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무는 시코쿠무기, 토우무기라고도 불리며, 아시아가 원산지인 곡물이다. 율무는 기비아과에 속하며, 옥수수, 수수, 억새와 근연 관계에 있다. 율무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밥, 차, 미숫가루, 떡 등의 재료로 쓰인다. 한의학에서는 의이인(薏苡仁)이라는 약재로 사용되어 이뇨, 진통, 강장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임산부에게는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기재된 식물 - 아카시아 바우에를레니이
아카시아 바우에를레니이는 키가 1~4m로 자라는 관목으로, 좁은 잎과 흰색 또는 크림색 꽃을 6~8월에 피우며, 꼬투리에는 세로로 배열된 씨앗이 들어 있고, 뉴사우스웨일스주 북동부와 퀸즐랜드주 남동부 건조한 경엽수림에서 발견된다. - 1896년 기재된 식물 - 리틀레달레아속
리틀레달레아속은 벼과의 포아풀아과에 속하며 리틀레달레아족에 속하는 여러 종을 포함하는 속이다. - 나도솔새족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나도솔새족 - 옥수수속
옥수수속은 벼과에 속하며 한해살이풀과 여러해살이풀을 포함하고 옥수수와 옥수수의 조상인 테오신테를 포함하는 속으로, 일부 테오신테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캄보디아의 식물상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캄보디아의 식물상 - 포멜로
포멜로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감귤류 과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여러 감귤류 잡종의 조상이고, 신맛이 적고 단맛과 향이 있는 과육은 생과일이나 가공품으로 섭취되지만, 일부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율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식물 분류 | |
이름 | 율무 |
![]() | |
분류 체계 | APG IV |
계 | 식물계 |
문 (계급 없음) | 속씨식물군 |
강 (계급 없음) | 외떡잎식물군 |
목 (계급 없음)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기장아과 |
연 | 우산잔디족 |
속 | 염주속 |
종 | 염주 |
변종 | 율무 |
학명 | Coix lacryma-jobi var. ma-yuen |
학명 명명자 | (Rom. Caill.) Stapf |
이명 | Coix chinensis Tod. Coix chinensis var. formosana (Ohwi) L. Liou Coix lacryma-jobi var. formosana Ohwi Coix lacryma-jobi var. frumentacea Makino Coix lacryma-jobi subsp. ma-yuen (Rom. Caill.) T. Koyama Coix ma-yuen Rom. Caill. |
화석 범위 | 알 수 없음 |
상태 | 평가되지 않음 |
상태 기준 | 알 수 없음 |
상태 출처 | 알 수 없음 |
색 | 식물 |
2. 명칭
율무는 시코쿠무기, 토우무기라고도 불린다. 중국 식물명(한명)은 율의(薏苡)이다. 약재로 쓰이는 정백한 율무는 의이인(薏苡仁)이라고 한다. 품종의 학명 'ma-yuen'은 후한의 마원 장군이 교지군(현재 베트남)에서 발견하여 중국에 가져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2]
아시아에 분포한다.[13] 동아시아(중국), 동남아시아(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필리핀), 남아시아(인도)가 원산지이다.[13]
율무는 인도차이나반도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동남아시아 근채 농경 문화권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 일본에는 6세기경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나라 시대에 재배가 시작되었다는 가설도 있다[3][4]. 그러나 에도 시대 교호 연간(1716-1736)에 재배가 확산되었다[6].
율무는 봄에 파종하며, 비료를 많이 필요로 하는 다비 재배가 이루어진다.[1] 휴경지에서도 재배된다.[2] 1981년 논 이용 재편 대책의 특정 작물로 인정된 후, 논 전환 작물로 재배되고 있다. 하지만, 포장의 물 빠짐이 나쁘거나, 관수가 불가능하여 토양이 건조해지는 조건은 적합하지 않다. 10 a당 수량은 200 kg에서 300 kg이다.
율무는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된다. 이뇨·진통·강장 작용이 있어서 부종, 방광결석, 류머티즘 등에 이용하며, 생잎은 차 대용, 뿌리는 황달과 신경통 치료에 쓴다. 한약재로 쓰일 때는 '''의이인'''이라고 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한다.[11] 최근에는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율무 추출물은 피부에 바르면 보습 및 미백 효과가 있어 기초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3. 분포 및 생태
원산지인 동남아시아 열대지역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지만, 한국에서는 재배되는 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1-1.5m 정도이다. 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꽃이 피며, 열매는 타원형이다. 낟알은 찹쌀성이며 메성은 드물다.
4. 역사
마키노 도미타로에 따르면, 일본에는 중국에서 전파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DNA 분석에 따르면 일본과 한국의 재래 품종의 차이는 크지 않아[7], 한반도를 경유하여 전파된 것으로 생각된다[8]. 따라서 한국에는 삼국시대 이전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 시대에는 구황작물로 재배되었다.
5. 재배
일본의 마키노 도미타로에 따르면, 일본에는 중국에서 전파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DNA 분석에 따르면, 일본과 한국의 재래 품종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아[3], 한반도를 경유하여 전파된 것으로 생각된다.[4]
각지에서 계통 비교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오카야마 재래"라고 명명된 계통이 처음으로 전국적으로 재배되었지만, "아키시즈쿠"가 국내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2017, 전일본 율무 생산 기술 협의회(전하토협 자료)).
