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먼로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먼로주의는 1823년 제임스 먼로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유럽 국가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간섭하는 것을 반대하고 미국이 독자적으로 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선언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을 지원하고 유럽의 식민지 확장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시작되었으나, 이후 미국이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군사적, 경제적 개입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비판을 받았다. 냉전 시기에는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명분으로 사용되었으며, 21세기에도 미국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임스 먼로 행정부 - 18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16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의 임기 후 민주공화당 제임스 먼로가 연방당 루퍼스 킹을 압도적으로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며, 연방당의 몰락과 민주공화당의 압승, 그리고 선거인단 선출 방식의 차이와 관련된 논쟁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건이다.
  • 제임스 먼로 행정부 - 미주리 타협
    미주리 타협은 1820년 미국 의회가 미주리 주의 노예주 가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 주는 자유주로, 미주리 주는 노예주로 승인하고, 미주리 타협선을 기준으로 노예제를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합의이다.
  • 미국-스페인 전쟁 - 마닐라만 전투
    마닐라만 전투는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 중 미국 아시아 함대가 스페인 태평양 함대를 완파하여 미국의 필리핀 점령으로 이어진 해전으로, 조지 듀이 제독의 지휘 아래 미국 함대의 화력 우세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 미국-스페인 전쟁 - 쿠바 독립 전쟁
    쿠바 독립 전쟁은 1895년부터 1898년까지 스페인 식민 지배에 대항하여 일어난 독립 운동으로, 미국의 개입과 파리 조약으로 스페인이 쿠바에 대한 주권을 포기하면서 1902년 독립을 달성했지만 미국의 보호국이 되었다.
먼로주의

2. 먼로주의 등장 배경

나폴레옹의 스페인 침공으로 왕위 찬탈이 발생한 1808년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 투쟁의 계기가 되었고, 1820년대에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독립을 쟁취하였다.[76]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라틴 아메리카 식민지 회복을 위해 유럽 국가들의 지원을 원했고,[76] 빈 체제 시작과 함께 결성된 신성동맹국(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들은 라틴 아메리카 식민지 회복 의도를 발표하여 미국을 긴장시켰다.[77][78] 유럽이 아메리카 식민지를 회복할 경우, 미국은 전쟁에 휘말려 안보 위협을 받거나 영토 확장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79]

1818년 2월 18일 칠레 독립 선언


영국은 신성동맹의 방침에 반대하며, 중남미와의 무역에서 상업적 이익을 얻고 있었기에, 러시아의 알래스카 관심 표명과 태평양 진출 시도를 저지하고자 했다. 또한, 독립 직후의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유럽의 간섭을 막기 위해 미국에 공동 선언을 제의했으나, 존 퀸시 애덤스 국무장관의 주장으로 미국은 독자적인 선언을 선택했다.[74][80]

S.E. 모리슨에 따르면, 미국은 1783년부터 고립주의 정책을 채택하고 유럽과의 관계를 멀리하려는 의도를 발표했으며, 유럽이 아메리카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먼로주의의 보완적인 원칙은 미래의 일이었다.[8] [9] 해밀턴은 ''연방주의자 논문''에서 미국을 세계 강국으로 만들고, 유럽 열강을 아메리카 대륙 밖으로 몰아낼 수 있을 만큼 강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8] 그는 미국이 신세계의 주요 강국이 되어 유럽 열강과 미국 근처의 새로운 국가들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8]

제임스 매디슨(토마스 제퍼슨의 국무장관이자 미래의 대통령)은 스페인 주재 미국 대사에게 보낸 서한에서 유럽 열강의 추가적인 영토 획득에 대한 미국의 반대를 표명했다.[10] 토마스 제퍼슨은 친프랑스파였지만, 영국과 프랑스의 경쟁을 미국에서 멀리하려는 시도로 제퍼슨 행정부는 대사들에게 미국이 북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미래의 식민지화 노력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명히 했다.

