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머스의 제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머스의 제프리는 1090년에서 1100년 사이에 웨일스나 웨일스 변경 지역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중세 작가이자 성직자이다. 그는 《브리타니아 열왕사》를 통해 아서 왕 전설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멀린의 예언》과 《멀린의 생애》와 같은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은 중세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현대에는 역사적 신빙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연구를 하였으며, 세인트 애서프의 주교였다. 브리타니아 열왕사를 저술하였는데, 이 책은 트로이 전쟁 직후 트로이의 왕자가 영국으로 이주하여 초대 영국 국왕이 되는 이야기부터 시작하여 아서왕의 이야기까지 다루고 있다.
제프리는 중세 시대 유럽의 학습과 문학의 언어였던 라틴어로 여러 작품을 썼다. 그의 대표작은 《브리타니아 열왕사》이며, 그 외에도 《멀린의 예언》, 《멀린의 생애》 등을 저술했다. 특히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 멀린과 아서 왕 신화를 구성하고 다듬어 오늘날까지 이들이 큰 인기를 얻는 데 기여했으며, 학자들은 그를 아서 왕 전설의 주요 창시자로 여긴다.[12]
2. 생애
제프리는 몬머스 수도원에서 잠시 봉사했을 수 있지만,[9] 성년기의 대부분은 웨일스 밖에서 보낸 것으로 보인다.
2. 1. 출생 및 초기 생애
제프리는 1090년에서 1100년 사이에 웨일스나 웨일스 변경 지역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3][4][5][6] 1129년 문서에 증인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성년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다.
제프리는 자신의 저작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 'Galfridus Monemutensis'(몬머스의 제프리)라고 칭했는데, 이는 웨일스의 몬머스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며, 그의 출생지를 가리킬 수 있다.[8] 그의 저작물들은 몬머스 지역의 지명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보여준다.[8] 제프리는 동시대 사람들에게 'Galfridus Arturus'(갈프리두스 아르투르스) 또는 그 변형으로 알려졌다.[8][7] 이름의 "아르투르"는 그의 아버지의 이름이나 학문적 관심에 기초한 별칭일 수 있다.[7]
초기 학자들은 제프리가 웨일스인이거나 적어도 웨일스어를 구사한다고 추정했다.[7] 그러나 그의 언어 지식은 미미했던 것으로 보이며,[7] 그가 웨일스나 캄브로-노르만 계통이라는 증거는 없다.[8] 그는 제랄드 오브 웨일스, 월터 맵, 그리고 제프리가 그의 《역사》의 여러 버전을 헌정한 로버트 글로스터 백작과 같이 웨일스 변경 지역의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엘리트 출신일 수 있다.[7] 프랭크 메리 스턴턴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제프리의 부모가 윌리엄 1세의 정복에 참여하여 웨일스 남동부에 정착한 많은 브르타뉴인들 중 하나였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8] 몬머스는 1075년[8] 또는 1086년부터[7] 브르타뉴 영주들의 손에 있었으며, 갈프리두스와 아르투르라는 이름은 웨일스인보다 브르타뉴인에게 더 흔했다.[8]
2. 2. 옥스퍼드 시절과 성직 활동
제프리는 1129년부터 1151년까지 옥스퍼드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헌장에 증인으로 서명했다.[7] 그는 옥스퍼드 성 조지 대학의 세속 주교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magister'(교사)로 불리기도 했다.[7] 제프리가 서명한 모든 헌장에는 옥스퍼드의 월터도 서명했다. 또 다른 공동 서명자는 링컨의 주교인 몬머스의 랄프이다.[7] 제프리는 이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보인다.
1152년, 제프리는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발드에 의해 세인트 아사프 주교로 임명되었다.[10] 루이스 소프에 따르면, "그가 자신의 주교 관할 구역을 방문했다는 증거는 없으며, 실제로 오와인 기네드의 전쟁으로 인해 그것은 매우 불가능하다."[11] 그는 웨일스 연대기에 따르면 1154년 12월 25일과 1155년 12월 24일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보이며, 그의 후임자가 취임했다.[7]
3. 저작
3. 1. 《브리타니아 열왕사》 (Historia Regum Britanniae)
몬머스의 제프리의 대표작은 브리타니아 열왕사(''Historia Regum Britanniae'')이다. 이 책은 브리튼의 전설적인 역사를 다루며, 트로이의 브루투스부터 카드왈라더까지 브리튼 왕들의 계보와 주요 사건들을 연대기 순으로 서술한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레어 왕, 키벨린 왕, 아서 왕 등 다양한 인물과 이야기가 등장한다.[13]
제프리는 이 책이 옥스퍼드의 월터가 준 고대 브리튼어 책을 번역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13] 이 책은 대체로 제프리의 창작과 상상력에 기반한 허구적인 역사로 평가되지만, 중세 시대에는 널리 읽히고 진실로 받아들여졌다. 아서 왕 전설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후대 문학과 역사 저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야기는 트로이의 브루투스에 의한 최초의 이주로 시작하여 기원전 5세기경의 레어 왕의 이야기, 기원전 1세기의 쿠노벨리누스 왕의 이야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타니아 침공, 5세기 후반의 아서 왕의 전설, 7세기의 카드왈라더의 죽음 등이 묘사된다.
