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노 시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노 시몬스(1496-1561)는 16세기 종교 개혁 시기에 활동한 재세례파 지도자이다. 가톨릭 사제였으나 성경 연구를 통해 유아 세례를 반대하고 신자 세례를 주장하며 재세례파에 합류했다. 그는 폭력을 거부하고 평화주의를 옹호했으며, 메노나이트 교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메노 시몬스는 성경 중심의 신앙, 신자 세례, 비폭력, 교회와 국가의 분리 등을 강조했으며, 그의 가르침은 침례교 역사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기독교 평화주의자 - 헨리 나우웬
    네덜란드 출신의 가톨릭 사제이자 신학자인 헨리 나우웬은 예일대와 하버드대에서 신학 교수로 활동하며 저술 활동을 펼쳤고, 라르쉬 데이브레이크 공동체에서 장애인들과 함께하며 영적 깨달음을 얻었으며, 《상처 입은 치유자》, 《돌아온 탕아》 등의 저서를 통해 영성, 인간관계,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네덜란드의 복음주의자 - 헤르만 바빙크
    헤르만 바빙크는 네덜란드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칼뱅주의 목사로서, 캄펀 신학대학교와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에서 교의학 교수로 재직하며 개혁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했고, 아브라함 카이퍼와 함께 신칼뱅주의 운동을 이끌었다.
  • 네덜란드의 복음주의자 - 앤드루 머리
    앤드루 머레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작가, 선교사로서, 스코틀랜드와 네덜란드에서 교육받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목회하며 부흥 운동에 기여했으며, '내적 삶' 운동의 중요 인물로서 믿음 치유 신학과 성령의 은사로 오순절 운동에 영향을 주었고, 240권 이상의 저서를 집필하여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기독교 부흥 운동과 현대 한국 기독교에 영향을 미쳤다.
  • 재세례파 신학자 - 야코프 후터
    야코프 후터는 재산 공유와 비폭력주의를 주장하며 공동체 생활을 이끈 16세기 재세례파 지도자로, 박해를 피해 이주했으나 체포 후 화형당했고 그의 사상은 후터파 공동체의 근간이 되었으며 인스브루크에 기념 현판이 세워졌다.
  • 재세례파 신학자 - 한스 뎅크
    한스 뎅크는 16세기 독일의 신학자이자 번역가로, 재세례파 운동에 참여하여 급진적인 종교개혁 사상을 펼치고 내면의 하나님의 말씀을 중시하는 신비주의적 경향을 보였다.
메노 시몬스
기본 정보
메노 시몬스
"프리슬란트 출신의 메노 시몬스"
크리스토펠 반 시hem의 1608년 판화
존칭 접두사목사
교회메노나이트
출생일1496년
출생지비트마르숨, 프리슬란트, 신성 로마 제국
사망일1561년 1월 31일 (64세 또는 65세)
사망지뷔스텐펠데, 홀슈타인 공국, 신성 로마 제국
매장지바트 올데슬로
종교가톨릭 (1536년까지)
재침례교 (1536년부터)
거주지해당사항 없음
배우자헤르트루이트 얀스도흐터
자녀딸 둘, 아들 하나
직업가톨릭 사제 (1536년까지)
재침례교 목사 및 작가 (1536년부터)
모교해당사항 없음
서명해당사항 없음

2. 생애

메노 시몬스는 1496년 신성 로마 제국 프리슬란트주 비트마르섬에서 태어났다.[2] 가난한 농민 환경에서 자랐으며, 아버지의 이름은 시몬, '시몬스'는 부칭이었고, 피터라는 형제가 있었다.[3]

15세기 말과 16세기 초, 란츠크네히트 용병과 합스부르크가, 겔데른 공작 간의 전쟁으로 프리슬란트는 황폐해졌다. 결국 프리슬란트인들은 카를 5세의 제국 권위를 받아들였다. 시몬스는 라틴어와 약간의 고대 그리스어를 배웠고, 사제 훈련 동안 라틴 교부에 대해 배웠지만, 성경은 읽지 않았다.[3][4]

1524년 위트레흐트에서 가톨릭 사제로 서품받고, 핑줌의 신부가 되었다. 1526년경 성변화 교리에 대한 의문을 품고 성경을 탐구하기 시작, 마르틴 루터, 마르틴 부처, 하인리히 불링거에게 의존하지 않고 성경에만 의존하기로 했다.

