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글러스 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글러스 노스(Douglass North)는 1920년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2015년 사망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그는 195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워싱턴 대학교와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노스는 1993년 경제사 연구로 로버트 포겔과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중요한 인물로, 재산권, 거래 비용, 시장의 제도적 기반, 경제 개발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했다. 특히, '제도, 제도 변화 및 경제 성과'(1990) 등의 저서를 통해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치와 경제의 상호작용, 소련 체제 비판 등 다양한 사회 현상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간주의 경제학자 - 제프리 삭스
    제프리 삭스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하버드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국제 개발, 빈곤 퇴치, 보건 정책, 지속가능한 개발 분야에서 활동하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국제 개발 전문가이지만, 중국에 대한 친화적인 입장과 코로나19 바이러스 기원에 대한 논란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미시간주의 경제학자 - 로버트 J. 실러
    로버트 J. 실러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예일 대학교 스털링 교수 및 국제 금융 센터 연구원으로, 행동 경제학과 금융 시장 변동성 연구에 기여했으며 케이스-실러 지수 개발, 효율적 시장 가설 비판, 시장의 비합리성 경고 등의 업적으로 201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신제도경제학자 - 로널드 코스
    로널드 코스는 1991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며, 거래 비용과 외부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코즈 정리와 코즈 추론을 정립하고 법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경제학자이다.
  • 신제도경제학자 - 맨슈어 올슨
    맨슈어 올슨은 집단 행동 이론, 국가의 흥망성쇠, 정부 형태의 경제적 효과 연구로 알려진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개인의 이익 추구가 집단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분배 연합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여 정치 경제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거턴 칼리지 교수 - 마르그레테 2세
    마르그레테 2세는 1972년 덴마크 여왕으로 즉위하여 2024년 1월 14일까지 재위했으며, 덴마크의 헌법적 역할과 공식 활동을 수행하고, 고고학, 예술,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으며, 2024년 1월 14일 퇴위하고 장남 프레데리크 10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거턴 칼리지 교수 - 메리 카트라이트
    메리 카트라이트는 영국의 수학자이자 왕립 학회 최초의 여성 수학자 회원으로, 비선형 미분 방정식 연구를 통해 혼돈 이론 발전에 기여하고 π의 무리수임에 대한 간결한 증명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더글러스 노스
기본 정보
더글러스 노스 (1997)
이름더글러스 노스
출생일1920년 11월 5일
출생지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사망일2015년 11월 23일
사망지미시간주 벤조니아
학문적 배경
학파신제도학파 경제학
분야경제사
모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영향멜빈 나이트
경력
기관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스탠퍼드 대학교
워싱턴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라이스 대학교
후버 연구소
미국 상선 해양 아카데미
수상
수상노벨 경제학상 (1993)
기타
RePEc 접두사e
RePEc IDpno11

2. 생애

더글러스 노스는 경제학 연구와 교육에 평생을 바친 학자였다. 스탠퍼드 대학교 후버 연구소의 바틀렛 버냅(Bartlett Burnap) 선임 연구원이었다.[7]

연도내용
1950년-1983년워싱턴 대학교(시애틀) 교수
1952년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 취득(Ph.D. in Economics), 워싱턴 대학교 조교수
1971년-1979년워싱턴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1979년라이스 대학교 정치경제학 교수
1981년-1982년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1983년-1996년워싱턴대학교 세인트루이스 캠퍼스 경제학과 교수
1984년-1990년정치경제학 센터 소장 역임
1987년-1988년스탠퍼드 대학교 고등행동과학연구센터 객원 연구원
1996년-워싱턴대학교 세인트루이스 캠퍼스 교수



1963년 노스와 하이스터


노스는 두 번 결혼했다. 1944년에 로이스 하이스터와 결혼하여 더글러스 주니어, 크리스토퍼, 말콤 세 아들을 두었으나 이혼했다. 1972년 엘리자베스 케이스와 재혼했다.[14]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더글러스 노스는 1920년 11월 5일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메트라이프에서 일했기 때문에 어린 시절 여러 곳으로 이사했다. 그의 가족은 오타와, 로잔, 스위스, 뉴욕시, 코네티컷주 월링포드에 살았다.[1]

노스는 오타와의 애슈버리 칼리지와 월링포드의 초이트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 허가를 받았지만,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다니기로 했다. 버클리 재학 시절, 노스는 카이파이 프래터니티 회원이었다. 1942년 인문학 분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C" 평균보다 약간 나은 수준의 성적으로 정치학, 철학, 경제학 세 과목을 복수 전공했다.[1][2] 같은 해, 미국 상선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년 후 졸업하고 3년 동안 갑판 장교로 항해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 양심적 병역 거부자였던 노스는 미국 상선의 항해사가 되어 샌프란시스코오스트레일리아를 오가며 항해했다. 그 당시 경제학을 읽었고 사진 촬영이라는 취미를 가졌다.[4] 전쟁 마지막 해에는 알라메다의 해양 서비스 장교 학교에서 항해술을 가르쳤고, 사진작가가 될지 경제학자가 될지 고민했다.

노스는 UC 버클리로 돌아가 1952년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워싱턴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경력을 시작했다.[1]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제2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더글러스 노스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양심적 병역 거부자)로, 미국 상선(미국 상선)의 항해사(항해사)로 복무하며 샌프란시스코(샌프란시스코)와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사이를 항해했다.[4] 1942년 미국 상선 사관학교(미국 상선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년 후 졸업하고, 3년간 갑판 장교로 근무했다.[3] 이 기간 동안 그는 경제학 서적을 읽고 사진 촬영을 취미로 삼았다.[4] 전쟁 마지막 해에는 캘리포니아주 알라메다(알라메다)의 해양 서비스 장교 학교에서 항해술을 가르쳤으며, 이후 사진작가가 될지 경제학자가 될지 고민했다.[4]

