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시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시뇰은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에 의해 수여되는 명예 칭호이다. 1968년 교황 바오로 6세는 몬시뇰 칭호를 사용할 수 있는 교황 명예 직위를 3개로 축소하였으며, 현재는 원장 서기, 교황 명예 고위 성직자, 교황 사제 칭호가 있다. 2013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바티칸 외교부 소속 성직자를 제외한 모든 성직자에게 몬시뇰 칭호 수여를 중단했으나, 이후 2022년까지 칭호 수여가 재개되었다. 몬시뇰은 검은색 수단과 자주색 파시아를 착용하며, 호칭은 '몬시뇰 (이름) (성)' 또는 '몬시뇰 (성)'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칭 - 성하 (호칭)
성하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황과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를 지칭하는 존칭으로, 가톨릭에서는 교황에게만, 동방 정교회에서는 총대주교에게 사용되지만, 최근 다른 종교 지도자에게도 사용되면서 논란이 있다. - 호칭 - Sir
Sir는 남성에 대한 존칭으로, 기사 작위나 준남작 작위를 받은 남성에게 사용되며, 영국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에서 훈장을 수여받은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Sir' 칭호의 사용법은 칭호 사용 자격, 여성형 칭호인 '데임(Dame)' 및 '레이디(Lady)'의 사용법과 관련되어 있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성직자
성직자는 종교 의식을 집행하고 가르침을 전달하는 사람으로, 각 종교마다 명칭, 역할, 자격 요건이 다르며, 역사적으로 종교적·정치적 권위를 가지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건강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사제
사제는 신과 신도 사이를 중재하고 종교 의식을 집행하는 종교 지도자로, 다양한 종교에서 예배 집전, 공동체 지도, 종교 건물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종교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복장을 갖는다. - 로마 가톨릭 성직자 - 다미앵 신부
벨기에 출신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 성심 성모 수도회 소속 선교사인 다미앵 신부는 하와이 몰로카이섬에서 한센인들을 16년간 헌신적으로 돌보며 사목 활동을 펼치다 자신도 한센병에 감염되었으나 봉사를 이어갔고, 사후 시성되어 소외된 이들을 위한 봉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로마 가톨릭 성직자 - 교황
교황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고 지도자이자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영적 지도자로서,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로 여겨지며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교회의 행정, 사법, 입법 등을 총괄하고, 그의 지위와 권위에 대한 해석은 가톨릭교회 내외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몬시뇰 | |
---|---|
직위 | |
종류 | 가톨릭교회의 명예 칭호 |
수여 대상 | 가톨릭교회의 성직자 |
호칭 | |
약칭 | Mgr. 또는 Msgr. |
존칭 | "Monsignor" 또는 "Right Reverend Monsignor" (몬시뇰님) |
역사적 배경 | |
기원 | 교황청의 가정에 속한 성직자를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 |
현대적 의미 | 교황에 의해 특별한 공로를 인정받은 성직자에게 수여되는 명예 칭호 |
칭호 등급 (현재) | |
교황의 명예 사제 (Chaplain of His Holiness) | "Monsignor" (몬시뇰) |
교황의 명예 고문 (Honorary Prelate of His Holiness) | "Monsignor" (몬시뇰) |
교황청 고문관 (Apostolic Protonotary) | "Monsignor" (몬시뇰) |
칭호 등급 (과거) | |
교황 궁내 성직자 (Domestic Prelate) | "Monsignor" (몬시뇰) (1968년 폐지) |
네임드 Protonotary (Protonotary Apostolic numerary) | "Monsignor" (몬시뇰) (2014년 폐지) |
2. 몬시뇰의 종류
교황 비오 10세의 법률에 따라, 총대리와 교구 관리자(현재 교구 행정관)는 직책 수행 기간 동안 명예 원장 서리 자격을 얻어 '몬시뇰' 칭호를 사용할 수 있었다.[18] 이들은 검은색 실크 술 장식 띠(파치아), 검은색 술이 달린 비레타의 검은색 파이핑,[19] 검은색 망토를 착용할 수 있었다.
이후 교황 바오로 6세는 '몬시뇰' 칭호와 관련된 교황청 직위를 간소화했으나, 총대리의 '몬시뇰' 칭호 자체는 유지했다.
