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즈빌 (미시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리즈빌은 미국 미시간주에 위치한 도시로, 1786년 제재소 건설로 시작되어 1919년 마을로 법인화된 후 1924년 시로 승격되었다. 19세기 초반부터 여러 사업가와 발명가들의 정착과 개발을 거쳐, 20세기 초에는 포드 자동차 회사의 엔지니어였던 C. 해럴드 윌스의 영향으로 '꿈의 도시'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는 다양한 산업 시설과 상업 시설을 갖춘 도시로, 특히 자동차 부품 산업이 발달했다. 메리즈빌은 세인트클레어 강을 경계로 캐나다와 인접해 있으며,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의 기지가 위치해 있다. 2020년 인구는 9,997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간주의 도시 - 그랜드래피즈
미시간주 서부에 위치한 그랜드래피즈는 그랜드 강을 따라 발달했으며 가구 산업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의료, 제조업, 기술 산업과 문화 행사, 관광 명소, 고등 교육 기관, 수제 맥주 문화로 유명하다. - 미시간주의 도시 - 홀랜드 (미시간주)
홀랜드는 1847년 네덜란드 칼뱅주의 분리주의자들이 정착하여 시작된 미시간주의 도시이며, 튤립 타임 페스티벌과 네덜란드 문화 행사로 유명하고, 시청/매니저 형태의 정부를 운영하며 호프 칼리지와 웨스턴 신학교 등의 교육 시설이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메리즈빌 (미시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메리즈빌 시 |
별칭 | "Purrsian Motherland" (퍼르시안 마더랜드) |
모토 | The City of Contented Living (만족스러운 삶의 도시) |
![]() | |
![]() | |
국가 | 미국 |
주 | 미시간주 |
카운티 | 세인트 클레어 카운티 |
정부 형태 | 시의회-매니저제 |
시장 | 캐시 헤이먼 |
설립 | 1919년 (빌리지), 1924년 (시) |
면적 | 총 면적: 21.54 km2 육지 면적: 18.98 km2 수역 면적: 2.56 km2 |
고도 | 186 m |
인구 | |
2020년 인구 | 9997명 |
인구 밀도 | 526.74명/km2 |
지리 및 위치 | |
기타 정보 | |
시간대 | 동부 (EST) |
UTC 오프셋 | -5 |
DST | EDT |
DST UTC 오프셋 | -4 |
우편 번호 | 48040 |
지역 번호 | 810 |
FIPS 코드 | 26-52080 |
GNIS 기능 ID | 1624715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메리즈빌의 역사는 1786년 앙투안 모라스(Antoine Morass)가 번스 크릭(Burnes Creek)에 제재소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9세기 초, 제파니아 W. 번스(Zephaniah W. Bunce), 멜드럼(Meldrum)과 파크(Park), 앤드류 맥(Andrew Mack) 대령 등이 세인트 클레어 강 유역에 정착하며 여러 작은 공동체를 형성했다. 에드워드 P. 비커리(Edward P. Vickery)가 세운 정착지 빅스버그(Vicksburg)는 1859년, 지역 제재소 소유주 넬슨 밀(Nelson Mill)의 아내 메리(Mary)를 기리기 위해 메리즈빌로 이름이 바뀌었다.[5][6]
20세기 초, 포드 자동차 회사 출신의 유명 엔지니어 C. 해럴드 윌스(C. Harold Wills)가 메리즈빌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헨리 포드의 오른팔로 여겨졌으며, 포드사를 떠나 1919년 메리즈빌에 자신의 자동차 회사인 C. H. 윌스 & 컴퍼니(C. H. Wills & Company)를 설립했다. 윌스는 자동차 생산뿐만 아니라 전기, 도로 등 도시의 초기 인프라 구축과 도시 계획에도 크게 기여하며 메리즈빌을 "꿈의 도시"로 만들고자 했다. 그의 자동차 공장은 1926년에 문을 닫았고, 대공황의 여파로 그의 원대한 도시 계획은 완전히 실현되지 못했지만, 그의 노력은 메리즈빌이 활기찬 지역 사회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했다.[7]
메리즈빌은 1919년에 마을로 법인화되었으며, 1924년에는 시로 승격되었다.