2. 3. 학문적 경력

더글러스 노스는 195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워싱턴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경력을 시작했다.[1] 1951년부터 1983년까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가르쳤으며, 1956년까지는 조교수, 1956년부터 1960년까지는 부교수, 1983년까지는 정교수를 역임했다. 또한 1967년부터 1979년까지 워싱턴 대학교 경제학과 학과장을 역임했다.[7]

1960년에는 ''경제사 저널''의 공동 편집자가 되어 계량 경제사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1979년에는 라이스 대학교의 피터킨 정치경제학 교수를 역임했고, 1981년부터 1982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피트 미국 역사 및 제도 교수를 역임한 후, 1983년에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경제학과의 헨리 R. 루스 법과 자유 교수로 부임하여 1984년부터 1990년까지 정치경제 센터 소장도 역임했다. 또한 스탠퍼드 대학교 후버 연구소의 바틀렛 버냅 선임 연구원으로도 활동했다.[7]

1991년에는 경제사가로서는 처음으로 존 R. 코먼스 상을 수상했다.[8] 이 상은 1965년 국제 경제 명예 협회에 의해 제정되었다.

노스의 논문 모음집은 듀크 대학교 루벤스타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9]

1967년의 노스

2. 4. 사망

더글러스 노스는 2015년 11월 23일 미시간주 벤조니아(미시간주 벤조니아)의 여름 별장에서 식도암(식도암)으로 95세에 사망했다.[5][6]

3. 학문적 업적

로널드 코스(Ronald Coase)와 올리버 윌리엄슨(Oliver Williamson)과 함께 국제 신제도경제학회(ISNI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New Institutional Economics)를 공동 설립했으며, 이 학회는 1997년 세인트루이스(St. Louis)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10] 그의 연구는 소유권, 거래비용, 시장의 제도적 기반, 역사 속 경제 조직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포함했다.

노스는 코펜하겐 컨센서스(Copenhagen Consensus)의 전문가이자 전 세계 정부의 자문관으로 활동했다. 메릴랜드 대학교의 존 J. 월리스(John J. Wallis)와 스탠퍼드 대학교의 배리 와인가스트(Barry Weingast)와 함께 국가가 "자연 상태(the natural state)"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경제 성장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평화와 안보를 위한 경제학자들의 이사이자 비영리 단체 비파니(Vipani)의 특별 고문이었다.

노벨상 수상자인 노스의 명성은 그가 속한 대학 환경뿐 아니라 그의 연구와 저술이 가져온 국제적인 영향력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새 경제사 분야에서 노스의 연구에는 조나단 휴즈, 리처드 서치, 로이드 머서, 짐 셰퍼드, 도널드 고든, 게리 월턴, 랜스 이. 데이비스, 로버트 허튼백, 로저 랜섬, 가스통 림링거, 테리 L. 앤더슨, P.J. 힐, 필립 코엘류, 그리고 데이비드 놀스 등 저명한 경제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이 포함되어 있다.[15]

그의 신제도주의 이론은 정치학의 신제도론, 특히 합리적 선택 제도론에 큰 공헌을 했다.

3. 1. 신제도주의 경제학

로널드 코스(Ronald Coase)와 올리버 윌리엄슨(Oliver Williamson)과 함께 국제 신제도경제학회(ISNI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New Institutional Economics)를 공동 설립했으며, 이 학회는 1997년 세인트루이스(St. Louis)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10] 그의 연구는 소유권(property rights), 거래비용(transaction cost), 시장의 제도적 기반, 역사 속 경제 조직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포함했다.

경제사가 원래 전공이었지만, 로널드 코스, 올리버 윌리엄슨과 함께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중요 인물로 여겨진다. 코스, 윌리엄슨과 함께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국제 학회 설립에 힘썼으며, 1997년 세인트루이스에서 첫 학회가 열렸다.

그의 경제에서 제도에 대한 분석은 거래비용 등 다양하지만, 특히 유명한 것은 소유권 이론에 대한 공헌이다. 또한 경제사 분야에서도 역사상 경제 활동을 위한 조직 연구와 경제성장의 역사적 과정에 관한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한 분석으로 업적을 남겼다. 노스의 경제사 연구는 역사 연구에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하여 경제사와 신제도주의 이론을 결합한 점이 특징이며, 제도 변화에 관한 분석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1991년 더글러스 노스는 「경제 전망 저널(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에 "제도(Institutions)"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경제 및 제도 변화와 관련된 그의 초기 연구를 요약한 것이다. 노스는 제도를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호 작용을 구조화하는 인간이 고안한 제약"으로 정의한다. 제약은 공식적인 규칙(헌법, 법률, 소유권)과 비공식적인 제약(제재, 금기, 관습, 전통, 행동 규범)으로 고안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시장이나 사회 내에서 질서와 안전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제약의 효과는 정부의 제한된 강제력, 조직적인 국가의 부재 또는 강력한 종교적 계율의 존재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노스의 1991년 논문 2절에서는 사회의 경제 발전 단계를 설명한다.

노스는 마을 내부의 지역 교환으로 시작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특화는 "미미하고 대부분의 개별 가구는 자급자족을 특징으로 하며", 소규모 마을 무역은 지역 교환을 촉진하는 비공식적인 제약의 밀접한 사회 네트워크 내에서 존재하고 거래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된 시장은 특화의 잠재력을 줄이고 생산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긴밀한 네트워크에서 "사람들은 서로를 깊이 이해하고 폭력의 위협은 질서를 유지하는 지속적인 힘이다."

성장과 함께 시장은 마을을 넘어 더 크고 상호 연결된 지역으로 확장된다. 거래 참여자들이 사회적으로 더 멀어짐에 따라 교환 조건을 더 명시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거래비용의 증가는 "협력적 해결책의 이점 또는 이탈의 비용"을 높임으로써 속임수의 위험을 줄이는 제도를 필요로 한다. 특화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 비용이 감소하고 더 높은 거래비용을 정당화할 수 있다.

카라반이나 긴 항해를 통해 장거리 무역이 더욱 가능해짐에 따라 개인과 집단은 직업적 및 지리적 특화를 경험한다. 사회는 또한 공식적인 무역 센터(임시 집결 장소, 마을 또는 도시)의 증가를 경험한다. 장거리 무역의 발전으로 두 가지 거래비용 문제가 발생한다.

