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안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안대군은 조선 태조와 신의왕후의 넷째 아들로, 고려 말 관직에 올라 조선 건국 후 개국익찬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398년 동생 정안군(태종)이 일으킨 정변에 가담하여 정사공신이 되었으나, 이후 왕위 계승을 노리고 정안군과 대립하여 유배되었다. 유배 생활 중 회안대군으로 봉해졌으며, 여러 차례 사면을 요청했으나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홍주에서 사망했다. 사후 양희공의 시호가 증시되었고, 숭덕사가 건립되었으며, 현재 묘소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64년 출생 - 크리스틴 드 피장
크리스틴 드 피장은 프랑스 최초의 직업 여성 작가로, 여성 옹호적인 작품과 정치적 저술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여인들의 도시의 책》 등을 저술하며 유럽 최초의 여성 작가로 평가받는다. - 1364년 출생 - 헨리 퍼시 (홋스퍼)
헨리 퍼시는 용맹한 기질과 군사적 재능으로 활약한 14세기 잉글랜드 귀족으로, 헨리 4세 즉위에 기여했으나 반란을 일으켜 슈루즈베리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핫스퍼'라는 별명과 셰익스피어 희곡, 토트넘 홋스퍼 FC 명칭에 영향을 미쳤다. - 1421년 사망 - 안성 (1344년)
안성 (1344년)은 (주제 1), (주제 2), (주제 3), (주제 4)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하위 주제 1.1), (하위 주제 1.2), (하위 주제 2.1), (하위 주제 2.2), (한국 관련 하위 주제 3.1), (한국 관련 하위 주제 3.2) 등을 포함한다. - 1421년 사망 - 메흐메트 1세
메흐메트 1세는 바예지드 1세의 아들이자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오스만 제국 공백기 동안 형제들과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제국을 재통일하고 안정적인 통치를 확립하여 "오스만 술탄국의 두 번째 창건자"로 불린다. - 조선의 공작 - 익안대군
익안대군은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아들로, 조선 건국 후 익안군에 봉해지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온후하고 검소한 성품으로 마한 공정공에 추봉, 정종의 묘정에 배향, 영종정경부사에 추증되었다. - 조선의 공작 - 태종 (조선)
태종은 조선의 제3대 왕으로, 왕자의 난을 통해 즉위하여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 체제 확립에 힘썼으나, 공신과 외척을 숙청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회안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마한공 회안군 회안대군 |
휘 | 이방간 |
시호 | 양희공 |
호 | 망우당 |
출생일 | 고려 공민왕 13년(1364년 7월 2일) |
출생지 | 함경도 함흥부 귀주동 |
사망일 | 조선 세종 3년 (1421년 4월 10일) (56세) |
사망 원인 | 병사 |
매장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금상동 법사산(法史山. 일명 법수뫼) |
거주지 | 고려 개성 조선 한성 |
국적 | 조선 |
왕가 | 전주 이씨 |
왕조 | 조선 |
종교 | 유교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조선 태조 |
어머니 | 신의왕후 |
형제 | 진안대군 조선 정종 익안대군 조선 태종 덕안대군 무안대군 의안대군 |
배우자 | 삼한국대부인 여흥 민씨 삼한국대부인 밀양 황씨 금릉부부인 김포 금씨 |
자녀 | 의령군 이맹중 창녕군 이태 금성군 이선 금산군 이중군 성혜옹주 신혜옹주 양혜옹주 |
2. 생애
조선 태조와 신의왕후 사이의 넷째 아들로 태어난 회안대군은 고려 말 관직에 올라 소윤을 역임했고,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392년 회안군에 봉해졌고, 1398년 회안공으로 개봉되면서 의흥삼군부 좌군절제사를 역임했으며, 1401년 회안대군이 되었다.
1398년 동생 정안군이 정도전을 제거하는 정변에 가담하여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1399년 풍해도와 서북면의 병권을 관할하였다. 형 정종에게 적장자가 없자 왕위 계승에 야심을 품고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여 유배되었다.[2]
유배지는 경기도 안산군, 익주(益州), 전라도 순천성, 전주부 완산, 황해도 토산 등으로 계속 옮겨졌다. 안산에 있을 때는 전지(田地)와 식읍을 받았으며, 매월 초1일에는 한양에 출입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으나, 의정부와 양사의 지속적인 탄핵을 받았다. 1400년 9월 문하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종은 그의 배소를 익주로 옮겼다.[12]
태종 즉위 후에도 사형 탄핵이 빗발쳤지만, 태종은 그를 배려하여 병석에 누웠을 때는 직접 의원을 보내 치료를 받게 하였다. 1401년 유배 중에 회안대군으로 봉작이 개정되었다.
1416년(태종 16년) 태종은 회안대군의 작위와 공신녹권, 직첩, 아들 의령군의 직첩을 모두 회수하였다. 그는 한강을 건너지 않겠다고 다짐했고, 1418년 태종이 아들 세종에게 양위한 뒤 한양으로 올라올 것을 명했지만 거절하였다. 이후 심종(沈水+宗) 등과 모종의 거사를 계획하였지만 실패하였다.
