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인전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인전은 프로와 아마추어가 참여하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이다. 1969년 시작되어 토너먼트, 리그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재는 패자 부활전 방식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결승은 3번기로 치러진다. 2023년 기준, 우승 상금은 7천만 원, 준우승 상금은 2천 5백만 원이며, SG그룹이 후원하고 한국일보와 한국기원이 공동 주최한다. 역대 최다 우승자는 이창호이며, 조훈현은 최다 결승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인전 - 32기 SK 엔크린배 명인전
    32기 SK 엔크린배 명인전은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진행된 바둑 기전으로, 이창호 9단이 유창혁 9단을 꺾고 우승했으며, 이 우승으로 이창호 9단은 명인전 4연패와 통산 10회 우승을 기록했다.
  • 명인전 - 33기 SK 엔크린배 명인전
    안조영 9단이 이창호 9단과의 도전 5번기에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한 33기 SK 엔크린배 명인전은 2002년과 2003년에 걸쳐 진행된 바둑 기전이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 - 여류명인전 (한국)
    여류명인전은 한국기원에서 주최하는 여성 바둑 기전으로, 8명의 본선 진출자가 패자부활전 방식 토너먼트를 거쳐 전기 여류명인과 도전 3번기를 통해 최종 우승자를 가리며, 루이 나이웨이 9단과 최정 9단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 - KBS 바둑왕전
    KBS 바둑왕전은 1980년부터 KBS에서 방영된 한국 바둑 TV 프로그램으로, 국내 정상급 프로 기사들의 속기 대국을 방송하며 한국 바둑 발전에 기여했고, 조훈현과 이창호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대회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명인전 (대한민국)
대회 정보
주최한국기원
후원SG그룹
기전 명칭SG배 한국 명인전
우승 상금6,000만원
준우승 상금2,000만원
제한 시간각자 2시간, 초읽기 5회 40초
6집반
전기 우승자신진서
역사
창설1968년
중단2015년
재개2021년

2. 대회 방식

프로와 아마추어가 모두 참가하는 통합 예선을 거쳐 16명이 본선에 올라 토너먼트를 벌인다. 제한시간 2시간, 초읽기 1분 3회가 주어지며, 덤은 6집 반이다. 준결승은 3번기, 결승은 5번기이다.[7] 2023년 기준으로 우승 상금은 7000만이며, 준우승 상금은 2500만이다.[5] 명인전은 SG그룹이 후원하며, ''한국일보''와 한국기원이 공동 주최한다.[3]

2. 1. 변천 과정

34기까지는 도전기로 치러졌다. 이후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했다. 5년 만에 재개된 44기부터는 16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채택했다.[7]

기수방식특징
1-30기토너먼트전, 도전기 5번기덤 5.5집
31-34기8인에 의한 리그전, 도전기 5번기덤 6.5집
35-36기10인에 의한 리그전, 리그 상위 2인에 의한 결승 5번기리그 상위 3명이 차기 시드. 덤 6.5집. 제한 시간 각 2시간, 60초 초읽기 3회. 35기는 34기 명인 이창호와 예선 통과자 9인의 10인 리그전.
37-38기12인에 의한 A, B조 각 6명씩 양대 리그전 후, 상위 각 2명(총 4인)의 토너먼트전. 준결승 3번기, 결승 5번기.덤 6.5집. 제한 시간 각 2시간, 60초 초읽기 3회. 37기에는 36기 명인 이세돌 휴업으로 불참.
39-43기예선 통과자와 시드 기사 총 16명에 의한 토너먼트전, 결승 5번기
44기 이후패자 부활전 방식의 토너먼트, 결승 3번기제한 시간 각 2시간, 1분 초읽기 3회.[7]


2. 2. 현행 방식 (44기 이후)

44기부터는 패자 부활전 방식의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된다.[7] 프로와 아마추어가 모두 참가하는 통합 예선을 거쳐 16명이 본선에 진출하여 토너먼트를 벌인다. 준결승은 3번기, 결승은 5번기이다. 제한 시간은 각 2시간, 초읽기 1분 3회가 주어지며, 덤은 6집 반이다. 우승자는 8000만을, 준우승자는 2400만을 받는다.[7]

3. 역대 우승자 및 준우승자


4. 기록

연도우승결과상대
11968조남철1-0김인
21969김인3-1조남철
31970조남철3-2김인
41971서봉수3-1조남철
51972서봉수3-0정창현
61973서봉수3-1조훈현
71974서봉수3-0조남철
81976서봉수3-0윤기현
91977조훈현3-1서봉수
101978서봉수3-1조훈현
111979조훈현3-2서봉수
121980조훈현3-1서봉수
131981조훈현3-1서봉수
141982서봉수3-2조훈현
151984조훈현3-1서봉수
161984조훈현3-0김수장
171985조훈현3-1서봉수
181987조훈현3-0장두진
191988조훈현3-0서봉수
201989조훈현3-0서봉수
211990조훈현3-1이창호
221991이창호3-0조훈현
231992이창호3-1양재호
241993이창호3-2유창혁
251994이창호3-0임선근
261995이창호3-0양재호
271996이창호3-2최명훈
281997조훈현3-2이창호
291998이창호3-1조훈현
301999이창호3-1최명훈
312000이창호3-0조훈현
322001이창호3-2유창혁
332002이창호3-1안조영
342003이창호3-2조훈현
352007이세돌3-0조한승
362008이세돌3-1강동윤
372009이창호3-1원성진
382010박영훈3-2원성진
392011박영훈3-1백홍석
402012이세돌3-2백홍석
412013최철한3-2이세돌
422014박영훈3-1이동훈
432016이세돌3-1박정환
442021신진서2-1변상일
452022신민준2-0신진서
462023신진서2-0변상일
472024박정환2-0이지현


5. 역대 우승/준우승 횟수

바둑 기사우승준우승비고
이창호132최다 우승
조훈현127최다 결승 진출
서봉수78최다 준우승
이세돌41
박영훈3
김인21최초 준우승
신진서21
조남철14최초 우승
박정환11최근 우승
신민준1
최철한1
백홍석2
변상일2
양재호2
원성진2
유창혁2
최명훈2
강동윤1
김수장1
안조영1
윤기현1
이동훈1
임선근1
장두진1
정창현1
조한승1
이지현男1최근 준우승


6. 후원

명인전은 과거 강원랜드의 후원을 받았다.

2023년 기준으로 우승 상금은 7000만이며, 준우승 상금은 2500만이다.[5] SG그룹이 후원하며, 한국일보한국기원이 공동 주최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전통의 명인전 부활한다 http://www.baduk.or.[...] 2020-12-04
[2] 웹사이트 时隔5年 韩国名人战再次重启 https://k.sina.com.c[...] 2020-12-11
[3] 웹사이트 SG배 명인전, 본선 개막식 열려 http://www.baduk.or.[...] 2021-02-05
[4] 웹사이트 "[제44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역전의 달인' 신진서, 생애 첫 명인 품었다" https://www.hankooki[...] 2021-08-07
[5] 웹사이트 "[SG배 한국일보 명인전]신진서, 제46기 명인전 우승" https://www.hankooki[...] 2023-12-16
[6] 웹사이트 박정환 9단, 생애 첫 ‘명인’ 타이틀 획득…’제47기 명인전’ 우승 https://www.hankooki[...] 2024-12-11
[7] 뉴스 韓国棋院「申眞諝、名人獲得し国内5冠」 http://www.baduk.or.[...] 2021-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