첫 번째 거래비용 문제는 대리 문제이다. 지역 통치권 밖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전하면 교환 규칙이 정의되지 않고 불공정 무역의 위험이 높아지며 사회 내 계약이 집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정주 상인들은 종종 제품과 함께 친척을 보내 안전한 도착과 수령자가 합의된 교환 조건을 이행하도록 보장했다.

두 번째 거래비용 문제는 계약 집행이다. 역사적으로 이 문제는 배나 카라반을 보호하는 무장 세력이나 지역 강제 집단의 통행료 사용으로 해결되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자유 시장 무역에 대한 이익을 위해 협력적으로 행동하는 제도가 상품 보호와 계약 집행을 제공한다. 세계의 외딴 지역에서의 협상 및 집행에는 표준화된 무게와 측정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발전이 계속됨에 따라 자본 시장(및 관련 소유권 보호)의 부상은 사회 자본을 창출하고 시민들이 부를 축적할 수 있도록 한다. 기술은 제조 부문의 지속적인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거래비용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가장 중요한 이점은 일반적으로 교통 개선의 결과이다.

결국 사회는 도시화된다. 이 최종 단계의 발전 특화에는 사회의 자원 중 점점 더 많은 비율이 시장에서 활동해야 하므로 거래 부문이 국민총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고도로 특수화된 거래 조직이 등장한다. 세계화된 특화와 노동 분담은 이웃 국가에서 거래할 때도 소유권을 보장하는 제도를 요구하며, 자본 시장이 "참여자들의 신뢰할 수 있는 약속"과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노스는 세 가지 원시적인 교환 유형을 열거한다.

  • 부족 사회: "밀집된 사회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 바자르: "측정 비용이 높고, 지속적인 고객 확보 노력이 필요하며, 모든 여유에서 집중적인 협상이 이루어진다."
  • 장거리 카라반 무역은 보호가 필수적이고 조직된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 세상에서 무역을 가능하게 한 비공식적 제약을 보여준다.[11]


위의 세 가지 방법 모두 대도시 사회보다 진화할 가능성이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스의 논문은 그의 논문이 다루고자 했던 몇 가지 흥미로운 질문으로 끝맺는다.

  • 비공식적 제약이 경제의 장기적 성격에 그러한 만연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 공식적 제약과 비공식적 제약의 관계는 무엇인가?
  • 경제는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제약하여 정치 및 사법 시스템을 제3자 집행을 위한 효과적인 힘으로 만드는 비공식적 제약을 어떻게 개발하는가?


1992년 논문에서 노스는 신고전파 경제 이론이 감시와 거래비용이 낮은 효율적인 시장을 창출하는 데 필요한 제도를 간과한다고 주장한다.[12] 그는 제도가 어떻게 변화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효율적으로 되는지 설명하는 틀을 개발한다.

노스는 모든 거래비용이 교환 당사자 간의 정보 비대칭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이론화한다. 따라서 각 개인은 자신이 구매하는 재화의 품질을 확인하고 거래 조건을 시행하는 데 자원을 소비해야 한다. 이러한 비용은 경제 성장에 매우 큰 장벽이 되기 때문에 정치적, 경제적 제도의 중심 기능은 사기, 절도 및 기타 사회적으로 해로운 행위를 억제함으로써 이러한 비용을 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치 체제를 지휘하는 사람들은 사회적 이익보다는 개인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러한 제도를 구축할 것이므로, 기존 제도에 의해 거래비용이 항상 최소화되는 것은 아니다.[12]

노스에게 중요한 점은 개인과 조직이 불완전한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세계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정신적 모델"이다. 따라서 제도를 만드는 정치인들은 최선을 다해도 가끔은 개인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실패할 것이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제도 변화가 자신에게 큰 이익이 될 것이라고 믿는 기업가들이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정치 영역에 진출할 것이다. 그 결과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에 의해 추진되는 점진적인 제도 변화가 발생한다.

노스는 이러한 변화가 두 가지 이유로 일반적으로 느리게 진행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첫째, 정치 체제를 장악한 강력한 행위자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제도를 만들었기 때문에 이를 바꾸기를 꺼릴 것이며, 이는 경로 의존성으로 이어진다. 둘째, 사회 관습과 문화적 관행과 같은 비공식적 제도는 본질적으로 변화가 느리지만 거래비용을 결정하는 데 역할을 한다.

노스는 이 틀을 적용하여 녹색 혁명, 미국 독립 혁명, 스페인 제국을 포함한 몇 가지 역사적 사례를 분석하고 몇 가지 일반적인 정책 권고를 제시한다.[12]

'''폭력과 개방 접근 질서의 부상'''에서 노스, 월리스, 와인가스트는 정치 이론과 경제 이론을 통합하여 인간 사회에서 발전하는 제도, 즉 행동을 규율하는 규칙을 설명한다.[13]

이들의 견해에 따르면, 모든 제도의 주요 과제는 개인 간의 폭력을 제한하는 것이다. 그들은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지만 경제 성장에 대한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유형의 제도(사회 질서라고 함)에 초점을 맞춘다.