2. 1. 초기 정착과 발전
메리즈빌의 역사는 1786년 앙투안 모라스가 번스 크릭(Burnes Creek)에 제재소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817년, 제파니아 W. 번스(Zephaniah W. Bunce)는 세인트 클레어 강을 따라 올라와 이 제재소 자리에 정착하고 그곳을 번스 크릭이라고 명명했다. 이곳은 나중에 디트로이트 에디슨 메리즈빌 발전소의 부지가 되었다. 번스는 이후 우체국장이 되었고 미시간주 영토 의회의 일원이 되었다.[5]한편, 1792년에는 두 사업가 멜드럼(Meldrum)과 파크(Park)가 현재 커틀 크릭(Cuttle Creek)으로 알려진 곳에 제재소를 설립했다. 이 정착지는 현재 메리즈빌 남부에 위치하며, 두 개의 거리가 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디트로이트 출신이자 11대 시장이었던 앤드류 맥(Andrew Mack) 대령 역시 자신의 이름을 딴 거리를 가지고 있다. 그는 멜드럼 앤 파크의 제재소를 사들여 세인트 클레어 강을 따라 자신의 집과 잡화점을 지었다. 맥의 잡화점과 제재소가 있는 작은 정착지는 "맥스 플레이스"(Mack's Place)라고 불렸고 우체국도 설치되었다. 맥은 주의 하원의원이었고, 1812년 전쟁에서 대령으로 복무했으며,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의 공동 창립자였다. 앤드류 맥 대령과 그의 아내 아멜리아는 리버뷰 골프 코스 내 커틀 크릭 북쪽 강둑에 묻혔다.
이후 에드워드 P. 비커리(Edward P. Vickery)는 현재 메리즈빌의 휴런 대로(Huron Boulevard) 기슭에 정착했다. 그는 그곳을 비커리 랜딩(Vickery's Landing)이라고 명명했고, 주변 정착지는 결국 빅스버그(Vicksburg)로 알려지게 되었다. 1854년, 맥스 플레이스 우체국은 빅스버그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미시간주에는 이미 다른 빅스버그가 있었기 때문에, 1859년 넬슨 밀(Nelson Mill)의 아내 메리(Mary)를 기리기 위해 지명이 메리즈빌(Marysville)로 변경되었다.[6]
이 작은 정착지들은 발명가이자 엔지니어인 C. 해럴드 윌스(C. Harold Wills)에 의해 하나로 통합되었다. 그는 포드 자동차 회사에서 일했으며, 헨리 포드의 "오른팔"로 여겨졌다. 윌스는 초기 포드 자동차 모델 A부터 T까지의 설계에 기여했으며, 모델 S와 T에 사용된 유성 변속기를 포함한 많은 자동차 개선 사항을 발명했다. 그는 바나듐강 사용의 선구자였으며 오늘날에도 포드 제품에 사용되는 "블루 오벌" 로고를 디자인했다. 윌스는 1919년 포드사를 사임하고 메리즈빌로 이주하여 세인트 클레어 강둑에 C. H. 윌스 & 컴퍼니(C. H. Wills & Company)를 설립했다. 2년 후인 1921년, 첫 번째 윌스 스테. 클레어(Wills Sainte Claire) 자동차가 생산되었다(이름은 공장이 위치한 세인트 클레어 강에서 따왔다). 공장은 14,000대의 차량을 생산한 후 1926년에 폐쇄되었다.
윌스와 그의 파트너 존 리(John Lee)는 전기, 보도, 도로 등 메리즈빌 초기 인프라의 상당 부분을 제공했으며, 윌스는 메리즈빌의 거리 설계와 도시 계획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메리즈빌을 "꿈의 도시"라고 불렀다. 그의 회사가 문을 닫기 전에 개발된 주요 지역은 워싱턴 초등학교 주변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 사회는 대공황의 영향을 깊이 받았고, 윌스가 구상했던 도시의 비전은 완전히 실현되지 못했다. 20세기 후반의 주택 개발은 메리즈빌 시의 초기 전략 계획과는 다소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윌스의 노력 덕분에 메리즈빌 지역은 현재 활기찬 지역 사회로 성장할 수 있었다. 윌스의 옛 공장 부지에는 현재 크라이슬러의 모파(MOPAR) 부품 유통 시설이 들어서 있다.[7]
메리즈빌은 1919년에 마을로 법인화되었으며, 1924년에는 시로 승격되었다.