시몬스가 일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바트 올데스로에 근처의 집


1531년 레우와르덴에서 "재세례" 혐의로 처형된 시케 프레르크스 스나이더 사건을 통해 유아 세례가 성경에 없음을 확신, 로테르담의 에라스뮈스의 저서를 읽으며 기독교와 교회에 대한 관점을 정립했다. 비트마르섬으로 전임된 후 재세례파와 접촉했다.

1535년, 형제 피터가 블룸캄프 수도원 점령에 참여했다가 살해되자, 정신적, 심리적 위기를 겪었다.[8] 1536년 1월 12일, 가톨릭 교회와 사제직을 거부하고 재세례파에 합류,[5] 1537년경 오베 필립스에게 안수받았다. 뮌스터 반란의 폭력적 방식은 거부하고, 세상과의 분리, 회개를 통한 세례를 강조했다.[9][5]

메노는 빠르게 영향력을 얻어, 1544년에는 "메노파" 또는 "메니스트"라는 용어가 네덜란드 재세례파를 지칭하게 되었다.[10] 1561년 1월 31일, 홀슈타인의 뷔스텐펠데에서 사망, 정원에 묻혔다.[3] 게르트루트와 결혼, 최소 세 자녀를 두었으나, 딸 중 한 명만 살아남았다.[11][12]

2. 1. 초기 생애 (1496-1524)

메노 시몬스는 1496년 신성 로마 제국 프리슬란트주 비트마르섬에서 태어났다.[2] 그의 어린 시절과 가족에 대해서는 가난한 농민 환경에서 자랐다는 것 외에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아버지의 이름은 시몬이었으며, '시몬스'는 부칭이었고, 피터라는 형제가 있었다.[3]

시몬스는 환멸에 휩싸인 전쟁의 상처가 깊은 나라에서 성장했다. 프리슬란트는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전쟁으로 황폐해졌다. 1490년대에는 란츠크네히트 용병들이 '자유' 프리슬란트인들에게 작센-마이센 공작을 그들의 국가 원수로 받아들이도록 강요하기 위해 프리슬란트 땅을 휩쓸었다. 공작은 합스부르크가를 위해 네덜란드의 총독이었다. 합스부르크가의 주된 적 중 하나인 겔데른 공작은 1515년에 프리슬란트를 침략하여 그 절반을 정복했다. 작센은 나머지 절반을 합스부르크가에 양도했다. 프리슬란트인들은 자유를 되찾으려 했지만 너무 약했고 결국 합스부르크 황제인 카를 5세의 제국 권위를 받아들였다.

시몬스는 라틴어와 약간의 고대 그리스어를 배웠으며, 사제가 되기 위한 훈련 기간 동안 라틴 교부에 대해 배웠다.[3] 그는 성경의 영향을 받을까 두려워 사제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기 전이나 받는 동안에는 성경을 읽은 적이 없었다. 나중에 그는 자신의 삶의 이 시기를 되돌아보며 자신을 어리석다고 불렀다.[4]

시몬스의 출생지는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친 전쟁으로 파괴되었다. 그는 가난한 농민 출신이었으므로, 그가 당시에 받은 교육은 성직자가 되기 위한 것으로 제한되었다. 1524년 위트레흐트에서 가톨릭 사제로 서품을 받고, 아버지의 마을의 신부가 되었다.

2. 2. 사제 서품과 회심 (1524-1536)

그는 1515년 또는 1516년에 위트레흐트에서 로마 가톨릭 사제로 서품되었다.[5] 이후 아버지의 마을 핑줌의 군종 신부로 임명되었다(1524년).