미국 정부는 빈 체제 회의(1814~1815)에서 등장한 승전국 유럽 열강들이 군주제를 부활시킬 것을 우려했다. 프랑스는 이미 쿠바와 교환으로 스페인 군주제를 복원하기로 합의했다.[11] 혁명적인 나폴레옹 전쟁(1803~1815)이 끝나자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는 군주제를 수호하기 위해 성맹을 결성했다. 특히 성맹은 부르봉 왕가의 통치를 스페인과 그 식민지, 독립을 선포하고 있던 식민지에 재확립하기 위해 군사 개입을 승인했다.[12]

영국은 먼로주의의 일반적인 목표를 공유했고, 다른 유럽 열강이 신세계를 더 이상 식민지화하지 못하도록 공동 성명을 발표하기를 원했다. 영국은 다른 유럽 열강이 신세계를 더 많이 식민지화하면 신세계와의 무역이 손상될 것을 우려했다. 미국은 1812년 전쟁의 기억 때문에 공동 성명을 거부했지만, 즉각적인 도발은 러시아의 1821년 칙령[13]이었는데, 이는 태평양 북서부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고 러시아가 아닌 선박이 해안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었다.[14][15]

19세기 전반, 라틴아메리카 각지에서 독립운동이 일어났다.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특히 반도 전쟁)으로 스페인의 아메리카 식민지에 대한 지배력이 약화되었고, 중남미 여러 나라는 잇달아 독립했다. 스페인은 중남미 식민지에서의 독립운동을 진압하려 했다. 나폴레옹 실각 후 유럽은 자유주의, 민족주의를 적대시하는 보수적 반동적인 빈 체제 하에 있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의 정치가 메테르니히는 독립운동에 개입하려 했다. 또한 독립운동을 지지했던 영국(주로 자유당)의 목적은 라틴아메리카에 공업 제품을 수출하고, 농산물과 자원을 수입하여 경제력을 높이는 것이었다.

알래스카(당시 러시아령)에서 러시아가 태평양 연안을 따라 남하 정책을 추진하는 것도 미국에게 큰 우려였다. 따라서 먼로주의는 러시아의 아메리카 대륙 진출에 대한 견제라는 목적도 포함하고 있었다.

3. 먼로 선언의 주요 내용

1823년 제임스 먼로 대통령은 의회 연례교서에서 먼로주의를 천명했다.[68] 먼로 대통령은 미국이 신생국으로서 유럽 대륙의 전쟁과 내부 문제에 개입하지 않아야 하며, 유럽 또한 신세계의 문제에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먼로주의는 신세계와 구세계를 분리된 체제로 보고, 유럽 강국이 아메리카 대륙을 식민화하거나 지배하려는 시도를 미국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간주했다.[16]

먼로 선언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68]


  • 유럽 각국의 분쟁에 간섭하지 않는다.
  • 남북 아메리카에 현존하는 식민지나 속령을 인정하고 간섭하지 않는다.
  • 남북 아메리카의 식민지화를 더 이상 바라지 않는다.
  • 독립을 향한 움직임이 있는 옛 스페인령에 대해 간섭하는 것은 미국의 평화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한다.


미래의 대통령이자 당시 국무장관이었던 존 퀸시 애덤스가 주로 작성한 먼로 선언은, 미주 대륙이 앞으로 유럽 열강의 식민지화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천명했다. 또한 미국은 기존 유럽 식민지에 대해서는 중립을 유지하지만, 새롭게 독립한 스페인계 미국 공화국들에 대한 간섭에는 반대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6]

먼로의 연설은 일관된 대외 정책을 포함하지 않았고, 수십 년 동안 무시되었다.[2][17] 20세기 중반이 되어서야 미국의 대전략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되었다.[2]

4. 국제적 반응과 영향

당시 미국은 군사력이 약했기 때문에 먼로주의는 대체로 국제 사회에서 무시되었다. 특히 오스트리아 외상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는 먼로 선언을 "가장 존경 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유럽의 제도를 책망하고 비웃는 야비한 선언"이라고 비난했고[12]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먼로 독트린을 어떤 구속력이 없는 공허한 선언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영국이 영국의 패권(Pax Britannica)의 일환으로 암묵적으로 이를 승인하여 영국 해군으로 이를 보호했다.

