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나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나시군은 1869년 홋카이도 네무로국에 설치된 일본의 군이다. 군 이름은 아이누어 '메나시'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의 네무로 지청 일대를 가리킨다. 에도 시대에는 마쓰마에 번의 네모로 장소에 포함되었고, 이후 천령, 홋카이도청 관할을 거쳐 네무로 지청 관할이 되었다. 1879년 행정 구역으로 발족했으며, 현재는 라우스정과 시베츠정 일부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무로국의 군 - 시베쓰군
    시베쓰군은 1879년 군구정촌편제법 시행으로 발족하여 현재 시베쓰정과 나카시베쓰정 일부를 포함하며, 에도 시대 네무로 장소에 속했고 네무로현, 홋카이도청 네무로 지청을 거쳐 현재 네무로 진흥국 관할이다.
  • 네무로국의 군 - 시베토로군
    시베토로군은 홋카이도 시베토로섬 동부에 위치한 일본의 군으로, 역사적으로 마쓰마에번의 관할이었으나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통제 하에 있으며 일본 정부는 영유권을 주장하고 대한민국은 하보마이 군도에 대한 역사적 연고권을 주장하며 외교적 사안을 제기하고 있다.
  • 네무로 관내 - 쿠릴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쿠릴 열도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발생하는 영토 분쟁으로,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이후 역사적 사건들과 국제법 해석 차이, 제3국의 입장 등이 얽혀 2000년대 이후에도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네무로 관내 - 네무로 진흥국
    네무로 진흥국은 홋카이도 동부에 위치한 행정구역으로, 1시 4정과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쿠릴 열도 남부 지역을 관할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북방영토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험준한 지형과 풍부한 자연자원, 다양한 교통망, 시레토코를 포함한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특징으로 한다.
  • 홋카이도의 군 - 아부타군
    아부타 군은 1869년 홋카이도에 설치되어 이부리국에 속했던 군으로, 여러 소속 변경과 촌락 분합을 거쳐 2006년 도야코정 신설 및 G8 정상회의 개최를 통해 국제적 주목을 받았으며 현재는 이부리 및 시리베시 종합진흥국 관할 하에 자연경관과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홋카이도의 군 - 요이치군
    요이치군은 홋카이도 시리베시 종합진흥국에 있는 군으로, 1869년 설치되어 행정 구역으로 발족하였으며 현재 요이치정, 니키정, 아카이가와촌으로 구성되어 고대부터 교역 거점으로서 기능해 온 역사를 가진다.
메나시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메나시군
로마자 표기Menashi-gun
위치일본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어원동쪽으로
면적397.88 km²
인구 (2010년 기준)6,069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네무로 지청 내 라우스 위치
네무로 지청 내 메나시 군의 위치
행정 구역
자치체라우수정

2. 역사

에도 시대의 메나시 군역은 마쓰마에번에 의해 설치된 네모로 장소에 포함되었다. 에도 시대 후기, 메나시 군역은 동 에조치에 속해 있었다. 국방을 위해 1799년에 메나시 군역은 천령이 되었다. 1869년 메나시 군이 설치되었고 홋카이도 네무로국에 속했다.

군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메나시’(메나시/Мэнaсиainu)로, 현재의 네무로 지청(시레토코북방 영토를 포함한다) 일대를 가리키고 있었다.


