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슈어 올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맨슈어 올슨(Mancur Olson, 1932년 1월 22일 ~ 1998년 2월 19일)은 노르웨이계 미국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노스다코타 주립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미국 공군에서 복무한 경력이 있다. 그는 집단 행동, 국가의 흥망성쇠, 정부 형태와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저서로는 『공동 행동의 논리』(1965), 『국가의 흥망성쇠』(1982), 『권력과 번영』(2000) 등이 있다. 올슨은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 파크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IRIS 센터를 설립하여 정책 연구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제도경제학자 - 더글러스 노스
더글러스 노스는 미국의 경제사학자이자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선구자로, 199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재산권, 거래비용, 제도의 역할과 경제 성장 간의 관계 연구, 역사적 맥락에서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한 경제사 연구에 기여했고, 국제 신제도경제학회를 공동 설립하는 등 경제학, 특히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정치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신제도경제학자 - 로널드 코스
로널드 코스는 1991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며, 거래 비용과 외부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코즈 정리와 코즈 추론을 정립하고 법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경제학자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동문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동문 - 피터 싱어
피터 싱어는 공리주의 윤리학자이자 생명윤리학자로 동물 권리, 빈곤, 생명 윤리 분야에서 활동하며 『동물 해방』으로 동물 해방 운동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지만, 급진적인 견해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맨슈어 올슨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맨커 로이드 올슨 주니어 |
출생일 | 1932년 1월 22일 |
출생지 | 그랜드 포크스, 노스다코타, 미국 |
사망일 | 1998년 2월 19일 |
사망지 | 칼리지 파크, 메릴랜드, 미국 |
국적 | 미국 |
학력 | |
출신 학교 | 하버드 대학교 (PhD) 옥스퍼드 대학교 (MA) 노스다코타 주립 대학교 (BA) |
경력 | |
소속 기관 | 메릴랜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
연구 분야 | |
분야 | 경제학 정치학 |
학파 | 신제도주의 경제학 |
2. 생애
맨슈어 올슨은 1932년 1월 22일 노스다코타주 그랜드포크스에서 노르웨이계 미국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4][6][2] 노스다코타 주립 대학교를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로즈 장학생으로 수학했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 미국 공군 복무 후, 프린스턴 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워싱턴 D.C.에서 보건, 교육 및 복지부 차관보 대리를 역임했다. 1969년부터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 파크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다.[5]
1959년 앨리슨과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으며,[6] 1998년 2월 19일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올슨은 1932년 1월 22일 노스다코타주 그랜드포크스에서 노르웨이계 미국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4][6][2] 그는 미네소타주 클라이맥스와 주 경계를 접한 노스다코타주 벅스턴 근처의 농장에서 자랐다.[3] 올슨은 자신의 이름인 맨커(Mancur)가 북미의 스칸디나비아 이민자 사회에서 흔히 사용되었으며, 만수르라는 아랍 이름의 변형이라고 주장했다.[4][2]올슨은 1954년 노스다코타 주립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로즈 장학생으로 재학했고, 1963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 그는 또한 1961년부터 1963년까지 2년 동안 미국 공군에서 복무했다.[3]
2. 2. 학문 및 경력
올슨은 미국 공군에서 복무하면서 1961년부터 1963년까지 미국 공군사관학교 경제학과 강사로 활동했다.[4] 1963년 프린스턴 대학교 조교수가 되었고,[3][5] 이후 워싱턴 D.C.에서 2년 동안 보건, 교육 및 복지부 차관보 대리를 역임했다. 1969년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 파크 경제학과에 합류하여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재직했다.[5]2. 3. 사망
올슨은 1959년 아내 앨리슨과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6] 1998년 2월 19일, 66세의 올슨은 점심 식사 후 사무실로 돌아오다가 갑자기 쓰러져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같은 날 사망했다. 사인은 심장 마비로 밝혀졌다.[3]그와 그의 어린 아들은 가족 농장과 고향인 노스다코타주 트레일 카운티 벅스턴 근처에 있는 어린 시절 교회인 그루 노르웨이 루터교 묘지에 묻혔다.[3]
3. 학문적 업적 및 영향
올슨은 『공동 행동의 논리: 공공재와 집단 이론(1965)』, 『국가의 흥망성쇠(1982)』, 『권력과 번영(2000)』 등 세 권의 주요 저서를 통해 집단 행동, 국가 흥망성쇠, 권력과 번영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정치, 경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 USAID의 지원을 받아 비공식 부문 제도 개혁 센터(IRIS 센터)를 설립하여 개발도상국의 제도 개혁을 지원했다.
미국 정치학회는 올슨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정치 경제 분야 최우수 박사 학위 논문에 올슨 상을 제정했다.[10] 2013년 메릴랜드 대학교는 만커 올슨 경제학 교수직을 신설했으며,[11] 초대 교수로 피터 머렐이 임명되었다.
