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리강은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 총 길이 3,750km의 머레이-달링 강 유역을 구성하며, 빅토리아주, 뉴사우스웨일스주, 퀸즐랜드주 남부 내륙의 물을 배수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알렉산드리나 호를 거쳐 남극해로 흘러들어가며, 주요 지류로는 마르누 강, 달링 강, 머럼비지 강 등이 있다. 머레이 강은 수자원 관리 및 관개 시설, 스노위 산맥 계획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으나, 과도한 물 사용과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빅토리아주의 강 - 야라강
야라강은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중부를 흐르며 멜버른을 관통해 포트필립만으로 이어지는 강으로, 원주민에게는 '안개의 강' 비라룽으로 불렸으나 산업화로 환경 문제에 직면했으나 현재는 환경 보호 노력으로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 되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강 - 야라강
야라강은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중부를 흐르며 멜버른을 관통해 포트필립만으로 이어지는 강으로, 원주민에게는 '안개의 강' 비라룽으로 불렸으나 산업화로 환경 문제에 직면했으나 현재는 환경 보호 노력으로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 되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강 - 달링강
달링강은 오스트레일리아 머레이-달링 유역의 강으로, 여러 주를 관통하며 수만 년간 원주민 삶의 터전이자 19세기 수송로였으나, 현재는 불규칙한 수량과 시아노박테리아 번성, 물고기 떼죽음 같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머리강 | |
---|---|
지도 | |
개요 | |
이름 | 머리강 (밀레와 / 둥갈라 (통갈라)) |
![]() |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주 | 뉴사우스웨일스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빅토리아주 |
도시 | 앨버리, 워동가, 이추카, 스완힐, 밀두라, 렌마크, 머리 브리지 |
길이 | 2508 km |
유역 면적 | 1,061,469 km2 |
평균 방류량 | 767 m3/s |
지류 | |
왼쪽 지류 | 미타미타강, 키에와강, 오븐스강, 굴번강, 캠파스페강, 로든강 |
오른쪽 지류 | 스웜피 플레인강, 머럼비지강, 달링강 |
발원지 | |
위치 | 카움바트 평원, 오스트레일리아 알프스, 뉴사우스웨일스주 |
좌표 | 36°47′46″S 148°11′40″E |
해발 고도 | 1430 m |
하구 | |
위치 | 굴와 사우스 근처, 머리 하구 |
좌표 | 35°33′32″S 138°52′48″E |
해발 고도 | 0 m |
2. 지리
머리강은 오스트레일리아알프스산맥에서 발원하여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장 높은 산들의 서쪽면을 따라 흐른다. 머리강의 대부분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내륙 평야에 위치하며, 내륙 평야를 구불구불 가로질러 북서쪽으로 흘러 뉴사우스웨일스주와 빅토리아주의 경계를 이룬다. 하구 근처의 알렉산드리나 호에 도달하기 전 약 500km 지점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로 흘러들어간다. 중류에서 북쪽에서 내려오는 주요 지류들과 합류하며, 하류의 650km 구간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를 흐르면서 여러 개의 얕은 호수로 군데군데 단절된 협곡을 지난다. 애들레이드 남쪽에 바다를 따라 길게 형성된 쿠롱 석호 지대를 지나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으로 흘러 나가 바다와 만난다.
머리강은 알렉산드리나호를 비롯한 염도가 변동하는 대여섯 개의 호수를 지나가며 머리 하구를 통해 인도양의 동남부로 빠져나가기 전에 쿠롱 국립공원을 지나간다. 머리강 하구는 종종 오스트레일리아를 표시하는 지도에서 굴와 근처에서 남극해로 표시되기도 한다.[56]
머리강 어귀는 얕고, 끊임없이 변화하며 예측 불가능한 조류와 외해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준설기가 머리강 어귀에서 24시간 운영되며, 해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채널에서 모래를 제거하여 쿠롱 국립공원의 석호 시스템으로 보낸다. 준설 작업이 없으면 어귀가 막히고 폐쇄되어 쿠롱 국립공원으로의 신선한 해수 공급이 차단되고, 그러면 따뜻해지고, 정체되어 죽게 될 것이다.
중류의 굽이치는 부분에는 많은 습지와 세키자이유칼리 등의 유칼립투스 숲이 있으며, 중하류부 일대는 대백로, 중백로, 쇠백로, 황새, 호주황새, 오토메 앵무, 아메리카꼬까도요, 검은제비갈매기, 흰배바다수리, 청동저어새를 포함한 저어새류, 가마우지류, 저어새류 등의 조류 및 머레이 대구, 실버 퍼치, ''Craterocephalus fluviatilis'' 등의 어류, ''Litoria raniformis'' 등의 개구리, ''Notopala sublineata'' 등의 복족류의 서식지이자 번식지이다. 바마 국립공원, 건바워 국립공원, 뉴사우스웨일스주 중앙 머레이 숲, 해타 쿨키네 국립공원, 리버랜드, 반록 스테이션 습지 복합체 등은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어 있다.[49][50][51][52][53][54]
하구 근처에는 1879년에 머레이 브리지(Murray Bridge)가 건설된 데서 유래한 머레이 브리지라는 마을이 있다.