  • 1856년~1857년 - 시레토코 반도에서 유황 온천이 분출했다.
  • 1869년 - 공식 정부가 이 지역에서 철수했고, 메나시는 홋카이도 네무로 지역에 흡수되었다.
  • 메이지 2년
  • * 8월 15일 (1869년 9월 20일) - 홋카이도에서 국군리제가 시행되어 '''네무로국''' 및 '''메나시군'''이 설치된다. '''개척사'''가 관할.
  • * 8월 28일 (1869년 10월 3일) - '''구마모토번'''의 영지가 된다(홋카이도의 분령지배).
  • 메이지 4년
  • * 3월 14일 (1871년 4월 14일) - 다시 '''개척사'''의 관할이 된다.
  • * 5월 12일 (1871년 6월 10일) - '''센다이번'''의 영지가 된다(동상).
  • * 8월 20일 (1871년 10월 4일) - 폐번치현에 의해 다시 '''개척사'''의 관할이 된다.
  • 1882년 2월 8일 - 폐지된 하이시치현 廃使置県이 네무로현이 되었다.
  • 메이지 5년
  • * 4월 9일 (1872년 5월 15일) - 전국 일률적으로 호장・부호장을 설치(대구소구제).
  • * 10월 10일 (1872년 11월 10일) - 4월에 설치된 구를 대구로 개칭하고, 그 아래에 종래의 촌을 몇 개 묶어 소구를 설치(대구 소구제).
  • 메이지 9년(1876년) 9월 - 종래 개척사에서 임의로 정한 대소 구획을 폐지하고, 새롭게 전도를 30개의 대구로 나누고, 대구 아래에 166개의 소구를 설치했다.
  • 메이지 12년(1879년) 7월 23일 - 군구정촌편제법의 홋카이도에서의 시행에 의해, 행정 구획으로서 '''메나시군'''이 발족.
  • 메이지 13년(1880년) 7월 - 네무로군 외 8군 역소(네무로 하나사키 노쓰케 시베츠 메나시 쿠나시리 에토로후 시코탄 스토리군 역소)의 관할이 된다.
  • 메이지 15년(1882년) 2월 8일 - 폐사치현에 의해 '''네무로현'''의 관할이 된다.
  • 메이지 18년(1885년) 1월 - 네무로군 외 9군 역소(네무로 하나사키 노쓰케 시베츠 메나시 쿠나시리 에토로후 신치 시코탄 이토로후군 역소)의 관할이 된다.
  • 메이지 19년(1886년)
  • * 1월 26일 - 폐현치청에 의해 '''홋카이도청''' 네무로 지청의 관할이 된다.
  • * 2월 - 네무로 지청이 폐지.
  • 메이지 30년(1897년) 11월 5일 - 군역소가 폐지되어 '''네무로 지청'''의 관할이 된다.
  • 다이쇼 12년(1923년) 4월 1일
  • * 홋카이도 2급 정촌제의 시행에 의해, '''우에키촌'''(2급 촌, 단독 촌제)이 발족.(1촌)
  • * 충루촌, 훈별촌, 사키무이촌이 시베츠군 시베츠촌의 일부가 된다.
  • 쇼와 5년(1930년) 7월 1일 - 우에키촌이 개칭하여 '''라우스촌'''(2급 촌)이 된다.
  • 쇼와 18년(1943년) 6월 1일 - 홋카이도 1・2급 정촌제가 폐지되고, 홋카이도에서 정촌제를 시행. 2급 정촌은 지정 정촌이 된다.
  • 쇼와 21년(1946년) 10월 5일 - 지정 정촌을 폐지.
  • 쇼와 22년(1947년) 5월 3일 - 지방 자치법의 시행에 의해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의 관할이 된다.
  • 쇼와 36년(1961년) 8월 1일 - 라우스촌이 정제를 시행하여 '''라우스정'''이 된다.(1정)
  • 헤이세이 22년(2010년) 4월 1일 - 네무로 지청이 폐지되어 '''네무로 진흥국'''의 관할이 된다.


2. 1. 에도 시대 이전

에도 시대의 메나시 군역은 마쓰마에번에 의해 설치된 네모로 장소에 포함되었다. 마쓰마에 번의 "신라의 기록"에 따르면, 겐나 원년부터 겐나 7년경, 메나시 지방의 에조(아이누)가 100척에 가까운 배에 수리부엉이의 깃털과 수달의 모피 등을 싣고 마쓰마에에서 교역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간세이 원년, 에조 사람들이 봉기한 쿠나시리・메나시의 싸움 (간세이 에조 봉기)이 발발하여 메나시 지방에서도 다수의 와진이 살해당했다. 같은 해, 라우스 온천이 발견되었다.

에도 시대 후기, 메나시 군역은 동 에조치에 속해 있었다. 남하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러시아의 위협에 대비하여 간세이 11년 메나시 군역은 천령으로 지정되었다. 분세이 4년에 일단 마쓰마에 번령으로 복귀했지만, 안세이 2년에 다시 천령이 되어 아이즈 번이 경비를 맡았다. 또한, 라우스 신사의 창립은 안세이 연간으로 전해진다. 안세이 3-4년경 시레토코 반도유황산의 분화가 있었다. 안세이 6년의 6번 분령 이후에는 아이즈 번령이 되었다. 보신 전쟁(하코다테 전쟁) 종결 직후인 1869년, 다이호 율령국군리제를 답습하여 메나시 군이 설치되었다.

