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류는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을 포함하는 식물을 가리킨다. 영어에는 맥류를 포괄하는 단어가 없으며, 농림수산성 통계에서는 밀과 보리를 삼맥으로, 보리에서 2조 보리를 나누어 사맥으로 취급한다. 맥류는 벼과 잎새풀아과에 속하며, 율무는 기장아과에 속한다. 맥류는 식용, 사료용 외에도 목초나 잡초로도 재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아풀아과 - 참새귀리속
참새귀리속은 벼과에 속하며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풀 등 다양한 형태로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에 분포하는 약 100종의 식물군이다. - 포아풀아과 - 담상이삭풀속
담상이삭풀속은 벼과 잎새풀아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농업, 조경, 생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곡류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곡류 - 수수
수수는 아프리카 원산의 벼과 한해살이 식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식량 및 사료 작물로 재배되며, 건조에 강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일부 종에는 유해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맥류 | |
---|---|
개요 | |
![]() | |
학명 | 다양한 종 (아래 참고) |
한국어 | 맥, 보리, 귀리, 호밀 등 |
영어 | Cereals, Grains |
일본어 | 麦 (Mugi) |
로마자 표기 | Mugi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문 |
강 | 외떡잎식물강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강아지풀아과 |
속 | 밀속 (Triticum) 보리속 (Hordeum) 호밀속 (Secale) 귀리속 (Avena) |
종류 | |
주요 맥류 | 밀 쌀 보리 귀리 호밀 옥수수 수수 메밀 피 조 기장 |
특징 | |
정의 | 벼과 식물 중 곡물로 사용되는 식물의 총칭 |
식용 부위 | 종자 (곡물) |
용도 | 식량, 사료, 가공식품 원료 (빵, 국수, 맥주 등) |
재배 | |
파종 시기 | 가을 (월동 작물) 또는 봄 |
수확 시기 | 여름 |
주요 생산 지역 | 전 세계 |
기타 | |
관련 정보 | 농업, 식량 안보, 식물학 |
2. 명칭과 범위
맥류는 벼과 식물 중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영어에는 이들을 묶어서 부르는 표현이 없으며, 종류에 따라 barley(보리), wheat(밀) 등으로 구분한다.[2]
일본 농림수산성 통계에서는 보리를 Emmer|에머영어와 쌀보리로 나누고, 밀과 함께 '삼맥'으로 칭한다.[2] 또한 보리에서 2조 보리(맥주보리, ''Hordeum distichum'')를 분리하여 사맥(四麥)으로 취급하기도 한다.[2]
맥류는 두해살이풀이기 때문에 지난해 풀이라고도 불린다.
2. 1. 범위
맥류에는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을 포함한다.[2] 영어에는 여러 종류를 총칭하는 표현이 없으며, 종류에 따라 barley(보리), wheat(밀)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일본 농림수산성의 통계에서는 보리를 Emmer|에머영어와 쌀보리로 나누어 밀과 함께 "삼맥"으로 하고 있다.[2] 또한, 보리에서 2조 보리(맥주보리, ''Hordeum distichum'')를 나누어 사맥(四麥)으로 취급하고 있다.[2]
두해살이풀이기 때문에, 지난해 풀이라는 이칭이 있다.
2. 2. 명칭에 「ムギ」나 「バク」가 붙는 식물
벼과 잎새풀아과에는 '무기', '바쿠'라는 이름이 붙는 식물이 널리 분포한다. 밀, 보리, 호밀, 귀리는 모두 이 아과에 속한다. 예외적으로 율무는 기장아과에 속하며, 밀이나 보리보다 억새나 옥수수에 가깝다.[3][4][5]이들 식물이 반드시 씨앗을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목초로 재배되거나 잡초로 자생하는 경우도 있다.
- 벼과
- 잎새풀아과
- Bromeae 연
- 새풀속 - 개밀 (잡초)
- Poeae 연
- 귀리속 - 귀리, 까락귀리
- 독맥속 - 독맥/털없는독맥, 페레니얼라이그래스,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아마독맥, 보우맥 외 (목초, 잡초)
- Triticeae 연
- 에기롭스속 - 탈호밀 외
- 보리속 - 보리 (두줄보리, 네줄보리/여섯줄보리, 나맥)
- 밀속 - 빵밀, 듀럼밀, 스펠트밀, 엠머/클럽밀 외
- 호밀속 - 호밀
- 기장아과
- Andropogoneae 연
- 율무속 - 율무
2. 3. 벼과 식물 목록
- 벼과
- 잎새풀아과
- Bromeae 연
- 새풀속 - 개밀
- Poeae 연
- 귀리속 - 귀리, 까락귀리
- 독맥속 - 독맥/털없는독맥, 페레니얼라이그래스,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아마독맥, 보우맥
- Triticeae 연
- 에기롭스속 - 탈호밀
- 보리속 - 보리(두줄보리, 네줄보리/여섯줄보리, 나맥)
- 밀속 - 빵밀, 듀럼밀, 스펠트밀, 클럽밀
- 호밀속 - 호밀
- 기장아과
- 억새족 연
- 율무속 - 율무
2. 3. 1. 잎새풀아과
벼과 잎새풀아과는 널리 분포하고 있다. 밀, 보리, 호밀, 귀리는 모두 이 아과에 속한다. 단, 예외적으로 율무는 기장아과이며, 밀이나 보리보다 억새나 옥수수에 근연이다.[3][4][5]반드시 씨앗을 식용·사료용으로 하는 것은 아니며, 목초로 재배되거나 잡초로 자생하는 것도 있다.
- 벼과
- 잎새풀아과
- Bromeae 연
- 새풀속 - 개밀 - 잡초
- Poeae 연
- 귀리속 - 귀리, 까락귀리
- 독맥속 - 독맥/털없는독맥, 페레니얼라이그래스,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아마독맥, 보우맥 외 - 목초, 잡초
- Triticeae 연
- 에기롭스속 - 탈호밀, 외
- 보리속 - 보리(두 줄 보리, 네 줄 보리/여섯 줄 보리, 나맥)
- 밀속 - 빵밀, 듀럼밀, 스펠트밀, 클럽밀(Emmer영어) 외
- 호밀속 - 호밀
2. 3. 2. 기장아과
- 벼과
- * 기장아과
- ** 억새족(Andropogoneae)
율무속 - 율무
참조
[1]
백과사전
万有百科大事典
小学館
[2]
웹사이트
兵庫県植物防疫情報
https://www.nosai-hy[...]
兵庫県農業共済組合
2022-03-28
[3]
문서
Two-row Barley
[4]
문서
[5]
문서
Six-row Bar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