2. 2. 빅스버그와 메리즈빌
에드워드 P. 비커리(Edward P. Vickery)는 현재 메리즈빌의 휴런 대로(Huron Boulevard) 기슭에 정착하여 그곳을 '비커리 랜딩'(Vickery's Landing)이라고 이름 지었다. 이 정착지를 중심으로 주변 지역은 점차 '빅스버그'(Vicksburg)로 알려지게 되었다. 1854년에는 인근 '맥스 플레이스'(Mack's Place)에 있던 우체국이 빅스버그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미시간주에는 이미 다른 빅스버그가 존재했기 때문에, 혼동을 피하기 위해 1859년 지명을 변경하게 되었다. 새로운 이름인 '메리즈빌'은 당시 제재소(mill) 소유주였던 넬슨 밀(Nelson Mill)의 아내 메리(Mary)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6]2. 3. C. 해럴드 윌스와 도시 성장
이 작은 정착지들은 발명가이자 엔지니어인 C. 해럴드 윌스에 의해 하나로 통합되었다. 그는 포드 자동차 회사에서 근무하며 헨리 포드의 "오른팔"로 불릴 만큼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윌스는 초기 포드 자동차 모델 A부터 T까지의 설계에 기여했으며, 모델 S와 T에 사용된 유성 변속기를 포함한 여러 자동차 기술 개선 사항을 발명했다. 또한, 바나듐강 사용을 개척했으며 오늘날에도 포드 제품에 사용되는 "블루 오벌" 로고를 디자인했다.[6] 1919년 포드사를 떠난 윌스는 메리즈빌로 이주하여 세인트 클레어 강변에 C. H. 윌스 & 컴퍼니(C. H. Wills & Company)를 설립했다. 2년 뒤인 1921년, 공장의 위치를 따서 명명된 첫 번째 윌스 스테. 클레어(Wills Sainte Claire) 자동차가 생산되었다. 이 공장은 총 14,000대의 차량을 생산한 후 1926년에 문을 닫았다.윌스와 그의 사업 파트너 존 리(John Lee)는 메리즈빌의 초기 인프라 구축에 크게 기여했다. 전기, 보도, 도로 등을 마련하여 윌스는 메리즈빌의 거리 설계와 도시 계획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메리즈빌을 "꿈의 도시"라고 불렀다. 그의 회사가 문을 닫기 전까지 개발된 주요 지역은 워싱턴 초등학교 주변이었다. 그러나 대공황의 여파로 지역 사회는 큰 타격을 입었고, 윌스가 구상했던 도시의 완전한 모습은 실현되지 못했다. 20세기 후반의 주택 개발 역시 메리즈빌 시의 초기 전략 계획과는 다소 거리가 있게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윌스의 노력 덕분에 메리즈빌 지역은 오늘날 활기찬 공동체로 성장하는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윌스가 세웠던 공장 부지에는 현재 크라이슬러의 MOPAR 부품 유통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7]
메리즈빌은 1919년에 마을로 공식 설립되었으며, 1924년에는 시로 승격되었다.