군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메나시’(Мэнaсиainu, 동방)로, 현재의 네무로 지청(시레토코와 북방 영토를 포함한다) 일대를 가리키고 있었다.

2. 2. 에도 시대

에도 시대의 메나시 군역은 마쓰마에번에 의해 설치된 네모로 장소에 포함되었다. 마쓰마에 번의 "신라의 기록"에 따르면, 겐나 원년부터 겐나 7년(1615–1622)경, 메나시 지방의 에조(아이누)가 100척에 가까운 배에 수리부엉이 깃털과 수달 모피 등을 싣고 마쓰마에에서 교역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간세이 원년(1789년), 에조 사람들이 봉기한 쿠나시리・메나시의 싸움(간세이 에조 봉기)이 발발하여 메나시 지방에서도 다수의 와진이 살해당했다. 같은 해, 라우스 온천이 발견되었다.

에도 시대 후기, 메나시 군역은 동 에조치에 속해 있었다. 남하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러시아의 위협에 대비하여 간세이 11년(1799년) 메나시 군역은 천령으로 지정되었다. 분세이 4년(1821년)에 일단 마쓰마에 번령으로 복귀했지만, 안세이 2년(1855년)에 다시 천령이 되어 아이즈번이 경비를 맡았다. 라우스 신사는 안세이 연간(1854–1860)에 창립된 것으로 전해진다. 안세이 3-4년경 시레토코 반도유황산이 분화했다. 안세이 6년의 6번 분령 이후에는 아이즈 번령이 되었다. 보신 전쟁(하코다테 전쟁) 종결 직후인 1869년, 다이호 율령국군리제를 답습하여 메나시 군이 설치되었다.

군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메나시’(Мэнaсиainu, 동방)로, 현재의 네무로 지청(시레토코북방 영토를 포함한다) 일대를 가리키고 있었다.

2. 3. 메이지 시대 이후

에도 시대의 메나시 군역은 마쓰마에번에 의해 설치된 네모로 장소에 포함되었다. 에도 시대 후기, 메나시 군역은 동 에조치에 속하고 있었다. 국방을 위해 1799년에 메나시 군역은 천령이 되었다. 1869년 메나시 군이 두어졌고 홋카이도 네무로국에 속했다.

군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메나시’(메나시/Мэнaсиainu, 동방)로, 현재의 네무로 지청(시레토코와 북방 영토를 포함한다) 일대를 가리키고 있었다.

