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대가리바다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먹대가리바다뱀은 남중국해, 제주도, 대한민국 연안 등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는 바다뱀이다. 머리가 검고 몸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으며, 몸의 앞부분은 검은색, 뒷부분은 올리브색을 띤다. 주로 가늘고 긴 물고기를 먹고, 난태생으로 10월경에 4~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신경독을 가진 독사로, 물리면 마비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9년 기재된 파충류 - 동부초록맘바
동부초록맘바는 코브라과의 맘바속 뱀으로, 동아프리카에서 발견되며 선명한 녹색을 띠고 강력한 신경독을 가진 주행성 뱀이다. - 1849년 기재된 파충류 - 월버그우단도마뱀붙이
월버그우단도마뱀붙이는 최대 21cm까지 자라며 남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하고 야행성이며 곤충을 먹고 암컷은 껍질이 단단한 알을 낳아 번식한다. - 바다뱀아과 - 바다뱀 (뱀)
바다뱀은 코브라과에 속하는 해양 파충류로, 노란배바다뱀은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하며 독을 가지고 몸의 색깔이 흑색과 황색을 띠고 난태생으로 번식하며 물 표면에 떠다니는 특징을 가지며, 일본의 이즈모 지방에서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진다. - 바다뱀아과 - 넓은띠큰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은 서태평양에 서식하며 최대 170cm까지 성장하고 몸통에 가로띠가 있으며, 신경독을 가진 바다뱀으로, 어류를 먹고 난생으로 번식하며, 남획과 환경 변화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파푸아뉴기니의 파충류 - 돼지코거북
돼지코거북은 측경아목 바다거북과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돼지코와 지느러미 모양의 발을 가지며, 오세아니아에 분포하고 잡식성을 띠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멸종위기에 놓여 국제 거래가 규제된다. - 파푸아뉴기니의 파충류 - 해안타이판
해안타이판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뉴기니 남부에 서식하는 맹독성 뱀으로, 호주에서 두 번째로 긴 독사이며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소형 포유류를 잡아먹고, 1950년대 후반 항독소 개발 이후 생존율이 높아졌다.
먹대가리바다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Hydrophis melanocephalus |
명명자 | Gray, 1849 |
한국어 이름 | 먹대가리바다뱀 |
영어 이름 | Black-headed sea snake (검은머리바다뱀) |
일본어 이름 | クロガシラウミヘビ (구로가시라우미헤비) |
분류 | |
계 | 진핵생물 |
계통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아목 | 뱀아목 |
과 | 코브라과 |
속 | 우미헤비속 |
종 | 먹대가리바다뱀 |
보존 상태 | |
IUCN | 취약근접 |
학명 이명 |
2. 분포
남중국해, 제주도, 대한민국 연안에 분포한다.[5] 일본에서는 류큐 열도난세이 제도/南西諸島일본어 연안이나 오키나와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쓰시마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따라 홋카이도의 바다에서도 발견된다.[5] 타이완 해안과 광둥성에서 북쪽으로 저장성 (중국)까지 분포한다.[5]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에 분포한다.[5] 인도네시아에서 뉴기니에 이르는 바다에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난세이 제도의 연안이나 오키나와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쓰시마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따라 홋카이도의 바다에서도 발견된다.[5]
2. 1. 아시아
남중국해, 제주도, 대한민국 연안에 분포한다.[5] 일본에서는 류큐 열도난세이 제도/南西諸島일본어 연안이나 오키나와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쓰시마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따라 홋카이도의 바다에서도 발견된다.[5] 타이완 해안과 광둥성에서 북쪽으로 저장성 (중국)까지 분포한다.[5]2. 2. 오세아니아
남중국해, 제주도, 대한민국 연안, 일본 (류큐 열도, 홋카이도, 고치현)에서 발견된다. 타이완 해안과 광둥성에서 북쪽으로 저장성 (중국)까지 분포한다.[5]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에 분포한다.[5] 인도네시아에서 뉴기니에 이르는 바다에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난세이 제도의 연안이나 오키나와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쓰시마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따라 홋카이도의 바다에서도 발견된다.[5]3. 형태