1526년 또는 1527년경, 성변화 교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성경을 진지하고 심도 있게 탐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사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성경을 공부하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마르틴 루터, 마르틴 부처, 하인리히 불링거로부터 받은 일관성 없는 답변에 만족하지 못했고, 오직 성경에만 의존하기로 결심했다. 이때부터 그는 자신의 설교를 "성사적"이 아닌 "복음적"이라고 묘사했다.[6]

1531년 레우와르덴에서 "재세례" 혐의로 시케 프레르크스 스나이더가 참수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처음으로 "재세례"라는 개념을 접하게 되었고, 그는 이 개념이 "매우 이상하게 들렸다"고 말했다. 성경을 다시 탐구한 결과 유아 세례가 성경에 없다고 믿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목사와 이 문제를 논의하고, 교부들을 탐구했으며, 마르틴 루터와 하인리히 불링거의 저서를 읽었다. 또한 로테르담의 에라스뮈스의 저서를 읽기도 했는데, 이는 기독교 생활과 교회에 대한 그의 관점에 영향을 미쳤다.[7] 그는 이 문제를 숙고하던 중 비트마르섬으로 전임되었고, 재세례파와 직접적인 접촉을 갖게 되었으며, "신자 세례"를 설교하고 실천했다.

1535년, 그의 형제 피터는 구 올데클로스터(또는 블룸캄프 수도원)라고 알려진 가톨릭 수도원을 폭력적으로 점령하는 데 참여한 혐의로 볼스워드 근처에서 살해된 재세례파 일원 중 한 명이었다. 형제 피터가 사망한 후, 메노는 정신적, 심리적 위기를 겪었다. 그는 "근심하는 죄인인 저에게, 당신의 은총의 선물을 주시고, 제 안에 깨끗한 마음을 창조하시며, 그리스도의 붉은 피의 공로를 통해, 제 더러운 행실과 무익한 삶을 은혜롭게 용서해 주시기를, 슬픔과 눈물로 하나님께 간구했습니다..."[8]라고 말했다.

2. 3. 재세례파 지도자 (1536-1561)

메노 시몬스는 1536년 1월 12일 가톨릭 교회와 사제직을 거부하고 재세례파와 운명을 같이했다.[5] 세례를 받은 정확한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1536년 초 비트마르숨을 떠난 직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536년 10월, 헤르만과 게릿 얀스가 메노 시몬스에게 숙소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참수되면서, 재세례파와의 관계가 널리 알려졌다. 1537년경 오베 필립스에게서 안수를 받았다. 오베와 그의 형제 디르크 필립스는 멜키오르 호프만의 평화주의적 제자들 중 하나였다. 호프만은 네덜란드에 최초의 자립적인 재세례파 회중을 소개했으며, 동프리지아의 엠덴에서 신자들의 세례를 가르치고 시행했다. 메노 시몬스는 뮌스터 반란에서 비롯된 폭력적인 방식을 성경적이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에 거부했다.[9] 그의 신학은 이 세상과의 분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회개를 통한 세례가 이를 상징했다.[5]

메노는 빠르게 영향력 있는 인물이 되었다. 1540년 이전에는 "영감주의자" 유형의 재세례파인 데이비드 요리스가 네덜란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도자였다. 그러나 1544년에는 "메노파" 또는 "메니스트"라는 용어가 네덜란드 재세례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0]

가톨릭교를 포기한 지 25년 후인 1561년 1월 31일, 메노는 홀슈타인의 뷔스텐펠데에서 사망하여 그의 정원에 묻혔다.[3] 그는 게르트루트라는 여성과 결혼하여 최소 세 자녀(두 딸과 아들)를 두었으나,[11] 딸 중 한 명만이 그보다 오래 살았다.[12]

3. 신학 사상

메노 시몬스는 1536년 1월 12일 가톨릭 교회와 사제직을 거부하고 재세례파에 합류하여, 1537년경 오베 필립스에게 서품을 받았다. 1544년까지 "메노파" 또는 "메니스트"라는 용어가 네덜란드 재세례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0] 그의 신학은 세상과의 분리를 강조했으며, 회개를 통한 세례가 이를 상징했다.[5]