첫 번째 제도는 "제한적 접근 질서"라고 불리며, 엘리트가 정치 및 경제 시스템을 통제하여 지대를 추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가장 강력한 행위자들이 지대를 보호하기 위해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때문에 폭력이 제한된다. 그러나 법과 질서를 유지하는 그들의 수단은 경제적 및 정치적 독점을 지지하는 것을 요구하며, 이는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

노스 등이 제안하는 두 번째 제도는 "개방 접근 질서"라고 불리며, 정치적으로 통제되는 군대를 통해 폭력을 제한한다. 이러한 사회는 어떤 개인적인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사람이 정치적 및 경제적 조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창조적 파괴"의 슘페터적 과정을 가져온다. 슘페터 군대는 사회적 폭력을 제한하고, 이 군대를 통제하는 정치적 행위자들은 이러한 창조적 파괴 과정이 수반하는 정치적 및 경제적 권력을 위한 끊임없는 경쟁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제한적 접근 질서와 달리 개방 접근 질서는 경제적, 정치적 과제에 대한 해결책이 소수의 엘리트가 아닌 사회의 모든 개인으로부터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노스 등은 현대의 개방 접근 질서가 제한적 접근 질서로부터 두 단계 과정을 통해 등장했다고 주장한다. 첫째, 엘리트에 대한 비인격적 법의 적용과 군사력의 통합, 둘째, 엘리트 특권의 사회 전체로의 확장이다. 그들은 이 이론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사회 내에서 선거의 정당성을 설명하고, 왜 현대 개방 접근 질서에서 경제 성장이 제한적 접근 질서보다 더 일관성 있는지를 설명한다.[13]

3. 2. 소유권 이론

로널드 코스와 올리버 윌리엄슨과 함께, 노스는 재산권, 거래 비용, 시장의 제도적 기반, 역사 속 경제 조직, 그리고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연구했다.[10] 1991년, 더글러스 노스는 「경제 전망 저널(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에 "제도(Institutions)"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경제 및 제도 변화와 관련된 초기 연구를 요약했다.

노스는 제도를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호 작용을 구조화하는 인간이 고안한 제약"으로 정의하며, 공식적인 규칙(헌법, 법률, 재산권)과 비공식적인 제약(제재, 금기, 관습, 전통, 행동 규범)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제약은 시장이나 사회 내에서 질서와 안전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그 효과는 정부의 강제력, 조직적인 국가의 부재, 강력한 종교적 계율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노스는 1991년 논문에서 사회의 경제 발전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단계설명
지역 교환마을 내부의 지역 교환으로 시작. 특화는 미미하고 대부분의 가구는 자급자족. 소규모 마을 무역은 비공식적인 제약의 밀접한 사회 네트워크 내에서 존재하며 거래 비용이 낮음.
시장 확장시장이 더 크고 상호 연결된 지역으로 확장. 거래 참여자들이 사회적으로 멀어짐에 따라 교환 조건을 명시. 거래 비용 증가로 인해 속임수 위험을 줄이는 제도가 필요. 특화 증가로 생산 비용 감소.
장거리 무역장거리 무역이 가능해지면서 개인과 집단은 직업적, 지리적 특화를 경험. 공식적인 무역 센터(임시 집결 장소, 마을 또는 도시) 증가. 대리 문제와 계약 집행 문제 발생.
자본 시장 발전자본 시장(및 관련 재산권 보호)의 부상은 사회 자본을 창출하고 시민들이 부를 축적하도록 함. 기술은 거래 비용을 낮추는 역할.
도시화사회 자원 중 점점 더 많은 비율이 시장에서 활동. 거래 부문이 국민총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 고도로 특수화된 거래 조직 등장. 세계화된 특화와 노동 분담은 재산권 보장 제도 요구.



노스는 원시적인 교환 유형으로 부족 사회, 바자르, 장거리 카라반 무역을 제시하며, 이들 모두 대도시 사회보다 진화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11]

'''폭력과 개방 접근 질서의 부상'''에서 노스, 월리스, 와인가스트는 제도를 설명하기 위해 정치 이론과 경제 이론을 통합한다.[13] 이들은 제도의 주요 과제를 개인 간 폭력 제한으로 보며, 이를 위해 두 가지 유형의 제도(사회 질서)를 제시한다.


  • 제한적 접근 질서: 엘리트가 정치 및 경제 시스템을 통제하여 지대를 추출. 법과 질서는 유지되지만 경제적, 정치적 독점으로 인해 경제 성장이 저해됨.
  • 개방 접근 질서: 정치적으로 통제되는 군대를 통해 폭력을 제한. 모든 사람이 정치적, 경제적 조직을 형성할 수 있어 "창조적 파괴"가 발생. 군대를 통제하는 정치 행위자들은 경쟁에 의해 제약. 경제적, 정치적 과제 해결책이 사회 전체에서 나올 수 있어 경제 성장을 촉진.


노스 등은 현대의 개방 접근 질서가 제한적 접근 질서로부터 두 단계(엘리트에 대한 비인격적 법 적용과 군사력 통합, 엘리트 특권의 사회 전체로 확장)를 거쳐 등장했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을 통해 선거의 정당성과 경제 성장 차이를 설명한다.[13]

3. 3. 정치학과의 연계

로널드 코스(Ronald Coase)와 올리버 윌리엄슨(Oliver Williamson)과 함께 국제 신제도경제학회(ISNI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New Institutional Economics)를 공동 설립했다.[10] 그의 연구는 재산권, 거래비용, 시장의 제도적 기반, 역사 속 경제 조직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포함했다.

'''폭력과 개방 접근 질서의 부상'''에서 더글러스 노스, 존 J. 월리스(John J. Wallis), 배리 와인가스트(Barry Weingast)는 정치 이론과 경제 이론을 통합하여 인간 사회에서 발전하는 제도, 즉 행동을 규율하는 규칙을 설명한다.[13] 이들은 모든 제도의 주요 과제는 개인 간의 폭력을 제한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들은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지만 경제 성장에 대한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유형의 제도(사회 질서)에 초점을 맞춘다.

  • 제한적 접근 질서: 엘리트가 정치 및 경제 시스템을 통제하여 지대를 추출한다. 가장 강력한 행위자들이 지대를 보호하기 위해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때문에 폭력이 제한된다. 그러나 법과 질서를 유지하는 그들의 수단은 경제적 및 정치적 독점을 지지하는 것을 요구하며, 이는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

  • 개방 접근 질서: 정치적으로 통제되는 군대를 통해 폭력을 제한한다. 이러한 사회는 어떤 개인적인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사람이 정치적 및 경제적 조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창조적 파괴"의 슘페터적 과정을 가져온다. 군대는 사회적 폭력을 제한하고, 이 군대를 통제하는 정치적 행위자들은 이러한 창조적 파괴 과정이 수반하는 정치적 및 경제적 권력을 위한 끊임없는 경쟁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제한적 접근 질서와 달리 개방 접근 질서는 경제적, 정치적 과제에 대한 해결책이 소수의 엘리트가 아닌 사회의 모든 개인으로부터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노스 등은 현대의 개방 접근 질서가 제한적 접근 질서로부터 다음 두 단계 과정을 통해 등장했다고 주장한다.