제프리가 멀린과 아서 왕 신화를 구성하고 다듬은 것은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이들의 엄청난 인기를 낳았으며, 학자들은 그를 아서 왕 전설의 주요 창시자로 여긴다.[12] 『브리타니아 열왕사』가 아서 왕 전설에 미친 영향은 너무나 커서, 아서 왕 관련 작품들은 그의 영향을 받았는지 여부에 따라 "제프리 이전 시대"와 "제프리 이후 시대"로 분류된다.
제프리는 중세 시대 유럽의 학습과 문학의 언어였던 라틴어로 여러 작품을 썼으며, 이 작품은 트로이의 브루투스가 아이네이아스의 후손으로 브리튼에 처음 정착한 때부터 7세기에 카드왈라더가 죽을 때까지 브리튼의 전해지는 역사를 다루고 있다.[13]
뉴버그의 윌리엄은 1190년경에 "아르투르와 그의 후계자, 또는 보르티게른 이후의 그의 전임자에 대해 이 사람이 쓴 모든 것이, 부분적으로는 그 자신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은 매우 분명하다"라고 썼다.[17]
다른 동시대 사람들도 제프리의 ''역사''에 마찬가지로 설득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캠브리아의 제럴드는 악마에게 사로잡힌 한 남자의 경험을 이야기한다. "악령들이 그를 너무 괴롭히면 성 요한 복음이 그의 가슴에 놓였고, 새처럼 즉시 사라졌다. 그러나 책을 치우고 '제프리 아서' [제프리는 스스로를 이렇게 불렀다]의 ''브리튼의 역사''로 바꾸자마자 그들은 즉시 더 많은 수로 다시 나타났고, 그의 몸과 책 위에 평소보다 더 오래 머물렀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리튼 왕들의 역사''는 중세 서유럽 전역에 널리 보급되었고, 일반적으로 진실한 이야기로 받아들여졌다.[19]
3. 2. 《멀린의 예언》 (Prophetiae Merlini)
Prophetiae Merlinila(멀린의 예언)은 1135년 이전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멀린은 웨일스 전설에 등장하는 현자 미르딘을 모델로 한 것으로 여겨지지만[23], 당시 제프리는 이 전설에 대해 그다지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웨일스어가 아닌 언어로 처음 묘사된 예언자 멀린의 이야기는 수 세기 후에 나온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과 마찬가지로 널리 알려지고 믿음을 얻었다. 제프리의 가장 초창기 저작은 아마도 1135년 이전에 쓰여진 Prophetiae Merlinila(멀린의 예언)이었으며, 이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하고, 브리튼 왕들의 역사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 작품은 제프리가 특정하지 않은 언어에서 번역했다고 주장한 멀린의 일련의 모호한 예언적 발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3. 3. 《멀린의 생애》 (Vita Merlini)
Vita Merlinila(《멀린의 생애》)는 육보격 시 형식으로 쓰여진 작품으로, 다른 작품들보다 멀린에 대한 전통적인 자료에 더 가깝게 기반하고 있다. 여기에서 멀린은 숲의 멀린(''Merlinus Sylvestris'') 또는 스코틀랜드의 멀린(''Merlinus Caledonius'')으로 알려져 있으며, 숲에서 미치고 슬픔에 잠긴 추방자로서 살아가는 늙은이로 묘사된다.[7] 이 책에서 멀린은 "숲의 멀린"이나 "스코틀랜드의 멀린"이라고 불리며, 버려지고 슬픔에 잠겨 미쳐버린 숲의 노인으로 묘사된다.
