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농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 농구 국가대표팀은 1940년대 소련을 통해 농구가 도입된 후 1962년 몽골 농구 협회가 창립되면서 시작되었다. 2000년 국제 농구 연맹(FIBA)에 가입한 후 국제 대회에 본격적으로 참가하여, 2001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 처음 출전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8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으며, FIBA 아시아컵과 올림픽에는 아직 출전한 기록이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농구 - 몽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몽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74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해 7위를 기록했고, 2023년 FIBA 여자 아시아컵 디비전 B에서 우승하여 디비전 A로 승격할 자격을 얻었으며,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예선과 순위 결정전에서 모두 패배했다. - 몽골의 농구 - 몽골 3x3 농구 국가대표팀
몽골 3x3 농구 국가대표팀은 몽골을 대표하여 국제 3x3 농구 대회에 참가하는 팀으로, 올림픽, 아시안 게임, FIBA 아시아컵, 월드컵, 월드 비치 게임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경쟁을 펼쳐왔다. - 아시아의 농구 국가대표팀 - 필리핀 농구 국가대표팀
필리핀 농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아 선수권 대회 5회 우승 및 세계 선수권 대회 3위를 기록한 아시아 농구 강국으로, 프로 선수 참가 허용 이후 SBP의 지도력 하에 FIBA에 복귀, 2023년 FIBA 농구 월드컵 공동 개최 및 2022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아의 농구 국가대표팀 - 일본 농구 국가대표팀
일본 농구 국가대표팀은 FIBA 아시아컵에서 두 차례 우승하며 아시아 농구의 강호로 활약했고, NBA 리거들의 활약으로 2023년 FIBA 농구 월드컵에서 아시아 최고 성적을 거두어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 농구 국가대표팀 -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은 이집트를 대표하여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프리카 농구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하고 올림픽과 FIBA 농구 월드컵에 여러 차례 출전한 팀이다. - 농구 국가대표팀 -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은 1935년 FIBA에 가입하여 1987년 유로바스켓 우승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았고, 2005년 유로바스켓 우승, 2006년 FIBA 농구 월드컵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니코스 갈리스, 파나기오티스 야나키스 같은 전설적인 선수를 배출하며 유럽 농구계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몽골 농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푸른 늑대 |
FIBA 지역 | FIBA 아시아 |
국가 연맹 | 몽골 농구 협회 |
감독 | 바실리스 프랑기아스 |
FIBA 가입 년도 | 2000년 |
FIBA 랭킹 | # 템플릿 제거 필요 |
올림픽 | |
출전 횟수 | 없음 |
월드컵 | |
출전 횟수 | 없음 |
FIBA 아시아컵 | |
출전 횟수 | 없음 |
아시안 게임 | |
출전 횟수 | 5회 |
EABA 챔피언십 | |
출전 횟수 | 3회 |
2. 역사
1940년대에 소련을 통해 농구가 소개되었으며 1962년에 몽골 농구 협회가 창립되었다. 이 시기 몽골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 등 사회주의 체제 국가들과 비공식 친선전을 치렀으며 정식 국제 대회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1956년 "중국-몽골 철도 선수권 대회"에서 몽골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의 첫 국제 경기가 있었다. 사회주의 체제 붕괴 후인 2000년에 몽골 농구 협회가 국제 농구 연맹에 가입하면서 국제 대회에 나서기 시작했다.
몽골은 2001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체렝장하링 샤라브잠츠가 득점왕에 올랐다. 2002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면서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 농구에 출전했고,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8위를 기록했다.
2. 1. 초기 역사 (1940년대 ~ 2000년)
1940년대에 소련을 통해 농구가 소개되었으며 1962년에 몽골 농구 협회가 창립되었다. 이 시기 몽골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 등 사회주의 체제 국가들과 비공식 친선전을 치렀으며 정식 국제 대회에는 출전하지 않았다.[1]사회주의 체제 붕괴 후인 2000년에 몽골 농구 협회가 국제 농구 연맹에 가입한 후 본격적으로 국제 대회에 나서기 시작했다.[1] 1956년 "중국-몽골 철도 선수권 대회"에서 몽골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의 첫 국제 경기가 있었다.[1]
2. 2. 국제 대회 진출 (2000년 ~ 현재)
몽골은 2000년에 국제 농구 연맹(FIBA)에 가입한 후 본격적으로 국제 대회에 나서기 시작했다. 2001년 5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2001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농구 종목에 참가하면서 처음으로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 몽골팀은 이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몽골 국가대표 선수인 체렝장하링 샤라브잠츠가 대회 득점왕에 오르기도 했다.[1]2002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면서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 농구에 출전했고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8위에 오르며 대표팀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몽골은 농구 인기가 높은 국가 중 하나이지만, FIBA 가입은 2000년으로 늦어 국제 대회 경험이 부족하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1차 리그부터 출전했으나, 2차 리그에서 시드 국가인 요르단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3. 역대 성적
- 올림픽: 출전 없음
-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없음
- 아시아 선수권 대회: 출전 없음
- 아시안 게임:
3. 1. FIBA 아시아컵
연도 | 순위 | 경기 | 승 | 패 | |
---|---|---|---|---|---|
1960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불참 | ||||
1963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65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67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69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71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73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75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77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79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81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83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85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87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89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91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93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95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97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1999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2001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예선 탈락 | ||||
2003년 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 | |||||
2005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2007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2009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2011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2013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2015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2017년 FIBA 아시아컵 | |||||
2022년 FIBA 아시아컵 | |||||
2025년 FIBA 아시아컵 | 미정 | ||||
총계 | 0/31 | 0 | 0 | 0 |
3. 2. 아시안 게임
3. 3. FIBA 농구 월드컵
연도 | 순위 | 경기 | 승 | 패 | |
---|---|---|---|---|---|
2027년 FIBA 농구 월드컵 | 미정 | ||||
합계 | 0/1 | 0 | 0 | 0 |
4. 최근 경기 결과 및 일정
몽골 농구 국가대표팀은 2025 FIBA 아시아컵 예선에 참가하여 2024년과 2025년에 걸쳐 여러 경기를 치렀고, 앞으로도 치를 예정이다.