메노는 예수가 마리아에게서 인간의 육신을 받은 것이 아니라 "천상의 육체"를 가졌다고 믿었다.[13] 그는 그리스도가 "그녀의 자궁에서가 아니라, 그녀의 자궁 안에 잉태되었다"고 표현했다.[14]

존 칼빈과 비교했을 때, 메노 시몬스는 출교 문제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메노는 모든 죄에 대해 교회 구성원 전체가 징계하는 것을 주장한 반면, 칼빈은 심각한 위법 행위에 대해서만 출교를 적용했다. 또한 칼빈은 특정 비정통성에 대한 시민 처벌을 인정했지만, 메노는 엄격한 교회와 국가 분리를 옹호했다.[16][17]

3. 1. 성경 중심의 신앙

메노 시몬스는 1526년 또는 1527년경 성변화 교리에 대한 의문을 품고 성경을 깊이 있게 탐구하기 시작했다.[6] 그는 사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성경을 공부하지 않았다고 고백했으며, 마르틴 루터, 마르틴 부처, 하인리히 불링거의 답변에 만족하지 못하고 오직 성경에만 의존하기로 결심했다. 이때부터 그는 자신의 설교를 "성사적"이 아닌 "복음적"이라고 묘사했다.[6]

그는 레우와르덴에서 "재세례" 혐의로 처형된 사람의 소식을 듣고 "재세례" 개념을 처음 접했으며, 유아 세례가 성경에 없다고 믿게 되었다. 교부들과 마르틴 루터, 하인리히 불링거의 저서를 읽고, 로테르담의 에라스뮈스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 생활과 교회에 대한 관점에 영향을 받았다.[7] 신자 세례를 설교하고 실천하면서 뮌스터 반란 추종자들을 만나기도 했지만, 그들을 잘못 인도되었다고 여겼다.

1535년, 그의 형제가 재세례파 일원으로 살해된 후, 메노는 정신적 위기를 겪으며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했다.[8] 그는 "진정한 복음적 믿음"은 모든 의와 사랑의 행위로 나타나며, 주님의 진리를 위해 겪는 고통은 기쁨과 위로가 된다고 말했다.[9]

메노는 1536년 1월 12일 가톨릭 교회를 거부하고 사제직을 거부하며,[5] 재세례파와 운명을 함께했다. 그는 오베 필립스에게서 1537년경에 서품을 받았다. 1544년까지 "메노파" 또는 "메니스트"라는 용어는 네덜란드 재세례파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10]

3. 2. 신자 세례와 제자도

메노 시몬스는 1536년 1월 가톨릭 교회와 성직을 거부하고 재세례파에 합류했다.[5] 정확한 세례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536년 10월경에는 이미 재세례파로 널리 알려졌다. 이는 그 달에 헤르만과 게릿 얀스가 시몬스에게 숙소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처형되었기 때문이다.[10]

1526년 또는 1527년경, 메노 시몬스는 성변화 교리에 의문을 품고 성경을 깊이 연구하기 시작했다. 사제였음에도 성경을 공부한 적이 없다고 고백한 그는 마르틴 루터, 마르틴 부처, 하인리히 불링거의 답변에 만족하지 못하고 성경에만 의존하기로 결심했다. 이때부터 그는 자신의 설교를 "성사적"이 아닌 "복음적"이라고 묘사했다.[6]

1531년, 레우와르덴에서 "재세례" 혐의로 시케 프레르크스 스나이더가 처형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재세례" 개념을 처음 접했다. 성경을 다시 탐구한 결과, 유아 세례가 성경에 없다고 믿게 되었다. 그는 로테르담의 에라스뮈스의 저서를 읽고 기독교 생활과 교회에 대한 관점에 영향을 받았다.[7] 뮌스터 반란 추종자들을 잘못 인도되었다고 여겼지만, 그들의 열정과 성경, 교회, 제자도에 대한 관점에 이끌렸다.