이 이야기는 《브리타니아 열왕사》의 멀린 시대적 배경보다 훨씬 후에 설정되었지만, 작가는 미친 예언자의 보티건 및 아서와의 이전 관계에 대한 언급을 통해 작품들을 동기화하려고 시도한다. 《멀린의 생애》는 널리 유포되지 않았고, 제프리에게 귀속된다는 것은 13세기 후반의 한 필사본에서만 나타나지만, 그 구성과 내용에서 제프리적 요소를 알아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이를 그의 작품으로 인정한다.[7]
4. 평가 및 영향
제프리는 멀린과 아서 왕 신화를 구성하고 다듬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이들의 큰 인기를 낳았으며, 학자들은 그를 아서 왕 전설의 주요 창시자로 여긴다.[12] 브리타니아 열왕사가 아서 왕 전설에 미친 영향은 너무나 커서, 아서 왕 관련 작품들은 그의 영향을 받았는지 여부에 따라 "제프리 이전 시대"와 "제프리 이후 시대"로 분류된다.
참조
[1]
서적
Geoffrey of Monmouth. The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 an edition and translation of ''De gestis Britonum'' (''Historia regum Britanniae'')
Boydell Press
2007
[2]
문서
"Polydore Vergil's sceptical reading of Geoffrey of Monmouth provoked a reaction of denial in England, yet the seeds of doubt once sown eventually replaced Geoffrey's romances with a new Renaissance historical approach, according to Hans Baron, Fifteenth-century civilisation and the Renaissance, in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vol. 1 1957:56."
[3]
문서
Crick 2004: "it seems likely that he was born within ten years of 1100".
[4]
문서
Foster 1959: "Geoffrey was b. between 1090 and 1100".
[5]
문서
''Arthurian Figures of history and legend: A biographical dictionary'': "Geoffrey of Monmouth (floruit 1112–1139/ lifespan circa 1095–1155)".
[6]
문서
''A Concise History of Wales'': "The key historical text was Historia Regum Brittanae (c.1139) by Geoffrey of Monmouth (c.1090–1155)".
[7]
간행물
Monmouth, Geoffrey of (d. 1154/5)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8]
문서
Roberts, "Geoffrey of Monmouth, ''Historia Regnum Britanniae'' and ''Brut y Brenhinedd''", p. 98.
[9]
서적
Bibliographical Note to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
E.P Dutton & Co.
[10]
간행물
Geoffrey of Monmouth
[11]
문서
From the introduction to his translation of ''The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 (London: Penguin Books, 1966), p. 12.
[12]
문서
Thorpe, ''Kings of Britain'', p. 20ff., particularly pp. 20–22 & 28–31.
[13]
문서
Richard M. Loomis, ''The Romance of Arthur'' 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1994, pg. 59
[14]
문서
Michael Curley, ''Geoffrey of Monmouth'', p. 12
[15]
문서
Thorpe, ''Kings of Britain'' pp. 14–19.
[16]
문서
"[[C. Warren Hollister]], ''Henry I'' (Yale English Monarchs), 2001:11 note44."
[17]
문서
Quoted by Thorpe, ''Kings of Britain'', p. 17.
[18]
문서
Gerald of Wales, ''[[Itinerarium Cambriae|The Journey through Wales]]/[[Descriptio Cambriae|The Description of Wales]]'' (Lewis Thorpe ed.), Penguin, 1978, Chapter 5, p 116.
[19]
문서
Thorpe, ''Kings of Britain'' p. 28
[20]
문서
Thorpe, ''Kings of Britain'' p. 29
[21]
문서
Russell, ''Arthur and the Kings of Britain: The Historical Truth Behind the Myths'' p. 297-300
[22]
웹사이트
Lost Voices of Celtic Britain Project
https://research.bou[...]
[23]
문서
レイチェル・ブロムウィッチ([[:en:Rachel Bromwich|Rachel Bromwich]])は、「MyrddinがMerlinに、ddがlに変化するのは奇妙だ」としている(Bromwich, ''Trioedd Ynys Prydein: The Welsh Triads'', second edition [Cardiff: University of Wales, 1978], p. 472 n.1.)。
[24]
문서
Thorpe, ''Kings of Britain'' pp. 14-19.
[25]
문서
''Kings of Britain'', p. 17.
[26]
문서
後に[[シェイクスピア]]による[[悲劇]]『[[リア王]]』で有名になった。
[27]
문서
後にシェイクスピアによる[[戯曲]]『[[シンベリン]]』で有名になった。
[28]
문서
[[43年]]の[[クラウディウス]]帝の{{仮リンク|ローマのブリテン島征服|en|Roman conquest of Britain|label=ブリテン島侵攻}}とは別の戦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