2. 1. 현행 몬시뇰 칭호
교황 바오로 6세는 1968년 자의 교서 ''Pontificalis Domus''를 통해 "몬시뇰" 칭호를 사용할 수 있는 교황 명예 직위를 14개에서 3개로 줄였다. 원장 서기 계급은 두 개의 하위 계층으로 나뉘었고, 실내 사제와 사제 직위는 폐지되어 "교황 사제" 한 계급만 남게 되었다.[10] 교황 명예 직위는 다음과 같다.- 원장 서기 (두 개의 하위 계층):
- * ''De numero'' (더 높고 덜 일반적인 형태)
- * 정원 외 (바티칸 외부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몬시뇰)
- 교황 명예 고위 성직자 (구 "교황청 고위 성직자")[10]
- 교황 사제 (구 "정원 외 비서 실내 사제")[10]
2013년 3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바티칸 외교부 소속 성직자를 제외한 모든 성직자에게 몬시뇰 칭호 수여를 중단했다.[11][12] 그러나 2022년까지 칭호 수여가 재개되었다.[13]
2013년 10월 추기경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명예 칭호를 축소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는 더 겸손하고 목회적인 지도자상을 투영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대교구 대주교였던 프란치스코 교황은 자신의 사제들에게 교황의 명예 칭호를 요청한 적이 없으며, 이러한 칭호를 성직자들의 "출세주의"와 연관시켰다.
2013년 12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구 사제가 세 가지 교황 명예 칭호 중 가장 낮은 "교황 명예 사제"가 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최소 연령을 65세로 설정했다. 기존 칭호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14][15][16] 프란치스코 교황은 다음 두 그룹의 성직자에게는 세 가지 계급의 모든 교황 명예 칭호를 계속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2. 2. 과거 몬시뇰 칭호
교황 바오로 6세는 1968년 자의 교서 ''Pontificalis Domus''를 통해 "몬시뇰" 칭호를 사용할 수 있는 교황 명예 직위를 14개에서 3개로 줄였다. 원장 서기 계급은 두 개의 하위 계층으로 나뉘었고, 실내 사제와 사제 직위는 폐지되어 "교황 사제" 한 계급만 남게 되었다.[10]가톨릭 교회는 원래 14개의 교황 명예 직위를 유지했다. "내부 서기관" 칭호를 가진 사제는 이를 수여한 교황이 사망하면 그 칭호를 잃게 되었는데, 교황이 1968년에 내부 서기관 직위를 폐지하면서 그 규칙도 함께 폐지되었다.[10]
이전에 존재했던 14개의 직위는 다음과 같다.
- 교황청 궁정원장
- 사도좌 서기 4종류
- 교황실 서기관 4종류
- 최소 교황 사제 5종류
1969년에 14개의 명예 직위는 3개로 줄어들었다. 교황 바오로 6세 치하에서 국무원은 세 가지 교황 명예 직위에 대한 최소 자격 요건을 연령과 사제로서의 경력으로 설정했다.
- 교황 알현 사제 - 최소 연령 35세, 사제 경력 10년
- 명예 고위 성직자 - 최소 연령 45세, 사제 경력 15년
- 정식 외방 사도원 수석 서기 - 최소 연령 55세, 사제 경력 20년
국무원은 명예 고위 성직자로 임명될 부제들의 최소 연령 제한을 면제했다. 그 이유는 부제가 부제 직을 맡고 있는 한, 그는 또한 정식 외방 사도원 수석 서기이기 때문이다. 부제는 교황 알현 사제로 임명될 수 없었다. 이 모든 기준은 2013년에 효력을 잃었다.[14]
1969년 이전에는 다음과 같았다.
- "교황 예하 사제" 칭호를 가진 사제는 영어로 "''지극히 존경하는 몬시뇰''"(The Very Reverend Monsignor)로 불렸다.
- "사도좌 수석 서기" 또는 명예 성직자 칭호를 가진 사제는 "''존경하는 몬시뇰''"(The Right Reverend Monsignor)로 불렸다.
3. 몬시뇰 칭호 수여 기준
2013년 3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바티칸 외교부 소속 성직자를 제외한 모든 성직자에게 몬시뇰 칭호 수여를 중단했다.[11][12] 그러나 2022년까지 칭호 수여가 재개되었다.[13]
2013년 10월 추기경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더 겸손하고 목회적인 지도자상을 보여주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명예 칭호를 축소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부에노스아이레스 대교구 대주교였던 프란치스코 교황은 자신의 사제들에게 교황의 명예 칭호를 요청한 적이 없으며, 이러한 칭호를 성직자들의 "출세주의"와 연관시켰다.
2013년 12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구 사제가 세 가지 교황 명예 칭호 중 가장 낮은 "교황 명예 사제"가 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최소 연령을 65세로 정했다. 기존 칭호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14][15][16] 프란치스코 교황은 다음 두 그룹의 성직자에게는 세 가지 계급의 모든 교황 명예 칭호를 계속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교황 바오로 6세 때 국무원은 세 가지 교황 명예 직위에 대한 최소 자격 요건을 연령과 사제 경력으로 정했다.
