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나도필로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나도필로사는 유각류를 포함하는 유각 사상근 아메바류이며, 세르코모나스류도 포함하는 생물 분류군이다. 해양, 담수 환경, 이끼 등에서 서식하며, 유각류, 세르코모나스류 등으로 구성된다. 메트로모나데아강, 헬케아강, 사르코모나스강, 임브리카테아강, 테코필로사강, 규질필로사강 등 여러 하위 분류를 포함하며, 2019년 리자리아 계통 분류 및 육질편모충류 분류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자리아 - 유공충류
    유공충류는 리자리아에 속하는 주요 분류군으로, 사족충류와 함께 리자리아를 구성하며 유공충아문, 다공낭충류, 방사극충강을 포함한다.
  • 리자리아 - 엔도믹사
    엔도믹사는 리자리아계 사족충류에 속하는 생물 분류군으로, 필로사, 유공충류, 방사극충강과 함께 사족충류를 구성하며, 마리믹사상강, 프로테오믹사상강 등을 하위 분류로 가진다.
모나도필로사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학문적 계급상강
학명Monadofilosa
명명자Cavalier-Smith, 1997
하위 분류 계급
하위 분류메트로모나스강
헬케스강
사르코모나스강 (측계통군)
테코필로사강

2. 분류

모나도필로사는 유각류(유각 사상근 아메바류)와 세르코모나스류를 포함한다.

때때로 유각사상류(Testaceafilosia) 및 사르코모나스강(Sarcomonadea)으로 묘사되기도 한다.[3] 또한 사르코모나데아, 테코필로세아, 스폰고모나데아, 임브리카테아로 묘사되기도 한다.[4]


  • 유각류는 해양 및 담수 환경과 이끼에서 서식하며, 유글리파 등이 있다.
  • 세르코모나스는 후방 섬모 위에서 미끄러지거나 사상족을 생성하는 편모충으로, Cryothecomonas, Thaumatomonas, Cercomonas 등을 포함한다.


모나도필로사는 때때로 아문(subphylum)이 아닌 상강(superclass)으로 취급되며, Sainouron이 포함되기도 한다.[5]

2. 1. 하위 분류

모나도필로사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9]

계통 분류하위 분류
카타비과(Katabiidae)(불명확)
의사두형목(Pseudodimorphida)(불명확)
세르코모나스목(Cercomonadida)
헬케아강(Helkesea)
메트로모나스강(Metromonadea)
글리소모나스-판소모나스(Glissomonadida-Pansomonadida)
벤트리필로사강(Ventrifilosa)테코필로사강(Thecofilosea)?헤미마스티고목(Hemimastigida)에오테시아아강(Eothecia)?보툴리포름과(Botuliformidae)마타지다목(Matazida)에브리아목(Ebriida)크리오모나스목(Cryomonadida)테크토시아아강(Tectosia)테크토필로스목(Tectofilosida)파에오다리아강(Phaeodaria)에오다리아목(Eodarida)오팔로콘치다목(Opaloconchida)규질필로사강(Silicofilosea)플라코페르라아강(Placoperla)페르라티아상목(Perlatia)페르로필리다목(Perlofilida)스폰고모나스목(Spongomonadida)플라코필라상목(Placofila)조엘루카시다목(Zoelucasida)로토스파에리다목(Rotosphaerida)타우마토모나스목(Thaumatomonadida)플라코누다아강(Placonuda)?디스코켈리다목(Discocelida)?디스코모나스목(Discomonadida)유글리피아(Monadofilosa)상목(Euglyphia)유글리피다목(Euglyphida)누디사르카상목(Nudisarca)바리기리시다목(Variglissida)마리모나스목(Marimonadida)



일부 자료에서는 유각사상류(Testaceafilosia) 및 사르코모나스강(Sarcomonadea)으로 묘사하기도 한다.[3]

다른 자료에서는 사르코모나데아(Cercomonas, Heteromita, Bodomorpha, Proleptomonas, Allantion), 테코필로세아(Cryptodifflugia, Cryothecomonas), 스폰고모나데아(Spongomonas, Rhipidodendron), 임브리카테아(Thaumatomonas, Thaumatomastix, Allas, Gyromitus, Euglypha, Trinema, Paulinella)로 묘사하기도 한다.[4]


  • 유각류는 해양, 담수, 이끼 등에서 서식하며, 유글리파, Paulinella chromatophora 등이 있다.
  • 세르코모나스는 편모를 이용해 이동하며, Cryothecomonas, Thaumatomonas, Cercomonas 등을 포함한다.

2.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리자리아의 계통 분류이다.[11]

2019년 리자리아 계통 분류



Bass 등(2009),[6] Howe 등(2011)[7] 및 Bass 등(2016)에[8] 따른 계통 발생은 다음과 같다.

Bass 등(2009), Howe 등(2011) 및 Bass 등(2016) 기준


참조

[1]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phylum Cercozoa (Protozoa) 2003-10
[2] 논문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2015-04-29
[3] 논문 Phylogenetic analyses of small subunit ribosomal RNA coding regions reveal a monophyletic lineage of euglyphid testate amoebae (Order Euglyphida)
[4] 웹사이트 www.nies.go.jp http://www.nies.go.j[...] 2009-06-26
[5] 논문 Morphology and phylogeny of Sainouron acronematica sp. n. and the ultrastructural unity of Cercozoa 2008-10
[6] 논문 Phylogeny of Novel Naked Filose and Reticulose Cercozoa: Granofilosea cl. n. and Proteomyxidea Revised 2009-02
[7] 간행물 Novel Cultured Protists Identify Deep-branching Environmental DNA Clades of Cercozoa: New Genera Tremula, Micrometopion, Minimassisteria, Nudifila, Peregrinia 2011
[8] 논문 Coprophilic amoebae and flagellates, including Guttulinopsis, Rosculus and Helkesimastix, characterise a divergent and diverse rhizarian radiation and contribute to a large diversity of faecal-associated protists 2016
[9] 논문 Kingdom Chromista and its eight phyla: a new synthesis emphasising periplastid protein targeting, cytoskeletal and periplastid evolution, and ancient divergences 2017-09-05
[10] 저널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phylum Cercozoa (Protozoa)
[11] 저널 Phylogenomics supports the monophyly of the Cercozoa 201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