2. 1. 유로
머리강은 오스트레일리아알프스산맥에서 발원하여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장 높은 산들의 서쪽면을 따라 흐른다. 머리강의 유량 변동은 매우 심한 편이어서 건기에는 완전히 말라 바닥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노이 산맥의 수력발전 계획의 일환으로 스노이 강에서 머리강 상류로 유로가 바뀌어 흐르게 하는 유역 변경식 발전소를 건설하여 머리강의 유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2008년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할 때, 머리강에는 자연 흐름의 상태일 때의 38% 정도의 유량만이 흐르고 있다. 머리강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관개 및 농업화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강들 중 하나이다.머레이 강은 3750km 길이의 머레이-달링 강 유역을 구성하는 일부이며, 빅토리아주, 뉴사우스웨일스 주, 퀸즐랜드 주 남부 내륙 대부분의 물을 배수한다. 머레이 강은 세계 다른 지역의 비슷한 크기의 강에 비해 물의 양이 적으며, 연간 유량의 변동이 매우 크다. 공식 기록이 시작된 이후 극심한 가뭄으로 세 번이나 완전히 말라붙었다. 더 자주, 하구에 모래톱이 형성되어 흐름을 막았다.
머레이 강은 뉴사우스웨일스 주와 빅토리아 주의 경계를 이룬다. 특히 강 빅토리아 주 측 둑 상단이 경계이다.[7] 1980년 판결에서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강 빅토리아 주 쪽 둑에서 낚시를 하던 남성의 불법 사망에 대해 어느 주가 관할권을 갖는지에 대한 문제를 판결했다.[8] 이 경계 정의는 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로를 변경하고 일부 강둑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모호할 수 있다.
경도 141°E 선에서 서쪽으로 11km 구간[9]은 강 한가운데가 빅토리아 주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의 경계이다.[10] 이 불일치는 1840년대에 경계가 처음 측량될 때 동서 방향의 3.72 km 오차로 인해 발생했다. 이 구역 서쪽[11]은 머레이 강이 전적으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안에 위치한다.
2. 2. 주요 지류
- 마르누 강
- 달링 강
- 머럼비지 강
- 라클란 강|라클란 강영어
- ** 애버크롬비 강
- 몰롱고 강|몰롱고 강영어
- ** 설리번스 강
- 와쿨 강|와쿨 강영어
- * 에드워드 강
- 아보카 강
- 골번 강
2. 3. 강변의 주요 도시
머리 강의 발원지에서 남극해까지, 2016년 오스트레일리아 인구 조사 기준 주요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
도시 | 인구 | 데이터 출처 |
---|---|---|
앨버리-워동가 | 89,007 | [12] |
야라웡가–멀왈라 | 9,810 | [13][14] |
에추카–모아마 | 18,526 | [15][16] |
스완 힐 | 10,905 | [17] |
밀듀라 및 머베인 | 35,451 | [18][19] |
렌마크–패링가 | 9,475 | [20] |
베리 | 4,088 | [21] |
록스턴 | 4,568 | [22] |
와이커리 | 1,632 | [23] |
매넘 | 1,632 | [24] |
머레이 브리지 | 16,804 | [25] |
머리 강의 건강은 유럽인 정착 이후, 특히 유량 조절로 인해 크게 감소했다.[26] 2000년에서 2007년 사이의 극심한 가뭄은 강 적색 검 숲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주었고, 장기적인 생존에 대한 우려를 고조시켰다. 머리 강은 때때로 범람하기도 했는데, 가장 심각했던 것은 1956년 홍수였다. 최대 6개월 동안 지속된 이 홍수는 남호주 하류의 많은 마을을 침수시켰다.
3. 생태
머리 강 하구는 남극해로 흘러드는 곳이다. 2000년대 초부터 준설기가 머리 강 하구에서 가동되어, 바다에서 쿨론 국립공원의 석호로의 최소한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수로에서 모래를 제거하고 있다. 24시간 준설을 하지 않으면 하구가 침니로 막히고, 쿨론 석호로의 신선한 해수 공급이 끊기고, 온도가 올라가 고여서 죽게 된다.
3. 1. 동식물
머리 강과 그 지류는 변화무쌍한 환경에 적응한 다양한 강 생물을 지원한다. 여기에는 머레이 대구, 송어 대구, 황금 농어, 매쿼리 농어, 은 농어(Bidyanus bidyanus), 뱀꼬리 메기, 호주 멸치, 서부 잉어 망둑어와 같은 토종 물고기가 서식한다. 또한 머레이 짧은목거북, 넓은 발톱 야비, 큰 발톱 ''Macrobrachium'' 새우와 같은 다른 수생 생물도 있다. 흔한 긴목거북, 흔한 야비, 작은 발톱 없는 ''paratya'' 새우, 물쥐, 오리너구리와 같이 호주 남동부에 널리 분포하는 수생 종도 포함된다. 머레이 가재는 멸종 위기 종으로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개체수를 늘릴 수 있었다.[26] 머레이 강은 또한 강 적색 검의 가장자리 회랑과 숲을 지원한다.
중류의 굽이치는 부분에는 많은 습지와 세키자이유칼리 등의 유칼립투스 숲이 있다. 중하류부 일대는 대백로, 중백로, 쇠백로, 황새, 호주황새, 키가오미쓰스이, 오토메 앵무, 아메리카꼬까도요, 검은제비갈매기, 흰배바다수리, 청동저어새를 포함한 저어새류, 가마우지류, 저어새류 등의 조류 및 머레이 대구, 트라우트 대구, 실버 퍼치, 등의 어류, 등의 개구리, 등의 복족류의 서식지이자 번식지이다. 바마 국립공원, 건바워 국립공원, 뉴사우스웨일스주 중앙 머레이 숲, 해타 쿨키네 국립공원, 리버랜드, 반록 스테이션 습지 복합체 등은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어 있다.