2. 4. 법인화 및 현재
오늘날 메리즈빌은 중심 시가지가 없는 성장하는 지역 사회이다. 대부분의 소매점과 식당은 그라티오트 대로와 미시간 애비뉴를 따라 자리 잡고 있다. 시 행정 사무소, 경찰서, 소방서는 델라웨어 애비뉴에 위치한다. 대규모 산업 지역은 메리즈빌을 통과하는 M-29를 따라 도시 남쪽에 형성되어 있다. 시립 공원과 오래된 주거 지역은 휴론 대로를 따라 있으며, '솔트 블록'으로 알려진 주거 지역은 그라티오트 대로 근처 M-29에서 벗어난 곳에 있는데, 이곳은 원래 모튼 염료 회사(Morton Salt Company) 노동자들을 위해 건설된 곳이다.3. 지리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도시의 총 면적은 약 21.50km2이며, 이 중 약 18.93km2는 육지이고 약 2.56km2는 수역이다.[4] 메리즈빌은 미시간 썸의 일부로 간주되며, 블루 워터 지역에도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도시는 세인트클레어 강을 경계로 캐나다 온타리오주와 마주하고 있다. 북쪽으로는 포트 휴런, 남쪽으로는 세인트 클레어, 서쪽으로는 킴벌 타운십, 그리고 강 건너 동쪽으로는 온타리오주의 코루나와 접한다.
4. 인구
(내용 없음)
4. 1. 인구 통계
인구 조사 연도 | 인구 |
---|---|
1920 | 941 |
1930 | 1,405 |
1940 | 1,777 |
1950 | 2,534 |
1960 | 4,065 |
1970 | 5,610 |
1980 | 7,345 |
1990 | 8,515 |
2000 | 9,684 |
2010 | 9,959 |
2020 | 9,997 |
2019년 추정치 | 9,672[20] |
=== 2010년 인구 조사 ===
2010년 인구 조사[9]에 따르면, 시에는 9,959명의 인구, 4,160가구, 2,738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인구 밀도는 였다. 4,515개의 주택이 있었고 평균 밀도는 238.4/km2였다. 도시의 인종 구성은 백인 97.5%, 흑인 0.3%, 아메리카 원주민 0.2%, 아시아인 0.6%, 기타 인종 0.4%, 둘 이상의 인종 0.9%였다. 모든 인종의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은 인구의 1.8%였다.
4,160가구 중 29.8%가 18세 미만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었고, 53.1%가 함께 사는 부부였으며, 9.1%가 남편 없이 여성 가장이었고, 3.6%가 아내 없이 남성 가장이었으며, 34.2%가 비가족이었다. 전체 가구의 30.3%는 개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4.7%는 65세 이상인 사람이 혼자 살고 있었다. 가구당 평균 규모는 2.39명이었고, 가족당 평균 규모는 2.99명이었다.
도시의 중간 연령은 42세였다. 주민의 23.4%가 18세 미만이었고, 7%가 18세에서 24세 사이였으며, 24%가 25세에서 44세 사이였고, 28%가 45세에서 64세 사이였으며, 17.5%가 65세 이상이었다. 도시의 성비는 남성 48.1%, 여성 51.9%였다.
=== 2000년 인구 조사 ===
2000년 인구 조사[2]에 따르면, 이 도시에는 9,684명, 4,025 가구, 2,741 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인구 밀도는 538.8PD/km2였다. 4,180개의 주택이 있었으며, 평균 밀도는 232.6/km2였다. 도시의 인종 구성은 백인 98.18%, 흑인 0.18%, 아메리카 원주민 0.30%, 아시아인 0.43%, 태평양 섬 주민 0.01%, 기타 인종 0.33%, 둘 이상의 인종 0.57%였다. 모든 인종의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은 인구의 1.16%를 차지했다.
4,025가구 중 30.8%가 18세 미만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었고, 57.4%가 결혼한 부부가 함께 살고 있었으며, 8.0%는 남편 없이 여성 가장이 있었고, 31.9%는 비가족이었다. 전체 가구의 28.5%는 개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4.3%는 65세 이상인 혼자 사는 사람이 있었다. 가구당 평균 규모는 2.40명이었고, 가족당 평균 규모는 2.96명이었다.
이 도시의 인구는 18세 미만이 24.4%, 18세에서 24세가 6.9%, 25세에서 44세가 28.4%, 45세에서 64세가 23.3%, 65세 이상이 17.1%로 분포되어 있었다. 평균 연령은 39세였다. 여성 100명당 남성은 94.0명이었다. 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은 89.2명이었다.