길람(Victor Gillam)의 1896년 정치 만화. 삼촌 샘(Uncle Sam)이 유럽인과 라틴 아메리카인 사이에 소총을 들고 서 있다.


당시 미국은 신뢰할 만한 해군과 육군을 모두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이 이론은 국제적으로 대체로 무시되었다.[4]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Klemens von Metternich) 공작은 이 성명에 분노하여, 이 이론이 미국이 저지른 "새로운 반란 행위"이며 "반란의 사도들에게 새로운 힘을 주고 모든 음모자들의 용기를 되살릴 것"이라고 비밀리에 적었다.[12]

그러나 이 이론은 영국의 암묵적인 승인을 얻었다. 영국은 더 넓은 범위의 영국 패권(Pax Britannica)의 일환으로 전술적으로 이를 시행했는데, 여기에는 해양의 중립(freedom of the seas)의 강화가 포함되었다. 이는 중상주의에 반대하는 영국의 자유방임(laissez-faire) 자유무역 정책 개발과 일치했다. 급성장하는 영국 산업(Economic history of the United Kingdom#The Industrial Revolution)은 제조품에 대한 시장을 찾고 있었고, 새로 독립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다시 스페인 식민지가 된다면, 스페인의 중상주의 정책에 의해 영국의 이러한 시장에 대한 접근이 차단될 것이었다.[18]

라틴 아메리카의 모노로 독트린에 대한 반응은 대체로 호의적이었지만, 때때로 의심스러운 시각도 있었다. 존 A. 크로우(John A. Crow)는 그의 저서 『라틴 아메리카 서사시(The Epic of Latin America)』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시몬 볼리바르 자신은 스페인에 대한 마지막 원정(Military career of Simón Bolívar#The Southern Campaign, Quito and Peru (121-1824)) 중에 있었고, 콜롬비아의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 아르헨티나의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 멕시코의 과달루페 빅토리아 등 모든 곳의 해방 운동 지도자들은 모노로의 말을 진심으로 감사하게 받아들였다."[19] 크로우는 라틴 아메리카 지도자들이 현실주의자였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당시 미국 대통령이 특히 영국군의 지원 없이는 매우 적은 권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미국이 홀로 신성 동맹에 맞선다면 모노로 독트린은 집행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다.[19] 그들은 북쪽의 지원에 감사하고 칭찬했지만, 그들의 독립의 미래는 영국과 그들의 강력한 해군의 손에 달려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1826년 볼리바르는 그의 파나마 회의에 첫 번째 "범미주의" 회의를 개최할 것을 요청했다. 볼리바르와 그의 추종자들의 눈에 모노로 독트린은 단지 국가 정책의 도구에 불과하게 되었다. 크로우에 따르면, "그것은 의도된 바가 아니었고, 결코 조직적인 반구 행동을 위한 헌장이 될 의도가 없었다."[19]

동시에, 어떤 사람들은 모노로 독트린의 이면에 있는 의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칠레의 사업가이자 장관인 디에고 포르탈레스는 친구에게 편지를 써서 이렇게 말했다. "하지만 우리는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북쪽의 미국인들[미국 사람들]에게 유일한 미국인은 그들 자신뿐입니다."[20]

4. 1. 프랑스의 도전과 격퇴

미국 남북 전쟁 시기, 멕시코는 혁명과 내전으로 경제가 악화되어 베니토 후아레스 대통령이 1861년에 외채 상환을 중지하였다.[81] 프랑스는 스페인, 영국과 함께 1861년 겨울 베라크루스 항을 봉쇄하고 멕시코 정부를 압박하며 채무 상환 협상을 진행했다.[82] 스페인과 영국은 멕시코와 합의한 후 다음 해에 철수했지만, 프랑스군은 멕시코시티를 점령하고 멕시코 제2제국을 건설하였다.[83]