3. 2. 람사르 협약 습지
오스트레일리안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평원을 굽이쳐 흐르는 머리강의 중류에는 많은 습지와 세키자이유칼리, Eucalyptus largiflorens|''Eucalyptus largiflorens''영어 등의 유칼립투스 숲이 있다. 중하류부 일대는 대백로, 중백로, 쇠백로, 황새, 호주황새, Regent honeyeater|키가오미쓰스이영어, 오토메 앵무, 아메리카꼬까도요, 검은제비갈매기, 흰배바다수리, 청동저어새를 포함한 저어새류, 가마우지류, 저어새류 등의 조류 및 머레이 대구, Trout cod|트라우트 대구영어, Bidyanus bidyanus|실버 퍼치영어, Craterocephalus fluviatilis|''Craterocephalus fluviatilis''영어 등의 어류, Litoria raniformis|''Litoria raniformis''영어 등의 개구리, Notopala sublineata|''Notopala sublineata''영어 등의 복족류의 서식지이자 번식지이다. 뉴사우스웨일스주의 Barmah National Park|바마영어 국립공원[49], Gunbower National Park|건바워섬영어 국립공원[50], New South Wales Central Murray Forests|중앙 머레이 숲영어[51], Hattah-Kulkyne National Park|해타 쿨키네 호소군영어[52], Riverland|리버랜드영어[53], Banrock Station Wetland Complex|반록 스테이션영어[54] 등은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어 있다.
3. 3. 환경 문제
머리강은 유량 변동이 심하여 건기에는 바닥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최근 스노이 강에서 머리강 상류로 물길을 돌리는 유역 변경식 발전소 건설로 유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2008년 측정 결과, 머리강에는 자연 상태의 38% 정도의 유량만이 흐르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관개 및 농업화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강 중 하나이다.[26]
머리 강과 그 지류에는 머레이 대구, 송어 대구, 황금 농어, 은 농어(Bidyanus bidyanus) 등의 토종 물고기와 머레이 짧은목거북, 흔한 야비 등 다양한 수생 생물이 서식한다. 머레이 가재는 멸종 위기 종이었으나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개체 수가 늘고 있다.[26] 또한, 머리 강은 강 적색 검 숲을 지탱한다.
유럽인 정착 이후, 특히 유량 조절로 인해 머리 강의 건강은 크게 나빠졌다. 2000년부터 2007년 사이의 극심한 가뭄은 강 적색 검 숲에 큰 스트레스를 주어 장기적인 생존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머리 강은 때때로 범람하기도 하는데, 1956년 홍수는 최대 6개월 동안 지속되어 남호주 하류의 많은 마을을 침수시켰다.
머리강 중류의 굽이치는 부분에는 많은 습지와 유칼립투스 숲이 있다. 이곳은 대백로, 쇠백로, 황새, 호주황새, 저어새류, 가마우지류 등 다양한 조류와 머레이 대구 등의 어류, 개구리, 복족류의 서식지이자 번식지이다.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습지로는 바마 국립공원([49]), 건바워 국립공원([50]),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중앙 머레이 숲([51]), 해타 쿨키네 국립공원([52]), 리버랜드([53]), 반록 스테이션 습지 복합체([54]) 등이 있다.
머리 강 하구에서는 2000년대 초부터 준설기가 가동되어 쿨론 국립공원의 석호로의 최소한의 해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모래를 제거하고 있다.
4. 역사
약 250만 년 전에서 50만 년 전 사이에 머레이 강은 거대한 담수호인 벙군니아 호수로 흘러들었다. 이 호수는 스완 리치 근처에서 강의 흐름을 막은 지각 변동으로 형성되었다. 벙군니아 호수는 최대 33000km2에 달했으며, 북쪽으로는 메닌디 호수 인근, 남쪽으로는 바운더리 벤드 인근까지 뻗어 있었다.[27] 약 60만 년 전에 호수의 물이 빠져나갔다.[28] 호수가 퇴적시킨 깊은 점토층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차우일라 주변의 절벽에서 확인할 수 있다. 벙군니아 호수의 물이 빠진 것은 머레이-달링 유역 역사에서 습윤기의 종말을 알리고 오늘날과 유사한 건조 기후의 시작을 알린 것으로 보인다. ''Neoceratodus'' 폐어의 한 종이 벙군니아 호수에 서식했었는데,[29] 오늘날 ''Neoceratodus'' 폐어는 몇몇 퀸즐랜드 강에서만 발견된다.
약 25,000년 전, 캐델 단층을 따라 변위가 발생하여 동쪽 가장자리가 융기했는데, 이 가장자리는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홍수원보다 8m에서 12m 높다. 이로 인해 원래 머레이 강 수로의 일부가 버려지고, 굴번 강은 단층의 남쪽 끝에 의해 댐이 막혀 자연 호수를 만들었다. 머레이 강은 북쪽으로 흘러 현재 에드워드 강의 수로를 만들었고, 이후 굴번 강에 있던 자연 댐이 무너지고 호수가 말라 머레이 강은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굴번 강 수로를 통해 흐르기 시작하여 "바마 초크"와 "내로우스"를 만들고 다시 머레이 강 수로로 들어갔다. 캐델 단층의 변위는 붉은 잇몸 나무 숲의 형성을 이끌었다. 바마 초크와 내로우스는 머레이 강 이 부분으로 흐를 수 있는 물의 양을 제한한다.