머리는 등쪽과 배쪽이 검은색이며, 앞이마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고, 눈 뒤쪽과 마지막 위쪽 입술 부위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4] 종소명 *melanocephalus*는 "검은 머리"라는 뜻으로, 일본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과 동의어이다.[6] 머리가 검은 개체가 많지만, 그렇지 않은 개체도 있다.[6] 머리는 매우 작고 주둥이는 깊이보다 약간 더 넓다.[4] 전두는 너비보다 거의 두 배 길고, 주둥이로부터의 거리와 같으며, 두정골보다 약간 짧다. 눈앞 비늘 1개와 눈 뒤 비늘 1개가 있다. 앞쪽 측두골은 하나다. 위쪽 입술 비늘은 7개 또는 8개이며, 두 번째가 가장 크고 앞이마와 접촉하고, 세 번째와 네 번째 (또는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가 눈에 들어간다. 작은 턱받이 비늘이 두 쌍 있으며 서로 접촉한다.[4] 얼룩바다뱀과 특징이 겹치는 부분이 많아 구별하기 어렵지만, 머리 측두판이 거의 한 장이라는 점, 머리에 비해 눈이 크다는 점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6]
몸의 앞부분은 등쪽과 배쪽이 검은색이며 등쪽에 노란색 가로줄이 있다. 몸의 뒷부분은 등쪽이 올리브색, 배쪽이 노란색이며 등쪽에서 더 넓은 검은색 고리가 있다.[4] 표본인 암컷은 전체 길이가 107cm이며 꼬리 길이는 8.5cm이다.[4] 모든 등쪽 비늘은 마름모꼴이며 겹쳐져 있다. 목의 등쪽 비늘은 매끄럽고 25줄로 배열되어 있다. 몸의 등쪽 비늘은 짧은 용골 또는 작은 결절이 있으며 35줄로 배열되어 있다. 복판은 329개다.[4] 꼬리는 옆으로 납작하고 노와 같다.[4] 전장은 80-140cm이다.[6] 체형은 가늘고 길다. 체색은 엷은 황색이며 검은 가로 줄무늬가 보인다.[6] 머리의 작음에 비해 몸통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굵다. 꼬리는 지느러미 모양을 하고 있다.[6]
3. 1. 몸체
머리는 등쪽과 배쪽이 검은색이며, 앞이마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고, 눈 뒤쪽의 눈 뒤쪽과 마지막 위쪽 입술 부위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4] 몸의 앞부분은 등쪽과 배쪽이 검은색이며 등쪽에 노란색 가로줄이 있다. 몸의 뒷부분은 등쪽이 올리브색, 배쪽이 노란색이며 등쪽에서 더 넓은 검은색 고리가 있다.[4]표본인 암컷은 전체 길이가 107cm이며 꼬리 길이는 8.5cm이다.[4] 모든 등쪽 비늘은 마름모꼴이며 겹쳐져 있다. 목의 등쪽 비늘은 매끄럽고 25줄로 배열되어 있다. 몸의 등쪽 비늘은 짧은 용골 또는 작은 결절이 있으며 35줄로 배열되어 있다. 복판은 329개다.[4]
머리는 매우 작고 몸은 길며 앞쪽으로 매우 가늘다. 주둥이는 깊이보다 약간 더 넓다. 전두는 너비보다 거의 두 배 길고, 주둥이로부터의 거리와 같으며, 두정골보다 약간 짧다. 눈앞 비늘 1개와 눈 뒤 비늘 1개가 있다. 앞쪽 측두골은 하나다. 위쪽 입술 비늘은 7개 또는 8개이며, 두 번째가 가장 크고 앞이마와 접촉하고, 세 번째와 네 번째 (또는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가 눈에 들어간다. 작은 턱받이 비늘이 두 쌍 있으며 서로 접촉한다. 꼬리는 옆으로 납작하고 노와 같다.[4]
전장은 80-140cm이다.[6] 체형은 가늘고 길다. 체색은 엷은 황색이며 검은 가로 줄무늬가 보인다. 머리 부분이 검은 개체가 많지만, 그렇지 않은 개체도 있다.[6] 종소명 *melanocephalus*는 "검은 머리"라는 뜻으로, 일본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과 동의어이다. 머리의 작음에 비해 몸통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굵다. 꼬리는 지느러미 모양을 하고 있다.[6] 얼룩바다뱀과 특징이 겹치는 부분이 많아 구별하기 어렵지만, 머리 측두판이 거의 한 장이라는 점, 머리에 비해 눈이 크다는 점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6]
3. 2. 머리
머리는 등쪽과 배쪽이 검은색이며, 앞이마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고, 눈 뒤쪽과 마지막 위쪽 입술 부위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4] 종소명 ''melanocephalus''는 "검은 머리"라는 뜻으로, 일본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과 동의어이다.[6] 머리가 검은 개체가 많지만, 그렇지 않은 개체도 있다.[6] 머리는 매우 작고 주둥이는 깊이보다 약간 더 넓다.[4] 전두는 너비보다 거의 두 배 길고, 주둥이로부터의 거리와 같으며, 두정골보다 약간 짧다. 눈앞 비늘 1개와 눈 뒤 비늘 1개가 있다. 앞쪽 측두골은 하나다. 위쪽 입술 비늘은 7개 또는 8개이며, 두 번째가 가장 크고 앞이마와 접촉하고, 세 번째와 네 번째 (또는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가 눈에 들어간다. 작은 턱받이 비늘이 두 쌍 있으며 서로 접촉한다.[4] 얼룩바다뱀과 특징이 겹치는 부분이 많아 구별하기 어렵지만, 머리 측두판이 거의 한 장이라는 점, 머리에 비해 눈이 크다는 점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6]모든 등쪽 비늘은 마름모꼴이며 겹쳐져 있다. 목의 등쪽 비늘은 매끄럽고 25줄로 배열되어 있다. 몸의 등쪽 비늘은 짧은 용골 또는 작은 결절이 있으며 35줄로 배열되어 있다. 복판은 329개다.[4]
4. 생태
주로 열대에서 아열대에 서식한다. 완전한 수생종으로, 육지로 올라오는 일은 없다. 주행성이다.[6]
해저의 모래 바닥에서 머리를 쳐들고 가만히 있는 경우가 많으며, 다가가도 도망가지 않지만, 무엇인가에 놀라거나 하면 곧바로 수면으로 헤엄쳐 간다.[6]
식성은 동물성(육식)으로, 가늘고 긴 어류(붕장어 등)를 먹는다. 머리로 해저의 모래를 파헤쳐 먹이를 찾는다.
