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흐메트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흐메트 1세는 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에게 패배한 아버지 바예지드 1세가 포로로 잡힌 후 오스만 제국이 분열된 시기에 술탄 자리를 놓고 형제들과 경쟁했다. 그는 1413년 차무를루 전투에서 승리하여 제국을 재통일하고 술탄으로 즉위했으며, 알바니아, 잔다리드 토후국 등을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메흐메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두 번째 창건자"로 불리며, 1421년 사망할 때까지 제국을 안정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82년 출생 - 프란체스코 부소네 다 카르마뇰라
    프란체스코 부소네 다 카르마뇰라는 미천한 농민 출신으로 밀라노와 베네치아에서 활약한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로였으나, 권력 관계를 오판하여 반역죄로 참수되었다.
  • 1382년 출생 - 의안대군 (1382년)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덕왕후 강씨의 차남인 의안대군은 1392년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복형 이방원에게 살해당한 후 오원공, 소도군을 거쳐 의안대군으로 추증되었다.
  • 1421년 사망 - 회안대군
    태조 이성계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 이방간은 조선 건국 공신으로 회안군에 봉해졌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유배 생활을 하다 병사했고, 사후 고종 때 신원 회복되어 시호를 받았다.
  • 1421년 사망 - 안성 (1344년)
    안성 (1344년)은 (주제 1), (주제 2), (주제 3), (주제 4)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하위 주제 1.1), (하위 주제 1.2), (하위 주제 2.1), (하위 주제 2.2), (한국 관련 하위 주제 3.1), (한국 관련 하위 주제 3.2) 등을 포함한다.
메흐메트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메흐메트 1세 미니어처
16세기 원고의 메흐메트 1세 미니어처
이름메흐메트 1세
원래 이름چلبی محمد (Çelebi Mehmet)
그리스어 이름Κυριτζής (Kyritzis)
출생1386년경
출생지부르사, 오스만 제국
사망1421년 5월 26일
사망지부르사, 오스만 제국
매장지녹색 영묘, 부르사, 튀르키예
종교수니 이슬람
왕조오스만 왕조
아버지바예지드 1세
어머니데블레트 하툰
통치
즉위1413년 7월 5일
종료1421년 5월 26일
이전 통치자오스만 제국 공위 시대(1402–1413), 바예지드 1세
후계자무라트 2세
술탄오스만 제국 술탄(파디샤)
아나톨리아 술탄1403년 – 1413년 7월 5일
경쟁자쉴레이만 첼레비(1402–1411)
이사 첼레비(1403)
무사 첼레비(1411–1413)
무스타파 첼레비(1419–1421)
배우자
배우자에미네 하툰
샤자데 하툰
쿰루 하툰
자녀
자녀무라트 2세
셀축 하툰
무스타파 첼레비
기타
기타 정보
서명 유형투그라
서명Tughra_of_Mehmed_I.svg

2. 생애

1402년 아버지 바예지드 1세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 제국티무르에게 대패하여 포로가 되었다가 사망한 뒤, 오스만 제국은 티무르에 의해 바예지드의 아들들에게 나뉘었다. 메흐메트 1세는 이때부터 차기 술탄 자리를 두고 다른 형제들과 쟁탈전을 벌였다. 1404년 이사를 격파하고 부르사를 차지하였다. 1410년 티무르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돌아온 막내동생 무사가 루멜리아의 슐레이만을 격파하고 에디르네에서 독립하였다. 메흐메트는 무사와 싸우기 위해 비잔틴 제국 황제 마누엘 2세 팔라이올로고스와 동맹을 맺고 카무를루에서 무사를 격파하여 오스만 제국을 재통일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오스만 제국 분열기 (1402년 ~ 1413년)

1386년 또는 1387년에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와 그의 후궁 중 한 명인 데블레트 하툰의 아들로 태어났다. 1399년 청소년기에 룸 에얄레트(중앙 북부 아나톨리아)의 지방 총독으로 임명되어 통치 경험을 쌓았다.