1824년 해밀턴 흄과 윌리엄 호벨이 현재 앨버리가 위치한 지점에서 강을 건너면서 처음으로 머리강을 발견했다. 흄은 이 강을 자신의 아버지 이름을 따 "흄 강(Hume River)"이라고 명명했다.[31] 1830년 찰스 스터트 대위는 머럼비지 강을 따라 내려온 후 강에 도달하여 조지 머레이 경을 기리기 위해 "머레이 강(Murray River)"이라고 명명했다. 스터트는 머레이 강의 남은 구간을 따라 내려가 알렉산드리나 호와 강의 하구에 도달했다.[31] 1831년 콜렛 바커 대위가 머레이 강 하구 부근을 탐사했다.[31]
1852년 프랜시스 캐델은 증기선 운항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 캔버스 보트를 타고 스완 힐에서 약 2092.14km 하류로 이동하며 강을 탐험했다.[32] 1858년 찰스 개번 더피는 토마스 칼라일을 기리기 위해 머레이 강에 칼라일 타운십을 설립했다.[33] 같은 해 윌리엄 블란도우스키는 제라드 크레프트와 함께 머레이 강과 달링 강 하류를 탐사하여 조류 및 포유류 목록을 작성했다. 1881년 조지 "차이니즈" 모리슨은 워동가에서 강 하구까지 카누로 항해하여 65일 만에 약 2502.52km의 여정을 완료했다.[34]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머레이 강에서는 외륜식 증기선을 이용한 하천 교통이 활발했다. 1853년 봄, 프랜시스 캐델이 선장으로 있던 ''레이디 오거스타''는 스완 힐에 도달했고, 윌리엄 렌델이 선장으로 있던 ''메리 앤''은 모아마(에츄카 근처)에 도달했다.[35] 1855년에는 금광 채굴 물품을 실은 증기선이 앨버리에 도착했다.[36] 1860년까지 머레이 강과 그 지류를 따라 강물이 많은 계절에 12척의 증기선이 운항했다. 1864년 철도가 에츄카에 도달하자 리버리나에서 생산된 양모의 대부분이 강을 통해 에츄카로 운송된 후 남쪽으로 멜버른으로 운송되었다. 철도가 여러 지점에서 머레이 강에 닿자 강 운송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1949년 머레이 강 주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사상 최대 규모의 토목 사업인 스노위 산맥 계획이 시작되었다. 이 계획은 오스트레일리아 알프스 산맥 반대편에 있는 스노위강 상류에 댐을 건설하고, 산맥에 뚫은 터널을 통해 건조한 머리강 유역으로 물을 흘려보내 관개하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머레이-달링 유역에서 밀 등의 재배가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그 물을 발전에 이용함으로써 뉴사우스웨일스주, 빅토리아주 및 ACT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졌다.[1]
4. 1. 원주민 신화
알렉산드리나 호의 사람들에 따르면 머리 강은 위대한 조상인 응구룬데리(Ngurunderi)가 머리 대구인 폰디(Pondi)를 쫓아간 발자국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추격은 뉴사우스웨일스 내륙에서 시작되었다. 응구룬데리는 유칼립투스 붉은 잇몸으로 만든 뗏목(또는 '라라')을 타고 물고기(많은 호주 원주민 신화 속 토템 동물처럼 종종 인간으로 묘사됨)를 쫓았고, 계속해서 표적을 향해 창을 던졌다. 하지만 폰디는 교활한 먹이였고, 강줄기를 따라 길을 내며 강의 다양한 지류를 만들었다. 응구룬데리는 뗏목을 해변으로 밀어내야 했고, 강을 따라 이동하면서 종종 새로운 뗏목을 만들어야 했다.[27]코바타탕(Kobathatang)에서 응구룬데리는 마침내 운이 좋아 창으로 폰디의 꼬리를 맞혔다. 그러나 물고기는 충격이 너무 커서 테일럼 벤드 근처의 페인잘랑(Peindjalang)이라는 곳으로 일직선으로 날아갔다. 사냥꾼과 그의 두 아내(때로는 와쿠와 카누의 도망친 자매 아내)는 먹이를 잡는 데 실패한 것을 만회하기 위해 서둘러 테일럼 벤드가 현재 서 있는 절벽 위에 자리를 잡았다. 그들은 폰디에게 매복을 시도했지만 또다시 실패했다. 응구룬데리는 다시 추격에 나섰지만, 폰디가 알렉산드리나 호로 뛰어들면서 먹이를 놓쳤다. 응구룬데리와 여성들은 해안에 정착했지만 물지방으로 알려진 물의 악마의 괴롭힘을 받으며 낚시에 불운을 겪었다. 그들은 나중에 현재의 애시빌 부지로 더 적합한 장소로 이동했다. 마운트 미저리(Mount Misery)의 두 봉우리는 그의 뗏목의 잔해라고 하며, '랄라렝갈(Lalangengall)' 또는 '두 뗏목'으로 알려져 있다.[28]
머리 대구가 머리 강을 만들었다는 사냥꾼의 이야기는 머리 강 시스템이 뻗어 있는 광대한 지역에 거주하는 다양한 언어 집단에서 수많은 형태로 존재한다. 빅토리아의 워토조발루크(Wotojobaluk) 사람들은 현재 스완 힐로 알려진 지역에서 온 토티어구일(Totyerguil)에 대해 말하는데, 그는 대구인 오치투트를 쫓다가 창이 다 떨어졌다.[29]
4. 2. 유럽인의 탐험
