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 3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궁화 3호는 14/12 GHz 대역(Ku 밴드)과 30/20 GHz 대역(Ka 밴드)의 중계기를 탑재하여 디지털 위성방송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했다. 2000년부터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Ka 밴드 기술을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하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수명이 다한 무궁화 3호는 홍콩의 ABS에 매각되었으나 불법 매각 논란이 일었고, 이후 KT는 국제 상업 회의소에서 손해 배상 판결을 받았다. ABS에 소유권이 넘어간 무궁화 3호는 ABS-7로 명명되어 운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발사한 우주선 - 마스 폴라 랜더
마스 폴라 랜더는 1999년 화성 남극 착륙을 시도했으나 통신 두절로 실패한 미국의 탐사선이다. - 1999년 발사한 우주선 - XMM-뉴턴
XMM-뉴턴은 유럽 우주국이 개발한 X선 우주 망원경으로, 1999년 발사되어 우주의 X선 관측을 통해 천체의 특성을 연구하며 블랙홀, 암흑 물질 등 다양한 우주 현상에 대한 관측 결과를 제공한다. - 1999년 9월 - 921 대지진
1999년 9월 21일 대만에서 발생한 921 대지진은 모멘트 규모 7.7, 리히터 규모 7.3의 강진으로 난터우현 지지 근처를 진앙으로 하여 대만 전역에 심각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으며 처룽푸 단층의 지표 파열로 지형 변화를 초래하여 국제적인 지원을 받았다. - 1999년 9월 - 1998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1998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는 199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 리버 플레이트와 1997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팀 크루제이루가 참가하여 크루제이루가 합계 5-0으로 우승했다. - 아리안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 아리안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베피콜롬보
베피콜롬보는 유럽 우주국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수성 탐사 임무로, 3개의 모듈을 활용하여 7년의 비행 끝에 수성 궤도에 진입하여 수성의 기원과 진화 등을 연구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할 예정이다.
무궁화 3호 | |
---|---|
개요 | |
임무 유형 | 통신 |
운영자 | ABS |
COSPAR ID | 1999-046A |
SATCAT | 25894 |
임무 기간 | 15년 (계획) |
위성 정보 | |
위성 버스 | A2100A |
제조업체 | 록히드 마틴 |
발사 정보 | |
발사 날짜 | 1999년 9월 4일 |
발사 로켓 | 아리안 42P |
발사 장소 | 기아나 우주 센터 |
궤도 정보 | |
궤도 기준 | 지구 중심 궤도 |
궤도 종류 | 정지 궤도 |
전송 대역 | 30 Ku-밴드 3 Ka-밴드 |
기타 정보 | |
다른 이름 | 무궁화 3호 (KOREASAT 3) |
원래 운영자 | 한국통신 |
경도 | 동경 116.1도 |
공식 웹사이트 | ABS-7 공식 웹사이트 |
2. 기능
무궁화 3호는 14/12 GHz 대역(Ku 밴드) 방송용 중계기 6개와 통신용 중계기 24개를 탑재하여 2000년 1월부터 48개 채널의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최대 168개 채널까지 서비스 제공이 가능했다. 또한 30/20 GHz 대역(Ka 밴드) 통신용 중계기 3개를 탑재했다.
2. 1. Ka 밴드 기술
Ka 밴드는 20 GHz~30 G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주로 정지궤도 군용 통신 중계 위성에 사용된다. Ka 밴드는 Ku 밴드(36 MHz), C 밴드(27 MHz)보다 대역폭이 큰 200 MHz이어서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하향 45 Mbps, 상향 2 Mbps 속도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무궁화 3호가 군용 통신 위성이 아니며, 무궁화 5호가 최초의 군용 통신 위성이라고 공표하고 있다.3. 매각 및 논란
KT는 무궁화 3호의 설계 수명이 완료되었음에도 가동 가능한 상태였기 때문에 홍콩의 ABS사에 매각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아 불법 매각 논란이 발생했고, 관련자들은 기소되었다.[7]
3. 1. 불법 매각 논란
KT는 수명이 다한 무궁화 3호를 홍콩의 위성방송사 ABS에 매각했으나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의 허가를 받지 않아 불법 매각이라는 의혹이 일었고, 매각에 연루된 관계자들은 기소되었다.[7]2010년부터 2011년에 걸쳐 무궁화 3호는 후속기(올레 1호)가 발사됨과 동시에 설계 수명이 도래하여 운용이 종료되었다. 하지만 설계상 수명을 맞이했음에도 가동 가능한 상태였기 때문에 KT는 무궁화 3호(정지 궤도 및 주파수, 관제, 소프트웨어 권리 포함)를 홍콩의 기업에 45억원에 매각했다. 그러나 이 매각은 KT의 독단적인 결정이었으며, 대한민국 정부와 제조사인 록히드 마틴에도 연락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나중에 밝혀졌다. 기밀 무단 매각은 물론 후속기 운용에도 제한이 미치는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었다.[4]
대한민국 정부는 KT에 재매입을 지시했지만, 홍콩의 ABS 측은 KT 측과의 협상을 거부했다. 오히려 무궁화 3호의 소유권 확인과 매매 계약 위반을 이유로 손해 배상을 요구하며, 국제 상업 회의소 중재 재판소에 소송을 제기했다. 2018년 3월 9일, 국제 상업 회의소는 KT에 약 104만달러의 손해 배상을 ABS 측에 지불하도록 최종 판정을 내렸다.[5]
ABS에 소유권이 넘어간 위성은 '''ABS-7'''로 명명되어 동경 116도 지점[6]에서 2017년 현재도 운용되고 있다.
3. 2. 국제 분쟁
대한민국 정부는 KT에 대해 무궁화 3호 재매입을 지시했지만, 홍콩의 ABS 측은 KT와의 협상을 거부했다.[5] ABS 측은 코리아샛 3호(무궁화 3호)의 소유권 확인과 매매 계약 위반을 이유로 손해 배상을 요구하며, 국제 상업 회의소(ICC)에 소송을 제기했다.[5] 2018년 3월 9일, 국제 상업 회의소는 KT가 ABS 측에 약 104만달러의 손해 배상을 지불하도록 판결했다.[5]3. 3. ABS-7로 운용
ABS에 소유권이 넘어간 무궁화 3호는 '''ABS-7'''로 명칭이 변경되어 동경 116도 지점[6]에서 2017년 현재도 운용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Satbeams - World Of Satellites at your fingertips
http://www.satbeams.[...]
2021-04-08
[2]
웹사이트
ABS-7 116.1°E {{!}} ABS
https://absatellite.[...]
2021-04-07
[3]
웹사이트
Koreasat 3 (Mugunghwa 3) → ABS 7
https://space.skyroc[...]
2024-02-08
[4]
웹사이트
【社説】あきれるムグンファ衛星の安価売却=韓国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13-11-04
[5]
웹사이트
「格安売却」問題の韓国衛星…国際訴訟で敗訴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18-04-05
[6]
웹사이트
中国の宇宙開発事情(その4)衛星通信
https://spc.jst.go.j[...]
サイエンス ポータル チャイナ
2013-01-08
[7]
뉴스
'무궁화위성 3호' 홍콩에 불법매각 KT관계자 기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