3. 1. 집단 행동의 논리 (1965)
그의 첫 번째 저서인 『공동 행동의 논리: 공공재와 집단 이론(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1965)에서 그는 사람들에게 집단 행동을 자극하는 요인은 인센티브라고 이론화했다. 즉, 대규모 집단의 구성원은 개인적인 이익(경제적, 사회적 등)에 의해 동기 부여되지 않으면 공통의 이익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다. 소규모 집단은 공유된 목표에 따라 행동할 수 있지만, 대규모 집단은 개별 구성원에게 충분한 동기가 부여되지 않으면 공유된 목표를 향해 노력하지 않을 것이다.[7]3. 2. 국가의 흥망성쇠 (1982)
맨슈어 올슨은 1982년 『국가의 흥망성쇠(The Rise and Decline of Nations)』에서 이전 연구를 확장하여, 면화 농부, 철강 생산자, 노동 조합과 같은 집단이 로비 그룹을 형성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정책을 펼치도록 영향을 미칠 유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정책은 보호주의 경향을 띠며,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정책의 이점은 소수에게 집중되고 비용은 전체 인구에 분산되므로, 이에 대한 대중의 저항은 거의 없을 것이다. 분배 연합이 축적됨에 따라 국가는 경제적 쇠퇴에 빠질 것이다. 올슨의 연구는 Calmfors–Driffill 가설의 단체 교섭 공식화에 영향을 미쳤다.[8]3. 3. 권력과 번영 (2000)
올슨은 그의 마지막 저서인 『권력과 번영(Power and Prosperity)』(2000)에서 다양한 유형의 정부, 특히 폭정, 무정부 상태, 민주주의의 경제적 효과를 구별했다. 올슨은 무정부 상태에서는 "떠돌이 강도"는 훔치고 파괴할 유인만 있을 뿐이지만, "정주 강도"인 폭군은 권력 유지를 통해 그 성공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만큼 오랫동안 권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경제적 성공을 장려할 유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정주 강도는 떠돌이 강도로부터 시민과 그들의 재산을 보호하는 정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올슨은 떠돌이 강도에서 정주 강도로의 이동에서 문명의 씨앗을 보고,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의 길을 열어주며, 민주주의는 인구의 뜻에 따르는 사람들에게 권력을 부여함으로써 좋은 정부에 대한 인센티브를 개선한다고 보았다.[9] 올슨의 떠돌이 대 정주 강도에 대한 연구는 군벌 국가와 사회에서 구조화된 정치 및 경제 질서 분석에 영향을 미친다.3. 4. 정책 활동 및 IRIS 센터
올슨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정책 입안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USAID의 자금 지원을 받아 비공식 부문 제도 개혁 센터("IRIS 센터")를 설립했다. 메릴랜드 대학교에 기반을 둔 이 센터는 법치주의에 따라 운영되는 시장 중심의 민주 정부로 전환을 시도하는 구 공산주의 국가에서 USAID가 수행하는 법적, 경제적 개혁 프로젝트에 대한 지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했다. 특히 동유럽, 중앙유럽, 그리고 구 소련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이 센터는 또한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의 프로젝트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법 독립의 옹호자가 되었다. 1990년대에는 매우 민감한 주제였던 프랑스어 사용 아프리카에서 부패에 대한 첫 번째 회의를 후원했다. IRIS 센터는 올슨의 사망 후에도 운영을 계속했지만, 결국 메릴랜드 대학교의 다른 프로그램으로 통합되었다.
4. 저서
- 《전시 부족의 경제학: 나폴레옹 전쟁과 제1차,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식량 공급의 역사》 (듀크 대학교 출판부, 1963)
- 《집단 행동의 논리: 공공재와 집단 이론》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65, 2판 1971)
- 요다 히로시・모리와키 토시마사 역, 《집합 행동론 - 공공재와 집단 이론》 (미네르바 서방, 1983년/신장판, 1996년)
- 《국가의 흥망성쇠: 경제 성장, 스태그플레이션, 사회적 경직성》 (예일 대학교 출판부, 1982)
- 가토 히로시 감수, 《국가 흥망론 - "집합 행동론"에서 본 성쇠의 과학》 (PHP 연구소, 1991년)
- 《힘과 번영: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독재의 극복》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0)
- 《건강 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 (미국 기업 공공 정책 연구소, 1981)
- 《성장이 없는 사회》 (한스 H. 랜드스버그와 공편, 노턴, 1974)
- 《그리 암울하지 않은 과학: 경제와 사회에 대한 더 넓은 시각》 (사투 카흐코넨과 공편,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0)
- 《경제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제도적 접근》 (사투 카흐코넨과 공편, Vistaar Pub., 2001)
- 〈독재와 다수결의 경제학: 보이지 않는 손과 폭력의 사용〉 (마틴 C. 맥과이어 공저, 《경제 문헌 저널》, 1996년 3월)
참조
[1]
PDF
https://pdf.usaid.go[...]
2024-08-01
[2]
뉴스
Why America Is Outhustled Mancur
https://www.washingt[...]
1982-10-12
[3]
뉴스
MANCUR OLSON DIES AT 66
https://www.washingt[...]
1998-02-25
[4]
논문
Mancur Olson-Social Scientist
1999-06-01
[5]
뉴스
Mançur Olson, 66, a Professor and Author of Economics Books
https://www.nytimes.[...]
1998-02-24
[6]
웹사이트
Collection: Mancur Olson papers
https://archives.lib[...]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022-02-21
[7]
서적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
1965
[8]
서적
The Rise and Decline of Nations: Economic Growth, Stagflation, and Social Rigidities
1982
[9]
서적
Power and Prosperity: Outgrowing Communist and Capitalist Dictatorships
2000
[10]
웹사이트
Organized Section 25: Mancur Olson Best Dissertation Award
http://www.apsanet.o[...]
[11]
웹사이트
Recent News: May 14, 2013 | Department of Economics, University of Maryland
http://www.econ.umd.[...]
2013-05-18
[12]
뉴스
Mancur Olson, 66, a Professor and Author of Economics Books
https://www.nytimes.[...]
1998-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