# 엘리트에 대한 비인격적 법의 적용과 군사력의 통합

# 엘리트 특권의 사회 전체로의 확장

이들은 이 이론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사회 내에서 선거의 정당성을 설명하고, 현대 개방 접근 질서에서 경제 성장이 제한적 접근 질서보다 더 일관성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13]

노스의 영향은 경제학뿐만 아니라 정치학에도 미치고 있다. 그의 신제도주의 이론은 정치학의 신제도론, 특히 합리적 선택 제도론에 큰 공헌을 했다. 또한 정치학자 배리 와인가스트(Barry Weingast)와의 공동 연구에서 명예혁명을 제도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3. 4. 소련 비판

노스는 대학원 시절 마르크스주의자였지만,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 체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련의 신념 체계는 혁명, 내전, 기근 등의 위기에 대응해야 했지만, 당 간부들은 명령 경제의 기본 구조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인센티브 구조에 대해 매우 불완전하고 초보적인 이해만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19] 노스는 마이클 맥폴을 인용하여, 스탈린의 소련은 사회주의 실현을 최우선 목표로 삼아 강제, 폭력, 대량 학살을 통해 과제를 달성해 온 전형적인 전체주의 국가라고 한다.[19]

소련은 1950년대 당시 세계 2위의 군사력과 산업력을 갖추었으면서도 주택 환경은 열악하고 소비재는 저품질이었으며, 농촌은 미개했고, 원자폭탄을 제조할 수 있었음에도 국민에게 계란을 먹일 수 없었다.[19] 소련에서는 과도한 집권화, 수용 가능한 투자 기준과 농산물 가격의 부재, 거래망의 부족, 원료 공급의 붕괴, 공포 정치 하에서 필요한 인센티브 등이 과제였다. 하지만 소련 당국은 이러한 집권적인 제도, 생산 목표, 통제 경제 등을 재검토하거나 시장 및 분권적인 의사 결정, 국유가 아닌 기능적인 소유권의 역할을 강화하는 개혁에 나서지 않았고, 작은 개혁이 이루어지더라도 강력한 관료 조직 앞에 무위로 돌아갔다.

고르바초프의 개혁에서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공산당은 지도적 역할을 할 수 없었고,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할 수도 없었으며, 공백을 메울 제도는 전혀 생겨나지 않았다. 부분적인 개혁이 반복해서 실패하는 가운데 기존 시스템의 미래도 보이지 않게 되자 사리사욕, 부정부패, 폭력적인 조직 범죄, 관료의 충성심 상실, 지하 경제의 확대 등으로 국가의 몰락이 진행되었다.

고르바초프는 당 체제가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기존 제도 내의 대항 세력을 약화시키고 개혁 찬동자들의 힘을 강화하려고 시도했는데, 기존의 관리 체제는 급속히 붕괴되었다. 1987년 6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회의 개혁으로 임금, 가격, 생산 목표 설정에 관한 경영자(디렉터)의 재량이 확대되고, 이듬해인 1988년 협동조합법에 의해 사적 경제 활동이 합법화되자, 경영자들은 생산량 은폐, 자원의 사적 유용, 이익 착복 등의 인센티브가 증가했다. 경영자들은 사실상의 재산권을 획득했고, 개인적 소비 및 자원의 사적 이용 기회가 생겨났으며, 경영자들에게 광대한 암시장은 거부할 수 없는 매력으로 가득 차 있었다. 더욱이 협동조합과 소기업이 국가 자산을 바탕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되자, 경영자들은 기생적인 협동조합, 집단 소유제 사업, 합자회사 등을 설립하여 외국과의 거래를 중개하고 위험 없이 부채도 지지 않고 이익을 얻었다. 반면 국영 기업은 거의 혜택을 받지 못했고, 경영자가 자립성을 얻는 한편 당 관료의 권력과 특권도 감소하여 당 관료 조직은 약화되었다. 글라스노스트(정보 공개)에 따른 표현의 자유 확대와 언론의 정치 비판, 수많은 정치 활동은 당에 대한 타격이 되었고, 결국 옐친 등 "반헤게모니 조직"이 등장했다. 스티븐 솔닉에 따르면, 조직의 통제력이 최고 간부에게 없다는 것이 알려지자 자원에 대한 의혹이 생기고, 충성을 지키던 지방 관리들도 중앙의 붕괴로 자신들의 특권이 박탈될 것을 두려워하여 일제히 이반했으며, 은행 뱅크런처럼 관리들이 국가 자산을 찾아 몰려들면서 소련의 제도는 붕괴했다. 관리들은 국가에 고용된 신분이면서 국가 자산을 사유화했고, 심지어 국가 자체를 훔쳐갔다.[20]

노스는 적응 효율성에는 비에르고드적 세계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에 직면했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새로운 문제에 대한 대안을 유연하게 시도하는 제도 구조가 필요하다고 한다. 이 제도에서는 실험을 촉진하고 허용하며 실패 전략을 제거해 나가는 신념 구조가 필요하지만, 소련은 이러한 접근 방식과는 정반대였다.

맨커 올슨은 『국가 흥망론』에서 주기적인 혁명이 없는 상황에서는 이익 집단이 사회를 경직시켜 성장과 생산성 향상의 숨통을 끊는다고 하지만, 소련의 역사는 유연성 없는 제도에는 그것 고유의 함정이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적응 효율성이란 문제의 진화에 따라 사회가 제도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제도를 창출하는 상황을 가리키는 것이며, 정치 경제는 불확실성에 직면하더라도 끊임없이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제도는 제거해야 한다. 미국의 역사에는 오점이 있지만, 이러한 조건을 발전의 특징으로 삼아왔으며, 모든 형태의 경직된 독점에 대해 강력한 제한을 가해왔다. 그러나 그것은 오랜 시간에 걸쳐 진화해 온 것이며, 계획적으로 단기간에 복제할 수 없고, 유연하고 적응 효율적인 제도라도 존속을 보장할 수 없다고 노스는 주장했다.