이 도시의 가구 소득 중간값은 49299USD였고, 가족 소득 중간값은 60028USD였다. 남성의 소득 중간값은 47859USD였고, 여성은 27321USD였다. 이 도시의 1인당 소득은 23443USD였다. 약 3.1%의 가족과 4.6%의 인구가 빈곤선 아래에 있었는데, 여기에는 18세 미만이 5.1%, 65세 이상이 8.4%가 포함되었다.
4. 2. 인구 변화 추이
wikitext연도 | 인구 |
---|---|
1920 | 941 |
1930 | 1,405 |
1940 | 1,777 |
1950 | 2,534 |
1960 | 4,065 |
1970 | 5,610 |
1980 | 7,345 |
1990 | 8,515 |
2000 | 9,684 |
2010 | 9,959 |
2020 | 9,997 |
2019 (추정) | 9,672[20] |
5. 경제
오늘날 메리즈빌은 중심 시가지가 없는 성장하는 지역 사회이다. 대부분의 소매점과 식당은 그라티오트 대로(Gratiot Avenue)와 미시간 애비뉴(Michigan Avenue)를 따라 자리 잡고 있다. 시 행정 사무소, 경찰서, 소방서는 델라웨어 애비뉴(Delaware Avenue)에 위치한다. 대규모 산업 지역은 메리즈빌을 통과하는 M-29를 따라 도시 남쪽에 형성되어 있다. 시립 공원과 오래된 주거 지역은 휴론 대로(Huron Boulevard)를 따라 있으며, '솔트 블록'(Salt Blockeng)으로 알려진 지역은 그라티오트 대로 근처 M-29에서 벗어난 곳에 위치하는데, 이곳은 원래 모튼 염료 회사(Morton Salt Companyeng)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메리즈빌은 매우 발달된 산업 경제를 가지고 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인터테이프 폴리머( Intertape Polymereng) 공장과 뮬러 브라스( Mueller Brasseng) 공장이 있다. 또한, 최근 도시 남쪽 경계 근처에 완공된 에탄올 공장을 운영하는 메리즈빌 하이드로카본(Marysville Hydrocarbonseng)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메리즈빌에는 성장하는 산업 단지가 있으며, 여기에는 MOPAR 부품 유통 센터와 자동차 부품 공장(이전 크라이슬러( Chryslereng))이 포함된다.
과거 1973년, 컨슈머스 에너지( Consumers Energyeng)는 미시간주 메리즈빌 근처에 합성 가스 공장을 건설했다. 이는 당시 최초로 건설된 종류의 공장이었다. 1973년 메리즈빌 가스 개질 공장은 하루 최대 1억 입방 피트의 가스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1974년 두 번째 라인이 가동되면서 하루 2억 2천만 입방 피트의 가스를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량이 두 배로 증가했다. 이는 하루 50,000 배럴의 액체 탄화수소 원료로부터 생산된 양이다. 이 공장은 세인트 클레어 강 아래 파이프라인을 통해 온타리오에서 수입된 천연가스 액체를 사용했으며, 생산된 가스는 천연가스와 비슷한 품질을 가졌다. 한때 메리즈빌 가스는 미시간주 컨슈머스 파워 고객의 4분의 1 이상에게 에너지를 공급했으며,[12] 1973년 석유 파동 동안 컨슈머스 파워 고객이 겪는 영향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 공장은 1979년 경제적인 이유로 폐쇄되었다.[13] 현재 이 부지는 에탄올 정제 공장인 메리즈빌 하이드로카본이 사용하고 있으며, 많은 지역 옥수수 재배자와 엘리베이터가 에탄올 가공을 위해 곡물을 이곳으로 운송한다. 메리즈빌 하이드로카본은 인근 지역에서 유일한 에탄올 공장이다.
상업적으로 메리즈빌에는 메이어( Meijereng) 슈퍼마켓과 다수의 지역 사업체가 운영되고 있다.
6. 교육
메리즈빌 교육구는 메리즈빌 시와 세인트클레어 타운십, 킴벌 타운십의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11]
메리즈빌에는 초등학교 3곳, 중학교 1곳, 고등학교 1곳 등 총 5개의 학교가 있다.