1421년(세종 3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 홍주(洪州)에서 병사하였다.[12] 태종의 권고로 병중에 상경하던 중 사망한 것이다. 태종은 국장(國葬)으로 장례를 치르게 하였다.
2. 1. 출생과 가계
조선 태조와 신의왕후 안변 한씨 사이의 넷째 아들로 함경도 함흥부 귀주동에서 태어났다.[7] 고려 말 관직에 올라 소윤(軍器寺少尹)을 역임했고, 1392년(고려 공양왕 4년) 7월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했을 때 개국익찬공신 1등에 책록되고 현록대부의 벼슬을 받았으며 마한공(馬韓公)에 봉작(封爵)되었다.'''부모'''
- 부친: 조선 태조 (1335년 11월 4일 – 1408년 6월 27일)
- 모친: 신의왕후 한씨 (1337년 9월 – 1391년 10월 21일)
'''배우자와 자녀'''
부인 | 자녀 |
---|---|
삼한국대부인 여흥 민씨 (?–1407) | 의령군 이맹중 (1385년 2월 15일 – 1423년 7월 11일), 장남 |
삼한국대부인 밀양 황씨 | |
금릉부부인 김포 금씨 | |
첩: 춘천 박씨 | |
첩: 백종[5] |
2. 2. 관직 생활과 조선 개국
고려 말 관직에 올라 군기시 소윤(軍器寺少尹)을 역임했고, 1392년(고려 공양왕 4년) 7월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했을 때 개국익찬공신 1등에 책록되고 현록대부의 벼슬을 받았으며 마한공(馬韓公)에 봉작(封爵)되었다. 1392년(조선 태조 1년) 8월 25일 회안군(懷安君)에 봉군되었고,[11] 1398년 회안공으로 개봉되면서 의흥삼군부[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6795/ 좌군절제사]를 역임했다. 제2차 왕자의 난으로 유배 중인 1401년(태종 1년) 회안대군이 되었다.2. 3. 왕자의 난
1398년(태조 7년) 8월 동생 정안군이 정도전을 제거하는 정변을 일으킬 때 가담하여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399년(정종 1년) 풍해도, 서북면의 병권을 관할하였다.형 정종에게 적장자가 없자, 왕위 계승에 야심을 품었던 그는 1400년(정종 2년) 제2차 왕자의 난 때 정안군과 충돌하여 패하고, 한양 서동(西洞)으로 퇴각하다가 아들 의령군 맹중과 함께 생포되었다.[2] 곧 아들 의령군 맹중과 함께 황해도 토산현(兎山縣)에 안치되었다. 이때 정안군은 그를 석방하려 하였지만 신하들은 그를 정죄할 것을 계속 청하였다.
2. 4. 유배 생활과 최후
1400년 9월 문하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종은 회안대군을 익주(益州)로 유배하였다.[12] 태종 즉위 후에도 회안대군을 사형에 처해야 한다는 탄핵이 빗발쳤지만, 태종은 그를 배려하여 병석에 누웠을 때는 직접 의원을 보내 치료를 받게 하였다. 1401년(태종 1년) 유배 중에 회안대군으로 봉작이 개정되었다. 같은 해 6월 태종은 그를 다시 한양으로 소환하려 했지만 신료들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그 후 회안대군은 스스로 본관지인 전주로 내려갈 것을 청하여 허락받고 전주부 동용진면으로 내려와 20년간 거주하였다. 본부인 여흥 민씨가 죽자 1411년(태종 11년) 병마사를 지낸 춘천부 출신 박인간(朴仁幹)의 딸과 혼인하였다고 알려져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박인간의 형 박도간(朴道幹)의 서녀를 첩으로 삼은 것이었다.1416년(태종 16년) 태종은 회안대군의 작위와 공신녹권, 직첩, 아들 의령군의 직첩을 모두 회수하였다. 그는 한강을 건너지 않겠다고 다짐했고, 1418년(세종 즉위년) 태종이 아들 세종에게 양위한 뒤 한양으로 올라올 것을 명했지만 거절하였다. 이후 심종(沈水+宗) 등과 모종의 거사를 계획하였지만 실패하였다.
1421년(세종 3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 홍주(洪州)에서 병사하였다.[12] 태종의 권고로 병중에 상경하던 중 홍주군 은진에서 사망한 것이다. 태종은 사람을 보내 국장(國葬)으로 장례를 치르게 하고 지관을 보내 시신을 전주부 동용진면 금상동 법사산(현 전주시 덕진구)으로 운구하여 안장하였다. 그러나 선원보략에서 퇴출된 것은 복권되지 않았다.