4. 주요 저서

원제한국어 번역 제목 (출판사, 출판연도)비고
The Economic Growth of the United States, 1790–1860미국의 경제 성장, 1790–1860 (Prentice Hall, 1961)
Institutional Change and American Economic Growth제도 변화와 미국의 경제 성장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랜스 E. 데이비스와 공저
The Rise of the Western World: A New Economic History서구 세계의 부상: 새로운 경제사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3)
하야미 토오루・아키모토 요우야 역, 서구 세계의 부흥――새로운 경제사의 시도 (미넬르바 서방, 1980, 증보판 1994)
로버트 폴 토마스와 공저
Growth and Welfare in the American Past미국의 과거 성장과 복지 (Prentice-Hall, 1966, 제2판, 1974, 제3판, 1983)
Structure and Change in Economic History경제사의 구조와 변화 (Norton, 1981)
오오노 하지메 번역, 경제사의 구조와 변화 (닛케이 BP 클래식스, 2013년)
나카지마 마사토 번역, 문명사의 경제학――재산권·국가·이데올로기 (춘추사, 1989년)
Constitution and Commitment: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Governing Public Choice in Seventeenth-Century England헌법과 약속: 17세기 영국의 공공 선택을 지배하는 제도의 진화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제도, 제도 변화 및 경제 성과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타케시타 코시 번역, 제도·제도 변화·경제 성과 (코요쇼보, 1994년)
Empirical Studies in Institutional Change제도 변화에 대한 경험적 연구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리 제이 올스턴 & 트레인 에거트손과 공편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Economic Change경제 변화 과정 이해하기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더글러스 노스 제도 원론 다키자와 히로카즈·나카바야시 마사유키 감역 (동양경제신보사, 2016년)
Violence and Social Orders: A Conceptual Framework for Interpreting Recorded Human History폭력과 사회 질서: 기록된 인류 역사를 해석하기 위한 개념적 틀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존 조셉 월리스와 배리 R. 와인가스트와 공저
The Economics of Public Issues공공 문제의 경제학 (Harper & Row, 1971, 제2판 1973, 제3판 1976, 제4판 1978, 제5판 1980, 제6판 1983, 제7판 1987, 제8판 1990, 제9판 1993, 제10판 1996, 제11판 1999, 제12판 2001, 제13판 2003, 제14판 2005, 제15판 2008)
아카바네 타카오 역, 사회 문제의 경제학――진단과 처방전 (닛케이 신문사, 1975)
아카바네 타카오 역, 경제학으로 현대 사회 읽기 (닛케이 신문사, 1995) - 제9판 번역
로저 르로이 밀러와 공저
The Growth of the American Economy to 1860미국 경제의 성장 1860년까지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출판부, 1968)로버트 폴 토마스와 공동 편집
Political Institutions and Financial Development정치 제도와 금융 발전 (스탠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8)스티븐 해버와 배리 R. 와인가스트와 공동 편집
Transaction Costs, Institutions, and Economic Performance거래 비용, 제도 및 경제 성과 (ICS Press, 1992)
The Role of Institutions in Economic Development: The Gunnar Myrdal Lectures경제 개발에서 제도의 역할: 군나르 미르달 강좌 (유엔, 2003)
Institutions영어제도경제 전망 저널(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5 (1): 97–112. 1991.
Location Theory and Regional Economic Growth영어입지 이론과 지역 경제 성장정치 경제학 저널(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3 (3): 243–258. 1955.
The Present State of Economic History영어경제사의 현황미국 경제학회지(American Economic Review) 55 (1–2): 86–91. 1965.
Institutions and economic growth: An historical introduction영어제도와 경제 성장: 역사적 소개세계 개발(World Development) 17 (9): 1319–1332. 1989.
Economic Performance through Time영어시간을 통한 경제 성과미국 경제학회지(American Economic Review) 84 (3): 359–68. 1994.


5. 수상


  • 1991년 - 존 코먼스 상(John R. Commons Award)을 수상했다.
  • 1993년 - 로버트 포겔과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이는 경제사 연구자로서는 최초였다.

6.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노스, 월리스, 와인가스트는 저서 '''폭력과 개방 접근 질서의 부상'''에서 정치 이론과 경제 이론을 통합하여 인간 사회에서 발전하는 제도, 즉 행동을 규율하는 규칙을 설명한다.[13] 이들은 제도의 주요 과제를 폭력 제한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의 제도를 제시했다.


  • 제한적 접근 질서: 엘리트가 정치, 경제 시스템을 통제하여 지대를 추출하고, 법과 질서를 유지하지만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
  • 개방 접근 질서: 정치적으로 통제되는 군대를 통해 폭력을 제한하고, 모든 개인에게 정치, 경제 조직 형성 기회를 제공하여 슘페터가 말한 "창조적 파괴"를 유도한다. 이는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노스 등은 현대의 개방 접근 질서가 제한적 접근 질서로부터 두 단계 과정을 통해 등장했다고 주장한다. 첫째, 엘리트에 대한 비인격적 법 적용과 군사력 통합, 둘째, 엘리트 특권의 사회 전체로 확장이다. 이들은 이 이론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사회 내에서 선거의 정당성을 설명하고, 현대 개방 접근 질서에서 경제 성장이 제한적 접근 질서보다 더 일관적인 이유를 설명한다.[13]

노스의 연구는 경제사 분야를 넘어 정치학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신제도론과 배리 와인가스트와의 공동 연구는 명예혁명을 제도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기여했다.