  • 1856년~1857년 - 시레토코 반도에서 유황 온천이 분출했다.
  • 1869년 - 공식 정부가 이 지역에서 철수했고, 메나시는 홋카이도 네무로 지역에 흡수되었다.
  • 메이지 2년
  • * 8월 15일 (1869년 9월 20일) - 홋카이도에서 국군리제가 시행되어 '''네무로국''' 및 '''메나시군'''이 설치된다. '''개척사'''가 관할.
  • * 8월 28일 (1869년 10월 3일) - '''구마모토번'''의 영지가 된다(홋카이도의 분령지배).
  • 메이지 4년
  • * 3월 14일 (1871년 4월 14일) - 다시 '''개척사'''의 관할이 된다.
  • * 5월 12일 (1871년 6월 10일) - '''센다이번'''의 영지가 된다(동상).
  • * 8월 20일 (1871년 10월 4일) - 폐번치현에 의해 다시 '''개척사'''의 관할이 된다.
  • 1882년 2월 8일 - 폐지된 하이시치현 廃使置県이 네무로현이 되었다.
  • 메이지 5년
  • * 4월 9일 (1872년 5월 15일) - 전국 일률적으로 호장・부호장을 설치(대구소구제).
  • * 10월 10일 (1872년 11월 10일) - 4월에 설치된 구를 대구로 개칭하고, 그 아래에 종래의 촌을 몇 개 묶어 소구를 설치(대구 소구제).
  • 메이지 9년(1876년) 9월 - 종래 개척사에서 임의로 정한 대소 구획을 폐지하고, 새롭게 전도를 30개의 대구로 나누고, 대구 아래에 166개의 소구를 설치했다.
  • 메이지 12년(1879년) 7월 23일 - 군구정촌편제법의 홋카이도에서의 시행에 의해, 행정 구획으로서 '''메나시군'''이 발족.
  • 메이지 13년(1880년) 7월 - 네무로군 외 8군 역소(네무로 하나사키 노쓰케 시베츠 메나시 쿠나시리 에토로후 시코탄 스토리군 역소)의 관할이 된다.
  • 메이지 15년(1882년) 2월 8일 - 폐사치현에 의해 '''네무로현'''의 관할이 된다.
  • 메이지 18년(1885년) 1월 - 네무로군 외 9군 역소(네무로 하나사키 노쓰케 시베츠 메나시 쿠나시리 에토로후 신치 시코탄 이토로후군 역소)의 관할이 된다.
  • 메이지 19년(1886년)
  • * 1월 26일 - 폐현치청에 의해 '''홋카이도청''' 네무로 지청의 관할이 된다.
  • * 2월 - 네무로 지청이 폐지.
  • 메이지 30년(1897년) 11월 5일 - 군역소가 폐지되어 '''네무로 지청'''의 관할이 된다.
  • 다이쇼 12년(1923년) 4월 1일
  • * 홋카이도 2급 정촌제의 시행에 의해, '''우에키촌'''(2급 촌, 단독 촌제)이 발족.(1촌)
  • * 충루촌, 훈별촌, 사키무이촌이 시베츠군 시베츠촌의 일부가 된다.
  • 쇼와 5년(1930년) 7월 1일 - 우에키촌이 개칭하여 '''라우스촌'''(2급 촌)이 된다.
  • 쇼와 18년(1943년) 6월 1일 - 홋카이도 1・2급 정촌제가 폐지되고, 홋카이도에서 정촌제를 시행. 2급 정촌은 지정 정촌이 된다.
  • 쇼와 21년(1946년) 10월 5일 - 지정 정촌을 폐지.
  • 쇼와 22년(1947년) 5월 3일 - 지방 자치법의 시행에 의해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의 관할이 된다.
  • 쇼와 36년(1961년) 8월 1일 - 라우스촌이 정제를 시행하여 '''라우스정'''이 된다.(1정)
  • 헤이세이 22년(2010년) 4월 1일 - 네무로 지청이 폐지되어 '''네무로 진흥국'''의 관할이 된다.


3. 행정 구역

1879년(메이지 12년)에 행정 구역으로 발족한 당시의 군역은, 라우스(Rausu) 및 시베쓰군 시베쓰정의 일부(자키무이, 훈베츠, 후루타누카, 츄루이)를 더한 구역에 해당한다. 별도로 언급된 내용이 없을 경우, 『네무로・치시마 역사 인명 사전』에 따른다.

;네무로군 외 8군 군장

성명취임 년월일퇴임 년월일비고
1와다 마사나에1880년(메이지 13년) 7월 15일1885년(메이지 18년)하나사키군의 일부에서 시코탄군이 분립



;네무로군 외 9군 군장

성명취임 년월일퇴임 년월일비고
1마츠시타 카네키요1885년(메이지 18년)1886년(메이지 19년)
2히로타 치아키1886년(메이지 19년) 12월1889년(메이지 22년)
3호소카와 헤키1889년(메이지 22년) 7월1890년(메이지 23년) 7월
4타카오카 나오키치1890년(메이지 23년) 8월 11일1895년(메이지 28년) 12월 3일
5하야시 에츠로1895년(메이지 28년) 12월 18일1897년(메이지 30년) 11월 5일네무로군 외 9군청을 폐지하고 네무로 지청을 설치


4. 명칭 유래

군 이름은 아이누어의 ‘메나시’(Мэнaсиainu, 동방)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의 네무로 지청(시레토코북방 영토를 포함한다) 일대를 가리키고 있었다. 아이누어에서 유래했다. 유래가 된 아이누어의 "메나시(menas)"에는 "동쪽", "동풍"의 두 가지 의미가 있으며, 어느 쪽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아이누어 연구자인 야마다 히데조는 "동쪽(의 땅)"의 의미로 해석하는 데 그쳤다.

원래는 현재의 메나시 군 외에, 현재의 시베츠 부근을 포함하는 지방명이었다.

5. 현재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Menashi District · Rausu, Hokkaido, Japan https://www.google.c[...]
[2] 서적 北海道の地名 草風館 2018-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