4. 1. 2024년
2024년 몽골 농구 국가대표팀은 2025 FIBA 아시아컵 예선에 참가하여 여러 경기를 치렀다.경기일 | 상대팀 | 장소 | 결과 | 주요 선수 |
---|---|---|---|---|
2월 22일 | 중국|중국중국어 | 시안 산시성 체육관 | 49-80 (패) | 바트부신 (15득점, 6리바운드), 투멘바야르 (5어시스트)[1] |
2월 25일 | 괌|괌영어 | 울란바토르 UG 아레나 | 63-74 (패) | 빌군 (13득점, 5리바운드), 먀그마르수렌 (3어시스트)[2] |
11월 21일 | 일본|일본일본어 | 우쓰노미야 닛칸 아레나 토치기 | 75-93 (패) | 엔크바야스갈란 (26득점), 오치르바트 (7리바운드), 간솔몬 (7어시스트) |
11월 24일 | 중국|중국중국어 | 울란바토르 UG 아레나 | 52-90 (패) | 오치르바트 (16득점), 빌군, 오치르바트 (각 4리바운드), 울지-오르시크 (3어시스트) |
4. 2. 2025년
2025 FIBA 아시아컵 예선에서 몽골은 괌, 일본과 경기를 치를 예정이다.
5. 선수단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2월 22일 중국과의 경기, 2024년 2월 25일 괌과의 경기에서 출전한 2025 FIBA 아시아컵 예선 (2024년 2월) 로스터는 다음과 같다.[1]포지션 | 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신장 | 소속 클럽 |
---|---|---|---|---|---|
F | 1 | 테무진 아리운볼드 | 1992년 1월 1일 | 약 1.83m 약 12.70cm | 에르데네트 마이너스 |
F | 3 | 엥흐바야스갈란 아마르바야스갈란 | 1997년 8월 14일 | 약 1.83m 약 12.70cm | 비슈레트_메탈 |
G | 4 | 우간바야르 투멘바야르 | 1998년 2월 17일 | 약 1.83m | 비슈레트_메탈 |
F | 5 | 아난드 아리운볼드 | 1997년 4월 14일 | 약 1.83m 약 15.24cm | 카신_쿨레구드 |
G | 6 | 울지-오르시 먀그마르수렌 | 2000년 8월 12일 | 약 1.83m | IHC 에이프스 |
C | 7 | 아즈바야르 알탕게렐 | 2005년 3월 28일 | 약 1.83m 약 20.32cm | 카신_쿨레구드 |
G | 8 | 에르데네초그트 오치르바트 | 1995년 1월 14일 | 약 1.83m 약 5.08cm | BCH 가리드 |
F | 10 | 빌군 바투브신 | 1989년 3월 2일 | 약 1.83m 약 15.24cm | 카신_쿨레구드 |
G | 11 | 간-에르데네 간솔몬 | 2000년 4월 21일 | 약 1.83m | 에르데네트 마이너스 |
C | 13 | 엥흐바타르 오놀바타르 | 1995년 6월 16일 | 약 1.83m 약 17.78cm | 에르데네트 마이너스 |
C | 14 | 오르길 히시그바타르 | 2003년 5월 27일 | 약 1.83m 약 20.32cm | |
G | 19 | 바트바야르 나랑게렐 | 1995년 3월 2일 | 약 1.83m 약 15.24cm | IHC 에이프스 |
- '''감독''': 바실리스 프라기아스
- '''코치''': 아즈바야르 체렌다그바, 벨리보르 네고바노비치, 탐지드 바투브신, 이질볼드 치메그도르지
- '''(C)'''는 팀 주장을 나타낸다.
- 나이는 2024년 2월 22일 기준으로 표시되었다.
5. 2. 포지션별 선수 명단
포지션 | 선수 이름 |
---|---|
센터 (C) | 온올바아타르 엔흐바아타르 |
파워 포워드 (PF) | 바트투브신 빌군 |
스몰 포워드 (SF) | 오치르바트 에르데네초그트 |
슈팅 가드 (SG) | 나랑게렐 바트바야르 |
포인트 가드 (PG) | 투멘바야르 우간바야르 |
센터 (C) | 알탕게렐 아즈바야르 |
파워 포워드 (PF) | 아마르바야스갈랑 엔흐바야르갈랑 |
스몰 포워드 (SF) | 아리운볼드 테무진 |
슈팅 가드 (SG) | 아리운볼드 아난드 |
포인트 가드 (PG) | 먁마르수렌 울지-오르시흐 |
센터 (C) | 히시그바아타르 오르길 |
포인트 가드 (PG) | 간촐몬 간-에르데네 |
6. 역대 감독
- - 우둥바타링 바야르척트
- - 바실리스 프랑기아스
참조
[1]
웹사이트
FIBA National Federations – Mongolia
http://fiba.com/page[...]
2013-11-23
[2]
웹사이트
FIBA National Federations – Mongolia
http://fiba.com/page[...]
2013-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