직위 | 최소 연령 | 사제 경력 |
---|---|---|
교황 알현 사제 | 35세 | 10년 |
명예 고위 성직자 | 45세 | 15년 |
정식 외방 사도원 수석 서기 | 55세 | 20년 |
국무원은 명예 고위 성직자로 임명될 부제들의 최소 연령 제한을 면제했다. 그 이유는 부제가 부제 직을 맡고 있는 한, 그는 또한 정식 외방 사도원 수석 서기이기 때문이다. 부제는 교황 알현 사제로 임명될 수 없었다. 이 모든 기준은 2013년에 효력을 잃었다.[14]
4. 몬시뇰의 복장
1979년, 바티칸은 몬시뇰의 예복을 간소화했다.[1]
- 자주색 테두리가 있는 검은색 수단과 자주색 파시아는 모든 경우에 적합하다.[1]
- 붉은색 테두리가 있는 검은색 수단과 자주색 허리띠도 모든 경우에 적합하다.[1]
- 특별한 장엄함을 요하는 전례 행사를 위한 성가대 복장으로는 자주색 수단을 착용한다.[1]
- 비신성적인 행사, 졸업식 및 학위 수여식과 같은 행사에서는 보라색 페라욜로(실크 망토)를 착용할 수도 있다.[1]
- 자홍색 띠를 두른 붉은색 테두리의 검은색 수단과 자주색 페라이올로를 착용하며, 성가대 복장으로는 자주색 수단을 착용한다.[1]
- 검은색 비레타에 붉은 술을 달아 만텔레타를 성가대 복장으로 착용할 수 있다.[1]
5. 몬시뇰 호칭
몬시뇰에 대한 현재 호칭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서면 형식은 '몬시뇰 (이름) (성)' 또는 '존경하는 몬시뇰 (이름) (성)'이다. 예를 들어 "몬시뇰 밥 스미스" 또는 "존경하는 몬시뇰 밥 스미스"와 같이 쓴다.
- 구두 형식은 '몬시뇰 (성)'이다.[1] 예를 들어 "몬시뇰 스미스"와 같이 부른다.
영어 사용 국가에서는 주교와 대주교를 "몬시뇰"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러나 1969년 바티칸 국무원은 주교를 "몬시뇰"로 칭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부 국가에서는 주교, 대주교 및 추기경 또는 총대주교보다 낮은 계급의 다른 성직자에게 "몬시뇰레", "몽시뇨르", "몬세뇨르" 및 "몬세뇨르"라는 칭호가 사용된다.
1969년 지침은 또한 주교의 경우 "몬시뇰"이라는 단어에 Reverendissimus|가장 존경하는la를 추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가장 존경하는 몬시뇰 존 도"이다. 이 지침은 다음에도 적용되었다.
- 로마 교황청의 사무실을 이끄는 주교 서열이 없는 성직자
- 로마 성좌 대심원의 판사
- 정의 옹호자 및 사도 서명원의 결혼 무효 옹호자
- 사도 원장 "''데 누메로''"
- 카메라의 네 명의 성직자.[2]
- "교황 예하 사제" 칭호를 가진 사제는 과거 영어로 "''지극히 존경하는 몬시뇰''"(The Very Reverend Monsignor)로 불렸다.
- "사도좌 수석 서기" 또는 명예 성직자 칭호를 가진 사제는 "''존경하는 몬시뇰''"(The Right Reverend Monsignor)로 불렸다.
이러한 형식은 1969년에 변경되었다.
참조
[1]
간행물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1918-02-15
[2]
obituary
The Rt Rev Mgr Graham Leonard
https://www.telegrap[...]
2010-01-06
[3]
간행물
Deceased clergy
http://www.catholicd[...]
Australian Catholic Directory
[4]
간행물
Clergy within Diocese
http://www.rcdop.org[...]
Romanist catholic Diocese of Paisley
[5]
간행물
Catholic Dallas
http://www.cathdal.o[...]
[6]
간행물
Bulletin
http://www.miamiarch[...]
Miami Archdiocese
2009-03-09
[7]
간행물
Office directory
http://www.dioceseof[...]
Diocese of Tyler
[8]
간행물
Contacts
http://www.derrydioc[...]
Derry diocese
[9]
간행물
Zejtun parish
http://www.zejtunpar[...]
[10]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2
[11]
간행물
Il Messaggero
http://www.finesetti[...]
Fine settimana
2013-09-12
[12]
뉴스
Pope scales back honorifics
http://rorate-caeli.[...]
Rorate Cæli
2013-09
[13]
웹사이트
Monsignor Michael Nazir-Ali
https://www.cbcew.or[...]
2022-04-06
[14]
뉴스
Pope abolishes honorary title of monsignor for diocesan priests under the age of 65
http://vaticaninside[...]
2014-01-04
[15]
뉴스
Pope limits 'monsignor' honor for diocesan priests
http://www.catholicn[...]
2014-01-06
[16]
뉴스
Pope Francis reforms ecclesiastical honours
http://en.radiovatic[...]
2014-01-07
[17]
서적
Annuario Pontificio
Vaticana
[18]
간행물
Inter multiplices curas
1905-02-21
[19]
문서
[20]
웹사이트
Catholic Education Resource Center, "ow to Address Church Officials"
http://www.catholice[...]
[21]
웹인용
기쁜소식 밝은세상, 인터넷 평화방송 · 평화신문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web.pbc.co.kr[...]
2008-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