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맨섬 파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맨섬 파운드는 맨섬에서 통용되는 통화로, 영국 파운드 스털링과 사실상 통화 동맹 관계를 맺고 있다. 맨섬 정부는 파운드 스털링을 법정 통화로 지정하고, 자체 지폐와 동전을 영국 중앙은행 지폐로 뒷받침하며, 영국 내에서는 모든 파운드 스털링 지폐와 동전이 법정 통화로 사용된다. 맨섬 파운드는 ISO 4217 통화 코드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IMP" 약어가 사용될 수 있다. 1668년 사적 주화 발행을 시작으로, 1839년까지 독자적인 통화 제도를 유지하다가 영국과의 통화 통합을 거쳐 1971년 10진법 도입 이후 자체 주화 및 지폐를 발행하고 있다. 맨섬 정부는 영국이 유로화를 채택할 경우, 맨섬도 유로화를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맨섬 - .im
    .im은 맨 섬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교육 기관, 영리 기업, 정부 기관, 네트워크 운영자, 비영리 단체 등을 위한 다양한 2단계 도메인을 제공한다.
  • 맨섬 - 맨섬의 기
    맨섬의 기는 중앙에 세 개의 다리가 뻗어 나온 트리스켈레스 문양을 가진 깃발로, 13세기부터 맨 섬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1931년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으며 다양한 공식 및 비공식 깃발이 존재한다.
  • 파운드 (통화) - 카롤링거 통화체계
    카롤링거 통화체계는 샤를마뉴 대제가 도입한 프랑크 왕국의 통화 시스템으로, 파운드를 무게 단위로, 은화 데나리우스를 사용하고 1 솔리두스 = 12 데나리우스의 계산 단위를 적용했으며, 유럽 각지로 확산된 후 십진법 화폐로 전환되면서 사라졌다.
  • 파운드 (통화) - 뉴질랜드 파운드
    뉴질랜드 파운드는 한때 뉴질랜드의 공식 통화였으나, 대공황과 가치 변동을 거쳐 1967년 뉴질랜드 달러로 대체되었다.
  • 유럽의 통화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유럽의 통화 - 아이슬란드 크로나
    아이슬란드 크로나는 아이슬란드의 공식 통화로, 덴마크 크로네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후 독자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여 동전 발행, 화폐 개혁, 환율 고정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중앙은행이 관리하며 캐시리스 사회로 전환 중이고, 금융 위기 이후 가치 변동을 겪고 있다.
맨섬 파운드
일반 정보
현지어 명칭Punt Manninagh
ISO 코드IMP (비공식)
사용 국가맨섬 (영국 파운드와 함께 통용)
인플레이션율3.6%
인플레이션율 출처 날짜2004
고정 통화영국 파운드
보조 단위 비율1/100
보조 단위페니
통화 기호£
보조 단위 기호p
복수형 
보조 단위 복수형pence
사용되는 동전1p, 2p, 5p, 10p, 20p, 50p, £1, £2, £5
동전 관련 문서Coins of the Manx pound
사용되는 지폐£1, £5, £10, £20, £50
발행 기관 제목재무부
발행 기관맨섬 재무부
발행 기관 웹사이트맨섬 재무부 웹사이트

2. 스털링과의 관계

맨 섬은 영국과 일방적인 ''사실상'' 통화 동맹 관계에 있다. 맨 섬 정부는 섬에서 스털링화를 법정 통화로 지정했으며, 자체 지폐와 동전을 영국 중앙은행 지폐로 뒷받침한다.[2]

맨 섬 정부 지폐는 요구 시 Isle of Man Bank의 모든 지점에서 동일한 가치의 영국 중앙은행 지폐로 액면가로 교환될 수 있다.[1] 영국의 어느 지역에서든 법정 통화인 모든 지폐와 동전(예: 영국 중앙은행 지폐)은 맨 섬 내에서 법정 통화이다.[1]