1535년, 그의 형제 피터가 재세례파 일원으로 볼스워드 근처 블룸캄프 수도원 점령에 참여했다가 살해당했다. 이후 메노는 정신적 위기를 겪으며 하나님께 간구했다.[8]

1537년경, 메노는 오베 필립스에게서 서품을 받았다. 그는 뮌스터 운동의 폭력을 거부하고, 세상과의 분리, 회개를 통한 세례를 강조했다.[9] 1544년까지 "메노파" 또는 "메니스트"라는 용어가 네덜란드 재세례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0]

메노 시몬스는 교회를 그리스도께 자발적으로 헌신한 훈련된 집단으로 보았다. 그는 성화를 평생에 걸친 과정으로 보았으며, 죄가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는다고 여겼다.[19]

3. 3. 평화주의와 비폭력

메노 시몬스는 1536년 1월 12일에 가톨릭 교회와 사제직을 거부하고 재세례파와 뜻을 같이했다.[5] 그가 정확히 언제 새로운 세례를 받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1536년 초 비트마르숨을 떠난 직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536년 10월, 헤르만과 게릿 얀스가 시몬스에게 은신처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참수당하면서, 그가 재세례파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 그는 1537년경 오베 필립스에게서 안수를 받았다. 오베와 그의 형제 디르크 필립스는 멜키오르 호프만의 평화주의적 제자 중 한 명이었다. 호프만은 동프리지아의 엠덴에서 신자들의 세례를 가르치고 시행함으로써 네덜란드에 최초의 자립적인 재세례파 회중을 소개한 인물이다. 메노 시몬스는 뮌스터 반란에서 보여준 폭력을 성경적이지 않다고 보아 거부했다.[9] 그의 신학은 이 세상과의 분리에 초점을 맞추었고, 회개를 통한 세례가 이를 상징했다.[5]

메노는 빠르게 영향력 있는 인물이 되었다. 1540년 이전에는 "영감주의자" 유형의 재세례파인 데이비드 요리스가 네덜란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도자였다. 그러나 1544년에는 "메노파" 또는 "메니스트"라는 용어가 네덜란드 재세례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0]

16세기에 암스테르담과 뮌스터의 일부 재세례파가 폭력과 살인에 가담했지만, 네덜란드 메노파는 일반적으로 경건하고 평화로운 모습을 보였다. 1539년 저서 『그리스도인의 세례』에서 메노 시몬스는 논쟁에 참여하는 것을 꺼린다고 밝혔는데, 이는 수년간 자신의 진정한 신념을 밝히기를 꺼린 데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20]

3. 4. 교회와 국가의 분리

메노 시몬스는 1536년 1월 12일에 가톨릭 교회와 사제직을 거부하고 재세례파에 합류했다.[5] 세례를 받은 정확한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536년 초 비트마르숨을 떠난 직후로 추정된다. 1536년 10월, 헤르만과 게릿 얀스가 메노 시몬스에게 숙소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참수되면서, 그가 재세례파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 그는 1537년경 오베 필립스에게서 서품을 받았다. 오베와 그의 형제 디르크 필립스는 멜키오르 호프만의 평화주의적 제자였다. 호프만은 네덜란드에 최초의 자립적인 재세례파 회중을 소개했으며, 동프리지아의 엠덴에서 신자들에게 세례를 주었다. 메노 시몬스는 뮌스터 반란에서 나타난 폭력적인 방식을 성경적이지 않다고 보아 거부했다.[9] 그의 신학은 이 세상과의 분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회개를 통한 세례를 강조했다.[5]

메노는 빠르게 영향력 있는 인물이 되었다. 1540년 이전에는 데이비드 요리스가 네덜란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재세례파 지도자였으나, 1544년에는 "메노파" 또는 "메니스트"라는 용어가 네덜란드 재세례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0]

3. 5. 그리스도의 신성

메노 시몬스는 예수가 마리아에게서 인간의 살과 피를 받은 것이 아니라, "천상의 육체"를 가졌다고 믿었다.[13] 그는 그리스도가 "그녀의 자궁에서가 아니라, 그녀의 자궁 안에 잉태되었다"고 말했다.[14] 메노는 과학적 훈련을 받지 않았지만,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과학 이론을 사용했다.[15]