3. 사후
회안대군의 후손들은 여러 번 회안대군의 신원과 왕족으로서의 복권을 상소하였다. 1513년(중종 8) 전라도 관찰사는 회안대군 후손들의 복권 요청을 중종에게 올렸으나 묵살당했다. 1605년(선조 38년) 회안대군의 후손들은 선조에게 상소하여 선원록에 넣어줄 것을 청하자 선조는 태조의 후손이라 하여 선원록에 수록을 허하였고, 1607년부터 선원록에 포함되었다. 적순부위를 지낸 4대손 이유(李愈)의 상소로 선조는 그의 사당 숭덕사(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2호)를 건립하였다. 그러나 회안대군의 후손들은 군역에 계속 징집되었고 1640년(인조 18년) 상소를 올려 징역에서 면제되었다.[4]
1863년(철종 14년) 판서 신석우의 상소로 양희공의 시호가 내려졌고, 1869년(고종 6년) 불천지위가 내려졌다. 1872년(고종 9년) 고종에 의해 영종정경부사의 증직이 추가되었다. 대한민국에 와서 그의 묘소는 전라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23호 회안대군묘로 지정되었다.[4]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환조 | |
조모 | 의혜왕후 | |
아버지 | 태조 | |
어머니 | 신의왕후 | |
형 | 진안대군 이방우 | |
형 | 영안대군 이방과 | 조선 정종 |
형 | 익안대군 이방의 | |
동생 | 정안대군 이방원 | 조선 태종 |
동생 | 덕안대군 이방연 | |
동생 | 경신공주 | |
동생 | 경선공주 | |
정부인 | 삼한국대부인 여흥 민씨 | |
장남 | 의령군 이맹중 | |
첫째 며느리 | 정원부원군 개성 왕씨 | 왕균의 딸 |
첫째 며느리 | 청주 한씨 | 주부 한기의 딸 |
손자 | 영평정 이온 | |
손자 며느리 | 동래 정씨 | |
1계부인 | 삼한국대부인 밀양 황씨 | [13] |
차남 | 창녕군 이태 | [14] |
둘째 며느리 | 밀양부인 | 박무현의 딸 |
손자 | 덕림정 이백 | |
손자 며느리 | 장성 노씨 | |
손자 | 호산정 이회 | |
손자 며느리 | 장성 노씨 | |
장녀 | 성혜옹주 | [15] |
첫째 사위 | 상호군 조신언 | |
외손자 | 조묵 | |
차녀 | 신혜옹주 | |
둘째 사위 | 군수 이대생 | |
삼녀 | 양혜옹주 | |
셋째 사위 | 부사 박경무 | |
2계부인 | 금릉부부인 김포 금씨 | [16] |
삼남 | 금성군 이선 | |
셋째 며느리 | 장흥 조씨 | |
손자 | 장산정 이형 | |
손자 며느리 | 문화 유씨 | |
손자 | 평산정 이말 | |
손자 며느리 | 장수 황씨 | |
사남 | 금산군 이중군 | |
넷째 며느리 | 장흥 조씨 | 조연의 딸 |
손자 | 정안정 이분 | |
손자 며느리 | 동래 정씨 | |
손자 | 정평군 이종 | |
손자 며느리 | 남양 홍씨 | |
손자 며느리 | 김해 김씨 | |
손녀 | 전주 이씨 | |
손녀 사위 | 진사 신석정 | |
첩부인 | 춘천 박씨 | [17][18][19] |
첩부인 | 백종 | [20] |
5. 기타
회안대군의 첫 부인 여흥 민씨의 묘소는 여주에 있다고 하였으나 실전되었다. 둘째 부인 밀양 황씨의 묘소는 서산군 사현리 갑좌에 있고, 전주부에는 셋째 부인 김포 금씨와 상하 쌍분으로 조성되었다.[1]
6. 대중 매체에서
참조
[1]
웹사이트
Taejong of Joseon
https://www.worldhis[...]
[2]
서적
The Land of Scholars: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Confucianism
[3]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Veritable Records of Sukjong, Vol.10, Chapter 61
[4]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Veritable Records of Sejong
[5]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Veritable Records of Taejong, Vol.34
https://sillok.histo[...]
[6]
문서
회안대군 묘(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금상동 - 유형문화재 제123호)
[7]
문서
증(贈) 문하부사(門下府事) 한경(韓卿)의 딸
[8]
문서
판서(判書) 증(贈)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의 딸
[9]
문서
판서(判書) 황형(黃亨)의 딸
[10]
문서
정랑(正郎) 금인배(琴仁排)의 딸
[11]
문서
여러 왕자를 군으로 봉하다.
[12]
문서
이방간이 홍주에서 병들어 죽다.
[13]
문서
판서 황형의 딸
[14]
문서
이방간의 자손을 《선원록》에 기록하게 하다.
[15]
문서
성혜 옹주의 졸기
[16]
문서
정랑 금인배의 딸
[17]
문서
충주 목사 박도간의 딸
[18]
문서
환자 정사징을 베다.
[19]
문서
경상도 수군 도절제사 박인간을 파직하다.
[20]
문서
화산군 장사정을 상주에 내치다.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