북아일랜드스코틀랜드 지폐와는 달리, 영국은 맨 섬 정부가 맨 섬 지폐와 동전을 영국 중앙은행 지폐 또는 증권으로 뒷받침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영국 법에 따라 발행할 수 있는 지폐와 동전 수에 대한 제한은 없지만, 마찬가지로 맨 섬 지폐는 영국 의회의 승인을 받지 않았으므로 영국에서 법정 통화가 아니다.[3] 지폐와 동전은 영국 정부 또는 영국 중앙은행이 보증하지 않으며, 맨 섬 당국이 제공하는 것 이상의 환전 보장은 없다.[4] 그러나 맨 섬의 1992년 통화법[1]에 따라 맨 섬 재무부가 요구 시 맨 섬 파운드 지폐를 영국 중앙은행 지폐로 교환해야 하며, 이는 사실상 무담보 통화 발행을 제한하며, 발행된 지폐의 총액은 틴월드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1]

ISO 4217은 맨 섬 파운드에 대한 통화 코드를 포함하지 않지만, "IMP" 약어가 사용될 수 있다.[5] ("IM"은 맨 섬에 할당된 ISO 3166-1 alpha-2 코드이다.)

3. 역사

1839년 맨섬 페니


맨섬 최초의 주화는 1668년 더글러스 상인 존 머레이가 발행한 사적인 주화였으며, 1679년 틴월드에 의해 법정 통화가 되었다. 섬의 주화 공급 문제로 1692년과 1696년에 평가 절하가 이루어졌고, 1709년에는 맨섬 정부가 직접 주화를 발행하기 시작했다.[6]

맨섬 주화와 영국 주화의 유사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전 차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39년 영국 정부는 맨섬의 통화를 영국 통화로 통합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이 과정에서 "구리 행진"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다.[7] 1840년 이후 맨섬 주화는 더 이상 발행되지 않았고, 영국 주화가 통용되었다.

1971년, 영국이 10진법으로 전환하면서 맨섬도 자체적인 10진법 주화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3. 1. 초기 역사 (1668년 ~ 1839년)



맨섬 최초의 주화는 1668년 더글러스 상인 존 머레이가 발행한 사적인 주화로, 영국 주화와 동일한 가치를 지닌 페니였다.[6] 이 "머레이 페니"는 1679년 틴월드가 존 머레이의 페니 이전 및 병행 유통되던 비공식 사적 주화를 금지했을 때 법정 통화가 되었다(이 법에 따라 영국 주화도 허용되었다).

섬의 주화 공급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1692년 맨섬 주화는 평가 절하되었다. 스털링 크라운은 5 실링, 하프 크라운은 2실링 8펜스, 기니는 22실링으로 유통되었다. 당시 틴월드는 공급 유지를 위해 섬에서 돈을 반출하는 것을 금지했다.

1696년, 추가적인 평가 절하가 발생하여 모든 영국 은화금화는 1실링당 14 맨섬 펜스로 평가되었다. 1696년부터 1840년까지 맨섬 구리 주화는 초기에는 영국, 이후에는 영국 은화 및 금화와 함께 1실링당 14펜스의 비율로 유통되었다. 영국과 마찬가지로 파운드 스털링당 20실링이 있었다. 따라서 1696년 이후, 스털링 100파운드는 맨섬 116파운드 13실링 4펜스의 가치가 있었다.

1708년, 맨섬 정부는 영국 조폐창에 섬을 위한 주화 발행을 요청했으나, 당시 조폐국장인 경 아이작 뉴턴은 거절했다. 그 결과, 섬의 첫 번째 정부 주화는 1709년에 발행되었고, 1710년 6월 24일에 법정 통화가 되었다. 1733년 틴월드는 정부가 발행한 주화 외에 다른 "기초"(은 또는 금이 아닌) 주화의 유통을 금지했다.