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아버지 바예지드 1세가 티무르 제국티무르에게 대패하여 포로로 잡혔다. 메흐메트는 바예지드 파샤의 도움으로 아마시아로 피신했고, 이후 바예지드 파샤를 대재상(1413년 ~ 1421년)으로 임명했다.

초기 오스만 제국에는 명확한 계승 원칙이 없었기 때문에, 메흐메트는 쉴레이만 첼레비, 이사 첼레비, 무사 첼레비 등 다른 형제들과 권력 투쟁을 벌였다. 이 시기를 "오스만 제국 분열기"라고 부른다. 메흐메트는 티무르의 봉신으로 행동하며 세력을 키웠고, 1404년 이사를 격파하고 부르사를 차지했다. 이때 티무르의 포로가 되었다 돌아온 막내동생 무사는 1410년 루멜리아의 슐레이만을 격파하고 에디르네에서 독립하였다.

메흐메트의 라이벌 중 한 명인 무사


메흐메트는 무사와 싸우기 위해 비잔틴 제국 황제 마누엘 2세 팔라이올로고스와 동맹을 맺었다. 1413년 카무를루 전투에서 무사를 격파하고 오스만 제국을 재통일했다.[30] 메흐메트는 아이딘 후국, 사르한 후국, 테케 후국, 멘테셰 후국을 격파하고 다시 종주권을 인정받았다.[14][23]

다음은 메흐메트 1세의 초기 생애와 오스만 제국 분열기 주요 사건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사건
1386년메흐메트 1세 탄생
1402년앙카라 전투에서 아버지 바예지드 1세가 포로로 잡힘. 형제들과의 제위 쟁탈전 시작.
1404년이사를 격파하고 부르사 점령.
1409년동생 무사를 발칸 반도로 파견하여 술레이만을 협공.
1410년무사가 쉴레이만을 격파하고 에디르네에서 독립.
1411년술레이만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도주 중 전사.
1413년카무를루 전투에서 무사를 체포, 살해하고 제국 재통일.[30]


2. 2. 오스만 제국 재통일과 통치 (1413년 ~ 1421년)

1402년 아버지 바예지드 1세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 제국티무르에게 패배하여 포로가 되었다가 사망한 뒤, 오스만 제국은 티무르에 의해 바예지드의 아들들에게 분할되었다. 메흐메트 1세는 1413년 차무를루 전투에서 형제 무사를 격파하고 오스만 제국을 재통일하여 술탄으로 즉위했다.[12]

메흐메트 1세는 에디르네를 수도로 삼고, 알바니아, 잔다리드 토후국, 맘루크 왕조로부터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일부를 정복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다.[6] 이러한 업적 덕분에 메흐메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두 번째 창건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메흐메트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앙카라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가 돌아온 형제 무스타파 첼레비가 제국 분할을 요구하며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무스타파는 비잔틴 제국으로 도망쳐 렘노스 섬에 유배되었다.[6] 또한, 조카 오르한의 반란 음모를 사전에 차단하고 오르한을 실명시켰다.[6]

1416년에는 셰이크 베드레딘이 종교적, 사회적 반란을 일으켰다. 베드레딘은 재산 공유와 사유 재산 폐지 등 급진적인 주장을 펼쳤으나,[26][27] 1420년 메흐메트 1세의 대재상 바예지드 파샤에게 체포되어 세레스에서 처형되었다.[6]

같은 해, 겔리볼루 해전에서 오스만 해군이 베네치아 공화국 함대에 승리하여 다르다넬스 해협의 제해권을 회복했다.[12] 메흐메트 1세는 헝가리 왕국의 공격에 대비하여 보스니아 방면에 성채를 건설하기도 했다.[30]

1418년부터 1420년까지, 에게해 연안의 카라부룬 반도에서 베르클뤼세 무스타파와 토르락 등이 일으킨 종교 통합주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다.[34] 1419년에는 바예지드 1세의 왕자 무스타파를 사칭하는 가짜 무스타파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메흐메트 1세는 이들을 격파하고 가짜 무스타파는 콘스탄티노플로 망명했다.[30]

