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튜 미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튜 미드는 1630년경 태어나 1699년 사망한 영국의 목사이자 작가이다. 킹스 칼리지에서 학위를 받고 목회 활동을 시작했으며, 1660년 왕정복고 이후 종교적 박해를 피해 네덜란드로 피신하기도 했다. 그는 '거의 그리스도인'을 포함한 여러 저서를 출판했으며, 장로교와 회중교회의 연합을 지지했다. 미드는 1699년 마지막 설교를 한 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리처드 미드는 유명한 의사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99년 사망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 1699년 사망 - 크리스티안 5세
    크리스티안 5세는 1670년부터 1699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절대왕정 강화, 《단스케 로브》 발포, 스코네 전쟁 참여, 과학 발전 기여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630년 출생 - 가이바라 에키켄
    가이바라 에키켄은 에도 시대의 유학자이자 본초학자로서, 주자학을 강의하고 조선 통신사 대응 등 중책을 맡았으며, 《징비록》 등을 일본에 소개하여 임진왜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 60부 270여 권의 저서를 남겼다.
  • 1630년 출생 - 헨드릭 하멜
    헨드릭 하멜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선원으로, 제주도 표류 후 13년간 조선에 억류된 경험을 바탕으로 하멜 표류기를 통해 조선의 모습과 풍습을 유럽에 상세히 소개하여 네덜란드와 대한민국 간의 교류에 기여했다.
매튜 미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대략 1630년
출생지레이턴 버저드, 베드퍼드셔
사망1699년 10월 16일
직업목사

2. 생애

매튜 미드는 17세기 잉글랜드의 저명한 비국교도 목회자였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 수학한 후 목회자의 길을 걸었으나, 왕정복고 이후 통일령 등으로 인해 국교회에서 축출되어 어려움을 겪었다. 스테프니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히 목회 활동을 펼쳤으며, 라이 하우스 음모에 연루되는 등 정치적 탄압을 받기도 했다. 그는 존 오언 등 당대의 주요 신학자들과 교류했으며[3], 장로교회중교회의 연합을 지지하는 등 비국교도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2. 1. 초기 생애 (1630년 ~ 1660년)

리처드 미드와 그의 아내 조안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로, 그는 1630년경 버킹엄셔 머즐리에서 태어났다. 1648년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의 장학생으로 선출되었고, 1649년 8월 6일 특별 연구원으로 임명되었다.[2] 그는 1651년 6월 6일 사임했는데, 윌리엄 콜은 그가 서약을 거부하여 퇴학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였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리처드 존슨 등을 추방하라고 주장하여 좋지 않은 평판을 얻었다. 1655년에는 런던의 올 할로우 교구에 있는 엘리자베스 월튼과 결혼하였다.

2. 2. 목회 활동과 핍박 (1660년 ~ 1688년)

1660년 잉글랜드 왕정복고가 이루어지자 미드는 샤드웰의 '새 예배당'과 강사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이후 세인트 세펄처 교회, 홀본에서 강사직을 얻었으나, 1662년 통일령에 따라 비국교도로 분류되어 이 자리에서도 쫓겨났다. 이는 당시 비국교도 목회자들이 겪었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663년, 그는 스테프니의 워체스터 하우스에 거주하고 있었다. 1664년 제정된 비국교도 집회 금지법(Conventicle Act)과 1666년 발효된 5마일 법(Five Mile Act)은 비국교도들의 활동을 크게 제약했다. 이러한 종교적 핍박을 피해 미드는 네덜란드로 피신해야 했다. 다만, 1665년 런던 대역병 기간 동안에는 런던에 머물렀던 것으로 추정된다.

1669년 1월 31일, 그는 윌리엄 그린힐의 조수로 스테프니 회중 교회에 초빙되어 목회 활동을 재개했다. 그린힐이 사망한 후, 1671년 10월 13일 그의 후임 목사로 초빙되었고, 같은 해 12월 14일 존 오웬, 조셉 캐릴 등 저명한 목회자들에 의해 목사 안수를 받았다.

1674년, 미드를 위해 스테프니에 스테프니 회관(Stepney Meeting House)이 건립되어 9월 13일에 개관했다. 이 회관은 네덜란드에서 기증한 네 개의 둥근 소나무 기둥으로 지붕을 지탱했으며, 천장 위에는 비밀 통로가 있는 다락방이 마련되어 있어 탄압이 심해질 경우 신도들이 피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의 회중은 당시 런던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했다. 그는 1674년 5월 1일부터 젊은이들을 위한 메이데이 설교를 시작했으며, 성금요일 예배도 꾸준히 드렸다.

