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퉁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퉁이과는 홍메치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몸길이는 10cm에서 70cm까지 다양하다. 주둥이가 짧고 큰 눈, 작은 이빨을 가진 입을 특징으로 하며, 몸은 가늘고 길며 비늘이 크고 단단하다. 주로 저인망 어업이나 낚시로 어획되며, 살은 흰색이지만 잔뼈가 많아 어묵 등의 가공식품 원료로 사용된다. 물천구속, 매퉁이속, 꽃동멸속, 황매퉁이속 등 4개의 속과 약 80종이 있으며, 파충류를 연상시키는 체형 때문에 "도마뱀 물고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가시두더지
가시두더지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섬에 서식하며 가시로 덮인 몸, 긴 주둥이, 발톱을 가진 단공류 포유류로, 알을 낳고 개미 등을 먹으며, 위협 시 몸을 둥글게 말거나 땅에 숨는 특징을 지닌다.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쥐가오리과
쥐가오리과는 날개 모양 가슴지느러미와 머리지느러미를 가진 연골어류로, 여과 섭식을 하며,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매가오리과에서 독립된 과로 인정받았고, 쥐가오리속을 유일한 현존 속으로 가지며 암초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 등을 포함하고, 멸종된 화석 속인 아르키아오만타도 알려져 있다.
매퉁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Synodontidae |
명명자 | T. N. Gill, 1862 |
이명 | Harpadontidae |
분류 | |
속 | Harpadon Saurida Synodus Trachinocephalus |
특징 | |
크기 | 최대 60cm |
서식 깊이 | 최대 400m |
2. 특징
몸길이는 10cm에서 70cm까지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주둥이가 짧고, 머리 앞쪽에 큰 눈이 붙어 있다. 눈 뒤까지 크게 벌어지는 입에는 작은 이빨이 늘어서 있어 먹이를 놓치지 않는다. 몸은 가늘고 길며, 단면은 둥글고 원통형이다. 비늘은 크고 단단하다. 지느러미는 몸에 비해 비교적 작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사이에 작고 둥근 지방 지느러미를 가지며, 이는 연어, 은어, 멸치 등과 같은 특징이다.
전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모든 종이 해산이지만, 하구 등의 기수역에 들어오기도 한다. 대부분 수심 200m까지의 얕은 바다에 서식한다.
주로 저인망 등의 연안 어업·원양 어업으로 어획된다. 낚시로도 어획되지만, 매퉁이를 주 목적으로 낚는 사람은 적고, 대부분 외도로 잡힌다. 농어, 참돔 등 대형 육식어의 낚시 미끼나 루어에 걸리는 경우가 있거나, 보리멸 낚시 등으로 잡힌 물고기를 물어뜯는 경우가 있다.
물천구속 (''Harpadon'')에는 물천구가 포함된다.[8] 매퉁이속 (''Saurida'')에는 잔비늘매퉁이, 날매퉁이, 검정매퉁이, 툼빌매퉁이, 매퉁이가 포함된다.[8] 꽃동멸속 (''Synodus'')에는 수다꽃동멸, 꽃동멸, 카이야꽃동멸, 주홍꽃동멸이 포함된다.[8] 황매퉁이속 (''Trachinocephalus'')에는 황매퉁이가 포함된다.[8]
다음은 데이비스(Matthew P. Davis)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9]
파충류를 연상시키는 체형으로, 국명에 "악어에소"나 "도마뱀에소"라는 이름이 붙은 종류가 있으며, 영명에서도 "Lizardfish"(도마뱀 물고기)나 "Snakefish"(뱀 물고기) 등으로 불린다.[1]
파충류를 연상시키는 체형으로, 한국어 이름에 "매퉁이"가 붙고, 일본어 이름에는 "악어에소"나 "도마뱀에소"라는 이름이 붙은 종류가 있으며, 영어 이름에서도 "Lizardfish"(도마뱀 물고기)나 "Snakefish"(뱀 물고기) 등으로 불린다.
3. 생태
낮에는 해저에 엎드리거나 모래 속에 숨는 경우가 많고, 밤에 헤엄쳐 나와 먹이를 찾는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조개류, 다모류, 두족류, 갑각류, 다른 어류 등 작은 동물을 널리 포식한다.
4. 이용
살은 흰 살로 질도 좋고 맛있다. 다만, 억센 잔뼈가 많아 3장 뜨기를 해도 그대로는 잔뼈투성이이며, 뼈 바르기를 해도 잔뼈 자체가 굵고 억세서 붕장어처럼 맛있게 먹을 수는 없어, 일반적인 조리를 해서 식탁에 오르는 물고기는 아니다. 조리 방법으로는 뼈를 바른 후에 어묵으로 만들어 튀김으로 하거나, 손이 많이 가더라도 끈기 있게 뼈 제거를 해서 조리하는 것이다.
한편, 어육 연제품의 원료로는 개성이 없는 담백한 맛으로 씹는 맛도 좋기 때문에 최고급품으로 귀하게 여겨지며, 시장에서는 관련 업자가 거의 다 사들인다.
오이타현사이키시의 향토 요리인 고마다시나, 에히메현우와지마시의 향토 요리 후쿠멘의 주재료로 사용된다.
뱅어 어업에서 치어가 종종 혼입되는 경우가 있다.