1824년, 해밀턴 흄과 윌리엄 호벨은 머리강을 처음으로 발견한 유럽인이 되었으며, 이들은 현재 앨버리가 위치한 지점에서 강을 건넜다. 흄은 자신의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이 강을 "흄 강(Hume River)"이라고 명명했다.[31] 1830년, 찰스 스터트 대위는 머리강의 지류인 머럼비지 강을 따라 내려온 후 강에 도달하여 당시 영국의 전쟁 및 식민지 담당 국무장관인 조지 머레이 경을 기리기 위해 "머레이 강(Murray River)"이라고 명명했다. 그는 흄과 호벨이 상류에서 만난 강과 동일한 강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31]스터트는 머레이 강의 남은 구간을 따라 내려가 마침내 알렉산드리나 호와 강의 하구에 도달했다. 머레이 강 하구 부근은 1831년 콜렛 바커 대위에 의해 더욱 철저히 탐사되었다.[31]
머레이 강에 정착한 최초의 세 명은 제임스 콜린스 호커 (탐험가이자 측량가), 에드워드 존 에어 (탐험가이자 이후 자메이카 총독)와 E.B. 스콧 (한때 야타라 노동 교도소 소장)으로 알려져 있다.[31] 호커는 형제들과 함께 설립한 벙가리 역의 지분을 매각하고 무룬디 근처의 머레이 강변으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1]
1852년, 프랜시스 캐델은 자신의 증기선 운항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 캔버스 보트를 타고 스완 힐에서 약 2092.14km 하류로 이동하며 강을 탐험했다.[32]
1858년, 아일랜드 민족주의자이자 영 아일랜드의 창시자인 찰스 개번 더피는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토지 및 공공사업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그의 절친한 친구이자 스코틀랜드 역사학자 겸 수필가인 토마스 칼라일을 기리기 위해 머레이 강에 칼라일 타운십을 설립했다. 이 타운십에는 칼라일의 아내 제인 칼라일을 기리는 "제인 스트리트"와 정치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을 기리는 "스튜어트-밀 스트리트"가 포함되었다.[33]
같은 해 1858년, 정부 동물학자 윌리엄 블란도우스키는 제라드 크레프트와 함께 머레이 강과 달링 강 하류를 탐사하여 조류 및 포유류 목록을 작성했다.
1881년 1월, 당시 18세였던 조지 "차이니즈" 모리슨은 워동가에서 강 하구까지 카누로 항해하여 65일 만에 약 2502.52km의 여정을 완료했다.[34]
4. 3. 하천 교통
1824년 오스트레일리아의 탐험가 해밀턴 흄과 윌리엄 호벨에 의해 상류부가 발견된 후 6년 뒤인 1830년에 찰스 스튜어트가 하류부를 조사하여 당시 영국 식민지 대신 조지 머레이의 이름을 따서 '''머레이 강'''이라고 명명했다.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머레이 강에서는 하천 교통이 활발하여 수많은 외륜식 증기선(paddle steamer)이 활약했다.

선박은 하구가 없기 때문에 바다에서 머레이 강으로 들어올 수 없었다. 그러나 19세기에는 강에서 얕은 흘수의 외륜선을 사용하여 상당한 상업적 무역이 이루어졌으며, 1853년 봄 홍수에 남호주에서 두 척의 배가 처음으로 항해를 시작했다. 프랜시스 캐델이 선장으로 있던 ''레이디 오거스타''는 스완 힐에 도달했고, 윌리엄 렌델이 선장으로 있던 ''메리 앤''은 모아마(에츄카 근처)에 도달했다.[35] 1855년에는 금광 채굴 물품을 실은 증기선이 앨버리에 도착했지만 에츄카는 일반적인 회항 지점이었으며, 소형 선박은 토쿰왈, 와건야 및 앨버리와 같은 상류 항구와 계속 연결되었다.[36]
증기선 교통의 등장은 금광 채굴 수요로 인해 교통 부족에 시달리던 목축업자들에게 환영받았다. 1860년까지 머레이 강과 그 지류를 따라 강물이 많은 계절에 12척의 증기선이 운항했다. 1864년 철도가 에츄카에 도달하자 리버리나에서 생산된 양모의 대부분이 강을 통해 에츄카로 운송된 후 남쪽으로 멜버른으로 운송되었다.

강의 무역량과 가치로 인해 에츄카는 빅토리아 주에서 두 번째 항구가 되었고, 1874년부터 10년 동안 상당한 확장을 거쳤다. 이 시점까지 최대 30척의 증기선과 비슷한 수의 바지선이 성수기에 강에서 운행되었다. 철도가 여러 지점에서 머레이 강에 닿자 강 운송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신뢰할 수 없는 수위로 인해 배가 철도 및 나중의 도로 운송과 경쟁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 배들의 대부분은 내륙의 머레이-달링 유역 일대에서 생산되는 양털의 운반에 종사했는데, 철도망이 발달하면서 외륜식 증기선은 점차 사라져 갔다. 증기선은 현재 관광객을 위한 크루즈선으로 사용되며, 머레이 강변의 마을에서 탈 수 있다.
오늘날, 강에서 가장 많은 교통량은 레크리에이션이다. 소형 개인 보트는 수상 스키와 낚시에 사용된다. 하우스보트는 임대용 상업용과 개인 소유 모두 흔하다. 30분에서 5일에 이르는 다양한 크루즈를 제공하는 역사적인 외륜선과 최신 보트가 많이 있다.