멕시코 프랑스 침공 (제2차), 1861~1867


1865년 남북전쟁이 끝나자 미국은 먼로주의를 재확인하며 프랑스에 강력히 항의하였고 멕시코를 지원하였다.[81] 결국 프랑스는 1866년에 멕시코에서 철수하였다.[83] 나폴레옹 3세가 멕시코에서 군대를 철수하자, 멕시코 민족주의자들은 막시밀리안을 체포하고 처형했다.[27] 프랑스가 멕시코에서 추방된 후, 윌리엄 H. 수어드는 1868년 "8년 전에는 단순한 이론에 불과했던 먼로 독트린이 이제는 되돌릴 수 없는 사실이 되었다"고 선언했다.[28]

4. 2. 외교 정책의 분수령

먼로주의는 미국 외교 정책의 분수령이 되었다.[4] 캘빈 쿨리지, 허버트 후버, 존 F. 케네디 등 여러 미국 대통령들이 먼로주의를 인용하며, 미국 외교사상 매우 길게 지속된 외교 입장으로 평가받는다.[38]

원래 먼로 선언의 목표는 당시 막 독립한 라틴 아메리카 신생국들에 대한 유럽 열강의 간섭을 저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후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루스벨트 추론"을 통해 미국의 라틴 아메리카 군사 개입을 정당화하고,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했다.[4]

1895년 영국과 베네수엘라 정부 간 에세키보(Essequibo) 국경 분쟁이 발생했을 때, 미국의 국무장관 리처드 올니는 먼로 독트린을 해석하여 미국에게 서반구의 국경 분쟁을 중재할 권한을 부여한다고 주장했다. 올니는 이전까지 서반구에 대한 추가적인 유럽 식민화를 금지한다는 내용으로만 알려졌던 먼로 독트린의 의미를 확장했다.(올니 해석)[38]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1904년 먼로 독트린에 루스벨트 수정안을 추가하여, 유럽 채권자의 개입을 선제적으로 막기 위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명백하고 만성적인 잘못"의 경우 미국이 라틴 아메리카에 개입할 권리를 주장했다. 이는 큰 몽둥이 이데올로기라고도 불렸으며,[4][12][42]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분노를 불러일으켰다.[41]

1903년 풍자만화: ''"꺼져, 꼬마야, 나를 귀찮게 하지 마."'' 파나마 운하 지대를 얻기 위해 콜롬비아를 위협하는 루스벨트 대통령.


루스벨트 수정안은 유럽의 영향력 확산을 막기 위해 라틴 아메리카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42] 이는 원래 독트린에 대한 가장 중요한 수정이었으며, 먼로 독트린이 원래 미주 대륙에서 유럽의 영향력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하는 비평가들의 광범위한 반대를 받았다.[4]

5. 20세기 이후의 먼로주의

5. 1. 냉전 시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선린 외교' 정책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 대한 내정 불간섭을 천명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이 심화되면서 미국의 개입주의가 다시 강화되었다. 1948년 3월 12일에 발효된 미주 상호 원조 조약과 1951년 12월 13일에 발효된 보고타 헌장에 따라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군사적, 경제적으로 서방 진영에 편입되었다.

미국은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막기 위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 대한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강화하고, 반공 군사 쿠데타를 지원했다.[51] 1953년부터 1959년까지 쿠바 혁명으로 소련과 관계를 맺은 공산 정권이 수립되자, 미국은 먼로주의를 적용하여 라틴 아메리카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 확산을 막으려 했다.[52]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먼로주의를 근거로 소련의 미사일 배치를 반대했다.[53]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 혁명 정부와 대니얼 오르테가 대통령을 불안정하게 만들기 위해 온두라스에서 콘트라 게릴라 군인들을 비밀리에 훈련시켰다. 1984년 로버트 게이츠 CIA 국장은 콘트라 작전을 옹호하며 니카라과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피하는 것은 "먼로주의를 완전히 포기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54]

미국이 지원한 니카라과 콘트라


한편, 1958년에는 미국 우익의 반비밀 조직인 존 버치 협회가 로버트 헨리 윈본 웰치 주니어를 중심으로 설립되어 대외 원조 폐지, NATO 탈퇴, 국제 연합 반대 등 고립주의적인 운동을 전개했다.