맨섬 주화와 영국 주화의 유사성 때문에 실링을 맨섬 주화로 바꾸어 영국 통화로 위장하여 영국에서 맨섬 주화 12파운드당 2파운드의 이익을 남기는 것이 가능했다. 이 일이 대규모로 발생하여 1830년까지 섬은 구리 주화가 거의 완전히 고갈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 주화에 유리하도록 별도의 맨섬 주화를 폐기하자는 제안이 도입되었다. 이는 1834년 키스 의회에서 거부되었지만, 1839년 영국 정부에 의해 무효화되었다. 법률이 통과되어 "...영국의 통화는 맨섬의 통화가 되고, 이에 따라 선언된다"고 선언되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맨섬 법으로 남아 있다. 이 변화는 반감을 샀고, 일부 섬 주민들은 사기를 당했다고 느꼈다. 더글러스와 필에서 심각한 폭동이 발생했는데, 이들은 "구리 행진" 폭동으로 알려졌으며 맨섬 민병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영국 조폐창은 총 1000GBP의 구리 주화를 발행했다. 틴월드의 1840년 구리 통화법 통과[7]에 따라, 이 주화는 실링당 12펜스로 평가되었다. 1839년 이전에 발행된 모든 주화는 이 법에 의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선언되었으며, 관세청에 의해 회수되어 영국 조폐창에 의해 새로운 주화로 원래의 액면가로 교환되었다.

3. 2. "구리 행진" 폭동과 영국 통화 통합 (1834년 ~ 1840년)



맨섬 주화와 영국 주화의 유사성 때문에 실링을 맨섬 주화로 바꾸어 영국 통화로 위장하여 영국에서 맨섬 주화 12파운드당 2파운드의 이익을 남기는 것이 가능했다. 1830년까지 섬은 구리 주화가 거의 완전히 고갈될 정도로 이러한 일이 대규모로 발생했다.[6]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 주화에 유리하도록 별도의 맨섬 주화를 폐지하자는 제안이 1834년 키스 의회에서 거부되었지만, 1839년 영국 정부에 의해 무효화되었다. 법률이 통과되어 "...영국의 통화는 맨섬의 통화가 되고, 이에 따라 선언된다"고 선언되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맨섬 법으로 남아 있다. 이 변화는 일부 섬 주민들이 사기를 당했다고 느꼈기 때문에 반감을 샀고, 더글러스와 필에서 심각한 폭동이 발생했다. 이들은 "구리 행진" 폭동으로 알려졌으며 맨섬 민병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영국 조폐창은 총 1000GBP의 구리 주화를 발행했다. 틴월드의 1840년 구리 통화법 통과[7]에 따라, 이 주화는 실링당 12펜스로 평가되었다. 1839년 이전에 발행된 모든 주화는 이 법에 의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선언되었으며, 관세청에 의해 회수되어 영국 조폐창에 의해 새로운 주화로 원래의 액면가로 교환되었다. 1839년 이후, 더 이상의 맨섬 주화는 발행되지 않았고, 점차 희귀해져 섬의 일반 유통에서 영국의 주화로 대체되었다. 맨섬에서는 1971년 10진법이 시행될 때까지 법정 통화로 남아 있었다.

3. 3. 영국 통화 사용 및 10진법 전환 (1840년 ~ 현재)

1839년 영국 정부는 틴월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맨섬의 통화를 영국 통화로 통합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영국의 통화는 맨섬의 통화가 되고, 이에 따라 선언된다"고 명시하였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유효하다. 이러한 변화에 반발한 일부 섬 주민들은 사기를 당했다고 느껴 더글러스와 필에서 "구리 행진"으로 알려진 폭동을 일으켰으나, 맨섬 민병대에 의해 진압되었다.[7]

영국 조폐창은 총 1000GBP 상당의 구리 주화를 발행했다. 1840년 틴월드의 구리 통화법에 따라 이 주화들은 1실링당 12펜스로 가치가 매겨졌다. 1839년 이전에 발행된 주화들은 더 이상 유통되지 않았고, 관세청에 의해 회수되어 영국 조폐창에서 새로운 주화로 교환되었다. 1839년 이후 맨섬 주화는 더 이상 발행되지 않았고, 점차 영국 주화로 대체되었다. 맨섬에서는 1971년 10진법이 시행될 때까지 법정 통화로 남아 있었다.

1971년 영국이 10진법으로 전환하여 파운드를 100펜스로 세분화하면서, 맨섬 정부는 자체적인 10진법 주화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4. 주화

맨섬 파운드의 주화도 참조

맨섬 파운드 주화는 1, 2, 5, 10, 20, 50펜스, 1, 2, 5파운드가 발행된다.