4. 4. 스노위 산맥 계획
1949년에 머리강 주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사상 최대 규모의 토목 사업인 스노위 산맥 계획이 시작되었다. 이 계획은 오스트레일리아 알프스 산맥 반대편에 있는 스노위강 상류에 댐을 건설하고, 산맥에 뚫은 터널을 통해 건조한 머리강 유역으로 물을 흘려보내 관개하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머리-달링 유역에서 밀 등의 재배가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그 물을 발전에 이용함으로써 뉴사우스웨일스주, 빅토리아주 및 ACT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졌다. 이 사업은 1972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가 설립한 스노위 산맥 수력 발전 사업국에 의해 수행되었다.[1]5. 수자원 관리
머리강의 수자원 관리는 다양한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머리강은 유량 변동이 심하여 건기에는 바닥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스노이 산맥의 수력발전 계획으로 스노이 강에서 물을 끌어와 유량이 다소 증가했다. 2008년 기준, 머리강에는 자연 상태의 38% 정도의 유량만이 흐르고 있으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관개 및 농업화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30]
머리강 어귀는 얕고 끊임없이 변화하여 예측하기 어렵다. 1855년~1920년 사이에는 이곳이 상품 이동의 주요 장애물이었으며, 많은 선박이 좌초되거나 파선되었다.[30] 2000년대 초반부터는 준설 작업이 24시간 이루어지고 있다.
강의 자연적인 흐름 교란, 농업 유출수, 유럽 잉어와 같은 유해종 유입은 강에 심각한 환경 피해를 초래했다.[46] 특히 머리강의 염도가 높아져 애들레이드의 물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5. 1. 관개 및 저수 시설
머리강은 유량 변동이 매우 심하여 건기에는 완전히 말라 바닥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스노이 산맥의 수력발전 계획으로 스노이 강에서 머리강 상류로 물길을 돌려 머리강의 유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2008년 측정 결과, 머리강에는 자연 상태의 38% 정도의 유량만이 흐르고 있다. 머리강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관개 및 농업화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강들 중 하나이다.[45]
1850년대부터 소규모 양수 설비로 머리강에서 물을 끌어오기 시작했으며, 1887년 Mildura에 최초의 대용량 설비가 건설되었다. 펌프장 도입으로 농업이 확장되었고, 머럼비지 관개 지역과 같은 관개 지역 개발로 이어졌다.[45]
1915년, 머리강 유역의 3개 주 (뉴사우스웨일스, 빅토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는 머리강 협정을 체결하여 강의 발원지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경계 근처의 빅토리아 호수에 저수지 건설을 제안했다. 그 사이 강 구간에는 일련의 운하 갑문과 보가 건설되었다. 이는 원래 수위가 낮은 시기에도 항해를 지원하기 위해 제안되었지만, 도로 및 철도 시스템이 개선되면서 강을 통한 운송은 이미 감소하고 있었다.
강의 자연적인 흐름 교란, 농업 유출수, 유럽 잉어와 같은 유해종 유입은 강 전체에 심각한 환경 피해를 초래했다. 머리강이 중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염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으며, 이는 머리강이 애들레이드에 물 공급의 40%를 공급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문제 해결 노력이 진행되었지만, 다양한 그룹 간 의견 불일치로 진전이 더디다.
잉어, gambusia, 미꾸리, 레드핀 농어, 브라운 송어, 무지개 송어와 같은 외래 어종 또한 토종 어류에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가장 해로운 것은 잉어인데, 잉어는 수생 식물을 파괴하고 탁도를 영구적으로 높임으로써 머리강과 지류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잉어는 가장 흔한 종이며, 강의 모든 구간에서 발견될 수 있다.[46]
머리 강을 따라 4개의 대형 저수지가 건설되었다. 빅토리아 호 (1920년대 후반 완공) 외에도, 앨버리-워동가 근처의 흄 호 (1936년 완공), 야라웡가의 멀룰라 호 (1939년 완공), 그리고 실제로는 흄 호 상류의 미타 미타 강에 위치한 다트머스 호 (1979년 완공)가 있다. 머리 강은 또한 스노위 마운틴 계획의 복잡한 댐 및 파이프라인 시스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1960년대에는 차우일라 댐에 추가 저수지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에 건설되어 주로 빅토리아주와 뉴사우스웨일스주의 토지를 침수시킬 예정이었다. 이 댐은 비용 문제와 염분 증가에 대한 우려로 인해 다트머스 댐 건설로 대체되어 취소되었다.
5. 2. 댐 및 보
머리 강에는 빅토리아 호(1920년대 후반 완공), 앨버리-워동가 근처의 흄 호(1936년 완공), 야라웡가의 멀룰라 호(1939년 완공), 흄 호 상류 미타 미타 강에 위치한 다트머스 호(1979년 완공) 등 4개의 대형 저수지가 건설되었다. 머리 강은 스노위 마운틴 계획의 댐 및 파이프라인 시스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도 한다. 1960년대에는 차우일라 댐이 제안되었으나, 비용 문제와 염분 증가 우려로 인해 다트머스 댐으로 대체되었다.1935년부터 1940년까지 머리강 하구 근처에 배리어가 건설되어 유량이 적은 시기에 바닷물이 강의 하류로 유입되는 것을 막았다. 건설된 배리어로는 굴와 배리어(632m), 문두 채널 배리어(800m), 바운더리 크릭 배리어(243m), 유 아일랜드 배리어(853m), 타위체레 배리어(3.6km)가 있다.
이 댐들은 강의 자연적인 흐름 패턴을 변화시켜 관개용수의 가용성을 보장하고 머리 밸리를 호주에서 가장 생산적인 농업 지역으로 만들었지만, 생태계를 심각하게 방해하고 건조지 염분을 유발했다.