5. 2. 냉전 이후

조지 H.W. 부시 행정부의 파나마 침공은 냉전 이후에도 먼로주의가 미국의 군사 개입 명분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61]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국무장관 존 케리는 2013년 11월 미주기구에서 "먼로주의 시대는 끝났다"고 선언했다.[55] 여러 해설가들은 케리가 미주 대륙의 다른 국가들과의 상호 파트너십을 촉구한 것이 먼로의 의도와 더 부합하며, 그의 사후에 시행된 정책들과는 다르다고 지적했다.[56]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먼로주의를 다시 언급하며 베네수엘라 등에 대한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는 2017년 8월, CIA 국장 마이크 폼페이오가 베네수엘라의 쇠퇴가 이란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집단의 간섭 때문이라고 선언한 후 베네수엘라에 대한 군사 개입 가능성을 언급했다.[57] 2018년 2월,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먼로주의를 "명백히 성공적"이라고 칭찬하며, 중국의 무역 야망을 경고하고 미국을 이 지역의 선호 무역 파트너로 홍보했다.[59] 폼페이오는 2018년 5월 틸러슨을 국무장관으로 대체했다. 트럼프는 2018년 제73차 유엔 총회에서 먼로주의 이행에 대한 그의 헌신을 재확인했다.[60] 2019년 1월 26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8452차 긴급회의에서 러시아 유엔 상임대표 바실리 네벤자는 러시아 연방이 먼로주의 이행으로 인식하는 것에 대해 미국을 비판했다. 베네수엘라 대표는 베네수엘라가 먼로주의 이행으로 간주하는 라틴 아메리카의 27건의 개입 사례를 열거하고, 이러한 진술의 맥락에서 "볼리바르 베네수엘라 공화국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적 위협"으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쿠바 대표는 "미국 현 행정부는 먼로주의가 효력을 가지고 있다고 선언했다..."는 유사한 의견을 제시했다.[61]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은 2019년 3월 3일, 미국의 아메리카 대륙 정책을 설명하면서 "이 행정부에서는 먼로주의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이후의 미국 대통령들의 목표는 완전히 민주적인 서반구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62][63]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유엔총회 연설에서 세계화를 비판하며 "먼로 대통령 이후 미국은 공식 정책으로서 서반구 및 자국 문제에 대한 외국의 간섭을 거부해 왔다"고 발언했다.[69]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을 역임한 존 볼턴은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개입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며 공공연하게 먼로주의를 내세웠고, 2019년 3월에는 "우리는 먼로주의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말했으며,[70] 같은 해 4월 마이애미에서 열린 피그스 만 침공 관계자 집회에서 "오늘 우리는 만인 앞에서 먼로주의가 여전히 유효함을 자랑스럽게 선언한다"고 연설했다.[71][72]

6. 한국과의 관계

7. 비판

먼로주의는 표면적으로는 상호 불간섭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미국의 이익을 위한 개입주의적 정책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64] 미국의 역사가 윌리엄 애플먼 윌리엄스(William Appleman Williams)는 이 선언을 일종의 미국 제국주의로 보고 "제국 반식민주의"의 형태로 묘사했다.[65]

시어도어 루즈벨트가 제시한 "루즈벨트 귀결(Roosevelt Corollary)"은 미국이 라틴 아메리카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이 지역에 유럽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을 막고 새롭게 성장하는 자국의 영향권을 만들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노엄 촘스키(Noam Chomsky)는 이 선언이 실제로는 미국 정부가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일방적 개입의 권리와 패권 선언으로 사용되어 왔다고 주장한다.[66]