3. 6. 출교

기로리몬(1995)은 메노 시몬스의 가르침을 개신교 종교 개혁가 존 칼빈(1509–64)의 가르침과 비교하며, 출교 문제를 중심으로 다룬다. 이 신학적 분석은 출교에 이르는 절차, 출교자에 대한 제재의 심각성, 회개한 개인의 복귀, 그리고 시민 처벌 등 네 가지 기본 원칙에 대해 두 지도자 간의 뚜렷한 대조를 강조한다. 칼빈과 메노는 각각 종교 개혁의 뚜렷한 흐름을 이끌었으며, 사회에서 교회의 기능에 이 극단적인 형태의 징계가 필수적이라고 믿었고, 신약성경에 표현된 출교의 기본적인 근거에는 동의했다.[16][17]

그러나 메노는 모든 죄에 대해 전체 교회 구성원이 시행하는 징계 과정을 구상한 반면, 칼빈은 목사단과 종교 회의가 식별한 특히 심각한 위법 행위에 대해서만 출교를 유보했다. 다른 의견 불일치 중에서도 칼빈은 특정한 형태의 비정통성에 대한 시민 처벌을 승인했지만, 메노는 엄격한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옹호했다. 그들은 교회 징계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견해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시몬스는 개종 후 인간의 완전성이 달성 가능하다고 보았지만, 칼빈은 인간의 타락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을 강조했다.[16][17]

4. 저술


  • Van de Geestlicke Verrijsenisse|영적 부활nl (ca. 1536)
  • De Nieuwe Creatuere|새로운 탄생nl (ca. 1537)
  • Christlicke Leringhen op den 25. Psalm|25편 시편 묵상nl (ca. 1538)
  • 내가 가르치고 글쓰기를 멈추지 않는 이유 (1539)
  • Dat Fundament des Christelycken Leers|기독교 교리의 기초nl (1539–40)[22]

참조

[1] 서적 Fan Fryslâns Forline Utjowerij A.J. Osinga 1968
[2] 웹사이트 Menno's life http://www.mennosimo[...] 2009-04-15
[3] 웹사이트 Menno Simons (1496–1561) http://www.gameo.org[...] 2009-04-20
[4] 웹사이트 Menno Simons' uitgang uit het Pausdom. http://www.dbnl.nl/t[...] 2009-04-20
[5] 백과사전 Mennonites
[6] 백과사전 Menno Simons
[7] 서적 Mennonites in the Russian Empire and the Soviet Union - Through Much Tribula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2
[8] 웹사이트 Menno Simon's Renunciation of the Church of Rome http://e-menno.org/r[...] 2007-04-13
[9]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Abingdon Press
[10] 서적 Mennonites in the Russian Empire and the Soviet Union: Through Much Tribula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2-10-27
[11] 웹사이트 Geertruydt (16th century) http://www.gameo.org[...] 2012-10-26
[12] 서적 The Dutch Anabaptists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1921-01-01
[13] 간행물 What Menno got wrong and the difference it makes https://anabaptistwo[...] 2014-08-01
[14] 간행물 The Doctrine of Incarnation According to Menno Simons https://jms.uwinnipe[...] 1990
[15] 간행물 Embryology and the Incarnation: A Sixteenth-Century Debate https://www.jstor.or[...] 1978
[16] 간행물 John Calvin and Menno Simons on Religious Discipline: A Difference in Degree and Kind 1995
[17] 간행물 "'Hand this Man over to Satan': A Comparison of John Calvin and Menno Simons on Excommunication" 1993
[18] 간행물 Menno Simons and the Bride of Christ 1996
[19] 간행물 Martin Luther and Menno Simons on Infant Baptism 1994
[20] 간행물 Present at the Inception: Menno Simons and the Beginnings of Dutch Anabaptism 1998
[21] 간행물 The Asceticism of Menno Simons 1998
[22] 웹사이트 Menno's Foundation-Book http://www.mennosimo[...] 2009-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