5. 하위 속
일본 근해에는 24종이 기록되어 있다.속 종 특징 マエソ일본어 (Saurida) マエソ일본어 (S. macrolepis) 몸길이 40cm 정도. 등은 갈색, 배는 흰색. 가슴지느러미가 배지느러미에 닿을 정도로 길고, 꼬리지느러미 아랫부분이 흰색. マエソ일본어 (Saurida) ツケアゲエソ일본어 (S. undosquamis) 몸길이 40cm 정도. 등은 갈색, 배는 흰색. 측선 비늘 수가 많다. 2018년 8월 가고시마현 미나미사쓰마시에서 확인. マエソ일본어 (Saurida) ドカゲエソ일본어 (S. elongata) 몸길이 50cm 정도. 가슴지느러미가 짧아 배지느러미에 닿지 않음. 니가타현 이남에서 남중국해까지 분포. マエソ일본어 (Saurida) ワニエソ일본어 (S. wanieso) 몸길이 70cm 정도. 꼬리지느러미 아랫부분이 검다. 수컷 성어는 등지느러미 제2 연조가 실 모양. 인도양·서태평양 열대·아열대 해역 분포. アカエソ일본어 (Synodus) アカエソ일본어 (S. ulae) 몸길이 30cm 정도. 몸이 붉고, 8~9개의 갈색 가로 줄무늬. 인도양·서태평양 열대·아열대 해역 분포. 얕은 암초나 산호초 주변 서식. オキエソ일본어 (Trachinocephalus) オキエソ일본어 (T. myops) 몸길이 40cm 정도. 주둥이가 짧고, 몸에 4개의 노란색 세로 줄무늬. 전 세계 열대·온대 해역 분포.
6.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
! 홍메치목
|-
|
{| class="wikitable"
|-
! 홍메치아목
|-
|
|-
| 매퉁이과
|}
|-
! 파라울로푸스아목
|-
|
{| class="wikitable"
|-
| 파라울로푸스과
|-
! 란도어아목
|-
|
{| class="wikitable"
|-
! 긴촉수매퉁이상과
|-
|
{| class="wikitable"
|-
|
|-
| 기간투라과
|}
|-
|
|}
|-
|
{| class="wikitable"
|-
! 파랑눈매퉁이상과
|-
|
{| class="wikitable"
|-
| 파랑눈매퉁이과
|-
|
{| class="wikitable"
|-
! 노토수디스상과
|-
|
{| class="wikitable"
|-
| 노토수디스과
|-
! 란도어상과
|-
|
{| class="wikitable"
|-
| 스코펠라르쿠스과
|-
|
{| class="wikitable"
|-
| 에베르만넬라과
|-
|
{| class="wikitable"
|-
| 수디스과
|-
|
{| class="wikitable"
|-
| 란도어과
|-
|
|}
|}
|}
|}
|}
|}
|}
|}
|}
|}
7. 기타
뱀장어목의 요코에소나 호우넨에소, 또는 같은 히메목의 아오메에소, 마루아오메에소, 나가즈에에소, 신카이에소 등, 일본어 명칭에 "에소"가 붙는 물고기는 많다.[1] 또한, 샛멸치목의 물고기는 큰 눈과 입, 지방 지느러미 등의 공통된 특징을 가지며, 한때는 히메목과 같은 목으로 분류되었다.[1]
이들은 심해어로, 모습은 비슷하지만 비교적 얕은 바다에 서식하는 에소과와는 또 다른 외형과 생태가 알려져 있다. 기이한 형태의 심해어로 자주 소개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1]
다만 극단적인 심해에 서식하는 것은 오히려 눈이나 발광 기관이 퇴화되어 있으며, 일주 수직 운동도 하지 않는다.[1]
8. 보충 설명
츠케아게에소는 몸길이 40cm 정도이다. 등 쪽은 갈색이고 배 쪽은 흰색이며, 측선 비늘 수가 다른 종보다 많다. 마에소와 달리 대만이 북쪽 한계라고 생각되었지만, 2018년 8월에 가고시마현 미나미사쓰마시 가사사에서 가고시마 대학 대학원 수산학 연구과의 나카무라 준페이가 낚시로 잡아 확인했다. 이름은 "지금까지도 사츠마아게(츠케아게)의 연육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아닐까"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6][7]
참조
[1]
FishBase
[2]
문서
[3]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4]
간행물
A New Species of Western Atlantic Lizardfish (Teleostei: Synodontidae: ''Synodus'') and Resurrection of ''Synodus bondi'' Fowler, 1939, as a Valid Species from the Caribbean with Redescriptions of ''S. bondi'', ''S. foetens'' (Linnaeus, 1766), and ''S. intermedius'' (Agassiz, 1829)
http://fishbull.noaa[...]
2013-03
[5]
웹사이트
FAMILY Details for Synodontidae - Lizardfishes
https://www.fishbase[...]
Fishbase
2023-09-29
[6]
뉴스
鹿大院生が国内初の魚発見!
https://www.mbc.co.j[...]
MBC南日本放送
2020-03-19
[7]
연구
鹿児島の郷土料理「つけあげ」の原料に未知の魚!!本学学生が日本初記録のエソ科魚類を発見、「ツケアゲエソ」と命名
https://research-er.[...]
日本の研究.com
[8]
FishBase
[9]
서적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the Aulopiformes (Euteleostei: Cyclosquamata): a molecular and total evidence approach.'
Verlag Dr. Friedrich Pfe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