6. 1. 제도의 중요성

1991년 더글러스 노스는 「경제 전망 저널(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에 "제도(Institutions)"라는 논문을 발표했다.[11] 이 논문에서 노스는 경제 및 제도 변화와 관련된 초기 연구를 요약하고, 제도를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호 작용을 구조화하는 인간이 고안한 제약"으로 정의했다. 이러한 제약에는 헌법, 법률, 재산권과 같은 공식적인 규칙과 제재, 금기, 관습, 전통, 행동 규범과 같은 비공식적인 제약이 포함되며, 시장이나 사회 내 질서와 안전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노스는 사회의 경제 발전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지역 교환: 초기 단계에서는 마을 내부에서 자급자족적인 가구를 중심으로 지역 교환이 이루어지며, 특화는 미미하다. 긴밀한 사회 네트워크 내에서 비공식적인 제약이 작용하여 거래 비용이 낮다.
  • 지역 시장 확장: 시장이 확장되면서 거래 참여자 간 거리가 멀어지고, 교환 조건이 명시적으로 변한다. 거래 비용 증가에 따라 협력적 해결책을 위한 제도가 필요하며, 특화 증가로 생산 비용이 감소한다.
  • 장거리 무역: 장거리 무역이 가능해지면서 직업적, 지리적 특화가 이루어지고, 공식적인 무역 센터(임시 집결 장소, 마을 또는 도시)가 등장한다. 대리 문제와 계약 집행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품 보호와 계약 집행을 제공하는 제도가 발전한다.
  • 자본 시장 발전: 자본 시장과 재산권 보호가 강화되면서 사회 자본이 형성되고, 기술 발전이 거래 비용을 낮춘다. 특히 교통 개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도시화: 도시화 단계에서는 거래 부문이 국민총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고도로 특화된 거래 조직이 등장한다. 세계화된 특화와 노동 분담은 재산권 보장을 위한 제도를 요구하며, 자본 시장은 참여자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발전한다.


노스는 원시적인 교환 유형으로 부족 사회, 바자르, 장거리 카라반 무역을 제시했다. 이러한 교환 유형은 대도시 사회보다 진화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

노스는 논문에서 비공식적 제약의 영향, 공식적 제약과 비공식적 제약의 관계, 경제 주체의 행동 제약과 정치/사법 시스템의 관계 등에 대한 질문을 제기했다.

'''폭력과 개방 접근 질서의 부상'''에서 노스, 월리스, 와인가스트는 제도의 주요 과제를 폭력 제한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의 제도를 제시했다.

  • 제한적 접근 질서: 엘리트가 정치, 경제 시스템을 통제하여 지대를 추출하고, 법과 질서를 유지하지만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
  • 개방 접근 질서: 정치적으로 통제되는 군대를 통해 폭력을 제한하고, 모든 개인에게 정치, 경제 조직 형성 기회를 제공하여 슘페터가 말한 "창조적 파괴"를 유도한다. 이는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노스 등은 개방 접근 질서가 제한적 접근 질서에서 두 단계를 거쳐 등장한다고 보았다. 첫째는 엘리트에 대한 비인격적 법 적용과 군사력 통합, 둘째는 엘리트 특권의 사회 전체로의 확장이다.

경제사가 원래 전공인 노스는 로널드 코스, 올리버 윌리엄슨과 함께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중요 인물로 여겨진다. 이들은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국제 학회 설립에 힘썼으며, 1997년 세인트루이스에서 첫 학회가 열렸다. 노스는 거래비용과 소유권 이론에 공헌했으며, 경제사 분야에서 역사상 경제 활동을 위한 조직 연구와 경제성장의 역사적 과정에 관한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한 분석으로 업적을 남겼다.

6. 2. 개혁의 지속성

더글러스 노스는 소련의 경제 체제와 개혁 시도에 대해 비판적인 분석을 제시했다. 그는 소련의 신념 체계가 혁명, 내전, 기근 등의 위기에는 대응했지만, 명령 경제의 기본 구조와 목표 달성을 위한 인센티브 구조에 대한 이해는 매우 부족했다고 지적했다.[19] Michael McFaul|마이클 맥폴영어을 인용하여, 스탈린의 소련은 사회주의 실현을 위해 강제, 폭력, 대량 학살을 동원한 전형적인 전체주의 국가였다고 평가했다.[19]

소련은 1950년대에 세계 2위의 군사력과 산업력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주택 환경은 열악했고 소비재는 품질이 낮았으며, 농촌은 미개했다. 노스는 과도한 집권화, 투자 기준과 농산물 가격 부재, 거래망 부족, 원료 공급 붕괴, 그리고 공포 정치 하에서 필요한 인센티브 부족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러나 소련 당국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장 및 분권적 의사 결정, 국유가 아닌 기능적인 소유권의 역할을 강화하는 개혁 대신, 기존의 집권적인 제도, 생산 목표, 통제 경제를 유지하려 했고, 작은 개혁마저도 강력한 관료 조직에 의해 무력화되었다.

고르바초프의 개혁 시기에도 소련 공산당은 지도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고,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할 능력도 없었으며, 이를 대체할 제도도 부재했다. 부분적인 개혁이 반복적으로 실패하고 기존 시스템의 미래가 불투명해지자, 사리사욕, 부정부패, 폭력적인 조직 범죄, 관료의 충성심 상실, 지하 경제 확대 등으로 인해 국가의 몰락이 가속화되었다.

고르바초프는 당 체제의 신뢰성 상실을 인지하고, 기존 제도 내의 대항 세력을 약화시키고 개혁 찬동자들의 힘을 강화하려 했으나, 기존의 관리 체제는 급속히 붕괴되었다. 1987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회의 개혁으로 경영자(디렉터)의 재량이 확대되고, 1988년 협동조합법에 의해 사적 경제 활동이 합법화되자, 경영자들은 생산량 은폐, 자원의 사적 유용, 이익 착복 등의 유혹에 빠졌다. 이들은 사실상의 재산권을 획득하고 개인적 소비 및 자원 사적 이용 기회를 얻었으며, 암시장은 이들에게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이 되었다. 또한, 협동조합과 소기업이 국가 자산을 바탕으로 이익을 얻게 되자, 경영자들은 기생적인 협동조합, 집단 소유제 사업, 합자회사 등을 설립하여 이익을 취했다. 반면, 국영 기업은 혜택을 받지 못했고, 경영자의 자립성이 강화되는 동안 당 관료의 권력과 특권은 감소하여 당 관료 조직은 약화되었다. 글라스노스트(정보 공개)에 따른 표현의 자유 확대와 언론의 정치 비판, 그리고 옐친과 같은 "반(反)헤게모니 조직"의 등장은 소련 체제 붕괴를 가속화했다.