2006년, 남호주 주 정부는 웰링턴 위어 건설을 조사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1922년 블랑쉐타운 근처에 1번 락(Lock)이 완공되었다. 1923년 12월에는 에추카 하류에 토룸바리 보가 가동을 시작했다. 여러 락 중에서 13개만 완공되었는데, 1번부터 11번까지는 밀두라 하류 구간, 15번은 유스턴, 26번은 토룸바리에 설치되었다. 나머지 보 건설은 1934년에 중단되었다. 마지막으로 완공된 락은 1937년의 락 15번이었다.[47] 락 11번은 관개를 돕는다.
각 락에는 강 수위가 높을 때 열리는 보가 있어 항해 가능하다. 홍수 시에는 보를 완전히 제거하고 락을 물로 덮을 수 있다. 락 11번은 락이 강 굽이 안쪽에 건설되었고 보가 그 굽이 안에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름 | 번호 | 강 거리 (km) | 고도 (m) | 완공 |
---|---|---|---|---|
블랑쉐타운 | 1 | 1922 | ||
와이커리 | 2 | 1928 | ||
오버랜드 코너 | 3 | 1925 | ||
북푸르농 | 4 | 1929 | ||
렌마크 | 5 | 1927 | ||
머토 | 6 | 1930 | ||
루퍼스 강 | 7 | 1934 | ||
왕구마 | 8 | 1935 | ||
컬나인 | 9 | 1926 | ||
웬트워스 | 10 | 1929 | ||
밀두라 | 11 | 1927 | ||
유스턴 | 15 | 1937 | ||
토룸바리 | 26 | 1638 | 86.05 | 1924 |
야라웡가 보 | n/a | 1992 | 124.9 | 1939 |
거리는 머레이 강 어귀에서부터의 거리이다. 고도는 만수위(최대 수용량)에서의 해발 고도이다. |
5. 3. 운하 갑문
1935년부터 1940년까지 머리강 하구 근처에 일련의 배리어가 건설되어, 유량이 적은 시기에 바닷물이 강의 하류로 유입되는 것을 막았다. 굴와 배리어는 길이가 632m이고, 문두 채널 배리어는 800m, 바운더리 크릭 배리어는 243m, 유 아일랜드 배리어는 853m, 타위체레 배리어는 3.6km이다.1922년 블랑쉐타운 근처에서 1번 락(Lock)이 완공되었다. 1923년 12월에는 에추카 하류에 토룸바리 보가 가동을 시작했다. 제안되었던 여러 개의 락 중에서 13개만이 완공되었는데, 1번부터 11번까지는 밀두라 하류 구간에, 15번은 유스턴에, 26번은 토룸바리에 설치되었다. 나머지 보 건설은 순전히 항해 목적으로 1934년에 중단되었다. 1937년에 완공된 락 15번이 마지막이었다.[47] 밀두라 바로 하류에 있는 락 11번은 100km 길이의 락 풀을 만들어 밀두라와 레드 클리프에서 관개 펌프질을 돕는다.
각 락에는 강 수위가 높을 때, 즉 락에 너무 많은 물이 있을 때 열리는 보를 통해 항해 가능한 통로가 있다. 홍수 시에는 보를 완전히 제거하고 락을 물로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락 11번은 락이 강 굽이 안쪽에 건설되었고 보가 그 굽이 안에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락으로 가는 수로가 파여 락과 보 사이에 섬이 만들어졌다. 보 역시 다른 디자인으로, 물을 들어 올리는 대신 홍수 시 강에서 끌어내게 되어 있다.
5. 4. 문제점 및 해결 노력
머리강은 유량 변동이 매우 심하여 건기에는 완전히 말라 바닥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러나 스노이 산맥의 수력발전 계획으로 스노이 강에서 머리강 상류로 유로를 변경하여 유량을 다소 증가시켰다. 2008년 측정 결과, 머리강에는 자연 상태의 38% 정도의 유량만이 흐르고 있는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관개 및 농업화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머리강 어귀는 얕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조류와 외해의 상호 작용으로 예측하기 어렵다. 1855년에서 1920년 사이 머리강 상업의 절정기에 이곳은 애들레이드와 머리강 정착지 사이의 상품 이동에 큰 장애물이었으며, 많은 선박이 좌초되거나 파선되었다.[30]
2000년대 초반부터 준설기가 24시간 운영되며 머리강 어귀에서 모래를 제거하여 코롱 국립공원의 석호 시스템으로 보내고 있다. 이는 어귀가 막혀 해수 공급이 차단되면 코롱 국립공원이 오염될 것을 우려한 조치이다.
1850년대부터 소규모 양수 설비가 머리강에서 물을 끌어오기 시작했으며, 1887년 Mildura에 최초의 대용량 설비가 건설되었다. 펌프장 도입으로 농업이 확장되었고, 머럼비지 관개 지역과 같은 관개 지역 개발로 이어졌다.[45]
1915년, 머리강 유역의 3개 주 (뉴사우스웨일스, 빅토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는 머리강 협정을 체결하여 빅토리아 호수 등에 저수지를 건설하고 운하 갑문과 보를 건설했다. 이는 낮은 수위에도 항해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도로 및 철도 시스템 개선으로 강을 통한 운송은 이미 감소하고 있었다.
