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걸이도마뱀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걸이도마뱀과는 이구아나류에 속하는 도마뱀 과로, 목걸이도마뱀속(Crotaphytus)과 표범도마뱀속(Gambelia)을 포함한다. 목걸이도마뱀속은 1842년 존 에드워즈 홀브룩이 명명했으며, 9종의 도마뱀을 포함한다. 표범도마뱀속은 1859년 스펜서 풀러턴 베어드가 명명했으며, 3종의 도마뱀을 포함한다. 목걸이도마뱀과는 넓적다리구멍, 작고 뚜렷한 두정판 비늘, 등 중앙에 확대된 비늘 열 부재 등의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파충류 - 늑대거북
늑대거북은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며 큰 등껍질과 꼬리, 강력한 턱을 가진 대형 담수 거북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고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 멸종위기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일본에서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침입종으로 여겨진다. - 미국의 파충류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목걸이도마뱀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아목 |
하목 | 이구아나하목 |
상과 | 이구아나상과 |
과 | 크로타피투스과 |
학명 | Crotaphytidae |
명명자 | H.M. Smith & Brodie, 1982 |
하위 분류 | |
속 | 크로타피투스 감벨리아 |
2. 하위 분류
목걸이도마뱀과는 크게 목걸이도마뱀속(Crotaphytus)과 표범도마뱀속(Gambelia)의 두 속으로 나뉜다.[13]
- 목걸이도마뱀속
- 별점목걸이도마뱀 (''Crotaphytus antiquus'')
- 사막목걸이도마뱀 (''Crotaphytus bicinctores'')
- 목걸이도마뱀 (''Crotaphytus collaris'')
- 디커슨목걸이도마뱀 (''Crotaphytus dickersonae'')
- 그리스머목걸이도마뱀 (''Crotaphytus grismeri'')
- 엔젤아일랜드목걸이도마뱀 (''Crotaphytus insularis'')
- 소노라목걸이도마뱀 (''Crotaphytus nebrius'')
- 그물목걸이도마뱀 (''Crotaphytus reticulatus'')
- 바하캘리포니아목걸이도마뱀 (''Crotaphytus vestigium'')
- 표범도마뱀속
- 바하캘리포니아표범도마뱀 (''Gambelia copeii'')
- 말코표범도마뱀 (''Gambelia sila'')
- 긴코표범도마뱀 (''Gambelia wislizenii'')
종 이름 뒤 괄호는 해당 종이 원래 다른 속에 속했었음을 나타낸다.
2. 1. 목걸이도마뱀속 (''Crotaphytus'')
홀브룩이 1842년에 명명한 목걸이도마뱀속( ''Crotaphytus'')에는[6][8] 다음 종들이 속한다.[13][14][15]- ''Crotaphytus antiquus'' (악스텔 & 웹, 1995)
- 사막목걸이도마뱀 – ''Crotaphytus bicinctores'' (N.M. 스미스 & W.W. 태너, 1972)
- 일반목걸이도마뱀 – ''Crotaphytus collaris'' (세이, 1823)
- ''Crotaphytus dickersonae'' (K.P. 슈미트, 1922)
- ''Crotaphytus grismeri'' (맥과이어, 1994)
- ''Crotaphytus insularis'' (밴 덴버그 & 슬레빈, 1921)
- 소노란목걸이도마뱀 – ''Crotaphytus nebrius'' (악스텔 & 몬타누치, 1977)
- 그물무늬목걸이도마뱀 – ''Crotaphytus reticulatus'' (베어드, 1858)
- 바하목걸이도마뱀 – ''Crotaphytus vestigium'' (N.M. 스미스 & W.W. 태너, 1972)
괄호 안의 이명 권위자는 해당 종이 원래 다른 속으로 기술되었음을 나타낸다.[13]
2. 2. 표범도마뱀속 (''Gambelia'')

베어드가 1859년에 명명한 표범도마뱀속(Gambelia)에는 다음 3종이 속한다.[6][7]
종 | 학명 및 명명자 |
---|---|
코프 표범 도마뱀 | Gambelia copeii (야로우, 1882) |
둔한 코 표범 도마뱀 | Gambelia sila (스테이네거, 1890) |
긴 코 표범 도마뱀 | Gambelia wislizenii (베어드 & 지라드, 1852) |
다음은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7]
'''참고:''' 학명 뒤 괄호 안의 명명자는 해당 종이 원래 다른 속에 속했었음을 의미한다.
3.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이구아나류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카멜레온과 아가마과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신열대땅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이구아나과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말린꼬리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목걸이도마뱀과 뿔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 씬트리이구아나과
|}
|-
|
|}
|}
|}
|}
|}
|}
|}
|}
|}
4. 특징
참조
[1]
논문
Phylogeny of iguanian lizards inferred from 29 nuclear loci, and a comparison of concatenated and species-tree approaches for an ancient, rapid radiation
[2]
논문
Resolving the phylogeny of lizards and snakes (Squamata) with extensive sampling of genes and species
[3]
논문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4]
논문
Lizards of the family Arretosauridae Gilmore, 1943 (Iguanomorpha, Iguania) from the Paleogene of Mongolia
https://doi.org/10.1[...]
2012-07-01
[5]
논문
The Jurassic rise of squamates as supported by lepidosaur disparity and evolutionary rates
2022-05-03
[6]
웹사이트
Dahms Tierleben
www.dahmstierleben.d[...]
[7]
웹사이트
Gambelia
www.reptile-database[...]
[8]
웹사이트
Crotaphytus
www.reptile-database[...]
[9]
서적
トカゲ大全
MPJ
[10]
논문
Phylogeny of iguanian lizards inferred from 29 nuclear loci, and a comparison of concatenated and species-tree approaches for an ancient, rapid radiation
[11]
논문
Resolving the phylogeny of lizards and snakes (Squamata) with extensive sampling of genes and species
[12]
논문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13]
서적
トカゲ大図鑑 イグアナ下目編
[14]
웹사이트
Crotaphytus
http://reptile-datab[...]
[15]
웹사이트
Dahms Tierleben
www.dahmstierleben.d[...]
[16]
웹사이트
Gambelia
http://reptile-datab[...]
[17]
저널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http://www.biomedc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