메흐메트 1세는 비잔티움 제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비잔티움 제국은 잠시 평화를 누렸다.[31]

메흐메트 1세 주요 사건
연도사건
1413년오스만 제국 재통일, 술탄 즉위
1416년겔리볼루 해전 승리, 다르다넬스 해협 제해권 회복
1418년 ~ 1420년아나톨리아와 발칸 반도에서 종교 반란 진압 (베르클뤼세 무스타파, 토르락 등)
1419년가짜 무스타파의 반란 진압


2. 3. 죽음과 유산

1421년 5월 26일 에디르네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은 아들 무라드 2세가 부르사에 입성하여 즉위할 때까지 비밀에 부쳐졌다.[30] 그는 부르사에 있는 예실 튀르베(녹색 영묘)에 안장되었는데, 이 묘소는 그가 건설한 예실 모스크 근처에 스스로 세운 것이다.[8]
그의 묘소인 부르사의 예실 튀르베
메흐메트 1세는 예실 모스크와 묘소 근처에 학교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식당을 설립하고 지원했다.

메흐메트 1세는 재통일된 제국의 술탄으로서 8년 동안 통치했지만, 오스만 제국 공백기 11년 동안 제국 대부분을 사실상 통치했다.[7] 그는 사망하기 전에, 아들 무라드 2세에게 왕위를 안전하게 넘겨주기 위해 조카 오르한 첼레비(술레이만의 아들)의 눈을 멀게 했고, 두 아들 유수프와 마흐무드를 비잔틴 제국 황제 마누엘 2세에게 인질로 보내 그의 형제 무스타파의 감금을 보장하려 했다.[8]

메흐메트 1세의 통치는 오스만 제국을 재건하고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노력은 이후 제국의 발전에 기여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바예지드 1세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사망하였다.[4]
어머니데블레트 하툰바예지드 1세의 후궁 중 한 명으로, 노예 출신이다.[9]
부인에미네 하툰둘카디르 베이국의 다섯 번째 통치자인 나시레딘 메흐메드 베이의 딸로, 1403년에 메흐메트 1세와 결혼했다.[9]
셰흐자데 하툰자니크 베이국의 쿠틀루샤의 세 번째 통치자인 디비다르 아흐메드 파샤의 딸이다.[9]
쿰루 하툰노예 출신의 첩이다.[9]
아들무라트 2세에미네 하툰 소생.[9]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었다.
무스타파 첼레비(퀴취크 무스타파)무라트 2세와 왕위를 다투다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마흐무트 첼레비1429년 8월 사망, 부르사의 예실 튀르베에 안장되었다.[10]
유수프 첼레비1429년 8월 사망, 부르사의 예실 튀르베에 안장되었다.[10]
아흐메트 첼레비유아기에 사망하였다.[10]
셀추크 하툰쿰루 하툰 소생.[9] 타제딘 이브라힘 2세 베이와 결혼 후, 아나돌루 베일레르베이 카라차와 재혼하였다.
일랄디 술탄 하툰이브라힘 2세 베이와 결혼했으나, 불행한 결혼 생활을 하였다.[9]
하티체 하툰카라차 파샤와 결혼하였다.[9]
하프사 하툰찬다르리 할릴 파샤의 아들인 마흐무트 베이와 결혼하였다.[9]
인주 하툰이사 베이와 결혼하였다.[9]
아이셰 술탄 하툰알라에딘 알리 베이와 결혼하였다.[9]
샤흐자데 시티 하툰시난 파샤와 결혼하였다.[9]
파트마 술탄 하툰키바메딘 카짐 베이와 결혼하였다.[9]


4. 정책

메흐메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을 재통일한 후 튀르크 귀족 세력을 우대하는 정책을 펼쳤다. 찬다르르 가문을 중심으로 하는 튀르크계 유력자들을 중용했으며,[28] 바예지드 1세 시기에 등용되었던 기독교도들을 궁정에서 추방했다.[28] 또한, 데브시르메를 통해 징용된 예니체리의 확장을 억제했다.[39]