번식 형태는 난태생으로, 10월경 1회에 4-5마리의 어린 뱀을 낳는다.[6]
4. 1. 서식 환경
먹대가리바다뱀은 주로 열대에서 아열대에 서식하는 완전한 수생종으로, 육지로 올라오는 일은 없다.[6] 주행성으로,[6] 해저의 모래 바닥에서 머리를 쳐들고 가만히 있는 경우가 많으며, 다가가도 도망가지 않지만, 무엇인가에 놀라거나 하면 곧바로 수면으로 헤엄쳐 간다.[6]식성은 동물성(육식)으로, 가늘고 긴 어류(붕장어 등)를 먹는다. 머리로 해저의 모래를 파헤쳐 먹이를 찾는다. 번식 형태는 난태생으로, 10월경 1회에 4-5마리의 어린 뱀을 낳는다.[6]
4. 2. 행동
먹대가리바다뱀은 주로 열대에서 아열대에 서식하는 완전한 수생종으로, 육지로 올라오는 일은 없다. 주행성으로 활동하며,[6] 해저의 모래 바닥에서 머리를 쳐들고 가만히 있는 경우가 많다. 다가가도 도망가지 않지만, 무엇인가에 놀라거나 하면 곧바로 수면으로 헤엄쳐 간다.[6]식성은 동물성(육식)이며, 가늘고 긴 어류(붕장어 등)를 먹는다. 머리로 해저의 모래를 파헤쳐 먹이를 찾는 습성이 있다.
번식 형태는 난태생이며, 10월경 1회에 4-5마리의 어린 뱀을 낳는다.[6]
4. 3. 먹이
먹대가리바다뱀은 동물성(육식)으로, 가늘고 긴 어류(붕장어 등)를 먹는다.[6] 머리로 해저의 모래를 파헤쳐 먹이를 찾는다. 해저의 모래 바닥에서 머리를 쳐들고 가만히 있는 경우가 많으며, 다가가도 도망가지 않지만, 무엇인가에 놀라거나 하면 곧바로 수면으로 헤엄쳐 간다.[6]4. 4. 번식
번식 형태는 난태생으로, 10월경 1회에 4-5마리의 어린 뱀을 낳는다.[6]5. 독
먹대가리바다뱀의 독은 신경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신 권태감, 근육통, 운동 장애, 호흡 곤란, 마비를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한다.
물린 경우, 물린 부위보다 심장에 가까운 곳을 묶고 독을 짜낸 뒤,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5. 1. 독성
먹대가리바다뱀의 독은 신경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신 권태감, 근육통, 운동 장애, 호흡 곤란, 마비를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한다.물린 경우, 물린 부위보다 심장에 가까운 곳을 묶고 독을 짜낸 뒤,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5. 2. 대처
먹대가리바다뱀의 독은 신경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렸을 때 전신 권태감, 근육통, 운동 장애, 호흡 곤란, 마비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물린 경우 즉시 물린 부위보다 심장에 가까운 쪽을 묶고 독을 짜낸 후, 최대한 빨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6. 인간과의 관계
바다뱀은 대체로 공격성이 낮다고 알려져 있지만, 먹대가리바다뱀은 비교적 공격적이어서 사람을 보고 달려드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참조
[1]
간행물
Hydrophis melanocephalus
2023-08-19
[2]
웹사이트
The Reptile Database
www.reptile-database[...]
[3]
간행물
2007-09-07
[4]
서적
Catalogue of the Snakes in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Volume III., Containing the Colubridæ (Opisthoglyphæ and Heteroglyphæ),...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London
[5]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6]
서적
日本の両生爬虫類
[7]
논문
한국산 유린목(파충류)의 분류학적 위치 재정립
http://www.researchg[...]
[8]
웹사이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