노스는 적응 효율성을 강조하며, 불확실성에 직면했을 때 유연하게 대안을 시도하고 실패한 전략을 제거하는 제도 구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소련은 이러한 접근 방식과 정반대였다. 맨커 올슨은 혁명이 없는 상황에서 이익 집단이 사회를 경직시킨다고 주장했지만, 소련의 역사는 유연성 없는 제도 자체의 함정을 보여준다. 노스는 미국의 역사를 예로 들며, 적응 효율적인 제도는 오랜 시간에 걸쳐 진화하는 것이며, 계획적으로 단기간에 복제할 수 없고, 존속을 보장할 수도 없다고 결론 내렸다.

6. 3. 정치와 경제의 상호작용

1991년 더글러스 노스는 「경제 전망 저널(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에 발표한 논문 "제도(Institutions)"에서 제도를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호 작용을 구조화하는 인간이 고안한 제약"으로 정의했다.[11] 이러한 제약에는 공식적인 규칙(헌법, 법률, 재산권)과 비공식적인 제약(제재, 금기, 관습, 전통, 행동 규범)이 포함되며, 시장이나 사회 내 질서 유지를 돕는다.[11]

노스는 사회 경제 발전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단계설명
지역 교환마을 내부에서 이루어지며, 특화는 미미하고 가구는 자급자족한다. 비공식적 제약이 밀접한 사회 네트워크 내에서 거래 비용을 낮춘다.
지역 시장 확장거래 참여자들이 멀어지면서 교환 조건이 명확해지고, 속임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제도가 필요해진다. 특화 증가로 생산 비용이 감소한다.
장거리 무역직업적, 지리적 특화가 발생하고, 공식적인 무역 센터(임시 집결 장소, 마을, 도시)가 증가한다. 대리 문제와 계약 집행 문제가 발생한다.
자본 시장 발달자본 시장과 재산권 보호가 중요해지며, 사회 자본이 형성되고 부의 축적이 가능해진다. 기술 발전, 특히 교통 개선이 거래 비용을 낮춘다.
도시화사회 자원 중 많은 비율이 시장에서 활동하며, 거래 부문이 국민총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고도로 특수화된 거래 조직이 등장하고, 재산권 보장 제도가 필요하다.



노스는 원시적인 교환 유형으로 부족 사회, 바자르, 장거리 카라반 무역을 언급하며, 이들은 대도시 사회보다 진화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11]

노스, 월리스, 와인가스트는 저서 "폭력과 개방 접근 질서의 부상"에서 정치 및 경제 이론을 통합하여 제도의 발전을 설명했다.[13] 이들은 폭력 제한을 위한 두 가지 제도 유형을 제시했다.


  • 제한적 접근 질서: 엘리트가 정치, 경제 시스템을 통제하여 지대를 추출하고, 법과 질서를 유지하지만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
  • 개방 접근 질서: 정치적으로 통제되는 군대를 통해 폭력을 제한하고, 모든 개인이 정치, 경제 조직을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를 가져온다. 이는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노스는 현대 개방 접근 질서가 제한적 접근 질서에서 두 단계를 거쳐 등장했다고 주장했다.

1. 엘리트에 대한 비인격적 법 적용과 군사력 통합

2. 엘리트 특권의 사회 전체로 확장

이러한 이론은 선거의 정당성, 경제 성장의 차이 등을 설명하는 데 적용된다.[13]

노스의 신제도주의 이론은 정치학의 신제도론, 특히 합리적 선택 제도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배리 와인가스트와의 공동 연구에서는 명예혁명을 제도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Douglass C. North – Biography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6-02-14
[2] 웹사이트 Britannica Money https://www.britanni[...] 2024-08-20
[3] 웹사이트 Dr. Douglass C. North '43 https://www.usmmaalu[...] 2020-10-15
[4] 서적 Lives of the Laureates The MIT Press
[5] 웹사이트 Obituary: Douglass C. North, Nobel Prize-winning economist, 95 https://news.wustl.e[...]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2015-11-24
[6] 뉴스 Douglass C. North, Maverick Economist and Nobel Laureate, Dies at 95 https://www.nytimes.[...] 2015-12-24
[7] 웹사이트 North's Profile http://www.hoover.or[...]
[8] 웹사이트 John R. Commons Award http://www.omicronde[...]
[9] 웹사이트 Douglass Cecil North Papers, 1942–2006 and undated http://library.duke.[...] Rubenstein Library, Duke University
[10] 서적 The Contribution of Douglass North to New Institutional Economics https://halshs.arch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Meaning and order in Moroccan society: Three essays in cultural analysis http://www.getcit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7-02
[12] 서적 Transaction costs, institutions, and economic performance http://khosachonline[...] ICS Press
[13] 논문 Violence and the Rise of Open Access Orders https://www.research[...]
[14] 뉴스 Douglass North obitu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1-27
[15] 서적 Explorations in the New Economic History: Essays in Honor of Douglass C. North Academic Press
[16] 웹사이트 Douglass C. North https://ideas.repec.[...]
[17] 웹사이트 Douglass C. North https://ideas.repec.[...]
[18] 웹사이트 Obituary: Douglass C. North, Nobel Prize-winning economist, 95 https://news.wustl.e[...]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2015-11-25
[19] 논문 State Power, Institutional Change, and the Politics of Privatization in Russia
[20] 서적 Stealing the State Control and Collapse in Soviet Institu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21] 백과사전 エルゴード性
[22] 웹인용 Douglass C. North – Biography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6-02-14
[23] 서적 The Contribution of Douglass North to New Institutional Economics https://halshs.archi[...]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