4. 1. 머레이 페니 (1668년)

1668년에 발행된 "머레이 페니"는 트리스켈리온 상징과 섬의 모토인 "''어디에 던져도 굳건히 서리라''"(''Quocunque Gesseris Stabit'') (오류 표기)를 처음으로 묘사했는데, 이 두 가지는 오늘날까지 맨섬 주화에 계속 등장하고 있다(모토는 18세기 초에 "''어디에 던져도 굳건히 서리라''"(''Quocunque Jeceris Stabit'')로 수정되었다).[1]

4. 2. 정부 주화 (1709년 ~ 1839년)

1709년에는 페니(총 300GBP)와 하프페니(총 200GBP)가 도입되었다. 1733년에는 페니 250GBP, 하프페니 150GBP가 더 많이 발행되었다. 이 동전들은 앞면에 스탠리 가문, 맨 섬의 영주의 문장(모자에 독수리와 아이)과 스탠리 가문의 모토인 "''Sans Changer''"가 새겨져 있다. 1709년 발행분은 잉글랜드에서 생산된 품질이 좋지 않은 주조 동전이었고, 1733년 발행분은 캐슬타운에서 생산된 품질이 더 높은 타격식 동전이었다.

1758년에는 맨 섬의 동전이 갱신되어 총 400GBP가 발행되었다. 이 동전은 스탠리 가문의 문장을 애솔 공작의 공작 관과 A.D.(라틴어 ''Atholl Dux'')라는 모노그램으로 대체했다.

1786년에는 새로운 디자인의 동전이 발행되었는데, 앞면에는 영국 국왕 조지 3세(맨 섬 영주)의 머리와 영국의 국시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삼족기와 맨 섬의 모토가 새겨져 있다. 영국의 동전과 마찬가지로 왕의 표준적인 루이스 핑고(Lewis Pingo) 초상이 사용되었으며, 왕은 월계관을 쓰고 있었고 왕관을 쓰고 있지 않았다.

1798년과 1813년에도 추가 발행이 있었다. 이전 동전과 마찬가지로 크기와 재료(구리)가 영국 동전과 같아 쉽게 혼동될 수 있었지만, 맨 섬 페니는 실링당 14개였기 때문에 영국 동전보다 가치가 낮았다.

1839년, 실링당 12펜스로 재평가된 후 로열 민트는 이전 디자인과 유사하지만 빅토리아 여왕의 머리가 새겨진 구리 파딩, 하프페니, 페니를 발행했다. 이 동전들은 1971년까지 맨 섬에서 발행된 마지막 동전이었다.

4. 3. 10진법 주화 (1971년 ~ 현재)

1971년에 1/2, 1, 2, 5, 10, 50 뉴펜스 동전이 도입되었다. 모두 해당 영국 동전과 동일한 구성과 크기를 가졌다. 1972년부터 동전 및 기념관 주화의 생산은 왕립 조폐창에서 포브조이 민트로 이관되었다. 1976년에 동전에서 "new"라는 단어가 제거되었다.

1978년에는 지름 22mm, 두께 1.45mm, 무게 4g의 1파운드 동전이 도입되었지만,[8] 기존의 1파운드 지폐에 비해 인기가 없었고, 1파운드 지폐는 계속 사용되었다. 20펜스 동전은 1982년에 영국과 함께 도입되었다. 1983년, 영국이 1파운드 지폐를 1파운드 동전으로 대체했을 때, 맨 섬은 1978년부터 발행된 1파운드 동전을 회수하고, 영국 동전의 사양(22.5mm, 9.5g)에 맞게 동전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마찬가지로, 이중 금속 2파운드 동전도 1998년에 영국 버전과 함께 도입되었다.

맨 섬 동전의 앞면에는 영국 동전과 동일한 엘리자베스 2세의 초상이 새겨져 있으며, 왼쪽에는 ISLE OF MAN이라는 문구가 있다. 이전의 영국 동전과는 달리, 맨 섬의 1파운드 동전은 가장자리에 문구가 새겨져 있지 않으며, 대신 가장자리가 부분적으로 요철 처리되고 부분적으로는 밴드 형태로 평평하게 처리되어 있다.