참조

[1] 논문 The Monroe doctrine: meanings and implications http://maihold.org/m[...] 2006
[2] 논문 The Monroe Doctrine in an Age of Global History http://dx.doi.org/10[...] 2023
[3]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2
[4] 서적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5] 웹사이트 Monroe Doctrine https://www.history.[...] 2021-12-02
[6] 웹사이트 The Monroe Doctrine (1823) http://eca.state.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7] 논문 In the Name of the Americas: The Pan-American Redefinition of the Monroe Doctrine and the Emerging Language of American International Law in the Western Hemisphere, 1898–1933 2014
[8] 논문 The Origins of the Monroe Doctrine 1924-02
[9] 웹사이트 Monroe Doctrine, 1823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6-03-26
[10] 서적 Autopsy of the Monroe Doctrine The Macmillan Company 1934
[1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United States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2] 서적 From Colony to Superpower: U.S. Foreign Relations Since 1776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3] 서적 Fur-Seal Arbitration: Appendix to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Before the Tribunal of Arbitration to Convene at Paris Under the Provisions of th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Great Britain, Concluded February 29, 1892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892
[14] 서적 The American Pageant: A History of the Republic, Volume I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8
[15] 서적 Native America, Discovered and Conquered: Thomas Jefferson, Lewis & Clark, and Manifest Destiny https://books.google[...] Praeger 2006
[16] 웹사이트 The Monroe Doctrine http://usinfo.org/PU[...] U.S. Department of State 2011-11-02
[17] 논문 Mexico and the Monroe Doctrines, 1863–1920: From Appropriation to Rejection http://dx.doi.org/10[...] 2023
[18] 서적 Imperialism at Se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9-10-12
[19] 서적 The Epic of Latin Americ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20] 서적 El Libro Negro de la Intervención Norteamericana en Chile Siglo XXI Editores 1974
[21] 논문 The Monroe Doctrine and the Government of Chile https://www.cambridg[...] 1917
[22] 서적 What Hath God Wrough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3] 뉴스 What is the Monroe Doctrine? https://www.economis[...] 2020-07-14
[2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U.S. Diplomacy from the Revolution to Secessio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2
[25] 웹사이트 James K. Polk: Reaffirmation of the Monroe Doctrine http://kids.britanni[...] 2016-07-28
[26] 웹사이트 Annexation by Spain, 1861–65 http://countrystudie[...] U.S. Library of Congress
[27] 서적 Maximilian and Carlota: Europe's Last Empire in Mexico 2014
[28] 서적 The Picky Eagle: How Democracy and Xenophobia Limited U.S. Territorial Expansio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0
[29] 서적 Ireland and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8
[30] 서적 The Papers of Ulysses S. Grant: November 1, 1870 – May 31, 1871 https://books.google[...] SIU Press 1998
[31] 논문 Anglo-American Rivalries and the Venezuela Crisis of 1895: Presidential Address to the Royal Historical Society December 10, 1966 1967
[32] 뉴스 Bismarck and the Monroe Doctrine http://archives.chic[...] 1897-10-20
[33] 문서 1949
[34] 문서 2007
[35] 웹사이트 Monroe Doctrine http://ap.grolier.co[...] 2008-10-31
[36] 서적 The Spanish–American War 1895–1902: Conflict in the Caribbean and the Pacific Routledge
[37] 서적 The Forging of the American Empire: From the Revolution to Vietnam, a History of U.S.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38] 학술지 Intervention Under the Monroe Doctrine: The Olney Corollary
[39] 서적 Military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939–1945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2016-12-02
[40] 학술지 Catalyst for the Roosevelt Corollary: Arbitrating the 1902–1903 Venezuela Crisis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Roosevelt Corollary to the Monroe Doctrine