메흐메트 1세는 제국 내에서 달비쉬(수피 수도승)의 영향력을 줄이고, 수니파 이슬람의 영향력을 강화했다.[12]

5. 평가

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아버지 바예지드 1세티무르 제국티무르에게 패배하고 포로로 잡혀 사망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혼란에 빠졌으나, 메흐메트 1세는 형제들과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고 제국을 재통일하였다. 그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지역, 즉 트라키아 도시인 에디르네에서 술탄의 자리에 올랐다.

메흐메트 1세는 알바니아, 잔다리드 토후국, 그리고 맘루크로부터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일부를 정복하는 등 많은 업적을 통해 제국을 안정시켰다. 이러한 업적 덕분에 메흐메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두 번째 창건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6]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셰이크 베드레딘이 이끄는 사회적, 종교적 운동이 일어나 제국이 혼란에 빠지기도 했다. 베드레딘은 부자와 가난한 자 사이의 사회적 차이와 다양한 형태의 일신교 간의 장벽을 없애는 것을 옹호했다.[6] 그러나 메흐메트 1세는 이 반란을 진압하고 베드레딘을 처형함으로써 제국의 안정을 되찾았다.

참조

[1] 서적 The Essential World History, Volume II: Since 1500 https://books.google[...]
[2] 서적 The Rise of Turkey: The Twenty-First Century's First Muslim Power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1977
[4] 서적 The Sons of Bayezid: Empire Building and Representation in the Ottoman Civil War of 1402-1413 Brill 2007
[5] 서적 Osmanlılarda madenî paralar: Yapı ve Kredi Bankasının Osmanlı madenî paraları kolleksiyonu Yapı ve Kredi Bankası 1968
[6] 서적 Europe and the Islamic World: A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7] 문서 Meḥemmed I 1991
[8] 웹사이트 MEHMED I https://islamansiklo[...]
[9] 서적 Padişahların kadınları ve kızları Ankara, Ötüken 2011
[10] 서적 The Ottoman Empire, 1300–1650: The Structure of Power Palgrave Macmillan 2009-08-26
[11] 서적 トルコ 2
[12] 서적 トルコの歴史
[13] 서적 改訳 トルコ史
[14] 서적 改訳 トルコ史
[15] 서적 改訳 トルコ史
[16] 서적 オスマン・トルコ 世界帝国建設の野望と秘密
[17] 서적 トルコ 2
[18] 서적 オスマンvsヨーロッパ 「トルコの脅威」とは何だったのか
[19] 서적 トルコの歴史
[20] 서적 オスマンvsヨーロッパ 「トルコの脅威」とは何だったのか
[21] 서적 オスマン・トルコ 世界帝国建設の野望と秘密
[22] 서적 トルコ 2
[23] 서적 トルコの歴史
[24] 서적 オスマンvsヨーロッパ 「トルコの脅威」とは何だったのか
[25] 서적 岩波イスラーム辞典 岩波書店 2002-02
[26] 서적 オスマン・トルコ 世界帝国建設の野望と秘密
[27] 서적 岩波イスラーム辞典
[28] 서적 オスマンvsヨーロッパ 「トルコの脅威」とは何だったのか
[29] 문서
[30] 서적 改訳 トルコ史
[31] 서적 ビザンツ帝国史 東海大学出版会 1999-02
[32] 문서
[33] 서적 新イスラム事典
[34] 서적 オスマン・トルコ 世界帝国建設の野望と秘密
[35] 서적 トルコ 2
[36] 서적 オスマン・トルコ 世界帝国建設の野望と秘密
[37] 서적 オスマン・トルコ 世界帝国建設の野望と秘密
[38] 서적 オスマンvsヨーロッパ 「トルコの脅威」とは何だったのか
[39] 서적 オスマン・トルコ 世界帝国建設の野望と秘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