2017년부터 타워 민트에서 생산된 새로운 일련의 1파운드 동전이 도입되었으며, 가장자리는 연속적으로 미세하게 요철 처리되었다.

무게 9.5g의 둥근 1파운드 동전의 법정 통용 지위는 2017년 10월 15일에 영국에서 철회되었지만, 저지 및 건지 관할 구역과는 달리, 맨 섬은 동일한 사양의 자체 1파운드 동전의 법정 통용 지위를 철회하지 않았다. 2017년 기준으로 맨 섬 재무부는 12각형 1파운드 동전을 도입할 계획이 없었다. 게다가, 구 1파운드 동전은 더 이상 법정 통화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2018년 2월 28일까지 맨 섬에서 계속 사용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맨 섬 1파운드 지폐 및 동전, 12각형 영국 1파운드 동전만 사용되었다.[9]

5. 지폐

1865년, 맨섬 은행 회사(Isle of Man Banking Company)가 설립되어 1파운드 지폐를 발행하기 시작했으며, 1894년에는 5파운드 지폐가 도입되었다. 이 은행은 1926년에 맨섬 은행(Isle of Man Bank)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맨섬에서 지폐(1파운드만)를 발행한 다른 은행들은 다음과 같다.

은행날짜
바클레이즈 은행(Barclays Bank)1924–1960
로이즈 은행(Lloyds Bank)1919–1961
맨크스 은행(Manx Bank)1882–1900
랭커셔 상업 은행(Mercantile Bank of Lancashire)1901–1902
랭커셔 & 요크셔 은행(Lancashire & Yorkshire Bank)1904–1927
마틴스 은행(Martins Bank)1928–1957
파 은행(Parr’s Bank)1900–1916
런던 카운티 웨스트민스터 & 파 은행(London County Westminster and Parr's Bank)1918–1921
웨스트민스터 은행(Westminster Bank)1923–1961



1961년 7월 31일, 맨섬 정부 지폐법에 따라 은행들의 지폐 발행 면허가 취소되었다. 맨섬 정부는 1961년 7월 3일부터 10실링, 1파운드, 5파운드 액면의 자체 지폐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1969년에는 10실링 지폐가 소수점 통화로의 전환에 따라 50 신페니 지폐로 대체되었다. 1979년에는 20파운드 지폐가, 1983년에는 50파운드 지폐가 도입되었다. 1983년에 도입된 고분자 1파운드 지폐는 1988년에 단종되었고, 1989년에는 50페니 지폐가 철회되었다. 10실링, 50페니, 1파운드 고분자 지폐는 2013년 10월 31일까지 법정 통화 지위를 유지했으며(맨섬의 정의는 영국과 유사), 이 날짜까지 유통되었다(드물게 보였지만). 이후에는 맨섬 은행 지점에서 교환할 수 있다.

맨섬은 영국(스코틀랜드 제외)과 달리 1파운드 동전 외에 1파운드 지폐도 계속 발행하고 있다.

모든 맨섬 지폐 앞면에는 맨섬 정부(Isle of Man Government)의 "요구 시 소지인에게 지불하겠다는 약속" 문구와 이전 맨섬 군주(Lord of Mann)인 엘리자베스 2세(Queen Elizabeth II)(왕관을 쓰지 않음), 트리스켈리온(세 다리 문장) 및 모토 이미지가 있다. 트리스켈리온 기호는 워터마크로도 사용된다. 각 지폐 뒷면에는 섬의 다른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 1파운드 – 틴월드 힐(Tynwald Hill)
  • 5파운드 – 러셴 성(Castle Rushen)
  • 10파운드 – 필 성(Peel Castle)
  • 20파운드 – 랙시 휠(Laxey Wheel)
  • 50파운드 – 더글러스 만(Douglas Bay)

6. 맨 섬 파운드와 유로화

맨 섬 정부는 만약 영국이 유로화에 참여하기로 결정한다면, 맨 섬 또한 참여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는 주로 맨 섬의 무역 대부분이 영국 및 다른 유럽 국가들과 이루어지고 있으며, 영국과의 기존 통화 동맹이 깨지면 섬에 경제적 피해를 입힐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만약 맨 섬 파운드가 단독 자유 변동 통화가 된다면, 맨 섬의 경제 규모가 통화 투기꾼의 공격을 견딜 만큼 크지 않다는 우려도 있었다.[14][15]