그러나 핍박은 계속되었다. 1680년경, 미드는 엑서터의 이단자로 지목된 제임스 피어스를 보호하며 자신의 집에서 수년간 머물게 했다. 1682년 12월, 윌리엄 스미스 경(Sir William Smith)이 무장한 경비병들을 이끌고 스테프니 회관을 습격하여 설교단을 부수고 의자를 파손하는 등 폭력적인 탄압을 가했다. 1683년 6월, 미드는 라이 하우스 음모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추밀원에 소환되었으나, 국왕의 명령으로 풀려났다. 같은 해, 그는 피너스 홀(Pinners' Hall)에서 존 오웬의 연임으로 강의하기도 했다.[3]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미드는 존 하위(John Howe)가 시도했던 장로교와 회중교회의 연합 노력에 지지를 보내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2. 3. 말년과 죽음 (1688년 ~ 1699년)

1686년, 미드는 다시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에서 설교하며 지냈다. 이듬해인 1687년, 제임스 2세의 양심의 자유 선언 발표에 따라 잉글랜드로 돌아왔다.

명예 혁명 이후, 그의 활동은 계속되었다. 1689년 3월 25일에는 그의 회의실에 갤러리가 건설되었고, 같은 해 7월 16일에는 인접한 주택과 정원이 회중교회에 의해 미드와 그의 상속인에게 주어졌다. 1690년, 미드는 존 하우가 시작한 장로교회중교회의 통합 운동을 지지했다. 이 '행복한 연합'은 1691년 4월 6일 스테프니에서 회의를 열었으며, 미드는 이 자리에서 에제키엘 37장 19절을 본문으로 '두 개의 막대기가 하나가 되다'라는 제목의 설교를 했다. 그러나 1694년, 다니엘 윌리엄스의 이단 혐의로 연합이 깨지자 미드는 온건한 입장을 취했으며, 장로교 측이 탈퇴한 후에도 핀너스 홀 강사직을 유지했다. 같은 해 에드먼드 캘러미가 안수를 요청했을 때, 그는 다른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것을 우려하여 거절했다.

미드는 1699년 5월 1일에 마지막 설교를 했고, 같은 해 10월 16일 7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스테프니 교회 묘지에 묻혔으며, 캘러미는 그의 묘비에 라틴어 비문을 새겼다. 존 하우는 그의 장례 설교를 맡았다. 동시대 인물인 피어스는 그를 신사이자 학자로 평가했다.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 'Tristiæ Christianæ'가 1699년에 대형 시트지 형태로 발행되었다.

3. 저작

1661년 7명의 다른 목회자들과 함께 '영어-헬라어 사전' 편찬에 참여했다. 그의 고별 설교는 1662년 별도로 출판되었고, 1663년 ''Compleat Collection''에도 수록되었다. 또한 토마스 로즈웰(1692년 사망)과 티모시 크루소의 장례 설교를 했으며, 1689년 ''The Life and Death of Nathaniel Mather''의 서문을 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Ἐν ὀλίγῳ Χριστιανός, the Almost Christian Discovered'' (유사 그리스도인, 1662년): 1661년 홀본의 세인트 세풀크레 교회에서 설교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여러 차례 재판되었으며, 네덜란드어(1682년, 위트레흐트)와 웨일스어(1825년, 머서 티드필)로 번역되었다.
  • ''Solomon's Prescription for the Removal of the Pestilence'' (전염병 제거를 위한 솔로몬의 처방, 1666년): 1667년 부록과 함께 재판되었다.
  • ''The Good of Early Obedience'' (이른 순종의 유익, 1683년): 메이데이(May Day) 설교를 묶은 책이다.
  • ''The Vision of the Wheels'' (바퀴의 환상, 1689년): 에스겔에 관한 설교를 묶은 책이다.


사후에 출판된 저서는 다음과 같다.

  • ''The Young Man's Remembrancer'' (젊은이의 기억 도우미, 1701년 제3판): 그의 마지막 두 메이데이 설교를 담고 있으며, 여러 차례 재판되었다.
  • ''Original Sermons on the Jews; and on Falling into the Hands of … God … with a Memoir'' (유대인에 대한 설교와 하나님의 손에 떨어지는 것에 대한 설교, 1836년): 1703년1710년 제임스 앤드류스가 필기한 속기 노트를 편집한 것이다.

4. 신학적 입장과 영향

매튜 미드는 존 하위가 시도했던 장로교회중교회의 연합 노력을 지지하였다.[3] 이는 당시 잉글랜드 국교회로부터 분리된 다양한 개신교 그룹들 사이의 화합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으로 이해될 수 있다.

5. 가족

1654년 1월 3일 런던 시의 세인트 메리 울노스 교회에서 엘리자베스 월튼과 결혼했다. 엘리자베스는 런던 롬바드 스트리트의 올할로우 출신이었다. 그는 13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11번째가 의사인 리처드 미드였다. 장남인 사무엘은 1687년 위트레흐트에서 칼라미와 함께 유학했으며, 1686년 ''논쟁'', 1687년 ''연습'', 1689년 ''연설''을 위트레흐트에서 출판했다. 1694년에는 살터스 홀의 저녁 강사였지만 서품을 받지 않았고, 법원 변호사가 되었다.

6. 평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매튜 미드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자료는 그의 생애 주요 사건들을 나열하고 있을 뿐, 존 하우나 제임스 피어스의 평가, 또는 현대 한국 개신교계에서의 영향력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만을 기반으로 '평가'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참조

[1] 문서
[2] 기타
[3] 서적 Meet the Puritans : with a guide to modern reprints https://www.worldcat[...]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