[41] 서적 Encyclopedia of U.S. – Latin American Relations https://books.google[...] SAGE
[42] 뉴스 State of the Union Address http://www.teachinga[...] TeachingAmericanHistory.org 2008-12-20
[43] 서적 In Search of Monsters to Destroy : The Folly of American Empire and the Paths to Peace Independent Institute
[44] 백과사전 Monroe Doctrine http://www.encyclope[...] 2024-03-00
[45] 웹사이트 Senate Vote #236 in 1912 https://www.govtrack[...]
[46] 서적 New York Times Current History: the European war, Volume 9 https://books.google[...]
[47] 잡지 What the U.S.A. Thinks https://books.google[...] 2011-11-10
[48] 웹사이트 Over by Christmas. The Liberation of Saint Pierre and Miquelon http://worldatwar.ne[...]
[49] 학술지 The Western Hemisphere Idea: Its Rise and Decline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954-00-00
[50] 웹사이트 352 – The President's News Conference August 29, 1962 response to Q[21.] http://www.presidenc[...] Gerhard Peters and John T. Woolley,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2014-04-12
[51] 웹사이트 US–Latin American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and its Aftermath http://www.people.fa[...] Institute of Latin American Studies and the David Rockefeller Center for Latin Americas Studies 2010-08-04
[52] 웹사이트 Study Prepared in Response to National Security Study Memorandum 15 https://history.stat[...] NSC–IG/ARA 2010-08-04
[53] 잡지 The Durable Doctrine http://www.time.com/[...] 2009-07-15
[54] 서적 The Last Years of the Monroe Doctrine, 1945–1993 https://archive.org/[...] Hill & Wang
[55] 뉴스 Kerry Makes It Official: 'Era of Monroe Doctrine Is Over' https://blogs.wsj.co[...] 2013-11-18
[56] 웹사이트 The US Renounces the Monroe Doctrine? https://thediplomat.[...] 2013-11-28
[57] 웹사이트 Trump Says He Is Considering Military Action in Venezuela https://www.voanews.[...] 2017-08-11
[58] 웹사이트 CIA Director Pompeo: Venezuela's Situation Continues to Deteriorate https://www.voanews.[...] 2017-08-13
[59] 웹사이트 Tillerson Praises Monroe Doctrine, Warns Latin America of 'Imperial' Chinese Ambitions https://foreignpolic[...] The Slate Group 2018-02-02
[60] 웹사이트 Remarks by President Trump to the 73rd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New York, NY https://trumpwhiteho[...] 2018-09-25
[61] 웹사이트 S/PV.8452 Security Council: Seventy-fourth year: 8452nd meeting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9-01-26
[62] 뉴스 John Bolton: 'We're not afraid to use the word Monroe Doctrine' https://www.washingt[...] 2019-03-04
[63] 뉴스 What is the Monroe Doctrine? John Bolton's justification for Trump's push against Maduro https://www.washingt[...] 2019-03-04
[64] 서적 Outside In: The Transnational Circuitry of US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1-15
[65] 서적 The Monroe Doctrine: Empire and Nation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2011-03-15
[66] 서적 Hegemony Or Survival https://books.google[...] Henry Holt 2008-12-20
[67] 뉴스 19世紀後半、黒船、地震、台風、疫病などの災禍をくぐり抜け、明治維新に向かう(福和伸夫) https://news.yahoo.c[...] 2020-08-24
[68] 서적 ラテンアメリカの歴史 山川出版社
[69] 웹사이트 米国トランプ氏「グローバリズムを拒絶」国連演説で強調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9-26
[70] 웹사이트 John Bolton: 'We're not afraid to use the word Monroe Doctrine' https://www.washingt[...] Washington Examiner 2019-03-03
[71] 웹사이트 John Bolton and the Monroe Doctrine https://www.economis[...] エコノミスト 2019-05-11
[72] 웹사이트 John Bolton Reaffirms America’s Commitment to the Monroe Doctrine With New Sanctions https://observer.com[...] オブザーバー 2019-04-17
[73] 웹사이트 国連安保理が緊急会合 ベネズエラ情勢、米ロが批判合戦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1-27
[74] 백과사전 먼로주의 [Monroe Doctrine] 두산백과
[75] 서적 이즘과 올로지 랜덤하우스코리아 2009-12-04
[76] 서적 라틴아메리카사 (상)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6
[77]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78] 백과사전 라틴아메리카와 먼로주의 미국 국무부 | 주한 미국대사관 공보과 2004
[79]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80] 서적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2-02-16
[81]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82] 백과사전 멕시코원정 [Mexican Expedition] 두산백과
[83] 서적 콜럼버스에서 후지모리까지 개마고원 1999-06-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