틴월드는 영국이 유로화를 채택하기로 결정할 경우를 대비하여 1992년 통화법[1]을 통과시켰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맨 섬은 자국 통화를 발행할 권리를 유지하고자 했는데, 이는 중요한 독립의 공적 선언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섬 고유의 통화를 유지하는 것은 또한 맨 섬 재무부가 발행된 통화에 대한 이자 축적(seigniorage)으로부터 계속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한다. 통화법은 유로화와 동일한 가치로 만 섬 유로 통화를 발행하는 것을 허용하며, 이는 "대체 유로"라고 불리며, 동전의 앞면에 맨 섬 명문이 새겨져 있다. 이 제안은 기본적으로 "대체 스털링"을 "대체 유로"로 대체하는 것으로, 이는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했을 것이다. 유로 동전과 유로 지폐의 맨 섬 버전이 디자인되었다.[16]

유럽 연합이 맨 섬이 유로화의 특별한 맨 섬 버전을 도입하려는 소망을 받아들일 의무는 없지만, 맨 섬은 유로화에 고정된 통화를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유로존 회원국과 마찬가지로 유로 동전의 자국 측면을 맞춤 설정하는 것 외에는, 국가별 버전이 다른 선례는 없다.

만약 유로화로 전환한 후 유럽 중앙 은행이 설정한 환율이 맨 섬에 경제적 피해를 입힌다면, 마스트리흐트 조약의 프로토콜 3에 따른 의무 자금 지원을 받을 자격이 없을 것이다. 이는 영국이 해당되었던 상황과 다르다.

1998년 3월, 맨 섬 재무부는 만약 섬이 영국과 함께 유로화를 채택한다면, 유럽 본토에 대한 통화 환전 위험이 제거되면서 섬이 조세 피난처로서 매력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는 유럽 정치인들로부터 섬이 이에 반하는 법을 제정하라는 정치적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맨 섬 유로화 도입이 유로존 고객 및 관광객에 대한 통화 환전 비용 제거를 통해 맨 섬 제조업체와 관광 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후자는 또한 유럽 기업 증가로 인해 맨 섬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므로, 맨 섬의 경쟁력 수준을 높일 것으로 믿어졌다.[16]

7. 더불어민주당과 진보/보수 진영 관점 비교

주어진 원본 소스에 더불어민주당과 진보/보수 진영 관점 비교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Currency Act 1992 (an Act of Tynwald) https://web.archive.[...] 2013-02-10
[2] 논문 Monetary and exchange-rate agreements between the European Community and Third Countries http://ec.europa.eu/[...] 2006-09-01
[3] 법률 Banking Act 2009 Part 6
[4]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Deputy Secretary, Bank of England http://www.whatdothe[...] 2010-01-14
[5] 웹사이트 Countries' currencies and codes http://www.lloydstsb[...]
[6] 서적 A History of Isle of Man, 1900 http://www.isle-of-m[...] T. Fisher Unwin
[7] 법률 An Act for the Assimilation of the Currency of the Isle of Man to that of Great Britain (3 Vict. 1840) {{GBurl|zdpLAAAAYAAJ[...] 1840-03-17
[8] 웹사이트 1 Pound – Elizabeth II 2nd portrait https://en.numista.c[...]
[9] 웹사이트 UK round pound coins to be removed from circulation by 28 February 2018 https://www.gov.im/n[...] Isle of Man Treasury 2017-12-21
[10] 서적 The Banknote Book http://www.banknoteb[...] BanknoteNews.com
[11] 문서 Legal Tender https://www.gov.im/m[...] 2022-03-01
[12] 웹사이트 Manx currency – coins and notes http://www.gov.im/ca[...] Isle of Man Government 2014-02-14
[13] 웹사이트 Isle of Man https://web.archive.[...] Ron Wise's Banknoteworld 2008-10-30
[14] 뉴스 Huge Risks Over Euro – Isle of Man Today http://www.iomonline[...] 2020-03-01
[1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6-07-08
[1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7-01-14
[17] 간행물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0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