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글은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마법 능력이 없고 마법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일반 인간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머글은 종종 어리석게 묘사되며, 마법 세계를 알지 못한다. 마법사가 아닌 부모에게서 태어난 마법사는 머글 태생이라고 불린다. 이 용어는 《해리 포터》 시리즈 외에도 특정 집단의 구성원이 그 집단 외부의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1930년대 재즈 속어, 스코틀랜드에서의 영국인 지칭 등 다양한 용례가 존재한다. 2003년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등재되었으며, 기술이 부족한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낸시 스토퍼는 "머글" 용어 사용에 대해 조앤 K. 롤링을 상표권 침해로 고소했으나 패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리 포터의 세계 - 퀴디치
퀴디치는 해리 포터 시리즈에 나오는 마법사 스포츠로, 빗자루를 타고 공중에서 쿼플, 블러저, 골든 스니치 등의 공을 사용하여 7명으로 이루어진 두 팀이 득점하는 경기이며, 현실의 쿼드볼 스포츠에 영향을 주었으나 명칭 사용에 논란이 있다. - 해리 포터의 세계 - 마법 (해리 포터)
마법은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마법사들이 사용하는 초자연적인 힘으로, 훈련과 지팡이를 통해 제어되지만 감정이나 사랑에 영향을 받으며, 어둠의 마법과 특별한 능력을 사용하는 마법사도 존재한다. - 작품에서 유래한 단어 - 샹그릴라
샹그릴라는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가상의 낙원으로,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에 등장하며, 외부와 단절된 지상 낙원, 이상향을 상징하고, 히말라야, 중국 윈난성 등 여러 지역이 실제 모델로 거론되며, 대중문화 속에서 신비로운 낙원의 대명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작품에서 유래한 단어 -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고, 획일성과 인간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가공의 종족 - 후이넘
후이넘은 스위프트의 소설 《걸리버 여행기》 4부에 등장하는 이성적인 말의 종족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남쪽에 위치한 후이넘 랜드에서 이성에 기반한 평등한 사회주의 사회를 이루어 인간의 악한 본성을 상징하는 야후와 대비된다. - 가공의 종족 - 굼바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대표적인 적인 굼바는 밟아서 물리칠 수 있는 기본적인 특징을 가지며, 게임 초반에 적과의 상호 작용 방식을 가르쳐주고 다양한 아종으로 게임의 재미를 더하며, 마리오 프랜차이즈의 상징적인 캐릭터로 자리매김했다.
머글 |
---|
2.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의 용법
'머글'은 마법 능력이 없는 공동체 구성원을 가리키는 말로, 소설에서 때때로 비하적인 방식으로 사용된다. 머글은 보통 마법 세계를 인지하지 못한다.
'해리 포터' 소설에서 머글은 종종 어리석고 얼빠진 모습으로 묘사되며, 마법 세계를 전혀 알지 못한다. 머글이 마법을 보게 되면, 마법부는 오블리비에이터를 보내 기억을 수정한다.[2]
롤링은 '쉽게 속는 사람'을 뜻하는 영어 단어 "mug"에서 "Muggle"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2]
2. 1. 머글의 특징
머글은 마법 능력이 전혀 없으며, 대부분 마법 세계의 존재를 알지 못하는 평범한 인간이다. 마법사가 아닌 부모에게서 태어난 마법사는 '머글 태생'이라고 불린다. 마법사 부모와 비마법사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사람은 '혼혈'이라고 불린다. 어느 한쪽이라도 머글 조상이 있는 마법사도 혼혈이다. 마법사 혈통만 있는 마법사는 '순수 혈통'이라고 불린다.[2]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가장 유명한 머글 태생은 머글 부모에게서 태어난 헤르미온느 그레인저이다.마법의 작용을 보게 된 머글은, 마법부에 의해 기억이 수정되기도 한다.[2]
몇몇 머글들은 마법 세계를 알고 있다. 여기에는 헤르미온느 그레인저의 부모, 머글 총리 (및 전임자), 더즐리 가족 (해리 포터의 유일한 비마법사 친척), 일부 마법사의 비마법사 배우자 등 마법사 자녀를 둔 머글 부모가 포함된다.[2]
2. 2. 마법 세계를 아는 머글
헤르미온느 그레인저의 부모, 머글 총리 및 전임자, 더즐리 가족(해리의 유일한 비마법사 친척), 일부 마법사의 비마법사 배우자 등은 마법 세계를 알고 있다.[2]2. 3. 주요 머글 등장인물
더즐리 가족: 해리 포터의 유일한 비마법사 친척으로, 해리는 16년 동안 이들과 함께 살았다.[2]머글 총리: 마법 세계와 관련된 정보를 알고 있다.[2]
프랭크 브라이스: 리들 가족의 정원사였다.[2]
제이콥 코왈스키: 뉴트 스캐맨더의 노마지 친구이다.[2]
메리 루 베어본: 뉴 세일럼 자선 협회(또는 "세컨드 세일러머스")의 지도자이다.[2]
3. 다른 용례
'머글'은 《해리 포터》 시리즈 외에도 특정 집단의 구성원이 그 집단 외부의 사람들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3. 1. 일반적인 용법
일반적으로, 군대에서 '민간인'을 지칭하는 것과 유사하게, 특정 집단의 구성원이 그 집단 외부의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3] 책에서는 ''머글''이 일관되게 대문자로 표기되지만, 다른 용례에서는 주로 소문자로 쓰인다.- BBC 퀴즈 쇼 《QI》에 따르면, "호커스 포커스" 에피소드에서 ''머글''은 1930년대 재즈 속어로, 대마초를 사용하는 사람을 지칭했다. "머글스"는 루이 암스트롱 앤 히즈 오케스트라가 1928년에 녹음한 음반의 제목이기도 하다.