- 메리즈빌 가든 초등학교
- 워싱턴 초등학교
- 모튼 초등학교
- 메리즈빌 중학교
- 메리즈빌 고등학교
7. 정부 및 정치
2019년 8월, 라디오 방송국 WPHM이 주최한 "후보자 만남" 포럼에서 메리즈빌 시의원 후보였던 진 크레이머의 발언이 논란을 일으켰다.[15] 그는 도시 인구 증가 방안에 대한 질문에 "가능한 한 메리즈빌을 백인 공동체로 유지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 발언은 인종 간 결혼과 이민자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해당 녹취록은 CNN,[16] 워싱턴 포스트,[17] 뉴욕 타임스[18] 등 주요 언론을 통해 국내외적으로 보도되었다. 크레이머는 이 사건 이후 선거 운동을 중단했으나, 실제 선거에서는 180표를 얻었다.[19]
8. 기후
이 기후 지역은 계절별 온도 차이가 큰 것이 특징이며, 여름은 덥거나 덥고 습하며, 겨울은 춥다(때로는 매우 춥다). 쾨펜 기후 구분 시스템에 따르면, 메리즈빌은 기후 지도에서 "Dfb"로 약칭되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다.[14]
9. 메리즈빌 기지: 국경 순찰대
메리즈빌은 1960년에 설립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 기지가 있는 곳이다. 원래 포트휴런에 위치해 있던 이 기지는 세인트클레어 강을 따라 메리즈빌의 리버 로드로 남쪽으로 이전되었다. 2007년 10월, 2600 Wills St.에 약 1532.90m2 규모의 새로운 시설이 문을 열었다.[10] 메리즈빌 기지는 세인트클레어 호, 세인트클레어 강 및 남부 휴런 호에서 미시간 썸까지의 미국-캐나다 국경을 담당한다. 이 관할 구역에는 인근의 국제 블루 워터 다리와 세인트클레어 터널이 포함된다.
10. 유명 인물
- 채드 빌린스, 하키 선수
- 에브리 애비뉴, 피어리스 레코드(Fearless Records) 소속 팝 펑크 밴드
- 해리 조셉 보우먼, 아웃로스 오토바이 클럽(Outlaws Motorcycle Club)의 전 국제 회장
참조
[1]
웹사이트
2020 U.S. Gazetteer Files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2-05-21
[2]
웹사이트
U.S. Census website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8-01-31
[3]
웹사이트
US Board on Geographic Names
http://geonames.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8-01-31
[4]
웹사이트
US Gazetteer files 201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11-25
[5]
웹사이트
Marysville Historical Museum
http://www.cityofmar[...]
2011-12-14
[6]
웹사이트
Chronology
http://www.cityofmar[...]
City of Marysville, Michigan
2015-03-21
[7]
웹사이트
Wills Sainte Claire Auto Museum of Classic Autos
http://www.willsauto[...]
2015-03-21
[8]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5-06-04
[9]
웹사이트
U.S. Census website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11-25
[10]
웹사이트
Marysville Station - CBP.gov
http://www.cbp.gov/x[...]
[11]
웹사이트
Marysville Public Schools Home
https://www.marysvil[...]
[12]
웹사이트
Detroit Free Press from Detroit, Michigan on January 18, 1976 · Page 70
https://www.newspape[...]
[13]
웹사이트
MichPSC-About MI's Gas Industry
http://www.dleg.stat[...]
2017-04-11
[14]
웹사이트
Marysville, Michigan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15]
웹사이트
Candidates say Marysville is a "welcoming city" after racial remark during forum
https://www.wphm.net[...]
[16]
웹사이트
She wanted to keep a Michigan city white. Now she's dropped her bid for office
https://www.cnn.com/[...]
2019-08-26
[17]
뉴스
This city wanted to be welcoming. Then a candidate vowed to 'keep Marysville a white community.'
https://www.washingt[...]
2019-08-24
[18]
뉴스
Candidate Who Said Michigan City Should be Kept White Quits Council Race
https://www.nytimes.[...]
2019-08-27
[19]
웹사이트
Marysville voters favor incumbents, Cramer finishes last
https://www.wphm.net[...]
[20]
웹인용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27
[21]
웹인용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5-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