다음은 주요 재배종과 적지이다.[5]품종 적지 나카자토 재래 북토호쿠 이남, 아오모리현과 아키타현에서 재배 오카야마 재래 온난지 하토치카라 간토 이서 하토무스메 간토 이서, 전국에서 재배되었으나 잎마름병에 약해 재배 감소 하토히카리 간토 이서 하토지로 도호쿠 지방 중·산간지 아키시즈쿠 후쿠시마현 이서 토리이즈미 간토 이서, 돗토리현과 오이타현에서 재배 오호츠크 1호 홋카이도 중부 이남
6. 이용
6. 1. 식용
율무는 밥, 차, 미숫가루, 떡, 경단, 과자 등 다양한 음식의 재료로 사용된다. 찰기가 있는 곡물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지고 있으며, 낟알뿐만 아니라 가루로도 활용된다.
곡립의 크기가 커서 불에 잘 익지 않기 때문에, 쌀과 섞어 밥을 지을 때는 미리 율무만 오랫동안 물에 불려 밑 삶기를 한 후에 섞어야 한다. 율무를 삶아 말린 것을 기름에 튀긴 아라레로 먹기도 한다. 율무 가루는 밀가루 대용으로 튀김옷이나 찹쌀 경단 등에 사용할 수 있지만, 많이 사용하면 특유의 맛이 날 수 있다.
6. 2. 약용
율무는 이뇨, 진통, 강장 작용이 있어 부종, 방광결석, 류머티즘 등에 이용된다. 생잎은 차 대용으로 쓰고, 뿌리는 황달과 신경통 치료에 쓰인다. 최근에는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약재로 쓰일 때는 '''의이인'''(薏苡仁)이라고 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한다.[11]
한방과 민간 요법에서는 껍질을 벗긴 씨앗을 의이인이라 부르며 약용한다. 의이인은 자양 강장, 사마귀 제거, 이뇨 작용, 항종양 작용(소염)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의이인은 가을(10월) 즈음에 율무를 수확하여 2~3일간 햇볕에 말린 후 탈곡하여 조제한다. 한방에서는 의이인탕 등에 사용된다. 민간에서는 의이인 10~30그램을 물 300~600 cc로 달여서 하루에 여러 번 차 대신 마시거나, 죽에 30% 정도 섞어서 먹기도 한다. 크게 퍼지는 사마귀나 여드름, 부종이 있는 관절통, 식욕 부진의 설사에도 좋다고 한다. 사마귀 제거에는 생 율무를 씹어 사마귀 표면에 바르고 그 위에 종이를 붙여 말린 다음 가지 꼭지로 문지르는 방법이 있는데, 1주일 이상 걸린다.
한방 고전인 『신농본초경』에서는 율무를 상약으로 분류하여 부작용이 없음을 나타낸다. 율무는 장기간 인류에게 섭취되었지만, 임산부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전승도 있다. 2007년 임신한 랫트에게 볶은 율무를 투여한 안전성 시험에서는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차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보다 더 옅어지므로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율무가 유산을 일으킨다는 기록이 있는 서적도 있지만, 2005년에 율무에 대한 최초의 엄격한 독성 시험을 실시한 연구자는 과학적 근거가 결여된 채 기재되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 결과에서는 요쿠이닌 통상 사용량의 15배에서 자궁 수축이 일어났지만, 유산이나 조산과 같은 이상은 나타나지 않아 그 정도는 강하지 않다고 한다. 이 양을 사람에게 환산하면 율무 현미 껍질로 1일 210g이며, 100% 율무차로도 1일 20L로는 도달하지 않는다. 임산부의 상식적인 사용량을 금지할 만한 과학적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유익성이 더 큰 경우에는 사용을 허가하거나, 산후 우울증으로 불안해하면서 사용하고 있다면 사용을 중단하는 등의 지도가 고려될 수 있다.
6. 3. 기타
율무 추출물은 피부에 바르면 보습 및 미백 효과가 있어 기초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日邦薬品工業 ヨク苡仁錠シンワS
https://www.nippo-ya[...]
[2]
서적
雑穀のきた道
NHKブックス
1988
[3]
서적
黒井峯遺跡̶日本のポンペイ
読売新聞社
1994
[4]
서적
ハトムギ̶つくり方と利用法
農文協
1981
[5]
간행물
敷領遺跡楠田地点における植物珪酸体分析
お茶の水大学大学院
2008
[6]
서적
ハトムギの効用̶ガンと美容と長寿にきく̶
六月社
1963
[7]
웹사이트
「特産種苗」第3号 2009.7 【特集】《ハトムギ》 日本のハトムギ栽培
http://www.tokusansh[...]
財団法人 日本特産農作物種苗協会
2012-06-28
[8]
논문
東アジア地域のハトムギ(Coix lacryma-jobi L.)遺伝資源の形態的形質の変異
日本作物学会
2007-07-05
[9]
단체
社団法人 農林水産技術情報協会
[10]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1]
논문
妊娠中のハトムギ使用について
https://doi.org/10.1[...]
2018
[12]
웹인용
"''Coix lacryma-jobi'' L."
https://web.archive.[...]
큐 왕립식물원
2019-01-16
[13]
웹인용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Rom. Caill.) Stapf"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9-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