://www.thestinke[...]
2002-02-17
[69]
웹사이트
Past Award Winners
https://torontofilmc[...]
Toronto Film Critics Association
2014-05-29
[70]
뉴스
Toronto Critics Pick Magnolia as Best Film of 1999
1999-12-17
[71]
웹사이트
1999 Village Voice Film Poll
https://mubi.com/awa[...]
Mubi
2021-07-05
[72]
웹사이트
Awards Winners
http://www.wga.org/a[...]
Writers Guild of America Awards
2010-06-06
[73]
웹사이트
21st Annual Young Artist Awards
https://web.archive.[...]
Young Artist Awards
2011-03-31
[74]
웹사이트
AFI's 100 Years ... 100 Songs Nominees
http://www.afi.com/D[...]
2016-08-14
[75]
웹사이트
Richard Stanwick: Magnolia
http://cinetext.phil[...]
Cinetext.philo.at
2003-02-25
[76]
웹사이트
Magnolia Movie Review
http://www.killermov[...]
Killermovies.com
[77]
뉴스
Magnolia :: rogerebert.com :: Reviews
https://web.archive.[...]
Rogerebert.suntimes.com
2000-01-07
[78]
웹사이트
Magnolia and Meaning | Movies
http://www.culturesn[...]
Culture Snob
2003-09-08
[79]
잡지
Magnolia (1999)
http://www.popmatter[...]
[80]
뉴스
''Magnolia'': An Appreciation
https://web.archive.[...]
SydField.com
[81]
웹사이트
Books by Loren Coleman
http://lorencoleman.[...]
The Cryptozoologist : Loren Coleman
2012
[82]
서적
Mysterious America: The Ultimate Guide to the Nation's Weirdest Wonders, Strangest Spots, and Creepiest Creatures
Simon & Schuster
[83]
웹사이트
'Magnolia': The Exodus for Kids
http://metaphilm.com[...]
Metaphilm
2003-05-09
[84]
서적
The Paul Thomas Anderson Shooting Script Set: ''Magnolia'' and ''Punch-Drunk Love''
Newmarket Press
2004-01-26
[85]
웹사이트
Watch: 'That Moment,' A 72 Minute Documentary on P.T. Anderson's 'Magnolia'
http://www.slashfilm[...]
2014-07-08
[86]
웹사이트
Magnolia (1999)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1-29
[87]
뉴스
Magnolia Maniac
The Guardian
2000-03-10
[88]
뉴스
Heading in a New Direction
Toronto Star
1999-12-24
[89]
웹사이트
ABUNDANCE OF SYMBOLS IN `MAGNOLIA' HAS FILMGOERS LOOKING FOR CLUES
https://www.chicagot[...]
[90]
웹사이트
Magnolia (1999)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2-07-04
[91]
웹사이트
Magnolia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22-07-04
[92]
잡지
기묘한 우연의 희극, 엇갈린 인연의 비극, <매그놀리아>
http://www.cine21.co[...]
2000-04-11
[93]
잡지
[황덕호의 시네마 애드리브] 사랑과 구원을 위한 변주곡
http://www.cine21.co[...]
2015-11-17
[94]
웹인용
매그놀리아 Magnolia (1999) * * * 1/2
https://web.archive.[...]
2000-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