- 애보트 월터 바우어는 《스코티크로니콘》의 저자로서, ''머글''은 "영국인의 꼬리"라고 정의했다. 알리스테어 모팻의 저서 《초창기부터의 국경 지역 역사》에 따르면, 13세기 스코틀랜드인들은 영국인에게 꼬리가 있다고 널리 믿었다고 한다.
- 어니스트 브라마는 《해리 포터》 책이 출판되기 수십 년 전, 탐정 소설에서 "교활한 머글들"을 언급했다 ("매싱엄 맨션의 유령", 《맥스 카라도스의 눈》, 도란, 뉴욕, 1924).
- 머글스는 1959년 하코트, 브레이스 & 월드에서 출판된 캐롤 켄달의 어린이 책 《더 게미지 컵》에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의 이름이다.
- 1982년에 출판된 로알드 달의 등장인물인 거인 친구는, 다른 주요 인물인 소피에게 좋은 꿈을 묘사하면서 "머글드"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온 학교가 미친 듯이 환호하며 브라보, 웰던을 외치고, 그 후로 영원히, 심지어 네 셈이 모두 엉망진창이 되고 머글이 되어도, 피긴스 씨는 항상 너에게 10점 만점에 10점을 주고 네 연습장에 '잘했어, 소피'라고 쓴단다." - 《내 친구 꼬마 거인》. 로알드 달은 또한 《못된 부부》 및 다른 작품에서 원숭이 가족의 이름을 "머글-움프스"라고 짓는다.
- ''머글''은 2003년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등재되었으며, 기술이 부족한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라고 명시되어 있다.[4]
- ''머글''은 작은 전문 집단의 구성원들이 비공식적인 영어로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자신의 활동이 마법과 유사하거나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간주하는 사람들(예: 해커 문화;[5] 및 이교주의자, 마술사,[6] 신이교주의자 및 위카교도)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7]
- ''머글''(또는 ''지오머글'')은 지오캐싱에 참여하지 않거나 이 스포츠를 모르는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해 지오캐셔들이 사용한다. 비참여자가 훼손한 캐시는 약탈당했거나 ''머글드''되었다고 한다.[8]
3. 2. 특정 분야에서의 용법
- 1930년대 재즈 속어에서 '머글'은 대마초를 사용하는 사람을 지칭했다. 루이 암스트롱 앤 히즈 오케스트라는 1928년에 "머글스"라는 음반을 녹음했다. (BBC 퀴즈 쇼 《QI》의 "호커스 포커스" 에피소드)
- 《스코티크로니콘》의 저자 애보트 월터 바우어는 '머글'을 "영국인의 꼬리"라고 정의했다. 알리스테어 모팻의 저서 《초창기부터의 국경 지역 역사》에 따르면, 13세기 스코틀랜드인들은 영국인에게 꼬리가 있다고 널리 믿었다.[3]
- 어니스트 브라마는 탐정 소설 《맥스 카라도스의 눈》(1924)의 "매싱엄 맨션의 유령"에서 "교활한 머글들"을 언급했다.
- 1959년 출판된 캐롤 켄달의 어린이 책 《더 게미지 컵》에는 머글스라는 여성 캐릭터가 등장한다.
- 1982년 출판된 로알드 달의 소설 《내 친구 꼬마 거인》에서 거인 친구는 소피에게 좋은 꿈을 묘사하며 "머글드"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 2003년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머글'이 기술이 부족한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로 등재되었다.[4]
- '머글'은 해커 문화[5], 이교주의, 마술사[6], 신이교주의, 위카교도[7] 등 자신의 활동이 마법과 유사하거나 관련 있다고 여기는 소규모 집단에서 비전문가를 지칭하는 비공식 용어로 사용된다.
- 지오캐싱에서 '머글'(또는 '지오머글')은 지오캐싱에 참여하지 않거나 모르는 사람들을 지칭하며, 비참여자가 캐시를 훼손하면 '약탈당했거나 머글드되었다'고 표현한다.[8]
4. 상표권 소송
낸시 스토퍼는 1984년 저서 《라와 머글의 전설》의 저자로서, "머글"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해 롤링을 상표권 침해로, 자신의 책과 유사한 점에 대해 저작권 침해로 고소했다.[9] 롤링과 그녀의 출판사인 스콜라스틱은 혼동 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약식 판결을 통해 승소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What, no muggles? JK Rowling fans aghast at new term for non-wizards
https://www.theguard[...]
2015-11-06
[2]
웹사이트
Before Harry Potter, 'Muggles' Meant Pot
https://www.theatlan[...]
2022-07-02
[3]
서적
The Borders: a history of the Borders from earliest times
Deerpark Press
2002
[4]
뉴스
BBC: 'Muggle' goes into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1-05
[5]
웹사이트
Jargon File
http://catb.org/~esr[...]
[6]
웹사이트
Conjuring Terms - Magicpedia
https://geniimagazin[...]
2023-12-29
[7]
간행물
I Roomed with a Muggle
New Witch Magazine
2003-09
[8]
웹사이트
Geocaching Glossary
http://www.geocachin[...]
Geocaching.com
2007-09-20
[9]
문서
Burden of Proof 'Harry Potter' Book Lawsuit: 'Legend of Rah and Muggles' Author Claims Trademark Violations, Burden of Proof, CNN Transcripts, July 5, 2000
https://www.eyrie.or[...]
[10]
웹사이트
Stouffer v. Rowling Summary Judgment Decision, Sept. 17, 2002
https://www.eyrie.or[...]
2018-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