강의 자연적인 흐름 교란, 농업 유출수, 유럽 잉어 등 유해종 유입은 심각한 환경 피해를 초래했다. 머리강이 애들레이드 물 공급의 40%를 담당한다는 점에서 염도 증가는 큰 우려를 낳고 있다. 문제 해결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여러 그룹 간 의견 불일치로 진전이 더디다.
잉어, ''gambusia'', 미꾸리, 레드핀 농어, 브라운 송어, 무지개 송어 등 외래 어종도 토종 어류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잉어는 수생 식물을 파괴하고 탁도를 높여 머리강과 지류 환경을 악화시키는 가장 해로운 종으로, 강의 모든 구간에서 발견된다.[46]
참조
[1]
웹사이트
Geographical names guidelines
https://www.sa.gov.a[...]
Attorney-General's Department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2020-08-01
[2]
웹사이트
History - Yorta Yorta Traditional Owner Land Management Board
https://www.yytolmb.[...]
YYTOLMB
2023-01-19
[3]
웹사이트
People of the Murray River - Aboriginal communities
http://www.murrayriv[...]
[4]
웹사이트
"(Australia's) Longest Rivers"
http://www.ga.gov.au[...]
Geoscience Australia
2013-12-10
[5]
웹사이트
Guide to the proposed Basin Plan, Murray Darling Basin Authority 2010
http://thebasinplan.[...]
[6]
웹사이트
Guideline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e Border Between New South Wales and Victoria Along the Murray River
https://www.spatial.[...]
[7]
간행물
Guideline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e Border between New South Wales and Victoria along the Murray River
http://www.dse.vic.g[...]
[8]
논문
Ward v R
https://www.austlii.[...]
2018-04-06
[9]
문서
[10]
웹사이트
"(Australia's) longest river by state and territory"
http://www.ga.gov.au[...]
Geoscience Australia
2014-05-15
[11]
문서
[12]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Albury - Wodonga
https://quickstats.c[...]
[13]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Yarrawonga - Mulwala (Yarrawonga Part)
https://quickstats.c[...]
[14]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Yarrawonga - Mulwala (Mulwala Part)
https://quickstats.c[...]
[15]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Echuca - Moama (Echuca Part)
https://quickstats.c[...]
[16]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Echuca - Moama (Moama Part)
https://quickstats.c[...]
[17]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Swan Hill
https://quickstats.c[...]
[18]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Mildura
https://quickstats.c[...]
[19]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Merbein
https://quickstats.c[...]
[20]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Renmark Paringa (DC)
https://quickstats.c[...]
[21]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Berri
https://quickstats.c[...]
[22]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Loxton
https://quickstats.c[...]
[23]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Waikerie
https://quickstats.c[...]
[24]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Mannum
https://quickstats.c[...]
[25]
웹사이트
2016 census QuickStats: Murray Bridge
https://quickstats.c[...]
[26]
뉴스
https://www.adelaide[...]
[27]
웹사이트
Murray River's natural history dates back 130 million years
http://www.murrayriv[...]
Discover Murray River
[28]
간행물
Continental sediments of the Murray Basin
South Australia Geological Survey
[29]
서적
The Murray
Murray–Darling Basin Commission
[30]
웹사이트
The Murray Mouth
http://www2.mdbc.gov[...]
Murray–Darling Basin Commission
[31]
뉴스
The LateMr. J. C. Hawker. An Interesting Career
1901-05-16
[32]
뉴스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s of south australia.
http://nla.gov.au/nl[...]
1852-09-14
[33]
웹사이트
Conversations with Carlyle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1892-01-01
[34]
서적
Morrison of Peking
Angus & Robertson
1967-01-01
[35]
뉴스
Navigation of the Murray
http://nla.gov.au/nl[...]
1853-11-01
[36]
간행물
Railways and Riverboats
1976-01
[37]
웹사이트
A Floating Mission
http://www.murrayriv[...]
2022-09-03
[38]
웹사이트
Paddle steamers – one of Australia’s inland pioneering transport systems
https://www.maas.mus[...]
2022-09-03
[39]
서적
Murray Darling Paddleboats
Rosenberg Publishing Pty Ltd
2005
[40]
웹사이트
Country News
https://trove.nla.go[...]
1898-08-20
[41]
웹사이트
Country News
https://trove.nla.go[...]
1898-09-10
[42]
뉴스
New South Wales Elections
https://trove.nla.go[...]
1898-08-02
[43]
서적
River Rovers
George Robertson & Co
1911
[44]
간행물
Ferry charges abolished
1961-12
[45]
웹사이트
Irrigation
https://www.mdba.gov[...]
2017-08-15
[46]
웹사이트
The Murray River
https://vfa.vic.gov.[...]
2013-12-23
[47]
웹사이트
Weirs and locks
https://www.mdba.gov[...]
Murray–Darling Basin Authority
2015-10-28
[48]
웹사이트
People of the Murray River - Aboriginal communities
http://www.murrayriv[...]
2019-05-02
[49]
웹사이트
Barmah Forest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1998-01-01
[50]
웹사이트
Gunbower Forest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3
[51]
웹사이트
NSW Central Murray State Forest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3-01-01
[52]
웹사이트
Hattah-Kulkyne Lake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2-07-05
[53]
웹사이트
Riverland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3-01-01
[54]
웹사이트
Banrock Station Wetland Complex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4-05-01
[55]
웹인용
"(Australia's) Longest Rivers."
http://www.ga.gov.au[...]
Geoscience Australia
2008-10-16
[56]
웹인용
The Murray Mouth
http://www2.mdbc.gov[...]
Murray-Darling Basin Commiss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